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605A -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605A
KR20120017605A KR1020100080302A KR20100080302A KR20120017605A KR 20120017605 A KR20120017605 A KR 20120017605A KR 1020100080302 A KR1020100080302 A KR 1020100080302A KR 20100080302 A KR20100080302 A KR 20100080302A KR 20120017605 A KR20120017605 A KR 2012001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ub
drying function
drum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2414B1 (ko
Inventor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14B1/ko
Priority to CN201180042881.8A priority patent/CN103080410B/zh
Priority to US13/817,217 priority patent/US20130139402A1/en
Priority to PCT/KR2011/006111 priority patent/WO2012023824A2/ko
Priority to EP11818424.1A priority patent/EP2607546A4/en
Publication of KR2012001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로서 특히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열풍의 린트 등을 걸러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단이 린트 등에 의해 막혔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로서 특히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라 칭할 수 있다.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에는 건조기능만을 갖는 건조전용장치가 있으며, 의류의 세탁기능을 함께 갖는 건조겸용 건조장치가 있다. 또한, 그 구조 내지 형태에 따라서는 회전 가능한 드럼을 이용하여 의류를 텀블시키면서 건조하는 드럼식 장치와 의류를 걸어 놓고 건조하는 일명 캐비닛식 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조겸용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위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내에는 세탁물이 위치되는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드럼은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터브의 후벽에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는 서스펜션이 연결되며, 그 서스펜션에 의해 드럼 및 터브의 진동이 완충된다.
건조기능을 위해, 건조덕트와 응축덕트가 포함된다. 건조덕트는 터브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열풍히터와 팬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덕트는 일단은 터브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건조덕트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 내부로는 습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공급된다. 습공기는 응축덕트를 흐르면서 상기 냉각수와 접하여 응축된 후 건조덕트로 유입된다. 이렇게 건조덕트로 다시 회귀한 열풍은 상기 열풍히터를 통해 재가열되어 터브로 다시 공급된다.
열풍으로부터 린트 등을 걸러내기 위해 설치되는 필터가 그 린트 등에 의해 막혔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의류장치(laundry machine)는 필터가 터브 내부로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원주면에는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아웃렛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상기 열풍아웃렛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는 드럼에 대해서 드럼의 원주면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그래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기류에 의해 상기 필터는 세척될 수 있다. 드럼의 회전속도가 클수록 회전기류의 풍속이 강해져 우수한 필터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린트 등은 말라서 필터 표면에 고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분이 공급되어 말라 있는 린트를 적시는 것이 좋을 수 있다. 탈수행정의 경우에는 드럼의 통공을 통해 젖은 세탁물로부터 물방울들이 분출되며, 이와 같은 물방울들이 필터에 접촉하여 린트를 적실 수 있다.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고속이고 전술한 바와 같은 물방울들이 필터에 접근될 수 있으므로 세척효과가 보다 우수해 질 수 있다.
또는, 필터에 물을 별도로 공급하기 위한 필터세척부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필터세척부에서 세척수를 상기 필터 표면에 급수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필터의 위치에 따라서는 터브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에 의해 필터가 세척되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즉, 터브 내부의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필터에 접근하여 필터를 세척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상기 필터가 막혔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열풍으로부터 린트를 걸러내게 되는데 그 린트가 필터에 누적되어 필터를 막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필터가 막혔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열풍을 송풍하기 위한 팬의 운전상태 정보에 따라 필터의 막힘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의 막힘을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팬의 운전상태 정보는 팬의 제어 방식에 따라 달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PWM제어하는 경우에는 팬의 회전수(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이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필터가 막힘에 따라 유로저항이 증가하여 팬의 회전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팬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필터 막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팬의 운전에 대해 회전수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전력이 필터 막힘 감지에 이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경우로서 유로저항이 커지면 그 회전수에 도달하기 위한 에너지가 더 필요하므로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에너지인 전력의 소모가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팬(또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필터 막힘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콘트롤러는 필터가 막혔을 때 수행되는 특정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필터 막힘을 알리기 위한 프로그램, 필터의 세척을 위한 프로그램 등이 콘트롤러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터브 내부에서 응축이 일어나는 구조로서 응축덕트가 없는 건조장치에서는 린트 등이 열풍히터에 접촉되어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며, 또한, 필터의 막힘을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드럼의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서스펜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직결될 수도 있고,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반경방향브라켓 또는 축방향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베어링하우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된 브라켓일 수 있다. 그리고, 축방향브라켓은 상기 베어링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된 브라켓일 수 있다.
한편,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는 고정적으로(fixedly) 설치되거나, 서스펜션유닛과 같이 플렉서블한 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에 의한 지지와 고정지지 사이의 중간 정도로 지지될 수도 있다.
즉, 터브는 서스펜션유닛과 같은 정도로 플렉서블하게 지지될 수도 있고, 그러한 지지보다는 움직임이 더 경직되도록(rigidly) 지지될 수도 있다. 예컨대, 터브는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거나, 서스펜션보다는 플렉서블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움직임에 유연함을 줄 수 있도록 고무부싱과 같은 것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완전히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가 서스펜션유닛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되는 예를 좀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터브는 캐비닛에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와 캐비닛이 일체적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터브의 전방부 일부와 캐비닛의 전면부 일부가 일체적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둘째, 스크류, 리벳, 고무부싱 등에 의해 연결되어 서포트되거나 용접, 접착실링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연결부재는 드럼의 주된 진동방향인 상하방향에 대해 그 강성이 서스펜션유닛의 그 강성보다 크다.
이와 같은 터브는 그 설치되는 공간 내에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터브는 적어도 좌우방향(회전축이 수평하게 놓일 때 그 축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좌우방향 크기를 제한하는 벽이나 프레임(예컨대,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플레이트)에 근접한 정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브는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벽에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는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터브는 드럼보다 상기 벽이나 프레임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는 드럼과의 간격보다 1.5배 이하의 간격으로 상기 벽이나 프레임과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브가 그와 같이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된 상태에서 드럼 또한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터브와 드럼 사이의 좌우방향 간격이 작을수록 드럼은 좌우방향으로 그만큼 더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터브와 드럼의 좌우방향 간격을 줄임에 있어서는 드럼의 좌우방향 진동을 고려할 수 있다. 드럼의 좌우방향에 대한 진동이 작을수록 드럼의 직경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게 되는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해 크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하여 최대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서스펜션유닛에 있어서는, 종래와 달리 터브를 통하지 않고,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가 있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유닛은 회전축의 그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지지대상(예컨대, 드럼)을 스탠딩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지지대상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들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그 하부 또는 상부에만 서스펜션을 구비하여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다.
드럼,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 등을 포함하는 그 진동체의 무게중심은 적어도 드럼의 길이방향 형상중심을 기준으로 모터가 있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은 상기 무게중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전후에 각각 하나의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는 후방부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는 유연한 부재를 통해 상기 터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부재는 터브의 상기 후방부 개구부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의 터브에 대한 상대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부재는 실링이 가능하고 유연한 소재이면 무방할 것으로, 예컨대 전방가스켓처럼 가스켓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편의상 전방가스켓에 대응하여 후방가스켓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의 구동부측 연결은 적어도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해 회전구속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후방가스켓은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베어링하우징의 연장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 중 상기 후방가스켓과의 연결부분 전방에 위치하여 터브 내의 세탁수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은 세탁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코팅을 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별도의 부품(예컨대, 후술하는 터브백)으로 그 전면부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부 중 금속재로 된 부분 있는 경우 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캐비닛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빌트인 건조장치의 경우는 캐비닛 대신 건조장치가 설치될 공간이 벽구조 등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독립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도 전면 측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건조장치는 린트 등에 의해 필터가 막힌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또는 프로그램적으로 자동으로 필터 막힘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져 필터 막힘으로 인한 건조성능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도2는 제1실시예의 터브 및 건조모듈을 나타낸다.
도3은 제1실시예의 열풍인렛 부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상기 터브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5는 필터어셈블리가 열풍아웃렛에 설치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6은 필터어셈블리를 나타낸다.
도7은 좌측의 와이어필터와 우측의 타공필터를 나타낸다.
도8은 세척수가 충돌면에 부딪혀 주위로 분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9는 샤워노즐을 통해 세척수가 분산되어 필터로 급수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10은 필터가 드럼의 외주면으로 반경방향에 대해 투영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11은 열풍의 순환경로를 나타낸다.
도12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3 및 도14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5는 풍량 및 순환유로의 저항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16은 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적인 의류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은 그 실시예의 대략적인 전체적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일부 부품들이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1의 의류장치는 건조기능과 세탁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건조겸용 세탁장치이다. 본 실시예는 응축부가 터브인 경우이다.
상기 실시예의 건조장치는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터브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100)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레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로 조립될 수 있으며, 내부에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터브레어(120)은 후방측에 개구부를 갖는다. 터브레어(120)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유연한 부재인 후방가스켓(25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반경방향 내측부분에서 터브백(1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백(130)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는 정도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 및 터브레어(120)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브백(130)은 드럼 회전시 드럼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터브레어(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터브레어(12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터브백(130)이 터브레어(120)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곡면부 또는 주름부(252)를 가질 수 있다.
터브는 그 전방부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갖는다. 그와 같은 출입구가 있는 터브의 전방부측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터브와 드럼 사이로 세탁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을 위한 전방가스켓(200)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은 드럼프론트(300), 드럼센터(320), 드럼백(3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볼밸런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백(340)은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상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3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51)은 상기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모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으로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가 회전축에 직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터의 로터와 상기 회전축(351)이 직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의 후면(128)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상기 모터와 상기 터브백(130)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에는 스테이터(80)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80)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가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상기 모터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캐비닛 베이스(600)로부터 서스펜션유닛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연결되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라켓은 베어링하우징과 연결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반경방향 브라켓(430, 431)과 전후방향 또는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방향 브라켓(440, 4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스펜션은 수직 서스펜션(500, 510, 520) 3개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경사서스펜션(530, 540)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캐비닛 베이스(600)에 완전 고정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드럼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베이스에 연결된 그 지지점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회전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를 위해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은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베이스(600)에 설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드럼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고, 상기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그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진동계에서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스프링의 역할을 하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댐핑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캐비닛에 고정 설치되며, 드럼의 진동은 상기 서스펜션유닛에 의해 완충된다. 터브는 그 전면부 및 후면부가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는 캐비닛의 베이스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베이스에도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건조장치는 실질적으로 터브와 드럼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이 진동하더라도 터브는 진동하지 않는 구조의 건조장치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후방가스켓에 따라서 터브로 전달되는 드럼의 진동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건조장치에서는 터브의 진동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진동때문에 유지하였던 간격이 필요 없으므로 터브의 외면은 캐비닛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캐비닛의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더라도 터브의 사이즈를 확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동일한 외관의 사이즈에서 건조장치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질적으로 캐비닛 라이트(630) 또는 캐비닛 레프트(640)와 터브와의 간격이 5mm 정도밖에 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 터브가 함께 진동하는 건조장치에서는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간격으로 30mm정도였다. 터브의 직경을 생각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보다 터브의 직경을 50mm 더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동일한 외관사이즈에서 건조장치의 용량을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정도로 현저한 차이를 낳는다.
한편, 도2는 터브(100, 120)에 건조덕트(40) 등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3은 건조덕트(40)가 연결된 터브(100, 120)의 전방 상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먼저, 터브(100, 120)는 전방부에 드럼(300, 320, 340)의 포출입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부(101)를 갖는다. 상기 전면부(101)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림부(102)가 형성되며, 상기 림부(102)의 전방부에 전방가스켓(200)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림부(102)는 상부측이 하부측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림부(102)의 상부에는 열풍 유입을 위한 열풍인렛(103)이 형성된다. 상기 열풍인렛(103)은 상기 림부(102)의 상부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풍인렛(103)의 그 돌출각도는 상기 드럼(300, 320, 340)의 포출입구가 놓이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45도 이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0도 이내로서 평행하다.
건조덕트(40)는 양단이 모두 터브(100, 120)와 직접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건조장치는 종래와 달리 응축덕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그래서, 건조덕트(40)는 터브(100, 120)와 직접 연통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건조덕트-터브-드럼-터브-응축덕트-건조덕트"로 열풍의 순환유로가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덕트-드럼-터브-건조덕트"로 순환유로가 형성된다. 종래의 순환유로는 응축덕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리고, 터브(100, 120)와 드럼(300, 320, 340)의 벽면 사이로 열풍이 유입되기 때문에 순환유로가 복잡하고 길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는 터브의 전면부 내벽면과 드럼의 전면부 외면 사이로 상기 드럼의 외면을 향하여 열풍이 유입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열풍이 드럼과 터브의 벽면 사이로 유입되므로 일부의 열풍은 드럼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대로 터브 내에서 머물다 응축덕트로 배출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또한, 순환유로가 복잡하고 길면 그만큼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유로저항이 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건조덕트(40)는 상기 열풍인렛(103)에 삽입되는 연결덕트(40a)와 상기 터브(100, 120)에 형성된 열풍아웃렛(121)과 연결되며 내부에 팬(41)이 위치하는 스크롤(40b)을 포함한다. 그리고, 건조덕트(40) 중 연결덕트(40a)와 스크롤(40b) 사이에는 내부에 열풍히터(44)가 설치된다.
터브(100, 120)의 상기 림부(102)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방가스켓(200)은 상기 열풍인렛(103)에 삽입되는 덕트연결부(201)가 형성되며, 연결덕트(40a)와 열풍인렛(103) 사이를 실링한다. 상기 연결덕트(40a)는 전방가스켓(200)의 덕트연결부(201)에 삽입된다. 연결덕트(40a)는 위로는 열풍히터(44)가 설치되어 있는 건조덕트(40) 부분과 조립되며, 아래로는 상기 열풍인렛(103)에 전방가스켓(200)의 덕트연결부(201)를 사이에 두고 꼭끼워맞춤(snug fit)으로 조립된다.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인렛(103)은 드럼(300, 320, 340)의 포출입구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열풍인렛(103)에 삽입된 연결덕트(40a)의 토출구 또한 드럼(300, 320, 340)의 포출입구 전방에 위치한다.
한편,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브(100, 120)의 포출입구는 상기 열풍인렛(103)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출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도어(90)의 도어글래스(91)는 적어도 상부가 드럼(300, 320, 340)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있다. 상기 도어글래스(91)는 상기 열풍인렛(103) 밑에 위치한다. 그리고, 연결덕트(40a)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은 하방을 향하여 상기 도어글래스(91)에 부딪혀 드럼(300, 320, 340) 내부를 향하여 방향 전환된다. 즉, 도어글래스(91)의 상부부분이 연결덕트(40a)로부터 토출된 열풍을 드럼(300, 320, 340) 내부로 향하도록 도와준다.
본 실시예에서 열풍은 거의 전부 드럼(300, 320, 3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종래에는 터브(100, 120)의 전면부(101)와 드럼(300, 320, 340)의 전면부 사이로 열풍이 유입되는 구조이며, 열풍의 유입방향 또한 드럼(300, 320, 340)의 전면부에 수직하게 부딪히는 방향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건조덕트(40)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의 30%정도만이 드럼(300, 320, 3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었다. 나머지 70%의 열풍은 드럼(300, 320, 340)과 터브(100, 120) 사이를 흐르다 응축덕트로 배출되어 버려 드럼(300, 320, 340) 내부에 위치한 의류의 건조에 활용되지 못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 터브(100, 120)는 전방부가 후방부보다 높도록 틸팅되어 설치된다. 그래서, 터브(100, 120)의 전면부(101)도 수직선을 기준으로 그와 같은 각도로 틸팅된 형태이다. 드럼(300, 320, 340) 또한 유사한 각도로 틸팅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터브(100, 120)의 포출입구는 틸팅되지 않은 채 수직선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는, 터브(100, 120)의 상기 림부(102)의 상부를 전방으로 더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수직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터브(100, 120)의 전면부(101)로부터 수직선과 평행한 포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림부(102)의 상부를 전방으로 더 돌출시킨다.
이와 같이 터브(100, 120)가 틸팅됨에 따라 터브(100, 120)의 전면부(101)의 상부부분과 캐비닛의 전면측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확보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확보된 공간에 연결덕트(40a)가 설치된 것이다. 물론, 터브(100, 120)는 상술한 바와는 달리 틸팅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터브(100, 120)는 캐비닛과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즉, 캐비닛에 터브(100, 120)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브(100, 120)는 드럼(300, 320, 340)과 비교하여 거의 진동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덕트(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터브(100, 120)의 전면부(101)는 캐비닛 전면판(미도시)에, 그리고, 터브(100, 120)의 후면부는 캐비닛 후면판(620)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터브(100, 120)는 캐비닛의 바닥판(600)에 자립(self-standing)되도록 설치된다.
도2를 참조하면, 건조덕트(40)는 터브(100, 12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데, 일단은 연결덕트(40a)에 의해 상기 열풍인렛(103)에 삽입되며, 타단은 측방으로 절곡되어 팬(41)이 설치되는 스크롤(40b)을 통해 터브(100, 120)의 열풍아웃렛(121)에 연결된다.
상기 건조덕트(40) 중 터브(100, 120) 상부에 위치한 부분에 있어 전방부분의 내부에는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열풍히터(44)가 설치되어 있다. 팬(41)의 회전에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열풍히터(44)에 의해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히터(44)가 위치한 건조덕트(40) 부분은 열풍히터(44)의 열로 인해 고온일 수 있다. 그래서, 건조덕트(40)의 열풍히터(44) 부분과 터브(100, 120) 사이에 단열판(45)을 위치시킨다.
건조덕트(40)는 터브(100, 120)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로 체결된다.
한편,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브(100, 120)의 외주면 중 상부의 측면부(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측면부)에는 열풍아웃렛(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위로 건조덕트(40)의 스크롤(40b)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40b) 내부에 위치한 팬(41)은 상기 열풍아웃렛(121)으로부터 열풍을 흡입하여 건조덕트(40) 내부로 열풍을 송풍한다. 상기 팬(41)은 그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축 방향으로 열풍을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열풍을 송풍하는 구조의 팬(41)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팬이 사용된다.
열풍아웃렛(121)으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의 방향과 상기 팬(41)이 그 열풍을 흡입하는 방향이 일치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열풍의 보다 원활한 순환에 기여한다. 터브(100, 120) 내부로부터 상기 열풍아웃렛(121)을 통해 토출되는 열풍은 그 토출되는 방향 그대로 팬(41)에 유입되어 건조덕트(40)로 송풍되는 구조이다.
터브(100, 120)에 대해 열풍인렛(103)과 열풍아웃렛(121)은 모두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인렛(103)은 전방부에 위치하며, 상기 열풍아웃렛(121)은 후방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열풍인렛(103)과 열풍아웃렛(121)의 열풍 진행 방향의 그 방향선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둘 다 10도 이내의 각도를 이룬다. 그리고, 열풍인렛(103)과 열풍아웃렛(121)의 그 방향선 사이도 10도 이내의 각도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열풍인렛(103)과 열풍아웃렛(121)의 열풍진행의 그 방향선 자체는 평행하며,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다.
상기 열풍인렛(103)과 열풍아웃렛(121)은 터브(100, 120)의 상부에 위치한 건조덕트(40)에 의해 연통된다. 따라서, 열풍은 "건조덕트-터브-건조덕트"라는 단순한 순환경로로 흐르게 된다. 터브(100, 120) 내부는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기 때문에 유로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로저항은 주로 건조덕트(4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종래의 건조장치를 살펴보면, 응축덕트로 인한 유로의 복잡성을 차치하더라도, 응축덕트가 추가된 형태이기 때문에 그만큼 덕트 유로의 길이가 길어 유로저항이 크다.
한편, 도4에는 터브(100, 120)의 내부를 보이고 있다. 보이는 바와 같이, 터브(100, 120) 내부의 내주면에는 응축플레이트(42)가 설치되고 있다. 응축플레이트(42)는 금속재일 수 있다. 터브(100, 120)도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겠으나, 플라스틱재로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브(100, 120)가 플라스틱재인 경우에는 그보다 차가운 성질이 강한 금속재의 응축플레이트(42)를 터브(100, 120)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응축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응축플레이트(42)의 설치를 위해 터브(100, 120)에는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3개의 체결보스들(129a, 129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는 터브(100, 120) 내면에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만약, 터브(100, 120) 외면에서 나사를 조여 터브(100, 120) 내면에 위치한 응축플레이트(42)를 고정시킨다면 그 나사체결을 위해 형성한 체결홀을 실링하여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의 실시예와 같이 나사를 터브(100, 120) 내면에서 체결하도록 체결보스를 형성하면 실링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체결보스들(129a, 129b)은 터브(100, 120) 내면에서 터브(100, 120) 외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지만, 터브(100, 120) 외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만들어진다.
응축플레이트(42)는 터브(100, 120)의 내주면 중 측면부 중앙에 설치된다. 전술한 체결보스들(129a, 129b)에 나사들(42a, 42b)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도4를 보면, 응축플레이트(42)는 터브(100, 120) 내주면을 "상, 하, 좌, 우"로 구분할 때 열풍아웃렛(121)이 위치하는 우측 내주면 중앙에 설치되고 있다. 열풍아웃렛(121)의 관점에서는 터브(100, 120) 내주면 중 열풍아웃렛(121) 아래의 내주면에 위치된다. 그래서, 드럼(300, 320, 340)을 거치면서 수분을 함유하게 되는 열풍은 열풍아웃렛(121)을 통해 터브(100, 120) 밖으로 배출되기 전에 터브(100, 120) 내주면에 설치된 응축플레이트(42)에 접하여 응축되게 된다. 여기서, 응축은 터브(100, 120) 내의 다른 내주면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응축플레이트(42)가 금속재이므로 응축플레이트(42)에서보다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응축플레이트(42)는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건조를 위해 드럼(300, 320, 340) 내부의 젖은 의류 등을 거치는 열풍에는 린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5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4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필터(52)는 상기 터브(100,120)의 내부로 노출되는 곳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필터(52)는 터브(100,120) 중 원주면에 위치된다. 상기 터브(100,120)의 원주면에는 열풍아웃렛(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52)는 상기 열풍아웃렛(121)에 설치된다.
상기 드럼(300, 320, 340)이 회전하면 그 회전에 의해 드럼(300, 320, 340) 주위에 공기의 회전 기류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기류는 상기 필터(52)에 부딪히며 필터(52)에 묻은 린트 등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드럼(300, 320, 340) 내부에 젖은 세탁물이 있는 경우 세탁물에서 나오는 물은 드럼(300, 320, 340)의 통공(321)을 통해 터브(100,120) 내벽면에 방사될 수 있다. 상기 방사되는 물이 상기 필터(52)에 부딪히면서 필터(52)의 세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린트 등의 이물질이 필터(52) 표면에 말라 고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물에 의해 적셔지면 세척이 보다 용이 해질 수 있다.
상기 필터(52)는 상기 열풍아웃렛(121) 내부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열풍아웃렛(121)이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브(100,120)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고 있는 경우 상기 필터(52)는 열풍아웃렛(121) 내부 중 특히 터브(100,120) 내면에 가까운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드럼(300, 320, 340)에 의한 회전풍 또는 세탁물에서 나온 물(세탁 코스 상 탈수행정이 아닌 경우에도 드럼의 회전수에 따라 세탁물에서 그와 같은 물이 드럼의 통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편의상 '탈수물'이라 칭함)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풍아웃렛(121)은 터브(100,120)의 후방 상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있으며, 필터(52)는 상기 열풍아웃렛(121) 내부 중 하부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필터(52)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열풍아웃렛(121)으로부터 터브(100,120) 내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드럼(300, 320, 340)과의 간섭이 없는 정도라면 열풍아웃렛(121) 바깥으로 터브(100,120) 내부로 더 돌출되어 필터(52)가 설치되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52)는 터브(100,120) 내면의 곡률반경과 같은 정도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곡면으로 형상될 수 있다. 필터(52)가 열풍아웃렛(121)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는 가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도 있으나, 터브(100,120) 내면의 곡률반경과 필터(52)의 곡률반경은 10% 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드럼(300, 320, 340)의 회전풍의 일부는 터브(100,120) 내주면을 타고 흐르면서 필터(52)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곡률반경의 차이가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터 세척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필터(52)는 드럼(300, 320, 340)과의 관계에서는 드럼(300, 320, 340)의 원주면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52)는 물론 드럼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설치되지만, 전후방향에 대한 배치관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필터(52)의 절반 이상이 상기 드럼(300, 320, 340)의 원주면과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필터(52)를 상기 드럼(300, 320, 340)의 원주면상으로 반경방향으로 투영시켜 볼 때 그 투영된 부분(도 10의 PA 참조)이 상기 드럼(300, 320, 340)의 원주면에 절반 이상 중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드럼(300, 320, 340)의 회전풍 또는 탈수물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그 회전풍 또는 탈수물이 비교적 강하게 상기 필터(52)에 타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의 경우는 도10에 보이는 바와 같다.
상기 필터(52)는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50)에 의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어셈블리(50)는 도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52)가 장착되는 필터하우징(51)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51)은 중공체로서 소정길이 연장되는 부분(51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하우징(51)의 일단에 상기 필터(52)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하우징(51)은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아웃렛(121) 내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51)의 외면이 열풍아웃렛(121)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51)에 체결홀(51a)이 형성되어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또는 필터하우징(51)의 외면이 열풍아웃렛(121)의 내면에 꼭맞춤(snug-fit)으로 고정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1)은 상기 열풍아웃렛(121)의 돌출 연장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필터어셈블리와는 달리 중공의 원판 형태로 필터하우징이 형상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원판 형태의 필터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열풍아웃렛(121)에 후크 결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판 형태의 필터어셈블리는 도6의 필터어셈블리(50)에서 필터하우징(51) 중 필터(52)가 장착되는 하단부 이외에 중공체로 상향 연장 형성된 부분이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52)의 세척효과를 보다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52)로 에어 또는 물을 공급하는 필터세척부가 추가될 수 있다. 에어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건조 시 열풍이 필터(52)를 경유하는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세척부는 물인 세척수(w)(cleaning water)를 급수한다. 이를 위해,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브(100,120) 내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해 마련된 급수호스(10)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열풍아웃렛(121)의 급수구(121a)에 연결되는 분지호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호스(11)로부터 급수되는 물은 상기 필터(52) 중 터브(100,120) 내부를 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으로 급수된다. 상기 급수되는 물은 필터(52)를 세척하면서 터브(100,120) 내부로 흐르게 된다.
상기 필터(52)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w)는 터브(100,120)로 세탁수를 급수할 때 함께 급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호스(10)로부터 분지호스(11)가 분지되는 곳이나 상기 분지호스(11) 내부에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필터(52)로 세척수(w)가 급수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은 밸브가 없는 경우에는 터브(100,120)로 세탁수를 급수할 때 항상 필터(52)로 세척수(w)가 급수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이 급수되는 세척수(w)는 일차적으로 필터(52)를 세척하면서 필터(52)에 고착된 린트 등을 적시게 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드럼(300, 320, 340)이 회전하면 그 회전풍 또는 탈수물이 필터(52)에 부딪히면서 필터(52)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세척수(w)는 상기 필터(52)의 외면에 고루 공급되도록 분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세척수(w) 급수구에 샤워 노즐과 같은 분사체(121b)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충돌면(51b)이 구비된다. 세척수(w)는 낙하하면서 상기 충돌면(51b)에 부딪혀 주위로 분산되어 필터(52) 상으로 널리 퍼지게 된다.
상기 충돌면(51b)은 상기와 같은 필터하우징(51)의 일단에 필터하우징(5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52)는 금속필터(52)일 수 있다.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만든 금속와이어필터(도7의 상측 그림 참조)가 될 수 있다. 또는, 금속판에 다수의 구멍을 내어 만든 타공필터(도7의 하측 그림 참조)일 수 있다. 타공필터는 필터(52) 면을 매끄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린트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금속와이어필터의 경우에는 메쉬 30이하의 메쉬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메쉬 30 이상의 메쉬크기를 갖는 와이어필터는 구멍이 너무 작고 메쉬가 너무 많아 린트 등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메쉬크기는 1인치의 세로길이에 대해 메쉬의 갯수로 결정된다. 즉, 메쉬 30이라 함은 1인치의 길이에 대해 메쉬가 30개 있는 정도의 메쉬크기를 갖는 와이어필터를 의미한다.
상기 필터(52)의 종류는 드럼(300, 320, 340)의 회전수에 따른 필터(52) 세척효과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0, 320, 340) 회전수 400rpm 이상에서 필터(52) 세척이 가능한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필터(52)의 종류에도불구하고 드럼(300, 320, 340) 회전수가 1000rpm을 넘어서면 필터(52) 세척이 만족한 수준으로 달성되는 것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특히, 필터(52)에 린트 등이 누적된 상태에서 드럼(300, 320, 340)에 젖은 세탁물을 넣고 1000rpm 이상으로 탈수를 수행했을 때 필터(52)의 세척효과가 우수했음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여기서, 필터(52) 세척을 위한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수(w)가 공급되지 않았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의 일실시예에서는 필터(52)가 터브(100,120) 내부로 노출되어 드럼(300, 320, 340)의 회전풍 또는 탈수물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다. 이때, 필터세척부를 통해 세척수(w)를 별도로 공급받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필터(52)는 터브(100,120) 내에 저장된 세탁수에 의해 씻길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터브(100,120) 하부에 열풍아웃렛(121)을 형성하고 그곳에 필터(52)를 설치할 수 있다. 그래서, 세탁코스의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 시에 세탁수는 헹굼수에 의해 필터(52)가 세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드럼(300, 320, 340)이 회전됨에 따라 터브(100,120)에 저장된 물이 수류를 형성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필터(52)에 접근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필터(52)가 세탁행정 중 또는 헹굼행정 중에 터브(100,120)에 저장된 물에 잠길 수 있는 곳에 위치되어 세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세탁과 건조가 겸용될 수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전술한 급수호스(10)는 세제박스(미도시)를 경유하여 터브(100,120)로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세탁 또는 헹굼 시에 상기 급수호스(10)를 통해 터브(100,120)로 물이 공급되어 세탁 또는 헹굼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에 따라서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이 완료된 후 탈수행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탈수행정 완료 후 건조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건조행정 중에 필터(52)에 누적된 린트 등 이물질은 다음 사용에서 세탁행정, 헹굼행정, 또는 탈수행정을 거침에 따라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다.
도11은 상기와 같은 건조겸용 세탁장치에서 건조 시에 열풍의 흐름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열풍은 건조덕트(40) 내부의 열풍히터(44) 및 스크롤(40b) 내부에 설치된 팬(4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팬(41)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열풍히터(44)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며 흐른다. 그리고, 터브프런트의 열풍인렛(103)에 삽입 설치된 연결덕트(40a)를 통해 드럼(300, 320, 340) 전방으로 흘러 드럼의 포출입구를 통해 드럼 내부로 유입된다.
드럼(300, 320, 340)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젖은 의류와 접촉하면서 다습해진 상태로 드럼(300, 320, 340) 벽면에 형성된 통공(321)을 통해 드럼(300, 320, 340) 밖으로 배출된다. 통공(321)을 통해 드럼(300, 320, 340)과 터브(100, 120) 사이의 공간으로 나온 다습한 공기는 터브(100, 120)와 드럼(300, 320, 340) 사이의 공간을 흐르면서 터브레어(120)의 후방부에 위치한 열풍아웃렛(121)을 통해 터브(100, 120)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열풍아웃렛(121)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팬(41)에 의해 흡입되어 건조덕트(40) 내로 다시 송풍되며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열풍아웃렛(121)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다습한 공기가 터브(100, 120)와 드럼(300, 320, 340) 사이의 공간을 흐르면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게 된다. 유효한 응축을 위해서는 다습한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야 하는데, 터브(100, 120) 외면에서 그 주위의 공기와 접촉하여 자연대류에 의해 그 열을 터브(100, 120)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와 같이 터브(100, 120) 외면을 통한 자연대류를 통해, 터브(100, 120)와 드럼(300, 320, 340) 사이의 다습한 공기는 열을 빼앗기며, 그 함유된 수분은 응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응축플레이트(42) 표면 및 터브(100, 120) 내면에 응축에 의한 물방울이 형성되게 될 것이다. 상기 응축플레이트(42)는 상기와 같은 자연냉각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 응축률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는 있지만 응축플레이트(42)가 없더라도 터브(100, 120) 내면에서 응축되며 요구되는 응축률이 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응축플레이트(42)가 없는 경우는 아래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조장치는 열풍이 순환하는 순환식 건조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별도의 응축덕트는 없으며, 드럼(300, 320, 340)과 터브(100, 120) 사이의 공간이 응축공간으로 활용되게 된다.
드럼(300, 320, 340)과 터브(100, 120) 사이의 공간은 드럼(300, 320, 340) 내부보다 온도가 낮을 수 있고, 터브(100, 120)는 외면이 차가운 외부공기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터브(100, 120) 벽면 또는 응축플레이트(42)에서 응축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도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100, 120) 내에 응축플레이트(42)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이다. 터브(100, 120) 외면은 외부와 자연대류를 통해 열교환한다. 드럼(300, 320, 340)으로부터 배출된 다습한 공기는 터브(100, 120)의 온도가 낮은 터브(100, 120)의 내면에 접하게 되며, 그 함유된 수분은 응축되게 된다. 도12의 실시예는 응축플레이트(42)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터브의 내부 공간이 응축공간이 되는 경우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은 터브가 응축부가 되는 경우이다. 하지만, 별도의 응축부가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종래와 같이 응축덕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축부는 그 외면이 외부와 자연대류를 통해 열교환하여 내부를 흐르는 다습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키게 된다. 즉, 응축부가 터브와 별개로 추가될 수 있으며, 그 응축부에서 자연대류에 의한 자연냉각으로 응축이 일어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연냉각을 통해 응축시키는 경우이지만, 강제 냉각을 위해 냉각수 또는 냉풍 등이 이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13 및 도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브(100, 120) 내부로 냉각수(c.w.)를 주입할 수 있도록 터브터브(100, 120)에 냉각수 주입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13 및 14는 전술한 실시예 중 응축플레이트(42)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터브에 냉각수 주입부(122)를 형성하고 응축플레이트(42a)에는 냉각수(c.w.)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의 건조장치에서 냉각수 주입부(122)는 터브레어(120)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주입부(122)는 상기 열풍아웃렛 밑에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주입부(122)는 냉각수(c.w.)를 터브와 드럼 사이의 공간으로 분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는 냉각수가 상기 터브의 내벽면을 타고 흐르도록 냉각수를 공급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c.w.)가 응축플레이트(42)와 터브 벽면 사이로 공급되어 응축플레이트(42)를 타고 흐른다. 상기 냉각수(c.w.)는 터브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로 배출될 수 있다.
응출플레이트(42)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냉각수(c.w.)가 흐를 수 있도록 냉각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로는 응축플레이트에 홈(42a)을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도14에는 터브 내면에 장착된 응축플레이(42)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응축플레이트(42)에는 터브 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응축플레이트(42) 중 터브 벽면에 대향하는 면을 터브 내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지그재그로 홈(42a)을 형성하여 터브 벽면과 응축플레이트(42) 사이에 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응축플레이트(42)의 상단과 하단의 모서리부분은 터브 벽면을 향하여 절곡시켜 냉각수(c.w.)가 흐르는 공간의 상부와 하부를 막는다. 이는 냉각수(c.w.)가 흐르는 공간으로 열풍이 가급적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냉각수(c.w.)가 열풍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 열풍에 의해 냉각수 입자가 건조덕트(40)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응축플레이트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도13 및 도14의 실시예에서 냉각수가 냉각수 주입부(122)를 통해 터브 내부로 주입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 주입부(122)는 냉각수가 터브 벽면을 타고 흐르도록 형상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16을 참조하여 필터(52)가 막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한 대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필터(52)의 막힘 여부에 대한 감지는 팬(41)의 운전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20). 전술한 바와 같이, 팬(41)을 PWM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운전상태 정보로는 상기 팬(41)의 회전수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팬(41)을 설정 회전수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팬(41)을 회전시키기 위해 그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15는 풍량과 순환유로에 대한 정압(static pressure)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풍량은 단위시간당 공기의 부피이다. 그리고, 순환유로의 정압이 클수록 유로저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5에서 C로 표기되고 있는 선도는 팬(41) 및 스크롤(40b)의 풍량-정압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풍동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는 스크롤(40b)과 함께 팬(41)을 풍동에 위치시키고 팬(41)에 일정한 입력전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풍동에 정압을 변화시키며 얻은 데이터이다.
A 및 B로 표기되는 선도는 팬(41)과 스크롤(40b) 부분을 제외한 순환유로에 대해 실험하여 얻은 풍량에 따른 정압을 나타낸다. B는 필터의 막힘이 거의 0%인 경우, A는 필터가 일부 막혔을 때에 대한 것이다.
A 및 B의 선도를 얻기 위해, 전술한 세탁장치의 순환유로에서 팬(41)과 스크롤(40b) 부분을 제거한 후 그 제거된 일단의 순환유로는 대기 중에 노출시켜 대기압으로 유지시키고 타단은 대기압 이하로 압력을 강하시켰다. 그래서, 상기 대기압측과 대기압 이하측의 압력차에 대한 풍량 데이터를 얻어 나타낸 것이다.
상기 C 선도와 A 또는 B의 선도가 만나는 점이 각각의 경우에 대한 최대의 풍량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때 팬(41)에 인가되는 전력은 C을 얻을 때 인가된 전력이 한계라고 가정한다.
팬(41)의 회전에 대해 PWM제어가 이용되는 경우 필터가 막힘에 따라 상기 순환유로의 유로저항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선도는 B에서 C로 이동하게 된다. 풍량은 FR2에서 FR1으로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팬(41)의 회전수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팬(41)의 회전수를 감지하면 필터의 막힘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필터의 막힘에 관계없이 팬(41)을 동일한 회전수로 제어한다면 필터의 막힘 정도가 커짐에 따라 점점 증가하게 되는 유로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에너지가 증가하게 될 것이므로 팬(41)을 회전시키기 위한 입력 전력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입력 전력을 이용하여 필터 막힘을 감지할 수 있다.
콘트롤러에는 상기와 같은 팬(41)의 운전상태 정보에 대해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설계에 따라 필터(52)가 어느 정도 막혔을 때를 기준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50% 막혔을 때를 기준치로 설정할 수도 있고, 75% 막혔을 때를 기준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실험에 의하면 75% 막혔을 때는 거의 막히지 않았을 때에 비해 건조시간이 10% 이내밖에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필터(52)의 막힘 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열풍의 풍량 또는 풍속에 영향을 주는 다른 문제가 없을 때 그 감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즉, 필터(52)의 막힘 이외에는 건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보이는 시점에 감지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수 있다.
그러한 감지시점은 예시적으로 아래 5가지 경우로 결정될 수 있다(S10).
① 팬(41)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에 도달할 때,
② 팬(41) 가동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③ 건조코스 개시 후 설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④ 열풍이 설정온도에 도달했을 때,
⑤ 열풍히터(44) 작동 후 설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등.
위에서, 팬(41)의 회전수나 팬(41) 가동 후 설정시간이 경과했을 때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것은 팬(41) 자체의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감지하여 필터(52)의 막힘에 대한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건조코스가 개시되어 설정시간이 경과할 정도로 건조코스가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됨에도 팬(41)의 운전상태 정보에 변화가 있으면 그 또한 필터(52)의 막힘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조장치는 각 부품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어느 부품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건조코스의 진행이 설정시간에도 도달하지 못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건조장치의 어느 부품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열풍히터(44)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열풍히터(44)의 작동 시간을 이용하여 센싱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열풍히터의 제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후로부터 설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와 같은 센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열풍히터는 제1설정온도(예컨대, 106℃)에서 오프되고 그보다 더 낮은 제2설정온도(예컨대, 100℃)에서 온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열풍히터가 초기에 작동되어 상기 제1설정온도에 도달한 후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와 같은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52)의 막힘으로 풍량 또는 풍속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열풍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지시점 판단의 근거로 삼을 수도 있다.
한편, 풍속이나 풍량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부품 중 하나는 팬(41)이므로 팬(41)의 고장여부를 함께 체킹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즉, 팬(41)의 회전수가 설정치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운전상태 정보가 정상 범위(필터가 막히지 않았을 때)를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되면 필터(52)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필터(52)가 막힌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그에 대한 대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게 필터(52)가 막혔다는 사실을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한 출력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 출력일 수 있다. 시각적 출력은 LCD화면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필터(52)가 막혔다는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빛을 발광시킴으로서 시각적으로 알릴 수도 있다. 예컨대, 건조장치의 콘트롤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LED 램프의 발광으로 필터(52) 막힘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청각적 출력은 부저 등과 같이 어떤 소리를 냄으로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알림 신호는 필터(52)의 막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팬(41)의 회전수에 따라 필터(52) 막힘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사용자 알림 신호의 출력 크기도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패널에는 사용자로부터 필터(52) 막힘에 대한 처리로서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콘트롤패널에는 '필터세척'이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명령이 입력되면 콘트롤러는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필터세척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S30). 물론, 필터세척을 위한 이와 같은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은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적으로 자동으로 필터세척을 하는 경우일 수 있다.
필터세척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은 필터(52) 세척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필터(52) 세척 방법의 예시로서 아래에 2가지를 소개한다(S60).
① 드럼(300, 320, 340)을 회전시켜 드럼(300, 320, 340)회전풍으로 필터(52)를 세척할 수 있으며, 이때, 터브(100, 120)에 물을 급수하면 드럼(300, 320, 340) 표면에 그 물이 묻었다가 원심력에 의해 뿌려지면서 필터(52)에 물을 급수하는 효과를 낼 수도 있다.
② 전술한 필터세척부를 작동시켜 필터(52)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가지 방법은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은 세척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점에 대해 설명한다.
위와 같은 세척 프로그램은 현재 진행 중인 건조코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나, 현재의 건조코스가 종료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S40).
예컨대, 현재 진행 중인 건조코스가 종료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S50). 건조코스가 종료되고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는데 시간이 필요하므로 건조코스 종료 후 설정시간 이후에 세척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또는, 건조코스 완료 후 도어가 열리고 닫히면 세탁물이 꺼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지하여 세척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도 있다(S50).
상기 세척 프로그램은 다음 건조코스가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S50). 필터(52)가 막힌 것으로 판단되면 차기 건조코스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필터(52)가 막힌 상태에서 건조코스를 진행하면 열풍히터(44)의 과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조코스는 불활성화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즉, 필터(52) 막힘으로 결정되면 건조코스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진행 중인 건조코스는 정지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는, 현재 진행 중인 건조코스는 그대로 진행을 계속하고 차기의 건조코스는 수행되지 않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건조코스가 진행되지 않도록 불활성화되는 경우에는 콘트롤패널에 건조코스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수단 등의 작동도 불활성화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사용자가 선택하더라도 콘트롤러는 이를 무시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 프로그램은 세탁코스가 진행될 때 수행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S50). 세탁 시에는 터브에 물을 공급하며 필터(52) 세척에 이용된 물이 있더라도 터브를 통해 세탁수와 함께 배출될 것이므로 세탁물을 오염시킬 염려가 적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세탁을 겸용하는 건조장치인 건조겸용 세탁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장치는 건조기능을 갖는 장치라면 모두 포함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터브프론트 120:터브레어
130:터브백 200:전방가스켓
250:후방가스켓 300:드럼프론트
320:드럼센터 340:드럼백
350:스파이더 351:회전축
400:베어링하우징 431 : 제1반경방향브라켓
430 : 제2반경방향브라켓 440, 450: 축방향브라켓
500, 510, 520:스프링댐퍼 530, 540 : 단순댐퍼
600:베이스 620:캐비닛레어
630:캐비닛라이트 640:캐비닛레프트

Claims (30)

  1.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 공급될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열풍히터 및 팬;
    상기 열풍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팬의 운전상태 정보에 따라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정보는 상기 팬의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정보는 상기 팬에 인가된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팬의 설정 회전수 이상에서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팬의 작동 개시 후 설정 시점 이상에서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건조코스 개시 후 설정시점 이후에서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풍 경로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열풍히터 작동 개시 후 설정시점 이후에서 필터 막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세탁 시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포함하되,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열풍이 응축되는 응축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자연대류를 통한 열교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필터막힘 시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알림을 위해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는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건조코스의 진행을 불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코스는 진행중인 코스이거나 또는 차기의 코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필터 세척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바람이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상기 터브로 물을 급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유체를 공급하는 필터세척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상기 필터세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진행 중인 건조코스가 종료된 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상기 건조코스 종료 후 설정시간 경과된 후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상기 건조코스가 종료된 후 도어가 열리고 닫힌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차기 건조코스가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 프로그램은 세탁코스 진행 시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프로그램은 사용자 명령의 입력에 따라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세탁시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상기 터브의 열풍아웃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연결된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서스펜션어셈블리;
    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세탁시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드럼에 연결된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drive assembly);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상기 구동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되,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터브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유연한 부재;
    를 추가로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서스펜션 어셈블리 및 세탁시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이 지지되는 것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1020100080302A 2010-08-19 2010-08-19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10175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02A KR101752414B1 (ko) 2010-08-19 2010-08-19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CN201180042881.8A CN103080410B (zh) 2010-08-19 2011-08-19 具有干燥功能的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3/817,217 US20130139402A1 (en) 2010-08-19 2011-08-19 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1/006111 WO2012023824A2 (ko) 2010-08-19 2011-08-19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1818424.1A EP2607546A4 (en) 2010-08-19 2011-08-19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02A KR101752414B1 (ko) 2010-08-19 2010-08-19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605A true KR20120017605A (ko) 2012-02-29
KR101752414B1 KR101752414B1 (ko) 2017-07-11

Family

ID=458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302A KR101752414B1 (ko) 2010-08-19 2010-08-19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4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414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628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US20130139402A1 (en) Laundry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828715B2 (en) Laundry maching having a drying function
JP2015058237A (ja) 縦型洗濯乾燥機
KR101752415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20120017608A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10175241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101498081B1 (ko) 세탁장치
KR20120118196A (ko) 세탁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KR1017766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20120017603A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20120017598A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101737838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101476215B1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