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631A -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631A
KR20120017631A KR1020100080354A KR20100080354A KR20120017631A KR 20120017631 A KR20120017631 A KR 20120017631A KR 1020100080354 A KR1020100080354 A KR 1020100080354A KR 20100080354 A KR20100080354 A KR 20100080354A KR 20120017631 A KR20120017631 A KR 20120017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dust
ion
uni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선
박용은
Original Assignee
(주)엔아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아이디에스 filed Critical (주)엔아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8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7631A/en
Publication of KR2012001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6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PURPOSE: An ion generating device and an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maintain indoor air clean by controlling ion generation amount according to dust amount, a relative humidity, and an air quality and get rid of toxic gas. CONSTITUTION: An air cleaning system comprises a ventilation device(100), an ion generating device(300), sensors(400), and a controlling device(200). The ventilation device performs ventilation between inner and outer spaces by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of the controlling device. The sensors measure dust amount, a relative humidity, and an air qual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ontrolling device controls an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device, and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Description

이온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정화 장치등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 환경(상대 습도, 먼지량 및 대기질)에 따라 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는 이온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 generating device used in an air purifying device and the like, and relates to an ion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n ion generating amount according to an ambient environment (relative humidity, dust amount and air quality)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공기 정화 시스템은 밀폐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어(FILTERING)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공기정화 시스템은 밀폐된 실내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시멘트 건물 등의 사무실, 종균배양실,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 정밀기기 등을 가동하는 장소 등에는 인체 혹은 정밀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공기정화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Typically, an air purification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filters clean impurities in air in a closed room and supplies clean air to the room. Such air purification systems are widely used in closed rooms. For example, an air purifying system for protecting a human body or precision equipment is operated in offices such as general cement buildings, spawn culture rooms, workplaces where dust is generated, and places where precision equipment is operated.

게다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실내의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하는 것이 현대의 중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가정 및 사무실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건강에 유익한 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별도의 공기 정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실정이다.In addition, as society develops, most modern people spend a long time living indoors, which keeps the indoor air fresh. Accordingly, most homes and offices have a separate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an purify the air to convert the indoor air into health-friendly air.

또한, 최근에는 인위적으로 이온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이온 발생 장치를 사용한다. In recent years, an ion generating device is used to artificially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ions.

이러한 이온 발생기는 최근에 공기 청정기 또는 에어컨과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온 발생기는 양전극부와 음전극부에 수 내지 수천 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부분적인 방전을 일으켜 양이온과 음이온을 발생시킨다.These ion generators have recently been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air cleaners or air conditioners. The ion generator generates a partial discharge by applying a high voltage of several to several thousand Kv to the positive electrode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part to generate positive and negative ions.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 및 사무실에서 공기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비율이다. 하지만, 음이온의 농도가 양이온의 수십 배 내지 수백 배인 대기 환경인 경우, 피로회복, 정신 안정, 혈액의 정화, 저항력의 증진, 자율신경 조정 등의 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In general, in most homes and offices, the ratio of anions and cations in the air is typically about the same. 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of anion is in the atmosphere of several tens to hundreds of times the cation, it is widely know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medical effects such as fatigue recovery, mental stability, purification of blood, enhancement of resistance, and autonomic nerve adjustment.

또한, 음이온 및 양이온은 공기중의 산소나 질소 등의 분자가 각각 음, 양의 전하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 중에서 음이온은 인체에 매우 유익하고 먼지 및 냄새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양이온은 공기중의 세균이나 미생물을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In addition, anion and cation means a state in which molecules such as oxygen and nitrogen in the air have a negative and positive charge, respectively, of which anion is ver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nd is effective in removing dust and odors. There are reports of effects of killing bacteria and microorganisms in the air.

이러한 이온 발생 장치의 경우, 이온 발생을 위해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 고압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방법 및 베타선등의 방사선을 이용하는 방법 및 물방울 등을 이용하는 방법등이 사용된다. In the case of such an ion generating device, a method of using ultraviolet rays, a method of using high-pressure corona discharge, a method of using radiation such as beta rays, a method of using water droplets, and the like are used.

하지만, 이러한 음이온과 같은 이온을 발생하는 기존의 장치의 경우, 장치 크기에 비하여 발생되는 음이온의 양이 적었고, 가정이나 기타 밀폐된 실내 공간(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devices that generate ions such as anions, the amount of negative ions generated is 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use in a home or other enclosed indoor space (for example, inside a car).

또한, 통상의 이온 발생 장치는 일정 주기의 정현파 또는 구형파를 발생시켜 고전압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이온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의 경우, 음이온과 함께 필요 이상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온 발생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공기중의 이온 량이 일정하기 않게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 high-voltage direct current output voltage by generating a sine wave or a square wave of a certain period, thereby generating ions.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has a disadvantage of generating more ozone than necessary together with the anion. In addition, since the ion generation amount is consta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mount of ions in the air is not consta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먼지량, 상대습도 및 대기질에 따라 이온 발생량을 조절하여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온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ion generating device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to adjust the amount of ion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ir quality to keep the indoor air clean. d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간의 환기를 담당하는 환기장치;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장치; 먼지량, 상대습도 및 주변 대기질을 측정하는 센싱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환기 장치를 개폐하거나, 상기 이온 발생 장치의 이온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A ventilation device which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is responsible for ventilation between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Ion genera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mbient air quality; And a control device which opens or closes the ventilation device or controls the amount of ion genera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device.

상기 이온 발생 장치는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직류 전원부와, 상기 제어 장치의 신호에 따라 입력된 직류 전원을 주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구형파 제어부와, 상기 구형파 제어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고전압 발생부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의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o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input DC power supply for providing a DC power supply, a square wave control unit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DC power inpu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and a DC power periodical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control unit at a high voltage. And a high voltage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DC output voltage and an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ons by receiving the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상기 센싱 장치는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와,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와, 대기질을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relative humidity, and a gas sensor for measuring air quality.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싱 장치로 부터 센싱 결과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대기 상태를 결정하는 대기 상태 결정부와, 상기 대기 상태 결정부에 의해 판단된 대기 상태에 따라 환기 장치 구동을 위한 온/오프 신호 또는 이온 발생 장치의 이온 발생량 증감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량, 상대 습도 및 주변 대기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nsing result from the sensing device, a standby state determiner configured to read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a current standby state, and a standby state determined by the standby state determiner. A signal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for driving a ventilator o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nd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ust amount, relative humidity and ambient air quality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intensity.

상기 센싱 장치로 부터 센싱된 먼지량이 증가하거나, 주변 습도가 증가하거나, 대기질(즉, 유해 가스)이 증가하는 경우, 이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amount of dus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increases, the ambient humidity increases, or the air quality (ie, harmful gas) increases,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은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직류 전원부; 먼지량, 상대 습도 및 대기질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입력된 직류 전원을 주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구형파 제어부; 상기 구형파 제어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고전압 발생부; 상기 고전압 발생부의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DC power supply unit for providing a DC power;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ir quality;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ing unit; A square wave controller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DC power inpu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A high voltage generator converting the DC power periodical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controller into a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It provides an ion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ons by receiving a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of the high voltage generating unit.

상기 센싱부는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와,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와, 대기질을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의 출력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어부의 출력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부의 이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ing unit includes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relative humidity, and a gas sensor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as the output of the sensing unit is increased,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increa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ing unit increases.

본 발명은 먼지량, 상대습도 및 대기질에 따라 이온 발생량을 조절하여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해 가스(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indoor air clean by adjusting the amount of ion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ir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noxious gases (eg formaldehy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의 이온 발생기의 습도에 따른 이온 발생량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개념도.
도 6은 일 실시예의 먼지 제거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7은 일 실시예의 포름알데히트 제거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and 4 are graphs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ion generation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ion generator of one embodiment.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dust remov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graph illustrating dust removal characteristics of one embodiment.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formaldehyde removal characteristics of one embodiment.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발생장치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은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간의 환기를 담당하는 환기장치(100)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장치(300)와, 내부 공간의 먼지량, 상대습도 및 주변 대기질을 측정하는 센싱 장치(400)와, 상기 센싱 장치(400)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환기 장치(100)를 개폐하거나, 상기 이온 발생 장치(300)의 이온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ir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200 to perform ventilation between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nd an ion generating ion. The device 300, the sensing device 400 for measuring the dust amount,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ambient air quality of the internal sp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device 400, or the ion It includes a control device 200 for controlling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generator 30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가정용 또는 사무실용에 사용될 수 있고, 차량과 같은 장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사람이 거주하거나 위치하는 밀폐된 공간 내에 공기 정화 시스템이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줌은 물론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Such an air purific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That is, it can be used for home or office, and can also be used in a device such as a vehicle. The air purifying system is applied in an enclosed space where a person lives or is located, so as to be comfortable to the user and to remove fine dust.

상기의 환기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간을 연통시켜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기장치(100)로 환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환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기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환기 팬이 있고, 이 환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환기 제어부는 제어 장치(2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device 100 may communicate between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so that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use a fan as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course, various other types of ventilation device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preferably on / off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200.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ventilation device 100 includes a ventilation fan and includes a ventil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200 is controlled.

이온 발생 장치(300)는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직류 전원부(310)와, 제어 장치(200)의 신호에 따라 입력된 직류 전원을 주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구형파 제어부(320)와, 구형파 제어부(320)에 의해 주기적으로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고전압 발생부(330)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330)의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340)를 포함한다. The ion generator 300 includes an input DC power supply unit 310 for providing DC power, a square wave control unit 320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DC power inpu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200, and a square wave control unit 320. A high voltage generator 330 for converting the DC power periodically switched to a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and an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ons by receiving the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340).

입력 직류 전원부(310)는 고전압 발생부(330)에 직류 전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교류 전원(예를들어, 가정용 220V)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제공하거나, 별도의 직류 전원 공급부(예를 들어, 밧데리)로부터 직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입력 직류 전원부(310)는 2개의 출력 단자를 갖고, 이중 일 단자는 고전압 발생부(330)에 접속되고, 타 단자는 구형파 제어부(320)에 접속된다. The input DC power supply unit 310 provides a DC power supply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To this end,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home 220V) can be rectified to provide a DC power, or a DC power supply from a separate DC power supply (for example, a battery). Although not shown, the input DC power supply unit 310 has two output terminals, one terminal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and the other terminal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quare wave control unit 32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장치(200)의 출력 신호에 따라 고전압 발생부(330)에 제공되는 직류 전원의 펄스폭(즉, 펄스 주기)을 가변시킨다. 물론, 펄스 폭 이외에 진폭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전압 발생부(3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온 발생부(340)의 이온 발생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주변 오염도와 상대습도에 따라 그 출원 신호의 전압레벨이 증가한다. 물론 이외의 경우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lse width (ie, pulse period) of the DC power provid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is vari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200. Of course, amplitude modul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pulse width. Through this, the output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may be controlled, and accordingly,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or 340 may be controlled. The control device 200 increases the voltage level of the appl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ambient pollution and the relative humidity. Of course, other cases are possible.

구형파 제어부(32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직류 전원부(310)의 스위칭 주기를 제어하고, 고전압 발생부(330)에 제공되는 입력 전원의 펄스폭을 변조한다. 이때, 상기 구형파 제어부(320)로 발진회로를 사용하고, 이 회로의 출력 주파수를 변화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구형파 제어부(320)로 마이컴의 PWM 제어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PWM 회로와 발진 회로는 칩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square wav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switching cycle of the input DC power supply unit 3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200, and modulates the pulse width of the input power provid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In this case, the oscillation circuit may be used as the square wave control unit 320, and the output frequency of the circuit may be generated by changing. Of course, the microwave PWM control circuit may be used as the square wave control unit 320. Here, the PWM circuit and the oscillation circu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hip.

고전압 발생부(330)는 구형파 제어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전원을 고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이때, 고전압 발생부(330)로 1차측과 2차측에 감긴 코일 횟수의 가변에 따라 입력 전원을 고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변압기를 사용한다.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converts the input power provided by the square wave controller 320 into a high voltage and outputs the converted high voltage. At this time,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uses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the input power into a high volta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number of coils wound o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여기서, 구형파 제어부(320)에 의해 고전압 발생부(330)의 1차 측으로 제공되는 입력 전원의 경우 그 펄스 폭이 변조된다. 따라서, 2차측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원의 펄스폭 또한 변조된다. 즉, 1차측으로 제공되는 입력 전원의 펄스폭이 줄어들 수록 고전압 발생부(330)의 2차측 출력 전압이 증가하고, 1차측 입력 전원의 펄스폭이 클 수록 고전압 발생부(330)의 2차측 출력 전압이 작아진다. Here, in the case of the input power provided by the square wave controller 320 to the primary si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the pulse width thereof is modulated. Therefore, the pulse width of the output power output from the secondary side is also modulated. That is, the secondary output voltag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increases as the pulse width of the input power provided to the primary side decreases, and the secondary output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increases as the pulse width of the primary input power increases. The voltage becomes small.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발생부(330)의 1차측에 제공되는 전원의 펄스 폭을 먼지량, 상대 습도 및 대기질에 따라 조절하여 이온 발생부(330)로부터 생성되는 이온량을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amount of ions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330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ulse width of the power source provid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according to the dust amount,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air quality.

이온 발생부(340)는 고전압 발생부(330)의 출력전원에 따라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온 발생부(340)는 음이온 발생부(341)와 양 이온 발생부(520)를 구비한다. The ion generator 340 generates ions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330. The ion generator 340 includes an anion generator 341 and a positive ion generator 520.

상술한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장치(30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그 이온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may adjust the ion gener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200.

상기 제어 장치(200)는 센싱 장치(40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따라 이온 발생 장치(300)에 이온 발생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The control device 20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ion generation to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results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400.

즉, 제어 장치(200)는 센싱 장치(400)로 부터 센싱 결과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대기 상태를 결정하는 대기 상태 결정부와, 상기 대기 상태 결정부에 의해 판단된 대기 상태에 따라 환기 장치(100) 구동을 위한 온/오프 신호 또는 이온 발생 장치(300)의 이온 발생량 증감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200)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컨트롤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at is,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nsing result from the sensing device 400, a standby state determination unit reading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a current standby state, and the standby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a signal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for driving the ventilation device 100 o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ndby state. It is effective to use a control board including a microprocessor as the control device 200.

상기 대기 상태 결정부는 먼지량, 상대 습도, 주변 대기질을 판단한다. 이때, 판단 기준은 각기 3가지 경우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먼지량을 3가지 기준으로 분리하여 입력된 센싱 결과가 제 1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먼지가 적음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 1 기준 이상 제 2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먼지가 있음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 2 기준 이상이 경우에는 먼지가 많음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대 습도와 주변 대기질의 오염도를 판단한다. The air condition determiner determines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mbient air quality. At this time, the criteria are separated into three cases.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dust is separated into three criteria and the input sensing resul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criterion, the dust is determined to be less. And when it is more than 1st reference | standard and less than 2nd reference | standar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exists dust. In addition, when more than 2nd reference | standard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much dust. In this way,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surrounding air quality is determined.

따라서, 각기 판단시 모두가 제 1 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환기 장치(100)를 오프시키고, 이온 발생량을 줄이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들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 이상 제 2 기준 이하의 경우가 2가지 이상일 경우에는 환기 장치(100)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온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 이상이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이온 발생량을 증가시키고, 환기 장치(100)를 온시켜 내부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경우에 따라 제어 신호의 출력 레벨이 변화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Accordingly, when all are less than the first criterion, the ventilator 100 is turned off, and signals for reducing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or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are output. When there are two or more cases of the first reference and the second reference or less, the ventilation device 100 outputs a signal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t least one or more, the ion generation amount is increased, and the ventilation device 100 is turned on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At this time, it is effective that the output level of the control signal is changed in some cases.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량이 증가하거나, 주변 습도가 증가하거나, 유해 가스가 증가하는 경우, 이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when the amount of dust increases, the ambient humidity increases, or the harmful gas increases.

이와 반대로, 먼지량과 대기 오염이 증가하는 경우, 환기 장치(100)를 오프시켜 외부의 먼지와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dust and air pollution increase, the ventilation device 100 may be turned off to prevent external dust and contaminated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 장치(200)가 상기의 동작 즉, 환기 장치(100) 자동 온/오프, 이온 발생 장치(300)의 발생량 자동 조절 등의 동작을 자동화에 의해 수행함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 장치(2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수동 동작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200)는 상기 케이스에 해당할 경우, 사용자에게 램프 또는 음성으로 통지하고,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따라 제어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rol device 200 performs the above operation, that is,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turning on / off the ventilation device 100 and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genera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by automation. However,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opera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controlled by a user. That is, manual operation is possible. When the control apparatus 200 corresponds to the case, the control apparatus 200 may notify the user by a lamp or a voice and output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an input operation of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200)의 판단 기준에 해당하는 센싱 신호를 센싱 장치(400)에서 제공한다. The sensing device 400 provid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 determination criter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본 실시예의 센싱 장치(400)는 먼지량, 상대 습도 및 대기질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 장치(200)에 제공한다. 센싱 장치(400)는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410)와,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420)와, 대기질을 측정하는 가스 센서(430)를 구비한다. The sensing device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easures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ir quality,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rol device 200. The sensing device 400 includes a dust sensor 41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420 for measuring relative humidity, and a gas sensor 430 for measuring air quality.

먼지 센서(410)로 광학식 먼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It is effective to use an optical dust sensor as the dust sensor 410.

가스 센서(430)로 유해가스를 파악할 수 있는 VOC 가스센서, CO 가스센서, NOx 가스 센서, 오존 가스 센서, 알코올(Alcohol) 가스 센서를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gas sensor 430 uses a VOC gas sensor, CO gas sensor, NOx gas sensor, ozone gas sensor, alcohol (Alcohol) gas sensor that can identify the harmful ga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air pollution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에 대한 출력을 센싱 제어 신호로 출력할 수 있고, 각 센서의 출력을 하나의 정보로 합산하여 그 결과를 하나의 센싱 제어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of the sensor may be output as a sensing control signal, and the output of each sensor may be summed into one piece of information and the result may be output as one sensing control signal.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온/습도 센서(420)를 추가로 배치함으로 인해 이온이 습도에 따라 감소됨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420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to prevent ions from decreasing with humidity.

<본 발명에서는 상대 습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따라 이온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요 기술입니다. 이때, 습도가 높으면 이온 발생량을 증대시킨다는 근거와 이유가 무엇인지 확실히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technique is to measure relative humidity and increase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At this time, it is good to be sure of the reason and reason that the high humidity increases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의 이온 발생기의 습도에 따른 이온 발생량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3 and 4 are graphs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the amount of ion generation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ion generator of one embodiment.

도 3 및 도 4에서는 이온 발생기로 일정량의 이온을 발생시키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상대 습도를 조절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온 발생기의 이온량이 상대습도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즉, 이온 발생기는 습도에 대해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and 4 generates a certain amount of ions with an ion generator,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adjusted using a humidifier.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ions in the ion generator varies with relative humidity.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on generator has an influence on the humidit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습도에 따른 이온 발생기의 영향을 고려하여 온/습도 센서(420)를 추가로 더 배치시켜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이온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420 may be further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ion generator according to humidity, there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mount of ions generated from the ion generator.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먼지 제거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의 포름알데히트 제거 특성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dust remov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graph illustrating dust remov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formaldehyde removal characteristics of an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온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대기중의 먼지를 지면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즉,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dust in the air may be dropped onto the ground by the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That is, the suspended matter can be remov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중의 부유물들은 양으로 대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들이 음이온에 의해 중화가 되어 공기중에 떠있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져 공기 중에서 제거된다. 즉, VOC, 담배 연기 및 먼지 등이 양전하를 띄고 있고, 이온 발생 장치(300)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이들의 표면에 흡착하게 된다. 그리고, 양으로 대전된 지면에 이들이 떨어지게 되어 이러한 부유물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since the suspended matter in the air is positively charged, these substances are neutralized by the negative ions so that they do not float in the air and fall to the bottom to be removed from the air. That is, VOC, tobacco smoke, dust, and the like have a positive charge, and negative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are adsorbed on their surfaces. Then, they fall on the ground that is positively charged so that these floats can be removed.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아파트 내부 공기 정화를 실험하였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30평형대 아파트 내부에 본 장치를 설치하고, 시간에 따른 먼지 감소량을 측정하였고, 50평대 아파트 내부에 본 장치를 설치하여 시간에 따른 먼지 감소를 측정하였으며, 50평대 아파트에 본 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먼지 감소(즉, 자연 감소)를 측정하였다. For this purpose, the air purification inside the apartment was tested as shown in FIG.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vice was installed inside a 30-pyeong apartment and measured the amount of dust reduction with time, and the device was installed inside the 50-pyeong apartment to measure the dust reduction with time. The dust reduction over time (ie, natural reduction) was measured while the apparatus was not running.

시간time 30평형30 equilibrium 50평형50 equilibrium 50평형(자연감소)50 equilibrium (natural reduction) 00 측정기 가동Measuring machine 측정기 가동Measuring machine -- 1One 2.1852.185 2.2352.235 2.2392.239 22 1.2201.220 1.0001,000 1.7251.725 33 0.3110.311 0.1580.158 1.4361.436 44 0.1090.109 0.0210.021 1.1361.136 55 0.0590.059 0.0120.012 0.9860.986 66 0.0330.033 0.0100.010 0.8300.830 77 0.0270.027 0.0050.005 0.6780.678 88 0.0170.017 0.0050.005 0.5840.584

표 1과 도 6에서와 같이 본 장치를 통해 분진을 측정한 결과, 본 장치와 측정기를 가동한 이후부터 먼지량이 급격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자연 막소의 겨우 8시간 이후에도 그 먼지량이 0.584로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분진 측정 단위는 mg/m3이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dust through the apparatus as shown in Table 1 and Figure 6,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dust is sharply reduc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e measuring instrument. Even after only eight hours of natural shelter, the dust level is quite high at 0.584. At this time, the dust measurement unit is mg / m 3 .

또한, 본 실시예의 이온 발생 장치 및 시스템은 유해 가스 또한 제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포름알데히드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on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remove harmful gases. That is, for example, formaldehyde causing sick house syndrome can be removed in a short time as shown in FIG. 7.

즉, 도 7의 (a)는 본 실시예의 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의 시간에 따른 포름알데히드량을 측정한 것이고, 도 7의 (b)는 본 장치를 가동한 이후에 시간에 따른 포름알데히드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는 모두 2×2×2M의 테스트 챔버 내의 포름 알데히드를 도포한 이후 그 양을 측정한 것이다. That is, Figure 7 (a) is a measure of the amount of formaldehyde over time whe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running, Figure 7 (b) is a formaldehyde amount over time after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It is measured. These were all measured after application of formaldehyde in a test chamber of 2 × 2 × 2M.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를 가동하지 않은 경우, 포름알데히드 도포후 5ppm 까지 상승하다 3.5ppm에서 안정을 찾고 이후, 자연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가동후 약 15분 이내에 2.5ppm에서 0.01ppm 까지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apparatus is not operated, it rises to 5 ppm after the application of formaldehyde, and finds stability at 3.5 ppm, and then decreases naturall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apparatus is operat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온 발생 장치와 이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 주변 습도에 따라 이온 발생량이 제어되고, 이 이온 발생량을 제어하여 부유물 제거는 물론 유해한 환경 가스도 빠른 시간내에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ion generating device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bient humidity, and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can be controlled to remove not only suspended matters but also harmful environmental gases in a short time.

본 실시예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싱 장치(400)와 제어 장치(200)가 일 부분으로 상기 이온 발생 장치(300)에 일체화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sensing device 4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may be integrated into the ion generating device 300 as a part.

100 : 환기 장치
200 : 제어 장치
300 : 이온 발생 장치
400 : 센싱 장치
410 : 먼지 센서
420 : 온/습도 센서
430 : 가스 센서
100: ventilation device
200: control unit
300: ion generator
400: sensing device
410 dust sensor
420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430: Gas Sensor

Claims (7)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간의 환기를 담당하는 환기장치;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장치;
먼지량, 상대습도 및 주변 대기질을 측정하는 센싱 장치; 및
상기 센싱 장치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환기 장치를 개폐하거나, 상기 이온 발생 장치의 이온 발생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A ventilation device which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device and is responsible for ventilation between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Ion genera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mbient air quality; And
And a control device that opens or closes the ventilation device or controls the amount of ion generation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 장치는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직류 전원부와, 상기 제어 장치의 신호에 따라 입력된 직류 전원을 주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구형파 제어부와, 상기 구형파 제어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고전압 발생부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의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o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input DC power supply for providing a DC power supply, a square wave control unit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DC power input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and a DC power periodical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control unit at a high voltage. And a high voltage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direct current output voltage, and an 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ons by receiving the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of the high voltage genera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와,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와, 대기질을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relative humidity, and a gas sensor for measuring air qual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싱 장치로 부터 센싱 결과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대기 상태를 결정하는 대기 상태 결정부와, 상기 대기 상태 결정부에 의해 판단된 대기 상태에 따라 환기 장치 구동을 위한 온/오프 신호 또는 이온 발생 장치의 이온 발생량 증감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량, 상대 습도 및 주변 대기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지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nsing result from the sensing device, a standby state determiner configured to read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a current standby state, and a standby state determined by the standby state determiner. A signal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n / off signal for driving a ventilator o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and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ust amount, relative humidity and ambient air quality Known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intensit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로 부터 센싱된 먼지량이 증가하거나, 주변 습도가 증가하거나, 대기질(즉, 유해 가스)이 증가하는 경우, 이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when the amount of dus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increases, the ambient humidity increases, or the air quality (ie, harmful gas) increases, the amount of generated ions increases.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입력 직류 전원부;
먼지량, 상대 습도 및 대기질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입력된 직류 전원을 주기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구형파 제어부;
상기 구형파 제어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스위칭된 직류 전원을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고전압 발생부;
상기 고전압 발생부의 고전압의 직류 출력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An input DC power supply unit providing a DC power supply;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relative humidity and air quality;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ing unit;
A square wave controller for periodically switching the DC power inpu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A high voltage generator converting the DC power periodically switched by the square wave controller into a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And an 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ions by receiving a high voltage DC output voltag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먼지량을 측정하는 먼지 센서와,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와, 대기질을 측정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의 출력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어부의 출력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온 발생부의 이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ing unit includes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relative humidity, and a gas sensor for measuring air quality,
As the output of the sensing unit increases, the output of the control unit also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ing unit.
KR1020100080354A 2010-08-19 2010-08-19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176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54A KR20120017631A (en) 2010-08-19 2010-08-19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54A KR20120017631A (en) 2010-08-19 2010-08-19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631A true KR20120017631A (en) 2012-02-29

Family

ID=4583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354A KR20120017631A (en) 2010-08-19 2010-08-19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6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519A1 (en)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High voltage generation device of ion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519A1 (en)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High voltage generation device of ion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252B1 (en) Plasma generator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air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974726B1 (en) Air adjustment device
KR100279896B1 (en) Air Purification Deodorizing Environmental Purifier
KR101761908B1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200121118A (en) Auto sterilizing apparatus for elevator button and method thereof
JP7217549B2 (en) Corona discharge air purifier
JP2003153995A (en) Sterilization/deodorization device
CN101066535B (en) Ozone-controlling electrostatic air purifier
CN112344506A (en) Air pur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546830A (en) Apparatus for treating air in at least one room
JP2008036168A (en) Deodorizing apparatus
KR20120017631A (en)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Tung et al. Determination of ozone emission from a domestic air cleaner and decay parameters using environmental chamber tests
CN110657506A (en) Control method and air purification system
EP3985316A1 (en) Purifier and air purification appliance
WO2005004933A1 (en) Air conditioner
CN202757231U (en) Air purifier
US11563310B2 (en) Bipolar ionizer with feedback control
CN106369736A (en) Indoor fresh air purification and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in teaching area
RU2657754C1 (en) Ion-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and for removing smog
Kim et al. IoT air purifi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capable of removing PM1. 0 ultra-fine dust
CN204165168U (en) Intelligent air purifying health-care appliance
CN203196032U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3100419A (en)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er
CN111322696A (en) Novel photocatalysis air steriliz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