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888A -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888A
KR20120015888A KR1020100078396A KR20100078396A KR20120015888A KR 20120015888 A KR20120015888 A KR 20120015888A KR 1020100078396 A KR1020100078396 A KR 1020100078396A KR 20100078396 A KR20100078396 A KR 20100078396A KR 20120015888 A KR20120015888 A KR 2012001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providing
user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천용
정태운
김인근
정유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888A/ko
Priority to US13/037,928 priority patent/US20120040686A1/en
Priority to EP11165648A priority patent/EP2421227A1/en
Publication of KR2012001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단말기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지역의 컨텐츠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e-book 리더 등과 같은 휴대용단말기는 e-book과 같은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휴대용단말기는 여러 경로를 통해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데, 특히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이하, "컨텐츠제공장치"라 한다)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휴대용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장치는 통상적으로 국가 등과 같은 지역별로 운영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단말기는, 접속 가능한 컨텐츠제공장치를 특정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로 고정해 두고 있다. 예컨대, 영국에서 판매되는 휴대용단말기는 영국의 컨텐츠제공자(contents provider)가 운영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이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휴대용단말기를 통해서는, 다른 컨텐츠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다양한 지역의 컨텐츠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얻어내는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역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선택된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자동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구매내역 및 남은 다운로드 회수/일자/크레디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은, 현재 지역의 언어, 날짜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지역 별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접속된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제공장치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역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선택된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자동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구매내역 및 남은 다운로드 회수/일자/크레디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은, 현재 지역의 언어, 날짜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지역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접속된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양한 지역의 컨텐츠제공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단말기가 사용되는 환경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도 1 및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의 지역정보와,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의 웹사이트주소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6 내지 8은 도 3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단말기가 사용되는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단말기(1)는 e-book과 같은 컨텐츠의 이용 기능을 가지는 e-book 리더 등과 같은 장치이다. 휴대용단말기(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며, 무선네트워크(2)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용단말기(1)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로서 e-book을, 장치로서 e-book 리더를 그 예로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단말기와, 그 컨텐츠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용단말기(1)는 통신부(11)와, 컨텐츠처리부(12)와, 디스플레이부(13)와, 사용자입력부(14)와, 저장부(16)와, 제어부(17)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무선네트워크(2)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 중 어느 하나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거나, 컨텐츠의 다운로드 시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의 다운로드와 관련한 정보의 송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가 수행하는 통신방식은, 알려져 있는 무선통신방식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그 제한은 없다. 이러한 통신방식의 예로서는, 3G(3rd Generation), WiFi 등을 들 수 있다.
컨텐츠처리부(12)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다. 컨텐츠처리부(12)는 예컨대, 컨텐츠가 e-book인 경우 수신된 e-book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e-book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될 수 있도록 e-book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컨텐츠처리부(12)는 컨텐츠가 그 밖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예: 문서, mp3, 동영상 등)인 경우 그에 맞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컨텐츠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된 컨텐츠의 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의 표시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LCD, OLED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4)는 컨텐츠의 이용, 컨텐츠의 다운로드 등을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다. 사용자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시는 제어부(17)에 전달된다. 사용자입력부(1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키패드방식, 터치패드방식, 터치스크린방식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6)는 다운로드된 컨텐츠의 데이터, 이와 관련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이다. 저장부(16)의 메모리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플래시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6)는 휴대용단말기(1)에 내장될 수도 있고, 휴대용단말기(1)와 분리 가능하며, 사용 시 장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7)는 휴대용단말기(1)의 상기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7)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혹은 특정의 경우 자동적으로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에 접속하여 이를 통해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7)는 사용자의 지시에 대응하여, 다운로드된 컨텐츠에 대하여 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컨텐츠처리부(12)를 제어한다. 제어부(17)는 이와 같은 제어의 수행을 위한 제어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된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의 코드가 로드되는 RAM과 같은 메모리와, 메모리에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1)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는 소정의 컨텐츠제공자에 의해 지역별로 운영된다. 예컨대,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는 각각 영국, 프랑스 및 독일의 컨텐츠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의 참조부호 A, B 및 C는 이들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가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는 지역을 나타낸다.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의 서비스 제공 지역(A, B 및 C)은, 예컨대, 국가 단위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 개의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만을 도시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용단말기(1)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 중에서 휴대용단말기(1)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영국(A)에 있는 경우, 휴대용단말기(1)는 영국의 컨텐츠제공자가 운영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휴대용단말기(1)는 사용자가 사용장소를 옮기는 경우, 옮겨진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영국(A)에 있다가, 프랑스(B)로 사용장소를 옮기는 경우, 휴대용단말기(1)는 컨텐츠제공장치를 영국의 컨텐츠제공자가 운영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로부터 프랑스의 컨텐츠제공자가 운영하는 컨텐츠제공장치(3b)로 변경하여, 변경된 컨텐츠제공장치(3b)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단말기(1)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컨텐츠를, 휴대용단말기(1)가 판매된 지역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보다 넓힐 수 있다. 예컨대, e-book과 같이 언어적으로 다양함을 가진 컨텐츠의 경우에, 어느 특정 언어를 사용하는 특정 국가의 컨텐츠의 이용을 국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의 해당 언어의 컨텐츠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은 더욱 유용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휴대용단말기(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 중에서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접속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한다(51).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동작 51의 구체적인 일례로서,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을 자동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휴대용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얻어내는 위치정보획득부(도 2의 부호 1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획득부(1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정보획득부(15)는 GPS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현재의 휴대용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511). 위치정보획득부(15)에 의해 얻어진 휴대용단말기(1)의 위치정보는 제어부(17)에 전달된다. 제어부(17)는 위치정보획득부(15)에 의해 얻어진 휴대용단말기(1)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파악된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접속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한다(512).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의 접속은, 미리 마련된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속정보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의 웹사이트주소정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역정보("지역A", "지역B", ...)와,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의 웹사이트주소정보 ("www.contentsA.com", "www.contentsA.com", ...)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역정보("지역A", "지역B", ...)와, 웹사이트주소정보("www.contentsA.com", "www.contentsA.com", ...)는 저장부(16)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7)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를 파악할 수도 있다. 도 7 및 8은 도 3에 도시된 동작 51의 구체적인 예로서,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를 수동으로 파악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4)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직접 입력한다(513). 제어부(1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접속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한다(514).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사용자가 현재의 위치정보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역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515). 표시되는 리스트의 지역은 선택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복수의 지역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역을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516). 제어부(17)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접속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한다(517).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접속된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한다(52). 도 5는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의 참조부호 131은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을, 132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를 각각 나타낸다. 제어부(17)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정보(132)를 GUI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GUI의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1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컨텐츠의 정보(132)의 선택을 위하여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132) 중 어느 하나를 하이라이트시킬 수 있다(부호 133 참조).
도시되는 않으나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제어부(17)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접속된 후, 자동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로그인은 접속된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의 컨텐츠제공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로그인이다. 사용자의 로그인에는 사용자ID 및 비밀번호 등이 요구될 수 있으며, 제어부(17)는 사용자의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고,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의 웹사이트에 접속된 경우, 사용자의 로그인에 필요한 정보를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의 진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는 사용자의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해당 웹사이트에서 관리되는 정보로서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휴대용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의 예로서는,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구매내역, 남은 다운로드 회수/일자/크레디트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7)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로부터 전송되는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이 파악된 후, 제어부(17)는 현재의 지역에 대응하여 휴대용단말기(1)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기(1)의 설정의 예로서는, 현재 지역의 언어, 날짜, 시간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컨텐츠의 정보(132)가 설정 변경 후의 현재 지역의 언어 등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의 정보(132)는, 여러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3a, 3b 및 3c)의 컨텐츠제공자 별로 분류(sort)되어 표시되거나, 혹은 현재 접속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정보만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의 정보(132)가 표시되면, 사용자입력부(14)를 통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다(53). 제어부(17)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에 요청하고, 컨텐츠제공장치(3a, 3b 또는 3c)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54).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휴대용단말기
11: 통신부
12: 컨텐츠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사용자입력부
15: 위치정보획득부
16: 저장부
17: 제어부

Claims (22)

  1.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장치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얻어내는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휴대용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휴대용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역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선택된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휴대용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자동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휴대용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휴대용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구매내역 및 남은 다운로드 회수/일자/크레디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휴대용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은, 현재 지역의 언어, 날짜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지역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휴대용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접속된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휴대용단말기.
  12.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제공장치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컨텐츠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입력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역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제공장치 중 상기 선택된 지역에 대응하는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자동으로 사용자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구매내역 및 남은 다운로드 회수/일자/크레디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현재 있는 지역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설정은, 현재 지역의 언어, 날짜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지역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접속된 상기 컨텐츠제공장치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78396A 2010-08-13 2010-08-13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5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96A KR20120015888A (ko) 2010-08-13 2010-08-13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037,928 US20120040686A1 (en) 2010-08-13 2011-03-01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1165648A EP2421227A1 (en) 2010-08-13 2011-05-11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96A KR20120015888A (ko) 2010-08-13 2010-08-13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888A true KR20120015888A (ko) 2012-02-22

Family

ID=4509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396A KR20120015888A (ko) 2010-08-13 2010-08-13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40686A1 (ko)
EP (1) EP2421227A1 (ko)
KR (1) KR201200158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36113T1 (de) * 2014-06-27 2017-08-17 Google Inc. Mobile-Cast-Empfänger für Computer- und Unterhaltungsvorrichtungen
US10149090B2 (en) 2014-06-27 2018-12-04 Google Llc Mobile cast receivers for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s
US9678579B2 (en) * 2014-06-27 2017-06-13 Google Inc. Mobile cast receivers for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9838C (en) * 2002-03-19 2011-02-08 Mapinfo Corporation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er
US7343564B2 (en) * 2003-08-11 2008-03-11 Core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location-based maps on communication devices
JP4274925B2 (ja) * 2003-12-17 2009-06-10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携帯端末および情報配信方法
US20060117020A1 (en) * 2004-12-01 2006-06-01 John Toebes Arrangement for selecting a server to provide distributed services from among multiple servers based on a location of a client device
US7929551B2 (en) * 2006-06-01 2011-04-19 Rovi Solution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dia across a network using a network interface device
WO2010037697A2 (en) * 2008-09-30 2010-04-08 Frederic Sigal Method of producing a directory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0686A1 (en) 2012-02-16
EP2421227A1 (en)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7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biquitous appliance control
US10089094B2 (en) File sharing method, device and mobile equipment
FI121829B (fi) Räätälöidyn sovelluksen tuottaminen käyttäjän päätelaitteelle
US20140108943A1 (en) Method for browsing internet of thing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EP2697712A2 (en) Customized launching of applications
CN107710157A (zh) 多租户、租户特定的应用程序
CN104572059B (zh) 一种修改应用名称的处理方法及装置
US11347264B2 (en) Device for handheld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JP6560065B2 (ja) キッティングシステム、キッティングプログラム、及びキッティング方法
US9942164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thereof
JP500485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更新情報提供方法
KR101370770B1 (ko)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547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
KR20150094863A (ko) 메인앱에서 서브앱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5888A (ko)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10014369A1 (en) Extension of remote frame buffer (rfb) protocol
JP201718213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
JP5530320B2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80981A (ko) 정보 표시 방법, 단말 및 서버
KR100715817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JP20190570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ユーザ端末、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
KR200600303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701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7401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과 단말기 및 그방법
KR20160017872A (ko) 장소에 따라 앱 아이콘 위치를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