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723A -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 Google Patents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723A
KR20120016723A KR1020100079122A KR20100079122A KR20120016723A KR 20120016723 A KR20120016723 A KR 20120016723A KR 1020100079122 A KR1020100079122 A KR 1020100079122A KR 20100079122 A KR20100079122 A KR 20100079122A KR 20120016723 A KR20120016723 A KR 20120016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ontent
preference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1176B1 (en
Inventor
이수원
오종수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176B1/en
Publication of KR2012001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Abstract

PURPOSE: A content recommending method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recommend content based on a menu preference and to extract personal preferences by using menu information and using history information. CONSTITUTION: A learning engine extracts menu preference information, popular content, and relation menu by using content watching history information and menu information for using content. The learning engine stores the extracted information in a database(S100). A recommendation engine provides a recommendation list by using content meta data and data stored in the learning engine according to the recommending request of a user(S200).

Description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본 발명은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메뉴 구조를 가지는 콘텐츠 제공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메뉴 선호정보를 이용빈도 정보와 최근성을 반영하여 학습한 메뉴 선호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 내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recommend content desired by a user in a content providing environment having a menu structure, by reflecting user's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nd recent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content in a corresponding menu using learned menu preference information.

대량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추천은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편이성과 콘텐츠 소비 촉진이라는 점에서 필수 기능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급속도로 활성화되고 있는 IPTV 환경에서도 콘텐츠가 더욱 풍부해지면서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추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In an environment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ntent is provided, recommendation is required as an essential function in terms of user's ease of use of content and promotion of content consumption.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commendations that can help to make a choice by providing.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간에 구애 없이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환경으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시대가 도래하면서 여러 분야의 콘텐츠들이 IPTV 환경에서 제공되고 있다.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s a content providing environment that enables users to watch various multimedia contents anytime, anytime. As the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has arrived, contents of various fields are being provided in IPTV environments.

IPTV 환경은 과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환경과 비교하여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는 풍부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콘텐츠를 선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As the IPTV environment provides more diverse contents than the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environment of the past, the user can use abundant contents while having difficulty in selecting the contents.

서비스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 수는 제작되는 콘텐츠가 누적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렇게 많은 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가지게 되어 IPTV의 장점이 되고 있는 반면, 콘텐츠 수의 증가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별도의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The number of contents provided by service providers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contents produced are accumulated. Providing such a large number of contents is an advantage of IPTV because users have various choices. As the number increases, users have to make an extra effort to find the content they want.

콘텐츠 수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 선택의 문제는 최근 개인화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의 요구에 따라 IPTV가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방대한 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콘텐츠를 선별해 줄 수 있는 추천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 problem of choice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ents has recently emerged a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n order for IPTV to be successful due to the demand for personalization and customized content provision. Therefore, users may prefer content in an environment that provides a large number of contents. The development of a recommendation system that can sort out the need for development is required.

현재 IPTV사업자들이 운영 중인 추천시스템은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순 인기도 기반 추천을 제공하거나,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콘텐츠들을 운영자들이 특집으로 편성하여 하나의 메뉴를 구성하는 프로모션 추천을 제공하고 있다.The recommendation system currently operated by IPTV operators provides simple popularity-based recommendation that recommends users' most used contents, or offers promotion recommendation that organizes a menu by organizing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n issue. .

그러나, 운영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이러한 추천 방법은 수많은 콘텐츠 중에 볼만한 콘텐츠를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찾아야 되는 것에 비해서는 비교적 효과적이지만, 높아지는 사용자의 개인화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 요구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줌으로 인해 서비스 만족도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However, this recommendation method provided by the operators is relatively effective compared to the user's need to find the content that is worth seeing among the numerous contents, but it does not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personalization and customized content of the service. It is leading to a declin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 정보인 메뉴 정보와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선호를 추출하고 메뉴 선호에 기반한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며, 메뉴 선호정보 학습을 통한 추천으로 인해 선호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만 추천이 가능하게 되는 과잉 특성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연관메뉴를 반영한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individual preferences using menu information and usage history information, which are user's content access information, provides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menu preferences, and learns menu preference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reflecting an associated menu in order to improve the over-specialization problem in which onl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information can be recommended due to the recommendation.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 시청 히스토리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탐색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엔진에서 메뉴 선호정보, 인기 콘텐츠, 연관 메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00단계와, 사용자의 추천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엔진에 저장된 데이터와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엔진에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200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he method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menu preference information, popular content, and related menus from a learning engine and store them in a database by using content viewing history information used by a user and menu information searched for using the content. And a step 200 of providing a recommendation list in the recommendation engine using data and content metadata stored in the learning engine according to a recommendation request of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 정보인 메뉴 정보와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선호를 추출하고 메뉴 선호에 기반한 콘텐츠 추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관메뉴를 반영한 메뉴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선호정보 학습을 통한 추천으로 인해 선호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만 추천이 가능하게 되는 과잉 특성화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personal preferences using menu information and usage history information, which are user's content access information, and provide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menu preferences, and us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reflecting an associated menu.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over-specialization problem that can only recomme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information due to the recommendation through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lear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종류나 특성별로 계층적인 메뉴를 구성한 콘텐츠 편성의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히스토리와 메뉴 정보를 이용한 학습엔진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저장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 콘텐츠 추출단계의 감소율 적용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관메뉴 추출단계의 시청 블럭에서 트랜잭션 추출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된 데이터와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추천 리스트 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n embodiment of a content organization in which a hierarchical menu is configured according to content types 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ent recommendation structure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base storing process in a learning engine using viewing history an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application of the reduction rate of the content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transaction extraction in the viewing block of the association menu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ommendation list providing process using stored data and content meta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종류나 특성별로 계층적인 메뉴를 구성한 콘텐츠 편성의 실시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히스토리와 메뉴 정보를 이용한 학습엔진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저장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 콘텐츠 추출단계의 감소율 적용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관메뉴 추출단계의 시청 블럭에서 트랜잭션 추출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된 데이터와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추천 리스트 제공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n embodiment of a content organization in which a hierarchical menu is configured according to content types 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ent recommendation structure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base storing process in a learning engine using viewing history and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milar content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transaction extraction in the viewing block of the association menu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commendation list providing process using stored data and content meta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콘텐츠 이용 후 콘텐츠 시청 히스토리 정보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탐색한 메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를 예측하는 것으로, IPTV 환경은 도 1과 같이 수만 편 이상의 VOD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의 종류나 특성별로 계층적인 메뉴를 구성하여 콘텐츠를 편성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user's preference by using the content viewing history information after using the user's content and menu information searched for by the user. The IPTV environment provides tens of thousands of VOD contents as shown in FIG. In order to enable the user to find the desired content, the hierarchical menu is organized by the type or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 to organize the content.

사용자의 선호정보 학습에 이용하는 메뉴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찾기 위해 이용하는 계층구조를 가지는 항목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메뉴를 콘텐츠 직접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콘텐츠를 직접 포함하지 않는 메뉴를 ‘카테고리 메뉴’로, 콘텐츠를 직접 포함하는 메뉴를 ‘콘텐츠 편성 메뉴’로 정의한다.The menu used for learning the user's preference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item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used by the user to find the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ent is directly included or not. Category menu ”, and a menu containing content directly is defined as a“ content organization menu ”.

메뉴 선호정보를 학습하는데 사용하는 메뉴 정보는 콘텐츠 편성 메뉴로서, 포함되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주로 방송, 유아 콘텐츠와 같은 연속물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뉴를 ‘시리즈 콘텐츠 편성 메뉴’로 정의하고, 영화, 음악 등의 콘텐츠인 단편 콘텐츠를 가지는 메뉴는 ‘단편 콘텐츠 편성 메뉴’로 정의하여 세분된다.Menu information used to learn menu preference information is a content organization menu, and a menu containing a series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infant content is defined as a 'series content organization menu'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content, and a movie and music Menus having fragment content, such as the content, are subdivided by being defined as a 'short content organization menu'.

상기와 같이 세분화된 단편 콘텐츠 메뉴들을 그대로 단순 콘텐츠 이용 빈도 정보만으로 학습하게 되면 포함하는 콘텐츠의 수가 매우 적은 메뉴의 경우 그 이용성의 차이로 인해 선호메뉴로 선택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과도하게 세분하된 단편 콘텐츠 메뉴를 상위 단계로 통합하는 전처리를 수행한다.If the above-described subdivided content menus are simply learned using only simple content usage frequency information, a menu containing a very small number of contents is less likely to be selected as a preferred menu due to the difference in availability. Perform the preprocessing to integrate the fragment content menu to the higher level.

메뉴 선호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방법은 시청 히스토리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메뉴를 찾고 그 선호메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 추천방법을 적용하고, 선호메뉴 내에서 콘텐츠 추천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는 선호메뉴의 연관메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게 된다.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finds the user's preference menu from the viewing history, applies various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ference menu, and if the content recommendation cannot be made within the preference menu, the related menu of the preference menu. Provide content recommendation using.

도 2는 본 발명의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학습엔진(10)과 추천엔진(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학습엔진(10)은 시청 히스토리와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선호정보 학습, 인기 콘텐츠 추출, 연관메뉴 추출이 각각 수행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추천엔진(20)은 학습엔진(10)의 각 결과물과 컨텐츠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 요청에 따라 추천 리스트를 제공한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ent recommendation structure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learning engine 10 and a recommendation engine 20, wherein the learning engine 10 uses a menu using a viewing history and menu information. Learning preference information, extracting popular content, and extracting related menus are performed and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recommendation engine 20 provides a recommendation list according to a recommendation request by using each result and content metadata of the learning engine 10.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 시청 히스토리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탐색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엔진(10)에서 메뉴 선호정보, 인기 콘텐츠, 연관 메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00단계(S100)와, 사용자의 추천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엔진(10)에 저장된 데이터와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엔진(20)에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200단계(S200)를 포함한다.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learning engine 10 uses the content viewing history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and the menu information searched for using the content. In step 100 of extract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popular content, and related menus from the database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a recommendation engine using data and content metadata stored in the learning engine 10 according to a user's recommendation request In step 20, the step S200 of providing a recommendation list is included.

상기 제100단계(S100)는 도 4와 같이 메뉴 내의 콘텐츠 이용 빈도정보를 기반으로 메뉴에 대한 선호정보를 학습하여 메뉴 선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10단계(S110)와, 전체 인기 콘텐츠와 메뉴 내의 인기 콘텐츠를 이용하여 빈도가 높은 순으로 순위화하여 인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20단계(S120)와,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콘텐츠간 유사도를 계산하여 콘텐츠 유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30단계(S130)와,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이용 연관성을 규칙으로 추출하여 콘텐츠 연관규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40단계(S140)와, 사용자가 시청을 시작한 시점부터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한 후 시청을 종료한 시점까지를 하나의 시청 단위로 보고 이를 시청 블럭으로 정의하여 시청 블럭 내 메뉴의 이용 연관성을 추출하여 연관 메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50단계(S150)를 포함한다.The step 100 (S100) is a step 110 (S110) for learning the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menu based on the content usage frequency information in the menu as shown in Figure 4 (S110), the overall popular content and the menu Step 120 (S120) for ranking in the order of the highest frequency using the popular content and storing in the popular content database, and step 130 (S130)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ntent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 and storing it in the content similarity database; In step 140, the content extraction relation is extracted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 as a rule and stored in the content association rule database, and from the time when the user starts watching to the time when the user finishes using the content continuously. Viewing it as a viewing unit and defining it as a viewing block to relate usage of the menu in the viewing block. Extracting and storing the association menu database 150 (S150).

상기 제110단계(S110) 내지 제150단계(S150)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에 있어, “메뉴 선호정보 저장, 인기 콘텐츠 저장, 유사 콘텐츠 저장, 연관 콘텐츠 저장, 연관 메뉴 저장”의 순서는 도 4의 일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저장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지는 병렬적 흐름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atabase storage of the step 110 (S110) to step 150 (S150), the order of "sav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popular content storage, similar content storage, related content storage, related menu storage" is carried out in the embodiment of FIG.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the database storage order can be changed, it can also be done in parallel flow of the work at the same time.

상기 제110단계(S110)의 메뉴 선호 정보 학습단계에서는 메뉴 내의 콘텐츠 이용 빈도정보를 기반으로 메뉴에 대한 선호정보를 학습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원하는 메뉴를 찾고 그 메뉴 내의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서 이용하는 탐색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콘텐츠 탐색과정은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의 선호정보일 뿐만 아니라, 콘텐츠가 소속되어 편성 정보의 특성을 가지는 메뉴의 선호정보이기도 하다.In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learning step of step 110 (S110), the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menu is learned based on the content usage frequency information in the menu, and users find a desired menu to use the content and select the desired content in the menu. Find and use the search process. The content search process is not only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content used by the user, but also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menu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content belongs.

사용자(u)가 이용한 콘텐츠가 속해 있는 메뉴(m)에 대한 기본 선호도는 콘텐츠 이용 빈도를 기반으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되며, 그 결과의 예는 하기의 표 1과 같다.The basic preference for the menu (m) to which the content used by the user (u) belongs is defined as in Equation 1 below based on the frequency of using the content, and an example of the result i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은 사용자(u)의 메뉴(m)에 대한 선호도,
Figure pat00003
는 사용자(u)가 메뉴(m)의 콘텐츠를 d시간 이상 이용한 빈도,
Figure pat00004
는 사용자(u)의 선호로 볼 수 있는 최소 시청시간 임계값을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02
Is the user's (u) preference for menu (m),
Figure pat00003
Is the frequency with which user u has used the content of menu m for at least d hours,
Figure pat00004
Denotes a minimum viewing time threshold that can be seen as the preference of the user u.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해진 메뉴 기본 선호도는 시간에 상관없이 누적된 이용 빈도만으로 구해지므로 과거의 선호가 최근의 선호와 동일하게 취급되어 사용자의 현재 메뉴 선호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욱 정확한 메뉴 선호정보 학습을 위하여 시간에 따른 선호 감소율을 적용하는데, 선호 감소율 적용은 시리즈 콘텐츠의 과거 ‘몰아보기’의 특징과 같은 오래된 선호정보의 영향을 시간에 따라 감쇄시키고 최근의 선호를 더 중요하게 다루기 위함이다.Since the menu basic preference obtained by Equation 1 is obtained by using accumulated cumulative frequency regardless of time, since the past preference is treated the same as the recent preference, the present menu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user cannot be accurately represented. In order to learn more accurat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we apply the decrease rate of preference over time, which reduces the influence of old p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drive' in the past of the series contents over time and makes the recent preference more important. For the sake of simplicity.

선호 감소율 적용은 시청 히스토리를 일정 기간으로 나누어 기본 선호도를 추출하고, 기간별 기본 선호도에 선호 감소율을 가중치로 곱하는 과정을 거쳐 반영된다. 최근성이 반영된 전체 기간의 선호도는 각각의 해당 기간 기본 선호도에 선호감소율을 가중치 곱으로 적용한 모든 기간의 선호도의 합으로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The application of the preference reduction rate is reflected through a process of dividing the viewing history into a certain period of time to extract the basic preferences, and multiplying the preference reduction rate by the weight by a period. The preference of the entire period reflecting the recentity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as the sum of the preferences of all the periods in which the preference reduction rate is multiplied by the weighted product.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여기서,

Figure pat00007
는 지난 시간(기간),
Figure pat00008
는 선호감소율(0<W≤1),
Figure pat00009
는 t기간의 선호도,
Figure pat00010
는 전체 기간의 선호도를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07
Is the last time (period),
Figure pat00008
Is the decrease rate of preference (0 <W≤1),
Figure pat00009
Is the preference for period t,
Figure pat00010
Means the preference of the whole period.

도 5는 감소율 적용의 예로서, 감소율을 적용하여 최근성이 반영된 메뉴의 선호가 최근성이 반영되지 않는 빈도기반 선호와 비교되어 최근에 선호하여 많이 이용한 메뉴의 선호가 상위 순위의 선호로 반영되고, 과거의 오래된 ‘몰아보기’한 메뉴의 선호는 낮춰주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감소율 적용은 선호감소율 수치를 작은 값을 적용할수록 최근의 선호가 더 중요하게 반영되고, 상대적으로 과거의 선호는 덜 중요하게 반영되는 효과를 가진다.5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reduction rate, the preference of the menu reflecting the recentity by applying the reduction rate is compared with the frequency-based preference that does not reflect the recentness, and the preference of the recently used menu is reflected as the preference of the higher rank. In addition, the preference of the old 'driven' menu in the past can be seen to have a lowering effect.In the case of applying the reduction rate,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preference decrease rate, the more important the recent preference is. Has a less important effect.

상기 제120단계(S120)의 인기 콘텐츠 추출단계는 전체 인기 콘텐츠와 메뉴 내의 인기 콘텐츠를 이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순위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추출된 메뉴별 인기 콘텐츠는 단편 콘텐츠 추천의 가장 기본적인 인기 콘텐츠 추천에 활용되며, 전체 인기 콘텐츠는 선호메뉴 및 연관메뉴에서 추천이 불가능한 예외적인 상황에서의 인기 콘텐츠 추천이 활용된다.The extracting of the popular content of step 120 (S120) is to rank all the popular content and the popular content in the menu in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and store them in a database. The extracted popular content for each menu is the most basic of recommendation of short content. It is used for recommending popular content, and popular content recommendation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is impossible in the preference menu and related menu.

하기의 표 2는 전체 인기 콘텐츠 추출의 예이고, 표 3은 메뉴별 인기 콘텐츠 추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Table 2 below is an example of the extraction of the entire popular content, Table 3 shows an example of the extraction of popular content for each menu.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상기 제130단계(S130)의 유사 콘텐츠 추출단계는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콘텐츠간 유사도를 계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콘텐츠 유사도 계산에 이용되는 콘텐츠 벡터는 사용자의 수를 크기로 가지며,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는 1, 이용하지 않은 콘텐츠는 0의 이진 값을 가지는 벡터로 정의되고, 벡터간 유사도 계산에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다.In the extracting of the similar content in step 130 (S130),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ntents is calculated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 and stored in the database. The content vector used for calculating the content similarity has the number of users and the content used by the user. Is 1, unused content is defined as a vector having a binary value of 0, and cosine similarity that is commonly used as in Equation 3 below is used to calculate similarity between vectors.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상기 수학식 3은 두 벡터의 내적을 크기의 곱으로 나누는 수식으로서 각 벡터의 요소들의 곱과 제곱 연산으로 계산되며, 이러한 수식은 본 발명에서 활용한 이진 벡터간의 연산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단순화되어 활용될 수 있고, 이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벡터 요소가 곱이나 제곱연산을 취하더라도 0 또는 1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단순 빈도를 계산하는 연산으로 단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Equation 3 is a formula of dividing the inner product of two vectors by the product of magnitude, and is calculated by the product of the elements of each vector and the square operation, and this equation is calculated as in Equation 4 below in the operation between binary vecto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implified and utilized, since a vector element having a value of 0 or 1 can be simplified to an operation for calculating a simple frequency because the value of 0 or 1 has a value of 0 or 1 even if it takes a product or square operation.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여기서,

Figure pat00015
는 콘텐츠 i와 j의 유사도(코사인),
Figure pat00016
는 콘텐츠 i와 j를 모두 이용한 사용자 수,
Figure pat00017
는 콘텐츠 i를 이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15
Is the similarity (cosine) of content i and j,
Figure pat00016
Is the number of users using both content i and j,
Figure pat00017
Denotes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content i.

유사 콘텐츠 추출 단계의 결과로 두 콘텐츠간 유사도 값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저장되는 결과의 형태는 하기의 표 4와 같다.As a result of the similar content extraction step, the similarity value between the two contents is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form of the result is shown in Table 4 below.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상기 제140단계(S140)의 연관 콘텐츠 추출단계는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이용 연관성을 규칙으로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콘텐츠 이용 연관성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한 트랜잭션은 학습기간 동안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의 이용 목록으로 구성되며, 연관 콘텐츠 계산과 필터링 과정은 추출된 트랜잭션으로부터 계산된 support, confidence, lift 값을 기준으로 임계값을 적용하고 필터링한 후 confidence 값을 기준으로 규칙을 순위화하여 저장한다.In the extracting of the related content in the step S140, the extracting of content usage relevance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 as a rule is stored in a database. In the step of extracting content usage relevance, one transac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during the learning period. It is composed of a usage list, and the related content calculation and filtering process is based on the support, confidence, and lift values calculated from the extracted transactions, filters the thresholds, and ranks and stores the rules based on the confidence values.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19

상기 수학식 5에서 support는 두 콘텐츠를 모두 이용할 확률로서 전체 사용자 중에서 연관성을 구하고자 하는 두 콘텐츠를 모두 이용한 사용자의 비율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 콘텐츠를 모두 이용한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두 콘텐츠간의 support 값이 커지게 되며, 최소 0에서 최대 1의 값을 가진다.In Equation 5, support is a probability of using both contents,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atio of users who use both contents to obtain relevance among all users, and as the number of users using both contents increases, the support value between the two contents increases. It becomes larger and has a value of 0 to 1 at the minimum.

confidence는 한 콘텐츠 X를 이용한 사용자 중에서 또 다른 콘텐츠 Y를 이용한 사용자의 비율로 정의되며, 콘텐츠 X를 이용한 사용자 중에서 콘텐츠 Y를 이용한 사용자가 많을수록 값이 커지며, 최소 0에서 최대 1의 값을 가진다.Confidence is defined as the ratio of users using one content X to another using content Y. The larger the number of users using content Y, the greater the value, and the minimum value is 0 to 1.

lift는 전체 사용자 중에서 콘텐츠 Y를 이용한 사용자의 비율과 콘텐츠 X를 이용한 사용자 중에 콘텐츠 Y를 사용한 사용자의 비율의 비로 정의되며, 전체 사용자 중에서는 많이 이용되지 않은 콘텐츠 Y가 콘텐츠 X를 많이 이용한 사용자 중에서는 많이 이용할 경우 값이 커지게 되고, 최소 0의 값을 가지며 두 비율이 같을 경우 1의 값을 가진다. lift는 값이 커질수록 연관성이 크다고 할 수 있으나 전체에서 이용한 횟수 또는 비율이 작을 경우, 비율 값이기 때문에 값이 급격히 커지므로 이러한 경우의 필터링이 필요하다.lift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percentage of users who use content Y to the total number of users and the percentage of users who use content Y among the users who use content X. If used a lot, the value becomes large, and it has a minimum value of 0 and a value of 1 when the two ratios are the same. The larger the value of the lift, the greater the relevance. However, if the total number of times or the ratio used is small, the value is rapidly increased because it is a ratio value.

두 콘텐츠의 연관값 계산에는 콘텐츠의 수가 늘어날수록 연산수가 n2으로 증가하므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연관규칙 추출시 임계값을 적용하여 계산을 처리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는 방법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support값을 기준으로 이용 빈도가 극히 낮은 콘텐츠는 잘못된 연관 규칙이 추출되기 쉬우므로 연산을 하지 않도록 하여 계산 복잡도를 낮추고 일차적인 필터링을 진행하고, 연관값은 confidence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되는 결과는 support와 confidence, lift값의 임계값 이상의 규칙만 저장되며 그 형태는 하기의 표 5와 같다.In calculating the association value of two contents, since the number of operations increases to n 2 as the number of contents increases, a scalability problem occurs. Therefore, a method of lowering the calculation to a processable level by applying a threshold value when extracting an association rule is required. Contents that are extremely rarely used based on the support value of the content are easy to extract the wrong association rule, so the calculation is not performe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the primary filtering, and the association values are sorted based on confidence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results are stored only the rules above the threshold of the support, confidence, lift value and the form is shown in Table 5 below.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0

상기 제150단계(S150)의 연관메뉴 추출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시청을 시작한 시점부터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한 후 시청을 종료한 시점까지를 하나의 시청 단위로 보고 이를 시청 블럭으로 정의하여 시청 블럭 내의 메뉴의 이용 연관성을 추출한다.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associated menu of step 150 (S150), a view is made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starts watching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end of watching after using the content is defined as a viewing block and defined as a viewing block. Extract usage associations.

상기 제150단계(S150)는 사용자별 시청 시작 시간 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이전 시청의 끝과 이후 시청의 시작 시간 차이를 시청 공백 시간으로 정의하고 시청 공백시간을 기준으로 시청 블럭을 추출하는 제151단계(S151)와, 시청 블럭 내에서 같이 이용한 메뉴를 트랜잭션으로 추출하는 제152단계(S152)와, 추출된 메뉴 이용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메뉴간 연관값(support, confidence, lift)을 계산하는 제153단계(S153)와, 연관값들의 임계값 조절을 통해 연관 메뉴를 필터링하고 그 결과를 연관 메뉴 추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54단계(S154)를 포함한다.The step 150 (S150) def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d of the previous viewing and the start of the subsequent viewing as the viewing blank time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 arranged in order of the viewing start time for each user, and extracts the viewing block based on the viewing blank time. Step 151 (S151), a step 152 (S152) of extracting the menu used in the viewing block as a transaction, and using the extracted menu using transaction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value (support, confidence, lift) between the menu Step 153 (S153), and the step 154 (S154) of filtering the association menu through the threshold value adjustment of the association value and stores the result in the association menu extraction database.

도 6은 상기 제152단계(S152)에서의 시청 블럭에서 메뉴이용 트랜잭션을 추출한 예로서, 색을 달리한 행들은 시청 블럭이 추출된 것으로 한 트랜잭션을 의미하고, 같은 색을 띄는 행들에서 메뉴 이용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활용한다.FIG. 6 is an example of extracting a menu usage transaction from the viewing block in step 152 (S152). Rows with different colors indicate a transaction in which the viewing block is extracted, and the menu using transaction in the rows having the same color. Extract and utilize

하기의 표 6은 연관 메뉴 추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Table 6 below shows the results of the association menu extraction.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1

상기 제200단계(S200)는 도 7과 같이 추천 요청 발생시 학습된 메뉴 선호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메뉴를 선정하는 제210단계(S210)와, 상기 선호메뉴 내에서 선호할 만한 콘텐츠를 찾아서 추천 방법을 적용하는 제220단계(S220)와, 콘텐츠 추천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230단계(S230)와, 생성된 추천리스트가 추천 요청 갯수에 미치지 못할 경우 선호메뉴의 연관메뉴가 추출되어, 연관메뉴의 특성에 따른 콘텐츠 추천이 이루어지는 제240단계(S240)를 포함한다.Step 200 (S200) is a step 210 of selecting a preference menu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learned when the recommendation request occurs as shown in Fig. 7 (S210), and finds content that is preferred within the preference menu recommendation method In step 220 of applying (S220), and step 230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content recommendation list (S230), and if the generated recommendation list does not meet the number of recommendation requests, the relevant menu of the preferred menu is extracted, In step S240, a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is performed.

선호메뉴의 선정은 학습된 메뉴 선호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선정된 선호메뉴는 시리즈 콘텐츠 편성 메뉴와 단편 콘텐츠 편성 메뉴로 구별되고 그에 따른 추천방법을 적용한다.The selection of the preference menu is made by using the learned menu preference information. The selected preference menu is divided into a series content organization menu and a short content organization menu and a recommendation method is applied accordingly.

본 발명에서는 선호메뉴별로 하나의 콘텐츠를 추천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추천을 제공받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한 번에 추천되는 콘텐츠 수가 너무 많을 경우 또 다시 선택을 해야 하며, 추천 개수를 적절히 제한하여 제공하는 경우 한 시리즈에서 두 편 이상을 추천하는 것은 다양한 콘텐츠 선택의 폭을 좁히게 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content is recommended for each preference menu, and the reason is that when the number of recommended contents is too large at a time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receiving the recommendation, the user must select again, and provide a limited number of recommendations as appropriate. In this case, recommending more than one copy in a series narrows down the choice of content.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선호메뉴 콘텐츠 추천방법에서는 학습된 메뉴선호 정보를 기반으로 선호메뉴를 선정하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메뉴를 선정하고 난 후에는 선호메뉴 내의 선호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호메뉴를 이용한 추천을 적용함에 따라 일차적인 필터링 결과로 사용자의 선호메뉴 내의 콘텐츠가 후보가 되며, 그 후부 콘텐츠들 중에서 선호할만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이 선호메뉴에서의 콘텐츠 추천방법이다.In the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 of the preferred menu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menu is selected based on the learned menu preference information. After the user selects the preferred menu, the user selects the preferred content in the preferred menu, and recommends using the preferred menu. As a result of the first filtering, the content in the user's preference menu is a candidate, and a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 among the latter contents is a recommendation method in the preference menu.

선호메뉴가 선정되면 선호메뉴에 속한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추천방법이 결정되는데, 선호메뉴가 시리즈 콘텐츠로 이루어진 메뉴인 경우에는 시리즈 규칙기반 추천을 적용하며, 단편 콘텐츠로 이루어진 메뉴인 경우에는 메뉴 내 인기 콘텐츠 추천, 아이템기반 협업필터링, 아이템 연관규칙을 적용한 추천방법을 적용한다.When the preference menu is selected, the recommendation meth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preference menu. If the preference menu is a series consisting of series contents, a series rule-based recommendation is applied. Apply recommendation method applying content recommendation,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nd item association rules.

시리즈 규칙기반 추천은 선호메뉴의 이전 시청기록을 고려하여 이전 시청의 다음 편을 추천하거나 이전 시청의 콘텐츠 길이 대비 시청 비율을 고려하여 재추천하는 규칙을 적용한다.The series rule-based recommendation applies a rule that recommends the next side of the previous viewing in consideration of the previous viewing history of the preference menu or re-recommends considering the viewing ratio to the content length of the previous viewing.

상기 단편 콘텐츠의 메뉴 내 인기 콘텐츠 추천방법은 선호 메뉴가 단편 콘텐츠 메뉴로 선정되어 그 메뉴 내에서 콘텐츠 추천이 필요한 경우 해당 메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 인기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방법이고, 상기 아이템기반 협업필터링 추천은 학습단계에서 Batch 연산을 통해 미리 계산된 아이템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On-line 사용자가 이용한 아이템들의 유사 아이템들의 유사도를 종합하여 예측 선호도를 계산하고, 예측 선호도를 순위화하여 상위 값을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추천이 이루어진다.The popular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in the short content menu is a method of recommending the most popular content used in the menu when a preferred menu is selected as a short content menu and content recommendation within the menu is recommended. In the learning phase, the similarity between similar items of items used by on-line users is calculated using the similarity between items previously calculated through batch operation, and the predicted preference is ranked. Recommendations are made in the manner provided.

하기의 수학식 6은 추천 후보가 되는 콘텐츠들의 예측 선호도를 계산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과거에 이용했던 콘텐츠들에 대해서 예측 선호도를 구하고자하는 콘텐츠와의 각각의 유사도 합을 계산함으로써 예측 선호도가 구해지며, 추천 대상이 되는 콘텐츠들의 예측 선호도를 구한 후 예측 선호도가 큰 순서로 추천하는 방법을 적용한다.Equation 6 below calculates the predicted preferences of the contents which are candidates for recommendation, and calculates the predicted preferences by calculating the sum of similarities with the contents for which the user wants to obtain the predicted preferences. In addition, the method of recommending the prediction preferences of the contents to be recommended and ordering the prediction preferences in the order of preference is applied.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2

여기서,

Figure pat00023
는 사용자 p의 콘텐츠 i에 대한 예측 선호도,
Figure pat00024
는 사용자 p가 이용한 콘텐츠 j의 선호도(이진 값 0 또는 1),
Figure pat00025
는 콘텐츠 j와 콘텐츠 i의 유사도를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23
Is the predicted preference for content i of user p,
Figure pat00024
Is the affinity (content of binary value 0 or 1) of content j used by user p,
Figure pat00025
Deno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ntent j and the content i.

상기 아이템 연관규칙 추천은 학습단계의 결과로 생성된 콘텐츠간 연관규칙을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콘텐츠의 상위 연관규칙에 존재하는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이다.The item association rule recommendation is a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 existing in a higher association rule of content recently used by using an association rule between content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learning step.

선호메뉴에서 추천이 제한되는 경우 연관메뉴를 사용하여 추천을 수행하는데, 선호메뉴에서 추천을 못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 경우로, 첫째는 선호메뉴의 수가 추천 요청 수보다 부족한 경우(선호메뉴별 1개의 콘텐츠만 추천한다는 가정)이며, 둘째는 선호메뉴 내의 모든 콘텐츠를 소비한 경우이다.When the recommendation is limited in the preference menu, the recommendation is performed using the related menu. There are two cases in which the recommendation cannot be recommended in the preference menu. Assumes that only content is recommended), and secondly, consumes all content in the preferred menu.

선호메뉴에 대한 연관메뉴 선정은 연관메뉴의 선호도 예측값의 계산 및 순위화 과정을 거쳐 결정되며, 하기의 수학식 7과 같다.Selection of the association menu for the preference menu is determined through a process of calculating and ranking the preference prediction value of the association menu,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6

여기서,

Figure pat00027
는 사용자 u의 선호메뉴 집합,
Figure pat00028
는 메뉴 m의 연관메뉴 집합,
Figure pat00029
는 사용자 ui의 연관메뉴 amj의 선호도 예측값,
Figure pat00030
는 사용자 ui의 선호메뉴 pmk의 메뉴 선호도,
Figure pat00031
는 메뉴 pmk와 메뉴 amj의 연관값을 의미한다.here,
Figure pat00027
Is the user's preference menu set,
Figure pat00028
Is the set of menus associated with menu m,
Figure pat00029
Is the predicted preference of the associated menu am j for user u i ,
Figure pat00030
Is the menu preference for user u i pm k ,
Figure pat00031
Denotes the association of menu pm k with menu am j .

연관메뉴에서의 콘텐츠 추천은 선호메뉴의 선호도와 그 선호메뉴의 연관메뉴의 연관값을 종합하고 순위화하여 선정되며, 선정된 연관메뉴를 통해 부족한 추천 결과를 보충하게 되는 방법을 적용한다.The content recommendation in the related menu is selected by combining and ranking the preferences of the preference menu and the related values of the related menu of the preferred menu, and apply a metho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recommendation result through the selected related menu.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 정보인 메뉴 정보와 사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선호를 추출하고 메뉴 선호에 기반한 콘텐츠 추천을 제공하며, 연관메뉴를 반영한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선호정보 학습을 통한 추천으로 인해 선호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만 추천이 가능하게 되는 과잉 특성화 문제를 개선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individual preferences using menu information and usage history information, which are user's content access information, provides content recommendation based on menu preferences, and learns menu preference information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reflecting an associated menu. Due to the recommendation through, it improves the over-specialization problem that can only recomme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can afford it will know.

10 : 학습엔진 20 : 추천엔진10: learning engine 20: recommended engine

Claims (8)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 시청 히스토리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탐색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엔진(10)에서 메뉴 선호정보, 인기 콘텐츠, 연관 메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00단계(S100)와;
사용자의 추천 요청에 따라 상기 학습엔진(10)에 저장된 데이터와 콘텐츠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엔진(20)에서 추천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200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In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Step 100 (S100) of extract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popular content, and a related menu from the learning engine 10 using the content viewing history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and the menu information searched for using the content, and storing them in a database; ;
In accordance with a recommendation request of the user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learning engine 10 and the content metadata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200) (S200) for providing a recommendation list in the recommendation engine 20 How to recommend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제100단계(S100)는
메뉴 내의 콘텐츠 이용 빈도정보를 기반으로 메뉴에 대한 선호정보를 학습하여 메뉴 선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10단계(S110)와;
전체 인기 콘텐츠와 메뉴 내의 인기 콘텐츠를 이용하여 빈도가 높은 순으로 순위화하여 인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20단계(S120)와;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콘텐츠간 유사도를 계산하여 콘텐츠 유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30단계(S130)와;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이용 연관성을 규칙으로 추출하여 콘텐츠 연관규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40단계(S140)와;
사용자가 시청을 시작한 시점부터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한 후 시청을 종료한 시점까지를 하나의 시청 단위로 보고 이를 시청 블럭으로 정의하여 시청 블럭 내 메뉴의 이용 연관성을 추출하여 연관 메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50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S100 is
Step S110 of learning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menu based on the content usage frequency information in the menu and storing the p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menu in a menu preference information database;
Step 120 (S120) of ranking the most frequently used contents and the most popular contents in the menu in order of popularity and storing the contents in a popular contents database;
Step S130 of calculating similarity between contents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 and storing the similarity between contents in a contents similarity database;
Step 140 (S140) of extracting a content use relation from a viewing history data as a rule and storing the content usage association in a content association rule database;
A view from a point in time at which a user starts watching to a point in which a user finishes using a content and then ends viewing, defined as a viewing block, extracts the use association of the menu in the viewing block, and stores the same in a related menu databas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S15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0단계(S110)의 정확한 메뉴 선호정보 학습을 위하여 시간에 따른 선호 감소율을 적용하되, 상기 선호 감소율 적용은 시청 히스토리를 일정 기간으로 나누어 기본 선호도를 추출하고, 기간별 기본 선호도에 선호 감소율을 가중치로 곱하는 과정을 거쳐 반영되고, 최근성이 반영된 전체 기간의 선호도는 각각의 해당 기간 기본 선호도에 선호감소율을 가중치 곱으로 적용한 모든 기간의 선호도 합으로
Figure pat00032
로 계산되며, 여기서,
Figure pat00033
는 사용자,
Figure pat00034
은 메뉴,
Figure pat00035
는 지난시간(기간),
Figure pat00036
는 선호감소율(0<W≤1),
Figure pat00037
는 t기간의 선호도,
Figure pat00038
는 전체기간의 선호도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order to learn the accurat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of step 110 (S110), a preferenc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ime is applied, but the application of the preference reduction rate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viewing history into a predetermined period to extract basic preferences, and weight the preference reduction ratio to the basic preferences by period. The preference of the whole period reflected by multiplying by, and reflecting the recency is the sum of the preferences of all periods by applying the percentage reduction ratio to the basic preference of each period.
Figure pat00032
, Where
Figure pat00033
Is the user,
Figure pat00034
Silver menu,
Figure pat00035
Is the last time (period),
Figure pat00036
Is the decrease rate of preference (0 <W≤1),
Figure pat00037
Is the preference for period t,
Figure pat00038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ference of the entire perio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0단계(S120)의 인기 콘텐츠 추출은 추출된 메뉴별 인기 콘텐츠 중 단편 콘텐츠 추천의 가장 기본적인 인기 콘텐츠 추천에 활용되며, 전체 인기 콘텐츠는 선호메뉴 및 연관메뉴에서 추천이 불가능한 예외적인 상황에서의 인기 콘텐츠 추천에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extracting of the popular content of the 120th step (S120) is used for recommending the most basic popular content of the short content recommendation among the extracted popular content for each menu, and the overall popular content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in which the recommendation is not possible in the preferred menu and the related menu.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used for recommending popular conte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30단계(S130)의 콘텐츠 유사도 계산에 이용되는 콘텐츠 벡터는 사용자의 수를 크기로 가지며,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는 1, 이용하지 않은 콘텐츠는 0의 이진 값을 가지는 벡터로 정의되어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하여,
Figure pat00039
으로 계산되며, 여기서,
Figure pat00040
는 콘텐츠 i와 j의 유사도(코사인),
Figure pat00041
는 콘텐츠 i와 j를 모두 이용한 사용자 수,
Figure pat00042
는 콘텐츠 i를 이용한 사용자 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vector used for calculating the content similarity in operation 130 (S130) has a number of users, the content used by the user is defined as a vector having a binary value of 1, and the content not used has a cosine similarity. Leverage
Figure pat00039
, Where
Figure pat00040
Is the similarity (cosine) of content i and j,
Figure pat00041
Is the number of users using both content i and j,
Figure pat00042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content i.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40단계(S140)의 콘텐츠 이용 연관성 추출은 한 트랜잭션 학습기간 동안 사용자가 이용한 콘텐츠의 이용 목록으로 구성되며, 연관 콘텐츠 계산과 필터링 과정은 추출된 트랜잭션으로부터 계산된 support, confidence, lift 값을 기준으로 임계값을 적용하고 필터링한 후 confidence 값을 기준으로 규칙을 순위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Extracting the content usage association in step 140 (S140) consists of a usage list of contents used by the user during a transaction learning period, and the related content calculation and filtering process is based on the support, confidence, and lift values calculated from the extracted transaction. The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 using menu preference information, wherein the threshold value is applied and filtered, and then the rules are ranked and stored based on the confidence valu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50단계(S150)는
시청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청 블럭을 추출하는 제151단계(S151)와;
시청 블럭 내에서 같이 이용한 메뉴를 트랜잭션으로 추출하는 제152단계(S152)와;
추출된 메뉴 이용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메뉴간 연관값을 계산하는 제153단계(S153)와;
연관값들의 임계값 조절을 통해 연관 메뉴를 필터링하고 그 결과를 연관 메뉴 추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54단계(S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150 step (S150)
Extracting a viewing block from the viewing history database (S151);
Extracting a menu used together in a viewing block as a transaction (S152);
Calculating an association value between menus by using the extracted menu using transaction (S153);
And filtering the associated menu by adjusting threshold values of the associated values and storing the result in the associated menu extraction database (S154).
제 1항에 있어서, 제200단계(S200)는
추천 요청 발생시 학습된 메뉴 선호정보를 이용하여 선호메뉴를 선정하는 제210단계(S210)와;
상기 선호메뉴 내에서 선호할 만한 콘텐츠를 찾아서 추천 방법을 적용하는 제220단계(S220)와;
콘텐츠 추천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230단계(S230)와;
생성된 추천리스트가 추천 요청 갯수에 못 미칠 경우 선호메뉴의 연관메뉴가 추출되어, 연관메뉴의 특성에 따른 콘텐츠 추천이 이루어지는 제240단계(S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선호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200 (S200)
Step 210 of selecting the preferred menu using the learned menu preference information when the recommendation request occurs;
Step S220 of applying a recommendation method by finding content that is preferred in the preference menu;
Step 230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 content recommendation list;
If the generated recommendation list does not meet the number of recommendation requests, the relevant menu of the preferred menu is extracted, and content using the menu preference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S240 of making a content recommend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menu. Recommended way.
KR1020100079122A 2010-08-17 2010-08-17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KR101151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22A KR101151176B1 (en) 2010-08-17 2010-08-17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122A KR101151176B1 (en) 2010-08-17 2010-08-17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23A true KR20120016723A (en) 2012-02-27
KR101151176B1 KR101151176B1 (en) 2012-06-01

Family

ID=4583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122A KR101151176B1 (en) 2010-08-17 2010-08-17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17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19B1 (en) * 2012-11-07 2014-01-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ogram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method for calculation user intensities of program consumption
KR101500874B1 (en) * 2013-11-22 2015-03-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deciding for contents recommendation time using user context awaring
KR20160019090A (en) * 2013-06-10 2016-02-1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in relation to embedded media
CN110046006A (en) * 2018-01-15 2019-07-2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enu sequencing
CN110472153A (en) * 2019-08-21 2019-11-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Recommended method, system,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menu
KR20210052201A (en) * 2019-10-31 2021-05-10 장인하 Active content automatic provision system based on non-identifying behavior inform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KR102497379B1 (en) * 2022-04-26 2023-02-08 주식회사 이니스트 System for comprehensive student management providing employment information based on recommended career paths and customized major track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rehensive student managemen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02B1 (en) 2003-08-28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s
JP4650552B2 (en) 2008-10-14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19B1 (en) * 2012-11-07 2014-01-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ogram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method for calculation user intensities of program consumption
KR20160019090A (en) * 2013-06-10 2016-02-18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in relation to embedded media
KR101500874B1 (en) * 2013-11-22 2015-03-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deciding for contents recommendation time using user context awaring
CN110046006A (en) * 2018-01-15 2019-07-2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The method and apparatus of menu sequencing
CN110472153A (en) * 2019-08-21 2019-11-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Recommended method, system,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menu
CN110472153B (en) * 2019-08-21 2024-01-1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Menu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052201A (en) * 2019-10-31 2021-05-10 장인하 Active content automatic provision system based on non-identifying behavior inform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KR102497379B1 (en) * 2022-04-26 2023-02-08 주식회사 이니스트 System for comprehensive student management providing employment information based on recommended career paths and customized major track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rehensive student managemen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176B1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ck Calibrated recommendations
CN107888950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video
US116695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media content
KR101151176B1 (en) The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by Using Menu Preferences
US8533757B2 (en)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s of recommending media content items based on user preferences
Liu et al. Online evolutionary collaborative filtering
KR20100086676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dicting preference rating for cont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ample contents
US20130054593A1 (en) Determining user preference of items based on user ratings and user features
CN105430505B (en) A kind of IPTV program commending methods based on combined strategy
De Pessemier et al. Context aware recommendations for user-generated content on a social network site
US116636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similarity model used to predict similarity between items
CN102523511A (en) Network program aggreg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network program aggregation and recommendation method
EP1906316A1 (en) An interactive hybrid recommender system
CN105338408B (en) Video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time factor
CN109168047A (en) Video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0782047B1 (e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of the Initial Query Set for Image Search on the Mobile Web
KR101143508B1 (en) Method For Personalized Multi Recommendation Learning
Fong et al. Using genetic algorithm for hybrid modes of collaborative filtering in online recommenders
Pawar et al. Movie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sine Similarity
Cavenaghi et al. A Re-rank Algorithm for Online Hotel Search
Khalique et al. A deterministic model for determining degree of friendship based on Mutual Likings and recommendations on OTT platforms
Khan et al. An ontology-based hybrid recommender system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CN115936809A (e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attribute bipartite graph
Patibandla et al. Efficient Recommender System for Over-the-Top Media Service
Khalique et al. Research Article A Deterministic Model for Determining Degree of Friendship Based on Mutual Likings and Recommendations on OTT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