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107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107A
KR20120016107A KR1020117028213A KR20117028213A KR20120016107A KR 20120016107 A KR20120016107 A KR 20120016107A KR 1020117028213 A KR1020117028213 A KR 1020117028213A KR 20117028213 A KR20117028213 A KR 20117028213A KR 20120016107 A KR20120016107 A KR 2012001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ction port
cabinet
movement path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6900B1 (en
Inventor
유지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1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32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흡입구에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비용을 억제하면서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필터가 이동 경로의 도중에 흡입구의 단부 테두리에 걸리지 않고 소정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캐비넷(3)의 천장면에 형성된 흡입구(4)와, 캐비넷(3)의 흡입구(4)의 내면측에 배치된 필터(7)과, 필터(7)을 삽입 분리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19)를 구비하고, 흡입구(4)에는 흡입구(4)를 전체적으로 덮는 흡입 그릴은 형성되지 않고, 필터(7)을 이동 경로(19)에 삽입할 때에, 필터(7)의 삽입 선단 (30)이 흡입구(4)의 단부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에서 경사 형성된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 및/또는 돌기부(26)이 설치된 구성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moothly mov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while suppressing costs by not forming a suction grill at the inlet, and without catching the end edge of the inlet in the middle of the movement path. .
Specifically, the suction port 4 form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3, the filter 7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ction port 4 of the cabinet 3, and the filter 7 are moved in a removable manner. And a suction grille which covers the suction port 4 as a whole, and the filter 7 is inserted when the filter 7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path 19. The rear end edge 25 and / or the protrusion 26 of the inlet inclined at the induction part which guides the front end 30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end edge of the inlet 4 are provided.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캐비넷 흡입구의 내면측에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ilter is detachably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side of a cabinet suction port.

종래,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조로는, 캐비넷의 전방면 상부로부터 천장면에 걸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캐비넷의 전방면 하부에 분출구가 형성되고, 흡입구에서 분출구에 이르는 공기 통로에 필터, 열교환기 및 팬이 상기 순서대로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흡입구에는, 주로 미관상의 이유로, 격자 형상의 흡입 그릴이 형성된다. 흡입 그릴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대형화될수록 금형 제작 등에 비용이 들어, 비용 상승의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Conventionally, in the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a general air conditioner, an inlet for sucking air from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o the ceiling surface is formed, a spou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an air passage from the inlet to the spout is provided. It is known that filters, heat exchangers and fans are arranged in this order. In the suction port, a lattice suction grille is formed mainly for aesthetic reasons. Since the suction gril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attice, the larger the size, the more expensive the mold production and the like, which has become one factor of the cost increase.

한편, 특허문헌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최근, 캐비넷의 전방면에는, 흡입구를 형성하지 않고 심플하고 산뜻해진 외관을 가진 공기 조화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흡입구를 캐비넷 천장면에만 형성하는 경우, 공기 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시선에서는 캐비넷의 천장면의 후방측까지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캐비넷의 천장면에만 흡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고, 개구인채로 존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1, recently,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imple and refreshing appearance has appear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binet without providing an intake port. In this case, when the intake port is formed only on the cabinet ceiling surface, th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installed near the ceiling of the room, and thus, from the user's eyes, it is not normally seen until the rear side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Then,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structure which forms a suction port only in the ceiling surface of a cabinet, it can also be considered to remain as an opening, without forming a suction grille.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9-6325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63257

그러나,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흡입구에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고 개구인채로 존치하려고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said structure, when it tries to remain as an opening without providing a suction grill in a suction port, there existed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를 삽입 분리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는 이동 경로를 이동하여 흡입구와 열교환기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다.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넷의 천장면과 열교환기와의 사이에는, 설계상의 제약으로 최소한의 스페이스밖에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 경로는 캐비넷 흡입구의 내면을 따라 설정된다. 즉, 흡입구에 인접해서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 That is,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said structure, the movement path which moves a filter so that insertion and removal is possible is formed, and a filter moves a movement path,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a heat exchanger. Since a minimum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in which the suction port is formed and the heat exchanger due to design constraints, the movement path is se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suction port. That is, a movement path is form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그런데, 필터는, 통상, 일체적으로 성형된 필터망과 필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필터에는 유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필터가 대형화될수록, 성형 후의 잔류 응력에 따라 필터 전체적으로 비틀림이나 물결침이 발생하기 쉽다. By the way, a filter is comprised from the filter net and filter frame which were integrally shape | molded normally. Since the filter requires flexibility,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lter, the more likely the twist and wave of the entire filter are caused by the residual stress after molding.

따라서, 비틀림이나 물결침이 발생된 필터를 이동 경로로 이동시키면, 흡입구에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필터의 삽입 선단 중, 산모양의 곡선으로 변형된 일부가 흡입구에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흡입구에서 돌출된 필터 부분이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에 걸리고, 필터를 소정 위치에 세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if the filter in which the twist or the wave is generated is moved in the movement path, when the suction grille is not formed in the suction port, a part of the filter tip, which is deformed by a mountain curve, protrudes from the suction port. Then, the filt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uction port is caught by the rear edge of the suction por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cannot be s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이것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흡입 그릴이 이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필터에 비틀림이나 물결침 등의 변형이 있어도, 그 변형을 억제시켜서 필터가 이동 경로를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고 있었던 바, 흡입 그릴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새롭게 발생된 과제이다. This is because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since the suction grill plays a part of the moving path, even if the filter has distortion such as torsion or undulation, the filter can smoothly move the moving path by suppressing the deformation. This was a problem newly generated by removing the suction grill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항에 감안하여, 흡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는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비용을 억제시키면서도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필터가 이동 경로 도중에 흡입구의 단부 테두리에 걸리지 않고 소정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suction grill that covers the suction port as a whole, thereby reducing costs and without impairing aesthetics, and the filter smoothly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nd edge of the suction hole in the course of the move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air conditio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캐비넷의 천장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캐비넷 흡입구의 내면측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삽입 분리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에는 흡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는 흡입 그릴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필터를 상기 이동 경로에 삽입할 때에, 상기 필터의 삽입 선단이 상기 흡입구의 단부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유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port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a filt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cabinet suction port, and a movement path for inserting and detaching the filter. And the suction grille is not formed in the suction port as a whole, and an induction part is provided to guide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whe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path.

상기 구성에 의하면, 흡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는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고도, 유도부를 설치함으로써, 가령 필터에 변형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필터의 변형 부분을 이동 경로로 유도함으로써, 원활하게 필터를 이동 경로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providing an induction part without forming a suction grill covering the suction port as a whole, even when de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filter, the filter is smoothly guided in the movement path by guiding the deformed portion of the filter to the movement path. It is possible to move from.

또한, 흡입구의 일부에 흡입 그릴을 형성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흡입구의 전방측은 사용자가 시선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흡입구의 전방측만 흡입 그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흡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는 대형 흡입 그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비용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흡입구의 일부에 보조적으로 흡입 그릴을 형성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  In addition, forming a suction grill on a part of the suction port is not a problem. For example, since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por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only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port can form the suction grille. That is, in this invention, it aims at suppressing the cost increase by forming the large suction grill which covers the suction port as a whole, and it does not matter whether a suction grill is formed auxiliary part of the suction port.

유도부는, 구체적으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동 경로가 캐비넷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필터를 캐비넷 전방에서 이동 경로에 삽입하고, 캐비넷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는, 필터의 삽입 선단은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를 캐비넷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 형성된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를 유도부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duction part includes the following. When the moving path is formed in the cabinet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moving path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moved to the rear of the cabinet, a problem arises that the insertion end of the filter is caught by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n this case,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can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rear end edge of the inclined suction port can be used as the guide portion.

상기 구성에서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좌우 코너부의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캐비넷 전방면에 편파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필터를 이동 경로에 삽입해서 캐비넷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필터의 삽입 선단은 우선,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좌우 코너부 중, 캐비넷 전방면에 가까운 쪽의 코너부(이하, 전방측 코너부라고 한다)와 교차하고, 그 후, 필터의 이동과 함께 교차하는 점이 다른 방면측으로 이동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of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s arranged to be polarized on the cabinet front face than the other side. Therefore, whe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path and moved toward the rear of the cabinet, the insertion end of the filter is first of the corners of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rear end edge of the inlet port, which are closer to the cabinet front face (hereinafter, the front corner part). The point of interse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ilter moves to the other side.

따라서, 필터의 삽입 선단의 일부에 산모양의 곡선으로 변형된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필터 변형 부분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걸쳐 차례로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와 한점으로만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필터의 삽입 선단과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는, 동시에 2점 이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와 점접촉된 필터 부분은,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에 눌러져서 원활하게 이동 경로로 유도된다. Therefore, when a part of the filter insertion part has a mountain-shaped curved part, only one poin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n order from one end of the filter deformed part to the other end. In this way, since the insertion end of the filter and the rear end edge of the inlet are not in contact with two or more points at the same time, the filter portion which is in point contact with the rear end edge of the inlet is pressed against the rear end of the inlet smoothly. It is directed to the path of travel.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 경로가, 필터의 좌우 양측부를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유지 레일로 구성되고, 각 유지 레일이, 필터 표면측에 위치하는 외부 레일과, 필터 이면측에 위치하는 내부 레일을 갖고,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좌우 코너부 중, 캐비넷 전방면에 가까운 쪽의 코너부측에 위치하는 유지 레일의 외부 레일에, 상기 코너부의 전방 위치에서 내부 레일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에 추가되어 돌기부가 유도부가 된다.  Moreover, in the said structure, a movement path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holding rails which hold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a filter, and each holding rail is an outer rail located in the filter surface side, and the inside located in the filter back surface side. On the outer rail of the holding rail which has a rail and is located in the corner part side of the side near the cabinet front surface among the left and right corner parts of the rear end edge of a suction port, the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ner rail from the front position of the said corner part may be formed. It may be. In this case, the protruding portion is added to the rear edge of the suction port to become the induction portion.

상기 구성에서는, 필터의 좌우 양측부는, 유지 레일에 유지된 상태에서 유지 레일 내부를 이동한다. 돌기부가 형성된 측의 유지 레일을 이동하는 필터 측부(이하, 돌기부측의 필터 측부라고 한다)의 선단은, 돌기부에 접촉함으로써 밀어 내릴 수 있고, 외부 레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측 코너부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필터는, 전방측 코너부에 걸리지 않고 전방측 코너부를 통과하여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와 교차한다. 그리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에 의해 필터가 원활하게 이동 경로로 유도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filter move inside the holding rail while being held by the holding rail. The tip of the filter sid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lter side portion on the protrusion side) that moves the holding rail on the side w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can be pushed down by contacting the protrusion, and passes through the front side corne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rail. As a result, the filter passes through the front corner without interlocking with the front corner and intersects with the trailing edge of the suction port. Then,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is smoothly guided to the movement path by the rear edge of the suction port.

즉,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좌우 코너부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와 좌우의 측단부 테두리가 교차하는 변곡점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의 삽입 선단에 산모양의 곡선의 변형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다른 부분보다도 좌우 코너부에서의 방면이 걸리기 쉬워진다. 따라서, 유도부에서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산모양의 곡선 변형 부분마다 돌기부측의 필터 측부를 밀어 내리고, 전방측 코너부의 하방면을 빠져나가게 해서 통과시킴으로써. 전방측 코너부에 있어서의 필터가 걸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of the rear end edge of the inlet are at the inflection point at which the rear end edge of the inlet and the left and right side end edges intersect, when the deformation portion of the curve of the mountain shape is present at the insertion end of the filter, The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corners is more easily caught than the portion. Therefore, by forming the projection part in the induction part, the filter side part of the projection part side is pushed down for every mountain-shaped curved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and it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a front side corner part, and passes. The filter at the front corner can be avo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부에서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를 경사 형성함과 동시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필터가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에 걸리는 것을 확실하게 피하면서, 소정 위치까지 필터를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inclining the rear edge of the inlet at the inlet and forming a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guide the filt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ensuring that the filter is not caught by the rear edge of the inlet. do.

또한, 유도부에서는, 돌기부만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는 종래대로 캐비넷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한다. 그리고, 이동 경로가, 상기 필터의 좌우 양측부를 캐비넷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유지 레일로 구성되고, 각 유지 레일은, 상기 필터 표면측에 위치하는 외부 레일과, 필터 이면측에 위치하는 내부 레일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유지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부 레일에, 상기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전방 위치에서 내부 레일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기부가 유도부로 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employ | adopt only a protrusion part in an induction part. In this case,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along the cabinet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before. And a movement path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holding rails which hold | maintain both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aid filter so that the cabinet can move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d each holding rail is an outer rail located in the said filter surface side, and a filter back side The inner rail which is located in the at least one of the said pair of holding rails, the protrusion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ner rail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rear edge of the said inlet port is formed, The protrusion part is comprised You can do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를 캐비넷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한 채로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삽입 선단 전체가 동시에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돌기부는 좌우 유지 레일의 양쪽 외부 레일에 형성할 수도 있고, 한쪽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ojection is formed while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parallel to the cabinet left and right, so that the entire insertion end of the filter passes through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at the same time.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both outer rails of the left and right holding rails or may be formed on one si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에는 흡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는 흡입 그릴을 형성하지 않고, 필터를 이동 경로에 삽입할 때에, 필터의 삽입 선단이 흡입구의 단부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시키면서도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필터가 이동 경로 도중에 걸리지 않고소정 위치까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한 공기 조화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ction port is not provided with the suction grill which covers the suction port as a whole, whe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path, an induction part is provided which guides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ir conditioner which is capable of smoothly mov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reducing the cost,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and without the filter being caught in the moving pa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내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실내기를 더욱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내기의 평면도.
도 7은,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가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실내기의 평면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필터의 사시도.
도 9는,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필터를 삽입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필터가 돌기부를 타고 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필터가 경사부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4의 배면판에서 드레인 팬 및 가로 루버를 추가로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내기의 횡단면도.
도 14는, 실내기의 배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in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
6 is a plan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n indoor unit showing a form in which the rear end edges of the suction ports are differen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in FIG. 2,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is inserted.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passes over the protrusion. FIG.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in FIG. 2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lter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pan and the horizontal louver are further removed from the back plate of FIG. 4.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14 is a rear view of the indoor unit.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하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내기를 상방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실내기의 A-A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viewed from below,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1 viewed from abov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of FIG. 2, respectively.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는, 열교환기(1) 및 팬(2)을 구비하고, 이들이 캐비넷(3)에 내장되어 있다. 캐비넷(3)의 천장면에 흡입구(4)가 형성되고, 캐비넷(3)의 전방면 하부에 분출구(5)가 형성된다. 캐비넷(3)의 내부에는, 흡입구(4)로부터 분출구(5)에 이르는 공기 통로(6)가 형성되고, 이 공기 통로(6)에 열교환기(1)와 팬(2)이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1-3, the indoor unit is equipped with the heat exchanger 1 and the fan 2, and these are integrated in the cabinet 3. As shown in FIG. The suction port 4 is formed i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3, and the jet port 5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3. In the cabinet 3, an air passage 6 from the intake port 4 to the blowout port 5 is formed, and the heat exchanger 1 and the fan 2 are disposed in the air passage 6.

흡입구(4)와 열교환기(1) 사이에는 필터(7)가 배치되고, 흡입구(4)에서 흡입한 실내 공기에서 진애를 제거한다. 분출구(5)의 전방면에는 가로 루버(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분출구(5)에서 분출하는 바람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로 루버(8)의 상류측에, 세로 루버(15)가 설치된다. 세로 루버(15)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한다. 세로 루버(15)에 의해, 좌우 방향의 풍향이 바뀐다. A filter 7 is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ort 4 and the heat exchanger 1 to remove dust from the indoor air sucked in the intake port 4. The horizontal louver 8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jet port 5, and the direction of the wind which blows off from the jet port 5 can be changed to an up-down direction. The vertical louver 15 is provided upstream of the horizontal louver 8. The vertical louver 15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vertical louver 15 changes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내기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가 실외에 설치되어 있다. 실외기에는, 압축기, 열교환기, 사방 밸브, 실외 팬 등이 내장되고, 이들과 실내측의 열교환기(1)에 의해 냉동 사이클이 형성된다. 그리고, 냉동 사이클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실내기에 설치된다.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지시 및 실외나 외부 기온을 검출하는 온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냉동 사이클을 제어하고, 냉난방 운전을 한다. 이때, 제어 장치는, 냉난방 운전에 따라, 팬 모터의 구동 및 가로 루버(8)의 개폐를 제어한다. In the air conditioner, an outdoor unit not shown for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outdoors.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a heat exchanger, a four-way valve, an outdoor fan, and the like, and a refrigeration cycle is formed by these and the heat exchanger 1 on the indoor side. And the control apparatus which controls a refrigerating cycle is installed in an indoor unit. Th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microcomputer controls the refrigeration cycle and performs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based on a user's instruction and detection signals of various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outdoor or external temperatures. 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and the opening / closing of the horizontal louver 8 in accordance with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도 4는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3)은, 베이스가 되는 배면판(9), 우측 커버(10), 좌측 커버(11) 및 전방면 패널(12)로 분해할 수 있고, 캐비넷(3)의 천장면에는 이들 부재로 둘러싸인, 좌우 방향으로 긴 개구가 형성된다. 이 개구의 좌우 방향 중앙에는 필터 가이드 부재(13)가 설치된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As shown. The cabinet 3 can be disassembled into a back plate 9, a right cover 10, a left cover 11 and a front panel 12 serving as a base,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3 includes these members. An enclosed, long open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The filter guide member 13 is provi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center of this opening.

이에 의해, 상기 개구는 좌우로 2 분할되어, 흡입구(4, 4)가 좌우 한쌍으로 형성된다. 흡입구(4, 4)마다 필터(7, 7)가 배치된다. 또한, 필터 가이드 부재(13)를 사용하지 않고 1개의 흡입구를 1장의 필터로 덮을 수도 있고, 복수의 필터 가이드 부재(13)를 사용해서 3 이상의 흡입구로 분할할 수도 있다. Thereby, the opening is divided into two at the left and right, and the suction ports 4 and 4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pairs. Filters 7 and 7 are arranged for each of the inlets 4 and 4. In addition, one inlet can be covered with one filter without using the filter guide member 13, and it can also divide into three or more inlet using the some filter guide member 13. As shown in FIG.

전방면 패널(12)은 상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흡입구(4)에는, 흡입구(4) 전체를 덮는 흡입 그릴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흡입구(4)는 개구인 채로 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4)의 전방측 부분에는 흡입구(4)를 눈에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전방 그릴(14)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흡입구(4)의 개구는, 사용자로부터는 전방 그릴(14)에 차단되어 눈에 보이지 않고 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The front panel 12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about a rotating shaft (not shown) formed thereon. The suction grille 4 which covers the whole suction port 4 is not formed in the suction port 4, and the suction port 4 remains an opening. In addition, the front grille 14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suction port 4 so as to make the suction port 4 invisible. As a result, the opening of the suction port 4 is blocked by the front grille 14 from the user and is not visible and does not damage the aesthetics.

필터(7)는, 이동 경로(19)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동 경로(19)는 캐비넷(3)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동 경로(19)의 전단부에는 필터(7)가 출입하는 출입구(20)가 형성되고, 후단부는 배면판(9)의 정상부에 맞부딪치게 형성된다. 출입구(20)는, 전방면 패널(12)을 개방한 실내기의 정면 상부에 형성된다. 이동 경로(19)는, 출입구(20)에서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기(1)를 따라 흡입구(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흡입구(4)에 도달한 후에는 배면판(9)에 이르기까지 캐비넷(3)의 천장면 내면을 따라 형성된다. The filter 7 makes the movement path 19 movable. The movement path 19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3, the front end of the movement path 19 is formed with the entrance and exit 20 through which the filter 7 enters, and the rear end of the rear plate 9 It is formed to face the top. The doorway 20 is formed i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indoor unit which opened the front panel 12. FIG. The movement path 19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let port 4 along the heat exchanger 1 formed in the inverted V shape at the doorway 20, and after reaching the inlet port 4, the rear plate 9 is provided. It is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3).

이동 경로(19)는, 필터(7)의 좌우 양측부를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유지 레일(21, 22)에 의해 구성된다. 유지 레일(21)은, 필터 가이드 부재(13)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지 레일(22)은, 흡입구(4)에 임하는 우측 커버(10) 및 좌측 커버(11) 각각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흡입구(4, 4)에서는, 유지 레일(21, 22)의 위치가 좌우 반대가 된다. 유지 레일(21 및 22)은, 각각 외부 레일(23)과 내부 레일(24)을 구비하고 있고, 외부 레일(23)과 내부 레일(24)의 사이에 필터(7)의 측부가 유지된다. 또한, 필터 가이드 부재(13)의 표면, 즉, 외부 레일(23)의 표면은, 캐비넷(3)의 천장면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The movement path 19 is comprised by the left and right pair of holding rails 21 and 22 which hold | mainta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7. The holding rails 21 are form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filter guide member 13, and the holding rails 22 are along the edges of the right cover 10 and the left cover 11 facing the inlet 4. Formed. Therefore, in the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4 and 4, the positions of the holding rails 21 and 22 are reversed left and right. The holding rails 21 and 22 are provided with the outer rail 23 and the inner rail 24, respectively, and the side part of the filter 7 is hold | maintained between the outer rail 23 and the inner rail 2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filter guide member 13, ie, the surface of the outer rail 23, constitutes a part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3.

유지 레일(21 및 22)의 외부 레일(23)은, 전후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고, 외부 레일(23)의 전방측은 전방 그릴(13)의 하면 부분으로 구성되고, 후방측은 캐비넷(3)의 천장면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동 경로(19)는, 흡입구(4)의 후방측에서는 흡입구(4)에 접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7)의 삽입 선단에 산모양의 굴곡 변형부(X1, X2) 등이 존재하면, 이 변형 부분(X1, X2)이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에 접촉하게 된다. The outer rail 23 of the holding rails 21 and 22 has a structure divided back and forth, the front side of the outer rail 23 is compose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front grill 13, and the rear side of the cabinet 3 It is constructed by the ceiling surface. In this way, the movement path 19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uction port 4 at the rear side of the suction port 4. Therefore, as shown in FIG. 8, when the mountain-shaped bend deformation parts X1, X2, etc. exist at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7, these deformation parts X1, X2 are the rear end edge 25 of the suction port. ).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령 필터(7)의 삽입 선단에 변형 부분(X1, X2) 등이 존재해도, 필터(7)의 삽입 선단이 흡입구(4)에 걸려서 필터(7)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도록 이동 경로(19)로 유도하는 유도부를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도부에서, 캐비넷(3)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 형성된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와, 외부 레일(23)에 형성된 돌기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 및 돌기부(2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X1, X2 etc. exist in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7, for example,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7 is caught by the inlet 4, and movement of the filter 7 is not inhibited. In order to guide the moving path 19 is installed. 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rear end edge 25 of the suction port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3 and a protrusion 26 formed on the outer rail 23. Hereinafter, the trailing edge 25 and the projection 26 of the suction po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는 캐비넷(3)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의 좌우 코너부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캐비넷 전방면에 편파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흡입구(4, 4)에 형성되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의 기울기의 방향은, 외관상 디자인의 관점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rear end edge 25 of the suction por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binet 3. That is,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rear end edge 25 of the inlet port is polarized on the cabinet front side than the other sid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rear end edge 25 of the suction inle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4 and 4 is formed symmetrically from a viewpoint of an external appearance.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흡입구(4)에서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의 좌측 코너부가 전방측 코너부(25a)(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좌우 코너부 중 캐비넷 전방면에 가까운 쪽의 코너부)가 되고, 우측의 흡입구(4)에서는,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의 우측 코너부가 전방측 코너부(25a)가 된다.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의 형상은,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경사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할 수 있는 외에, 별도의 형태로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in the inlet 4 on the left side, the left corner of the rear end rim 25 of the inlet is the front corner 25a (the corner near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among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rear end of the inlet). In the inlet 4 on the right side, the right corner of the rear edge 25 of the inlet becomes the front corner 25a. The shape of the rear end edge 25 of the intake por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an be made into a smooth curved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shown as another form, for example, in FIG. 7. As mention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it linear.

흡입구(4)에 대하여 그 후단부 테두리(25)를 경사지게 형성하면, 그만큼, 개구 면적은 작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래 직사각 형상인 흡입구(4)의 형상과, 경사 형성된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와의 사이에 보조 그릴(16)을 형성하고, 흡입구(4)의 개구 면적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조 그릴(16) 및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25)는, 배면판(9)에 일체 성형되고 있지만, 배면판(9)과는 별체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f the rear end edge 25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port 4, the opening area becomes small by that amou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grille 16 is formed between the shape of the intake port 4 which is origin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trailing edge 25 of the inclined intake port, and secures the opening area of the intake port 4; I'm trying to. In addition, although the auxiliary grille 16 and the rear end edge 25 of the suction port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back plate 9,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separately from the back plate 9.

도 9 내지 도 1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6)는, 전방측 코너부(25a)의 측에 위치하는 유지 레일의 외부 레일(23)에 있어서, 전방측 코너부(25a)의 전방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흡입구(4, 4)모두 유지 레일(22, 22)에 돌기부(26)가 형성된다. 또한, 돌기부(26)는, 필터(7)의 측부를 밀어 내려서 외부 레일(23)에서 이격된 상태로 전방측 코너부(25a)를 통과시킴으로써 필터(7)가 원활하게 돌기부(26)를 타 넘을 수 있도록 돌기부에 슬로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의 흡입구(4, 4)에 형성되는 유지 레일(22, 22)은, 형상이 서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9-11 and 3, the projection part 26 is a front side corner part 25a in the outer rail 23 of the holding rail located in the side of the front side corner part 25a. Is formed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In this embodiment, the projection part 26 is formed in the holding | maintenance rails 22 and 22 for both the suction ports 4 and 4 of right and left. In addition, the projection part 26 pushes down the side part of the filter 7, and passes the front corner part 25a in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outer rail 23, and the filter 7 smoothly hits the projection part 26. It is desirable to form slopes in the projections so that they can pass. The holding rails 22 and 22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uction ports 4 and 4 are symmetrical in shape.

또한, 더욱 원활하게 필터(7)가 돌기부(26)를 타 넘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터(7)의 측부 선단에도 슬로프부(2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7)의 측부 선단 및 돌기부(26)의 양쪽에 슬로프를 형성하고 있다(도 8 참조). In addition, the slope portion 27 is preferably formed at the tip of the side of the filter 7 so that the filter 7 can smoothly pass over the protrusion 26. In the present embodiment, slopes are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filter 7 and the projections 26 (see FIG. 8).

또한, 돌기부(26)는 소정 높이인 것을 하나 형성할 수도 있고, 돌기부(26)를 복수 형성해서 단계적으로 소정 높이까지 높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적으로 높이를 높게 한 3개의 돌기부(26a. 26b 및 26c)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26)를 복수 형성하면, 필터(7)가 각 돌기부(26)에 접촉할 때마다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part 26 may form one of predetermined heights, and may form the plurality of protrusion parts 26, and may raise it to predetermined height step by step. In this embodiment, the three protrusion parts 26a. 26b and 26c which made height high step by step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26 are formed, vibration occurs whenever the filter 7 contacts each of the protrusions 26.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측부 가까이에 변형부(X2)가 발생한 경우에, 진동에 의해, 변형부(X2)를 가능한 한 필터(7)의 중앙(변형부(X1)의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방측 코너부(25a)에서 변형부(X2)가 걸릴 위험성을 가능한 한 낮춘 후에, 필터(7)의 측부를 밀어 내려서 전방측 코너부(25a)를 통과시킬 수 있다. Thereby, as shown in FIG. 8, when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X2 generate | occur | produces near the filter side part,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X2 is moved as much as possible to the center of the filter 7 (deformation part X1) by vibration. Position). As a result, after reducing the risk of catching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X2 in the front side corner part 25a as much as possible, the side part of the filter 7 can be pushed down and it can pass through the front side corner part 25a.

또한, 돌기부(26)는, 배면판(9)과 좌우 커버가 접합하는 접합면보다도 전방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면판(9)과, 좌우 커버와의 접합면은, 유지 레일(22)의 이음매가 된다. 이 부분에서는, 간극이나 단차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필터(7)의 삽입 선단(30)이 걸릴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돌기부(26)를 상기 접합면의 전방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필터(7)는, 전방측 코너부(25a) 뿐만 아니라, 상기 접합면과의 접촉도 피할 수 있고, 걸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ojection part 26 in front of the joining surface which the back plate 9 and the left and right cover join. That is, the joining surface of the back plate 9 and the left and right covers becomes a joint of the holding rail 22. In this part, a gap and a step are likely to occur, so there is a danger of catching the insertion tip 30 of the filter 7. Therefore, by arranging the projections 26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joining surface, the filter 7 can avoid contact with not only the front corner 25a but also the joining surface, and prevent the latching in advance. Can be.

도 9 내지 도 11 및 도 3에, 좌측의 흡입구(4)에 있어서의 배면판(9)과 좌측 커버(11)와의 접합면(17)을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돌기부 중 가장 후방에 위치하는 돌기부(26c)가 접합면(17)을 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흡입구(4)에 있어서의 배면판(9)과 우측 커버(10)와의 접합면(18)은, 전방측 코너부(25a)의 직전 위치에 형성된다(도 6 참조). 따라서, 돌기부(26)는 접합면(18)보다도 전방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이 접합면(18)에서의 필터(7)의 걸림도 피할 수 있다. 9-11 and 3 show the joint surface 17 of the back plate 9 and the left cover 11 in the suction port 4 on the left side.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part 26c located in the back of three protrusion parts is formed so that the bonding surface 17 may be exceeded. Moreover, the joining surface 18 of the back plate 9 and the right cover 10 in the right suction port 4 is formed in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front side corner part 25a (refer FIG. 6). Therefore, since the projection part 26 is formed in the front position rather than the joining surface 18, the engagement of the filter 7 in this joining surface 18 can also be avoid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7)는, 필터망(28)과 필터 프레임(29)이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로 제조된 필터이며, 대형일수록, 잔류 응력에 의해 필터의 삽입 선단(30)에 산모양의 굴곡 변형부(X1)나 산모양의 굴곡(X2)이 발생되기 쉽다. As shown in Fig. 8, the filter 7 is a filter made of a resin in which the filter net 28 and the filter frame 29 are integrally molded. The larger the size, the larger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due to residual stress ( It is easy to generate | occur | produce mountain-shaped bending deformation | transformation part X1 and mountain-shaped bending X2 in 30).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필터(7)를 이동 경로(19)의 출입구(20)에서 삽입해서 소정 위치에 세트할 때까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2에 있어서의 실내기의 A-A 단면도다. The air conditioner of the said structure WHEREIN: The filter 7 is demonstrated until it inserts in the entrance 20 of the movement path 19, and sets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9-11 is A-A sectional drawing of the indoor unit in FIG.

우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면 패널(12)을 개방해서 실내기의 정면 상부에 나타난 출입구(20)에서 필터(7)를 이동 경로(19) 내부에 삽입한다. 필터(7)는, 이동 경로(19) 내부를 열교환기(1)를 따라 흡입구(4)를 향해 이동한다. First, as shown in FIG. 9, the front panel 12 is opened and the filter 7 is inserted in the movement path 19 in the entrance 20 shown in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unit. The filter 7 moves inside the movement path 19 along the heat exchanger 1 toward the inlet 4.

필터(7)의 삽입 선단(30)이 흡입구(4)의 내면에 도달한 후, 즉, 외부 레일(23)에 도달한 후에는 외부 레일(23)에 접촉하면서, 흡입구(4)를 따라 캐비넷(3)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측 코너부(25a)의 전방에 형성된 돌기부(26)에 접촉한다. After the insertion tip 30 of the filter 7 rea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4, ie after reaching the outer rail 23, it contacts the outer rail 23, along the cabinet along the inlet 4. It moves to the rear of (3), and contacts the protrusion part 26 formed in front of the front side corner part 25a.

돌기부(26a, 26b 및 26c)는, 그 높이가 단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각 돌기부(26a, 26b 및 26c)의 필터(7)와의 접촉면에 슬로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7)의 측부의 선단에는 슬로프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필터(7)의 측부는, 각 돌기부(26a, 26b 및 26c)를 원활하게 타 넘을 수 있고, 또한, 각 돌기부(26a, 26b 및 26c)를 타 넘을 때에 진동을 발생한다. The protrusions 26a, 26b and 26c are formed so that the height thereof is increased step by step, and a slope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ilter 7 of each of the protrusions 26a, 26b and 26c. Moreover, the slope part 27 is form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side part of the filter 7. For this reason, the side part of the filter 7 can pass smoothly over each projection part 26a, 26b, and 26c, and generate | occur | produces a vibration when passing over each projection part 26a, 26b, and 26c.

돌기부(26)를 타 넘은 필터(7)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6)에 의해 밀어 내릴 수 있고, 외부 레일(23)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전방측 코너부(25a)의 하방을 통과한다. 또한, 돌기부(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레일(22)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유지 레일(21)에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filter 7 which has crossed the protrusion part 26 can be pushed down by the protrusion part 26,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rail 23 of the front corner part 25a. Pass down. In addition, although the protrusion part 26 is formed only in the holding rail 22 as mentioned above, you may form in the holding rail 21. As shown in FIG.

내부 레일(24)에는, 전방측 코너부(25a)의 후방 위치에 서서히 외부 레일(23)과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 경로(19)의 후단부에는, 경사부(31)에 연속해서 필터(7)의 삽입 선단(30)을 끼워 맞출 수 있는 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inner rail 24, the inclination part 31 is formed in the position back of the front corner part 25a so that the distance with the outer rail 23 may become narrow gradually. Moreover, the groove part 32 which can fit the insertion tip 30 of the filter 7 continuously in the inclined part 31 is formed in the rear end part of the movement path 19. As shown in FIG.

따라서, 전방측 코너부(25a)를 통과한 필터(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31)에 접촉해서 홈부(32)까지 유도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7)의 삽입 선단(30)이 홈부(32)에 끼워 맞춰서 고정된다. Therefore, the filter 7 which passed the front side corner part 25a is led to the groove part 32 by contacting the inclination part 31, as shown in FIG. And finally,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tip 30 of the filter 7 is fitted to the groove part 32, and is fixed.

이동 경로(19)는, 전방측은 출입구(20)에서 종료되고 있지만, 유지 레일(21, 22)의 내부 레일(24)은, 그대로 열교환기(1)의 전단부(1a)까지 연장되어 완만하게 호를 그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 경로(19)에 도입되지 않은 필터(7)의 후방측은, 내부 레일(24)에 유지된다. 필터(7)의 후단부는, 탄성 변형에 의해 만곡시키면서 열교환기(1)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 팬(33)에 삽입하도록 해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조작에 의해, 필터(7)가 공기 통로(6)에 있어서의, 흡입구(4)와 열교환기(1)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다. The movement path 19 is terminated at the front door at the doorway 20, but the inner rail 24 of the retaining rails 21 and 22 extends to the front end portion 1a of the heat exchanger 1 as it is and smoothly. It is formed to draw an arc. And the back side of the filter 7 which was not introduce | transduced into the movement path 19 is hold | maintained by the inner rail 24. As shown in FIG. The rear end of the filter 7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pan 33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t exchanger 1 while being curved by elastic deformation. By the above operation, the filter 7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ake port 4 and the heat exchanger 1 in the air passage 6.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넷(3)은, 일체 성형된 대형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 부재로 구성된 조립식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형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cabinet 3 is a prefabricated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without using a large-size molded body. Thereby, productivity can be kept favorable, without requiring a large metal mold | die.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비넷(3)이 조립식이므로 캐비넷(3) 내에 수용되는 열교환기(1)나 팬(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9)의 내면 좌우에 형성된 지지부(40, 41)를 통해서 배면판(9)에 설치된다. 따라서, 배면판(9)의 지지부(40, 41)에는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배면판(9)의 좌우에 각각 큰 하중이 가해지면, 배면판(9)의 강성이 약할 경우에는, 좌우에서 비틀림이 발생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abinet 3 is a prefabricated type, the heat exchanger 1 and the fan 2 accommodated in the cabinet 3 are the support part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 of the back plate 9 as shown in FIG. It is attached to the back plate 9 via 40 and 41. Therefore,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support parts 40 and 41 of the back plate 9. In this way,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plate 9, when the rigidity of the back plate 9 is weak, torsion occur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9)의 상부에, 캐비넷(3)의 좌우 방향으로 연속한 요철 형상을 갖는 요철부(42)를 형성해서 배면판(9) 전체의 강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요철부(42)를 구성하는 각 오목부(43)에는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요철부(42)는, 배면판(9)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3a)와, 배면판(9)의 외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3b)가 교대로 반복하도록 해서 형성된다. 즉, 배면판(9)을 내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43a)에 인접한 볼록부가, 배면판(9)의 외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3b)가 된다. 또한, 배면판(9)을 외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43b)에 인접한 볼록부가, 배면판(9)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3a)가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FIG. 13, and FIG. 14, the uneven | corrugated part 42 which has an uneven shape continuou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3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ck plate 9 It forms so that the rigidity of the whole back plate 9 may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rib in each of the recesses 43 constituting the uneven portion 42 in that the rigidity can be further increased. The uneven portion 42 is formed by alternately repeating the concave portion 43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ck plate 9 and the concave portion 43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ack plate 9. That is, when the back plate 9 is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the convex portion adjacent to the concave portion 43a becomes the concave portion 43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ack plate 9. Moreover, when the back plate 9 is seen from the outer surface side, the convex part adjacent to the recessed part 43b becomes the recessed part 43a formed i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ck plate 9.

리브의 형태에 대해서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리브(44),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리브(45) 또는 격자 형상의 리브(46)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격자 형상 리브(46)에 대해서는, 리브를 종횡 방향으로 형성하면, 배면판의 종횡 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브를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하면 배면판의 좌우의 비틀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s for the shape of the ribs, the longitudinal ribs 4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rizontal ribs 4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grid-shaped ribs 46 can be appropriate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lattice ribs 46, the rib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hereby the longitudinal and stiffness of the back plate can be improved. When the ribs ar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he tors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plat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각 오목부(43)에 형성하는 리브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세로 리브(44), 가로 리브(45) 및 격자 형상 리브(46)를 밸런스 좋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9)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3a)에는 모두 격자 형상 리브(4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격자 형상 리브(46) 중, 필터 가이드 부재(13)가 설치되어 있는 중앙의 오목부(43a)에는 리브를 종횡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밖의 오목부(43a)는 모두 리브를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Although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about the kind of rib formed in each recessed part 43,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ongitudinal rib 44, the horizontal rib 45, and the lattice rib 46 in a balanced manner.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nd FIG. 13, the lattice ribs 46 are all formed in the recess 43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ck plate 9. Further, among the lattice ribs 46, ribs are formed in the central concave portion 43a where the filter guide member 13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all the other concave portions 43a are inclined at an angle to the rib. Forming.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판(9)의 외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43b)에는 세로 리브(44)와 가로 리브(45)를 직교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들의 리브를 밸런스 좋게 형성함으로써, 배면판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and 14, the vertical ribs 44 and the horizontal ribs 45 are orthogonal to the recess 43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ack plate 9. By forming these ribs in a balanced manner, the rigidity of the entire back plate can be improved.

<산업상 이용가능성> 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은, 캐비넷 흡입구의 내면측에 필터가 배치된 구성의 공기 조화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lter is arranged on an inner surface side of a cabinet suction port.

1 : 열교환기
2 : 팬
3 : 캐비넷
4 : 흡입구
5 : 분출구
6 : 공기 통로
7 : 필터
8 : 가로 루버
9 : 배면판
10 : 우측 커버
11 : 좌측 커버
12 : 전방면 패널
13 : 필터 가이드 부재
14 : 전방 그릴
15 : 세로 루버
16 : 보조 그릴
17 : 배면판과 좌측 커버와의 접합면
18 : 배면판과 우측 커버와의 접합면
19 : 이동 경로
20 : 출입구
21 : 유지 레일
22 : 유지 레일
23 : 외부 레일
24 : 내부 레일
25 :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
25a : 전방측 코너부
26 : 돌기부
27 : 슬로프부
28 : 필터망
29 : 필터 프레임
30 : 삽입 선단
31 : 경사부
32 : 홈부
33 : 드레인 팬
40 : 지지부
41 : 지지부
42 : 요철부
43 : 오목부
44 : 세로 리브
45 : 가로 리브
46 : 격자 형상 리브
1: heat exchanger
2: fan
3: cabinet
4: suction port
5: spout
6: air passage
7: filter
8: horizontal louver
9: back plate
10: right cover
11: left cover
12: front panel
13: filter guide member
14: Front Grill
15: vertical louver
16: auxiliary grill
17: joining surface of the back plate and the left cover
18: joining surface of the back plate and the right cover
19: travel path
20: doorway
21: retaining rail
22: retaining rail
23: outer rail
24: inner rail
25: rear edge of inlet
25a: front corner
26: protrusion
27: slope part
28: filter network
29: filter frame
30: insertion tip
31: inclined portion
32: groove
33: drain pan
40: support part
41: support part
42: uneven portion
43: recess
44: vertical rib
45: horizontal rib
46: grid-shaped rib

Claims (4)

공기 조화기로서,
캐비넷의 천장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캐비넷의 흡입구의 내면측에 배치된 필터와, 상기 필터를 삽입 분리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에는 흡입구를 전체적으로 덮는 흡입 그릴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필터를 상기 이동 경로에 삽입할 때에, 상기 필터의 삽입 선단이 상기 흡입구의 단부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유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As an air conditioner,
A suction port form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binet, a filt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ction port of the cabinet, and a movement path for inserting and detaching the filter in a detachable manner, wherein the suction port has no suction grill covering the suction port as a whole. And an induction part which guides the insertion tip of the filter so as not to be caught by an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whe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캐비넷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넷은,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가 캐비넷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 테두리가 상기 유도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ement path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the cabinet,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ear end edge is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필터의 좌우 양측부를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유지 레일로 구성되고, 각 유지 레일은, 상기 필터 표면측에 위치하는 외부 레일과, 필터 이면측에 위치하는 내부 레일을 갖고, 상기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좌우 코너부 중, 캐비넷 전방면에 가까운 쪽 코너부측에 위치하는 유지 레일의 외부 레일에, 상기 코너부의 전방 위치에서 내부 레일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 테두리에 추가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유도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ement path is constitu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holding rails holding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filter, each holding rail has an outer rail located on the filter surface side and an inner rail located on the filter back side, Of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rear end edge of the suction port,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position of the corner toward the inner rail is formed on an outer rail of the retaining rail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rner near the cabinet front face.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the induction portion, in addition to an 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상기 필터의 좌우 양측부를 캐비넷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유지 레일로 구성되고, 각 유지 레일은, 상기 필터 표면측에 위치하는 외부 레일과, 필터 이면측에 위치하는 내부 레일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유지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부 레일에, 상기 흡입구의 후단부 테두리의 전방 위치에서 내부 레일을 향해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유도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ement path is constitu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retaining rails which hol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so as to be movable in the cabinet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each retaining rail is formed on an outer rail positioned at the filter surface side and a filter back side. The inner rail which is located, The projection which protrudes toward the inner rail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rear edge of the said inlet port is formed in the at least one outer rail of the said pair of holding rails, The said projection part became the said induction part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7028213A 2009-09-09 2010-08-09 Air conditioner KR1013469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8471A JP4713658B2 (en) 2009-09-09 2009-09-09 Air conditioner
JPJP-P-2009-208471 2009-09-09
PCT/JP2010/063488 WO2011030643A1 (en) 2009-09-09 2010-08-09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107A true KR20120016107A (en) 2012-02-22
KR101346900B1 KR101346900B1 (en) 2014-01-15

Family

ID=4373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213A KR101346900B1 (en) 2009-09-09 2010-08-09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13658B2 (en)
KR (1) KR101346900B1 (en)
CN (1) CN102472524B (en)
WO (1) WO201103064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6056B2 (en) * 2012-01-17 2016-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Air conditioner
US20180135882A1 (en) * 2015-08-21 2018-05-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0976072B2 (en) * 2017-04-05 2021-04-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7270390B (en) * 2017-06-07 2020-04-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07461820B (en) * 2017-09-26 2019-12-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Filter screen support frame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7105127B2 (en) 2018-07-30 2022-07-22 株式会社コロナ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717B2 (en) * 1995-04-27 2003-0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ir conditioner
JPH11276827A (en) * 1998-03-31 1999-10-12 Sharp Corp Air filter of air conditioner
CN100370182C (en) * 2004-08-25 2008-02-20 三洋电机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2006090694A (en) * 2004-08-25 2006-04-06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JP4876590B2 (en) * 2006-01-19 2012-02-1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Air conditioner
JP4965227B2 (en) * 2006-11-02 2012-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4309450B2 (en) * 2007-12-13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0643A1 (en) 2011-03-17
CN102472524A (en) 2012-05-23
JP2011058719A (en) 2011-03-24
KR101346900B1 (en) 2014-01-15
CN102472524B (en) 2014-07-16
JP4713658B2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900B1 (en) Air conditioner
US11408636B2 (en) Air guide grille, air inlet panel and air conditioner
EP3623717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conditioner
KR102283550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11202896A (en) Air conditioner
US9175899B2 (en) Air conditioner
JP5968238B2 (en) Air conditioner floor type indoor unit
JP652370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5937363B2 (en)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6579683B2 (en) Air conditioner
JP2014145542A5 (en)
JP5786740B2 (en) Indoor unit
KR100717339B1 (en) Air conditioner
CN203687309U (en) Air outlet panel and cabinet air conditioner
KR100814026B1 (en) Air Conditioner
JP2012225572A (en) Air conditioner
CN212390596U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2835706U (en) Split-type air conditioner and inner machine thereof with guide elements
JP5956163B2 (en) Air conditioner
JP5515502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3740021B2 (en) Panel structure of an out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JP5953814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JP6200547B2 (en) Wind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30604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780406B2 (en)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