KR20120017948A -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948A
KR20120017948A KR1020100080918A KR20100080918A KR20120017948A KR 20120017948 A KR20120017948 A KR 20120017948A KR 1020100080918 A KR1020100080918 A KR 1020100080918A KR 20100080918 A KR20100080918 A KR 20100080918A KR 20120017948 A KR20120017948 A KR 2012001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camera
reflector
markers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654B1 (ko
Inventor
정순기
이양수
이석준
이성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6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7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8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재활 장치 및 그에 따른 재활 방법이 제공된다.
반사체, 압력 센서 보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은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반사체를 촬영하여,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rehabilitation device using motion analysis based on motion cap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활 장치 및 재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션캡쳐를 기반으로 자세를 분석하는 재활 장치 및 재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운동은 인간이 이동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며, 또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러한 하지운동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하지 자세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자세분석은 주로 인체 여러 부분의 동작을 운동 형상학적 정보, 운동역학적 정보, 동적 근전도 정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과거 임상에서는 신경 근 골격계 질환 환자의 보행을 의사가 육안으로 반복 관찰하는 것이 사실상 유일한 보행분석 방법이었으나, 이는 비정상적인 보행양상을 초래할 수 있는 많은 요인들과 보행양상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밝혀내기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보행에 관련된 객관적인 정보를 얻어내어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 대상이 운동을 수행할 때, 양 하지의 무릎 각도, 위치등의 데이터를 3차원 공간상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피드백해줌으로서, 훈련과 분석이 가능한 재활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체, 압력 센서 보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은 상기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교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마커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는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체로부터 상기 제1 마커가 제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2 마커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의 배치 상태를 추정하고,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 간의 배치 간격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배치 상태 및 배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재활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 대상의 동작 상태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은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로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마커 부분에 의해 훈련 공간이 초기화되어,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로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교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마커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제2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 단계,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반사체, 압력 센서 보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인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고,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시켜 훈련 공간을 초기화하는 공간 제어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자세 추정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기준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비교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마커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는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자세 추정부는 상기 반사체로부터 상기 제1 마커가 제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세 추정부는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마커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의 배치 상태를 추정하고,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 간의 배치 간격을 추정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재활 시스템에 등록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세 추정부는 상기 재활 대상의 동작 상태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은 재활 대상의 옆에 배치되어 훈련 공간을 제공하는 반사체, 상기 반사체에 부착된 복수 대의 제1 마커 및 상기 재활 대상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마커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재활 대상이 위치하여 상기 재활 대상 하지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 보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인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고,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시켜 훈련 공간을 초기화하는 공간 제어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자세 추정부,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재활 시스템에 등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 및 재활 방법은 반사체와 하나의 카메라만으로 3차원 기하분석을 통해 재활 대상의 3차원 상태와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훈련 상황을 자유롭게 관찰할 수 있으며,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가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훈련 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에서, 재활 대상의 하지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의 블록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에서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차원 상에 표현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에서 카메라를 통해 얻은 실제 훈련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 과정에서의 자세를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재활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제1 마커(미도시), 복수 개의 제2 마커(50, 51), 카메라(110), 반사체(130), 압력 센서 보드(150) 및 재활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마커(미도시)는 반사체(130)에 부착되고, 복수 개의 제2 마커(50, 51)는 재활 대상에 부착되어, 부착된 곳의 위치 정보를 카메라(1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1 마커 및 제2 마커(50, 51)는 부착된 곳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적외선을 이용할 수 있다. 적외선을 직접 발산하거나 적외선을 반사하여, 카메라(110)에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여 마커들이 부착된 곳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적외선 마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체(130)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1 마커(미도시)는 재활 대상이 없는 경우 자동적으로 턴온(turn-on)되고, 재활 대상이 재활 시스템(100) 내로 입장하면 자동적으로 턴오프(turn-off)되는 방식으로 동작하여, 재활 시스템에 카메라의 자세추정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의 자세 추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4와 함께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재활 대상의 하지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마커(50, 51)는 재활 대상이 재활 시스템(100)에 입장하면 자동적으로 턴온(turn-on)되어,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5와 함께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카메라(110)는 재활 대상을 촬상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사체(130)에 부착된 복수의 제1 마커(미도시) 및 재활 대상에 부착된 복수의 제2 마커(50, 51)를 촬상한다.
한편, 복수의 제1 마커(미도시) 및 재활 대상에 부착된 복수의 제2 마커(50, 51)가 적외선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카메라(110)는 가시광선 영역 외에 적외선 영역도 함께 촬상할 수 있다.
반사체(130)는 재활 대상에 부착된 복수의 제2 마커(50, 51) 중 일부를 반사시켜 상을 맺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재활 대상의 왼쪽 하지에 부착된 마커(51)는 왼쪽 하지의 바깥쪽에 부착되므로, 카메라(110)에 의해 직접 촬상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반사체(130)는 카메라(110)에 의해 직접 촬상될 수 없는 마커(51)들의 상을 맺어, 카메라(110)에 의해 촬상될 수 있도록 한다. 때문에, 반사체(130)는 카메라(11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보드(150)는 재활 대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 보드(150)는 재활 대상을 감지하여, 복수 개의 제2 마커(50, 51)들이 부착된 재활 대상의 하지 사이의 거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수학식 1 및 2를 이용해 압력 센서 보드(150)가 하지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압력 센서 보드(150)는 각 모서리에 부착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재활 대상의 하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압력 센서는 압력 센서 보드(150)의 각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 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은 무게 중심과 거리에 반비례하는 값을 가진다는 점을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한쪽 발을 올렸을 때 무게 중심 좌표
Figure pat00001
를 먼저 구한다.
그 후에 다음 발을 올려 위치를 계산한 후 양 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이를 하지 사이의 거리로 사용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오른쪽 압력 센서로부터 얻은 값이고,
Figure pat00004
은 왼쪽 압력 센서로부터 얻은 값이다.
Figure pat00005
는 양쪽 압력 센서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다음 발을 압력 센서 보드(150)에 올려놓으면, 양쪽 발에 가해지는 무게 비율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양 발을 모두 올린 상태의 무게 중심을 구한 후 수학식 2에 의해 한 발을 올렸을 때 얻은 값과 양 발을 올렸을 때 얻을 값의 차이에 의하여 양 발의 좌표를 구한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나중에 올린 발의 좌표이고,
Figure pat00008
는 처음 한 발을 올렸을 때 무게 중심이며,
Figure pat00009
는 양 발을 올렸을 때의 무게 중심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 보드(150)는 재활 대상의 하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 보드(150)는 반사체(130)에서 일정한 거리에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재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는 카메라에 입력된 영상을 이용해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여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재활 장치(200)는 영상 처리부(210), 공간 제어부(230), 자세 추정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재활 장치(200)는 도 1에서와 같이, 카메라, 반사체, 압력 센서 보드, 복수 개의 제1 마커 복수 개의 제2 마커와 함께 재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10)는 재활 시스템의 기준 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10)는 재활 대상 없이 카메라에 의해 재활 시스템을 촬상한 영상을 이진화(binarize)하여 기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은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재활 장치(200)가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는 재활 대상 없이 재활 시스템을 촬상한 영상에서, 각 픽셀 별로 밝기 분포를 계산하고, 계산된 밝기 분포를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기준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이란 촬영된 영상을 이진화(binarize)하여 0, 1로 이루어진 흑백 이미지를 생성할 때, 흰색과 검은색을 구분하는 경계가 되는 값을 의미한다. 일 예로, 기 설정된 값이 200이라면, 밝기가 200이 이상인 픽셀은 흰색으로, 밝기가 200이 미만인 픽셀에서는 검은색으로 처리되어 배경 영상을 흑백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도 3a과 같이, 영상 처리부(210)는 n개의 배경 영상을 입력받아, 도 3b와 같이, 배경 영상을 이진화하여 흑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은 적외선 마커는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서 하얗게 인식되기 때문에, 적외선 마커 외에 흰색으로 촬영된 영역은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어 이들을 제외하기 위함이다.
도 2로 돌아가서, 영상 처리부(210)는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반사체가 포함된 영상이 들어오면, 반사체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10)는 기준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부착한 반사체가 포함된 영상에서 배경 영상을 분리하여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공간 제어부(230)는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한다는 것은 거울과 카메라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카메라가 거울에서부터 떨어진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 및 카메라와 거울 사이의 각도를 포함하는 회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거울과 카메라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제어부(230)의 역할을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훈련 공간을 나타낸다.
도 4에서, 공간 제어부는 영상 처리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 제어부는 검출된 복수 개의 제1 마커에 네 점 기반 카메라 자세 추정 기법(4-point algorithm for camera pose determination)을 적용하여 카메라(410)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네 점 기반 카메라 자세 추정 기법은 반사체의 네 꼭지점 간의 실제 길이 비율과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서 반사체의 네 꼭지점 간의 길이 비율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하는 기법이다. 때문에, 복수 개의 제1 마커(52)는 4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410)과 반사체(43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압력 센서 보드(450)는 반사체(430)에 기 정의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410)과 반사체(43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카메라(410)와 압력 센서 보드(450)의 위치 관계까지 결정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한편, 공간 제어부(230)는 재활 시스템의 훈련 공간을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훈련 공간을 초기화하는 것은 재활 시스템이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활 시스템의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재활 대상이 위치하면, 공간 제어부(230)는 재활 대상의 하지들 사이의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재활 대상의 하지 위치 추정을 위한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하지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은 압력 센서 보드와 함께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세 추정부(250)는 재활 대상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마커들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자세 추정부(250)는 기준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2 마커를 부착한 재활 대상이 포함된 영상에서 배경을 분리하여 복수 개의 제2 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세 추정부(250)는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자세 추정부(250)는 검출된 복수 개의 제2 마커와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재활 대상의 자세 및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에서, 재활 대상의 하지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자세 추정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 개의 제2 마커는 3차원 공간 상에서 두 선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에 놓일 것이다. 카메라(510)에 보이는 점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이 반사체(530)에 반사되어 보이는 점이다. 따라서,
Figure pat00014
은 실제로
Figure pat00015
선상에 존재하는 점이 아니라, 반사체(530)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Figure pat00016
선상에 존재하게 된다. 이는 반사체(530) 뒷면에 있는 가상 카메라(550)가
Figure pat00017
을 바라보는 시선과 일치한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는 반사체(530) 면에 수직인 선 위에 존재하므로,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선 위의 점 중 압력 센서 보드(570)에 의해 추정된 하지 사이의 거리
Figure pat00022
와 일치하는 거리에 있는 두 점이 실제 3차원 상의 하지 위치가 되며, 이를 통해, 자세 추정부는 하지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마커들의 3차원 상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재활 대상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자세 추정부(250)는 소실되거나 잘못 검출된 마커를 추적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자세 추정부(250)는 두 마커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고 마커의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소실된 마커가 포함되는 부분의 두 마커 거리와 그 마커의 움직임 변화를 나타내는 백터에 의해 마커가 있는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대편 하지에 가려져 마커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면, 자세 추정부(250)는 마커 간의 거리와 움직임 변화를 나타내는 백터에 의해 소실된 마커의 위치를 예측하게 된다.
또한, 자세 추정부(250)는 재활 대상의 자세를 분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세 추정부(250)는 추정된 재활 대상의 자세(재활 대상의 하지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마커들의 3차원 상 위치)를 이용하여 재활 대상이 움직이면서 생기는 관절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세 추정부(250)는 하지에 부착된 마커들을 좌측 하지에 부착된 4개의 마커와 우측 하지에 부착된 4개의 마커로 분류하고, 무릎을 기준으로 4개의 마커는 상부 2개, 하부 2개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이 후, 자세 추정부(250)는 마커 사이에서 백터를 정의하고 아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상부 백터와 하부 백터가 이루는 각을 무릎의 각도 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여기서, ㆍ 내적 기호를 의미하며,
Figure pat00026
는 무릎 하부의 2개 마커에 의해 정의된 백터로
Figure pat00027
이며,
Figure pat00028
는 무릎 상부의 2개 마커에 의해 정의된 백터로
Figure pat00029
이다.
이처럼, 자세 추정부(250)는 추정된 재활 대상의 위치와 자세를 통하여, 재활 대상의 무릎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하지의 운동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훈련자의 굽혀진 무릎 각도의 크기와 3차원 상의 위치를 분석하여 현재 재활 대상이 취하는 자세를 알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재활 대상의 운동 상태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70)는 자세 추정부(250)에서 산출된 재활 대상의 자세, 위치 및 무릎 각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재활 장치(600)는 영상 처리부(610), 공간 제어부(630), 자세 추정부(650), 저장부(670) 및 디스플레이부(69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670)는 재활 대상의 운동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670)는 재활 장치에 의해 측정된 재활 대상의 자세, 위치 및 무릎 각도에 대한 데이터를 날짜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70)는 정상인의 운동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670)는 연령별, 성별 등으로 정상인의 자세, 위치 및 무릎 각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재활 장치(600)는 자세 추정부(650)에서 산출된 재활 대상의 자세, 위치 및 무릎 각도의 변화량을 정상인과 비교하여, 재활 상대의 하지 운동 능력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a는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차원 상에 표현한 것이고, 도 7b는 카메라를 통해 얻은 실제 훈련 영상을 나타낸다. 카메라를 통해 얻은 실제 훈련 영상과 추정된 자세를 동시에 한 화면에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재활 대상은 자신의 훈련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훈련 과정에서의 자세를 추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시간 변화에 따른 훈련자의 자세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재활 대상의 앞쪽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8b는 재활 대상 왼편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8c는 훈련자의 뒤편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이처럼, 복수 개의 제2 마커를 인식하여 3차원 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재활 대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영상에서 잘 보이지 않는 움직임을 관찰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9는 본 재활 장치에 따른 재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재활 장치는 재활 시스템의 기준 영상을 생성한다(S910). 생성된 기준 영상은 반사체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1 마커 및 재활 대상에 부착된 제2 마커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후, 재활 장치는 반사체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검출하여,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하고, 재활 시스템의 훈련 공간을 초기화한다(S930).
이 후, 재활 장치는 재활 대상에 부착된 제2 마커를 검출하고, 재활 대상의 하지 사이의 거리를 이용해 재활 대상의 자세, 위치를 추정하고(S950), 재활 대상의 무릎 각도를 계산하여 재활 대상의 운동 상태를 분석한다(S970). 이 경우, 분석된 운동 상태를 정상인 또는 누적된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여, 재활 대상의 운동 능력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재활 시스템 52 : 복수 개의 제1 마커
50, 51 : 복수 개의 제2 마커 110, 410, 510 : 카메라
130, 430, 530 : 반사체 150, 450, 570 : 압력 센서 보드
200 : 재활 장치 210 : 영상 처리부
230 : 공간 제어부 250 : 자세 추정부
270, 690 : 디스플레이부 670 : 저장부
550 : 가상 카메라

Claims (15)

  1. 반사체, 압력 센서 보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기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교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마커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는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체로부터 상기 제1 마커가 제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2 마커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의 배치 상태를 추정하고,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 간의 배치 간격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배치 상태 및 배치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재활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 대상의 동작 상태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6.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에 있어서,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로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마커 부분에 의해 훈련 공간이 초기화되어,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로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교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마커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단계는,
    상기 제2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 단계;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9. 반사체, 압력 센서 보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인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고,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시켜 훈련 공간을 초기화하는 공간 제어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자세 추정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기준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반사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비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비교 영상으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제1 마커 부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상기 제1 마커 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는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자세 추정부는,
    상기 반사체로부터 상기 제1 마커가 제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하면,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추정부는,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을 제외시켜 상기 복수 개의 제2 마커 부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마커 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의 배치 상태를 추정하고,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하지 부분 간의 배치 간격을 추정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시스템의 재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재활 시스템에 등록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세 추정부는,
    상기 재활 대상의 동작 상태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 장치.
  15. 재활 대상의 옆에 배치되어 훈련 공간을 제공하는 반사체;
    상기 반사체에 부착된 복수 대의 제1 마커 및 상기 재활 대상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마커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재활 대상이 위치하여 상기 재활 대상 하지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 보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마커를 인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반사체에 복수 개의 제1 마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반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하고, 복수 개의 제2 마커가 부착된 재활 대상이 상기 압력 센서 보드 상에 위치시켜 훈련 공간을 초기화하는 공간 제어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하고, 상기 재활 대상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기 압력 센서 보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 대상의 자세를 추정하고, 보행 동작을 분석하는 자세 추정부;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재활 시스템에 등록하는 저장부;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재활 시스템.
KR1020100080918A 2010-08-20 2010-08-20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KR10111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18A KR101118654B1 (ko) 2010-08-20 2010-08-20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18A KR101118654B1 (ko) 2010-08-20 2010-08-20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48A true KR20120017948A (ko) 2012-02-29
KR101118654B1 KR101118654B1 (ko) 2012-03-06

Family

ID=4583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918A KR101118654B1 (ko) 2010-08-20 2010-08-20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65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101B1 (ko) * 2012-10-16 2013-04-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전 기반 압력 측정 방법
KR101373628B1 (ko) * 2012-09-28 2014-03-12 주식회사 자세과학 보행 분석 장치
WO2015093833A1 (ko) * 2013-12-18 2015-06-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근력 측정 시스템
KR20160133240A (ko) 2015-05-12 2016-11-22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영상을 이용한 자세 및 동작 분석 시스템
USD806048S1 (en) 2015-12-23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CN108211318A (zh) * 2018-01-23 2018-06-29 北京易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多方感知的竞走运动姿态分析方法
KR20190085794A (ko) * 2018-01-11 2019-07-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른자세관리를 위한 자세분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WO2020105760A1 (ko) * 2018-11-23 2020-05-28 수상에스티(주) 3차원 영상 모션인식 기반 관심부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4567A (ko) * 2019-01-03 2020-07-13 전자부품연구원 보행패턴을 이용한 건강이상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11020024B2 (en) 2013-01-11 2021-06-01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ange of motion of a subject
CN112998700A (zh) * 2021-05-26 2021-06-22 北京欧应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辅助对象运动功能评估的设备、系统和方法
KR20210120148A (ko) 2020-03-24 2021-10-07 주식회사 에스에스티컴퍼니 (SSTC Co., Ltd.) 운동자세 분석 시스템
KR20230018556A (ko) * 2021-07-30 2023-02-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각도 추정장치 및 그 추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22B1 (ko) * 2016-12-29 2018-07-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영상 분석 기반의 트레드밀 감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위험 상황 감지 방법
KR102608404B1 (ko) * 2021-10-20 2023-12-01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사용자 자세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0580A (ja) * 2007-03-12 2008-09-25 Univ Of Tsukuba 没入歩行感覚呈示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28B1 (ko) * 2012-09-28 2014-03-12 주식회사 자세과학 보행 분석 장치
KR101253101B1 (ko) * 2012-10-16 2013-04-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비전 기반 압력 측정 방법
US11020024B2 (en) 2013-01-11 2021-06-01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ange of motion of a subject
US10517522B2 (en) 2013-12-18 2019-12-31 Yang Soo Lee System for measur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WO2015093833A1 (ko) * 2013-12-18 2015-06-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근력 측정 시스템
KR20160133240A (ko) 2015-05-12 2016-11-22 사단법인 캠틱종합기술원 영상을 이용한 자세 및 동작 분석 시스템
USD806048S1 (en) 2015-12-23 2017-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KR20190085794A (ko) * 2018-01-11 2019-07-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른자세관리를 위한 자세분석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CN108211318A (zh) * 2018-01-23 2018-06-29 北京易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多方感知的竞走运动姿态分析方法
WO2020105760A1 (ko) * 2018-11-23 2020-05-28 수상에스티(주) 3차원 영상 모션인식 기반 관심부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4567A (ko) * 2019-01-03 2020-07-13 전자부품연구원 보행패턴을 이용한 건강이상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0148A (ko) 2020-03-24 2021-10-07 주식회사 에스에스티컴퍼니 (SSTC Co., Ltd.) 운동자세 분석 시스템
CN112998700A (zh) * 2021-05-26 2021-06-22 北京欧应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辅助对象运动功能评估的设备、系统和方法
CN112998700B (zh) * 2021-05-26 2021-09-24 北京欧应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辅助对象运动功能评估的设备、系统和方法
KR20230018556A (ko) * 2021-07-30 2023-02-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각도 추정장치 및 그 추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654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654B1 (ko) 모션캡쳐 기반의 자세분석을 통한 재활 장치 및 이에 따른 재활 방법
US9996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gait cycle segmentation
Prakash et al. Passive marker based optical system for gait kinematics for lower extremity
US9898651B2 (en) Upper-body skeleton extraction from depth maps
JP6334925B2 (ja) 動作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8565479B2 (en) Extraction of skeletons from 3D maps
JP6369811B2 (ja) 歩行解析システムおよび歩行解析プログラム
EP3437557B1 (en) Gait analyzing device, gait analyz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41377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205134A (ja) 体調検出装置、体調検出方法及び体調検出プログラム
KR20200134502A (ko) 이미지 인식을 통한 3차원 인체 관절 각도 예측 방법 및 시스템
JP7266599B2 (ja) 患者の身体運動を検知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Nouredanesh et al. Chasing feet in the wild: a proposed egocentric motion-aware gait assessment tool
Yeasin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ed image processing system for kinematic analysis of human gait
KR20160035497A (ko) 스켈레톤 추출정보를 이용한 동작분석 기반의 체형분석 시스템
EP3438601B1 (en) Measurement device, measur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Mahyuddin et al. Development of an affordable system for 2D kinematics and dynamics analysis of human gait
KR20230120341A (ko) 2차원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인체 관절 각도 예측 방법 및 시스템
Ismail et al. The applications of Microsoft Kinect for human motion capture and analysis: A review
KR20220140220A (ko) 보행데이터 기반 파킨슨 증후군 중증도 판별 시스템 및 방법
EP3653120A1 (en) A rehabilitation device and a method of monitoring hand positions
JP6482102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20100060622A (ko) 인체 자세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544736A (zh) 下肢肌肉力量估计系统、下肢肌肉力量估计方法及程序
KR102222059B1 (ko) 마커가 형성된 진단기를 이용한 대상체 위치 및 진단 결과를 출력시키는 대상체 위치인식형 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