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778A -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 Google Patents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778A
KR20120014778A KR1020100076953A KR20100076953A KR20120014778A KR 20120014778 A KR20120014778 A KR 20120014778A KR 1020100076953 A KR1020100076953 A KR 1020100076953A KR 20100076953 A KR20100076953 A KR 20100076953A KR 20120014778 A KR20120014778 A KR 20120014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orous plate
plate unit
rose
bend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6829B1 (en
Inventor
이영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829B1/en
Publication of KR2012001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PURPOSE: A rose plate unit for a drainpipe is provided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by reducing the quantity of components and to prevent a drainpipe from becoming corroded. CONSTITUTION: A rose plate unit(1) for a drainpipe comprises a perforated plate(3) and multiple support bars(5). The perforated plate is composed of a disc plat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let of a drainpipe. Multiple discharge holes(H) are formed in the perforated plate. The support bars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perforated plate. One end of each support bar is bent so that the support bars can be hung on the inlet of the drainpipe.

Description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본 발명은 배수관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배수관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ip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se plate unit for a drain pipe that is installed in the drain pipe of the ship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drain pipe.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 또는 엔진룸 주변의 일부 좁은 구역이나, 갑판을 이루는 각 철판의 두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드레인(DRAIN) 구역에 선적장(SHIPSIDE)으로 직접 배수를 이루도록 배수관이 구성된다. In general, the drain pipe is configured to directly drain to the shipyard in some narrow areas around the ship's residence or engine room, or in the drain area (DRAI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ickness of each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deck.

이러한 배수관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나 세척수 등의 유체가 아닌 자갈이나 큰 이물질이 배수관(100)으로 들어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로즈 플레이트 유닛(110)이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a rose plate unit 110 is usually installed in the drain pipe to prevent cobble or large foreign substances, which are not fluids such as sea water or washing water, from entering the drain pipe 100 and being blocked.

이러한 종래의 로즈 플레이트 유닛(110)은 배수관(100)의 입구부(101) 내측에 다공판(111)이 용접되고, 다공판(111)의 중앙에는 와셔(113)를 개재한 상태로, 배수판(115)이 볼트(117) 체결된다. In the conventional rose plate unit 110, the porous plate 111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101 of the drainage pipe 100, and the drainage plate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orous plate 111 via the washer 113. 115 is fastened to the bolt 117.

이때, 상기 배수판(115)은 그 직경(d2)이 배수관(100)의 내경(d1) 보다 작게 형성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져 와셔(113)를 통하여 상기 다공판(111)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drain plate 115 is made of a disc whose diameter (d2)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drain pipe 100 is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porous plate 111 through a washer 1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o.

따라서, 해수나 세척수 등의 유체가 상기 배수관(10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 비교적 큰 이물질이 유입되면, 상기 배수관(100)의 내주면(103)과 배수판(115) 사이에 먼저 걸러지도록 하여 배수관(100)이 막히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when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fluid such as sea water or washing water through the drain pipe 100, the drain pipe is first filter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03 of the drain pipe 100 and the drain plate 115. Do not block (100).

그러나 종래의 로즈 플레이트 유닛은 다공판(111)이 배수관(100)의 내주면(103)에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과정에 용접 열에 의한 산화로 용접부(W)의 부식이 쉽고, 별도의 배수판(115)을 구비하여 조립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se plate unit, the perforated plate 111 is easily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03 of the drain pipe 100 by welding, and the corrosion of the welding part W is easy due to oxidation by the welding heat. There is a drawback to be assembled with 115).

특히, 종래의 로즈 플레이트 유닛(1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판(111)이 배수관(100)의 입구부(101)에 용접 고정됨에 따라 선박이 항구에 접안 시, 각 배수관(100)에 드레인 방지용 배수관 플러그(200)(SCUPPER PLUG)를 설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rose plate unit 110,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vessel is docked in the port as the porous plate 111 is fixed to the inlet portion 101 of the drain pipe 100, each drain pip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drain preventing drain pipe plug 200 (SCUPPER PLUG) on the 100,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수관의 입구부에 거치되도록 하여 용접에 의한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하고, 구성부품의 수를 줄여 설치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unted on the inlet of the drain pip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drain pipe by welding,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to provide a rose plate unit for the drain pipe for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또한, 배수관의 입구부에 대하여 단순 거치 타입으로 구성되어 설치 및 제거가 쉬워 선박이 항구에 접안 시, 배수관 플러그를 손쉽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rose plate unit for the drain pipe that is configured in a simple mounting type for the inlet of the drain pipe and easy to install and remove, so that the vessel can easily operate the drain pipe plug when docked in the po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관 입구부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으로 구성되며,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다공판; 및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입구부에 걸쳐지도록 일측에 절곡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pipe inlet portion is composed of a disk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the porous plate is formed on the cross-sec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having a bent shape at one side thereof so as to extend along the edge of the porous plate and to cover the inlet of the drain pipe.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three support bars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n edge of the porous plate.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다공판의 단면상에 일단이 용접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ort bar may be fixed to the end of the porous plate by welding.

또한, 상기 절곡형상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을 기준으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는 하나의 절곡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shape may be formed to have one bent point that the other e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with respect to one en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support bar.

또한, 상기 절곡형상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절곡점, 다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점, 및 다시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3절곡점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점과 제3절곡점 사이의 구간이 상기 배수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shape is a first bending point, the other end is b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with respect to one end, the second bending point bent toward the upper side, and again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A third bending point is formed to be bent toward, and a section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int and the third bending point may be formed as a support end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여기서, 상기 제1,제2,제3절곡점은 각 절곡각이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nding points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bending ang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수관 입구부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으로 구성되며,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배출공과 함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및 상기 다공판의 각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배수관의 입구부 내주면에 각 지지단이 지지되어 걸쳐지도록 일측에 3개의 절곡점을 갖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late is made of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inlet, the porous plate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edge portion in the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fastened to each through hole of the porous plate and formed in a bent shape having three bent points on one side so that each support end is supported and spread ov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of the drain pip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다공판의 각 관통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일단부 일측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의 하부에서 너트 체결되도록 상기 일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r may have a support jaw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each through hol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a screw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one end to fasten the nu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또한, 상기 절곡형상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절곡점, 다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점, 및 다시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3절곡점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점과 제3절곡점 사이의 구간이 상기 배수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shape is a first bending point, the other end is b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with respect to one end, the second bending point bent toward the upper side, and again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A third bending point is formed to be bent toward, and a section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int and the third bending point may be formed as the support end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여기서, 상기 제1,제2,제3절곡점은 각 절곡각이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nding points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bending ang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수관의 입구부에 거치되도록 하여 용접에 의한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하고, 구성부품의 수를 줄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to the inlet portion of the drain pip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drain pipe by weld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또한, 배수관의 입구부에 대하여 단순 거치 타입으로 구성되어 설치 및 제거가 쉬우며, 이에 따른 선박이 항구에 접안 시, 배수관 플러그를 손쉽게 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because it is configured as a simple mounting type for the inlet of the drain pipe, when the vessel is docked in the port, it is possible to easily operate the drain pipe plug.

또한, 배수관의 입구부 사이즈에 상관없이 배수관의 내주면에 지지단을 지지한 상태로 다공판과 배수관의 입구부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drain pipe, the gap between the porous plate and the inlet of the drain pipe can be kept constant while the supporting end is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도 1은 일반적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상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다른 적용 상태의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lication of a rose plate unit for a general drain pip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line AA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n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n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10.
12 is a plan view of another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한다.First, a rose plate unit for a drain pi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상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line AA.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다공판(3)과 다수개의 지지바(5)로 구성된다. 3 to 5, the rose plate unit 1 for the drain pi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orous plate 3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5).

다공판(3)은 설치될 배수관(10) 입구부(11) 내경(d1) 보다 직경(d2)이 작은 원판으로 구성된다. The porous plate 3 is composed of a disc whose diameter d2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inlet portion 11 of the drain pipe 10 to be installed.

다공판(3)의 단면상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배출공(H)이 형성된다. On the cross section of the porous plate 3,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are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지지바(5)는 다공판(3)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구성되어 배수관(10)의 입구부(11)에 걸쳐지도록 일측에 절곡형상을 갖는다.The support bar 5 has a bent shape on one side such that it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porous plate 3 so as to span the inlet 11 of the drain pipe 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바(5)를 다공판(3)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120°간격으로 3개를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3개 이상이 설치되어야 그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90°간격으로 4개 혹은 72°간격으로 5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이상은 다공판(3)을 배수관(10)의 입구부(11)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을 벗어나 불필요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support bars 5 a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20 ° along the edge of the porous plate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least three support bars 5 are installed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stably. If necessary, four or five may be installed at intervals of 90 ° or 90 °, but more than the purpose of mounting the perforated plate 3 to the inlet 11 of the drain pipe 10 may be provided. It is unnecessary.

이러한 지지바(5)는 상기 다공판(3)의 단면상에 일단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One end of the support bar 5 is welded and fixed on the end surface of the porous plate 3.

한편, 상기 지지바(5)의 절곡형상은 지지바(5)의 일측을 기준으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는 하나의 절곡점(P1)을 갖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shape of the support bar 5 is one bending point (P1) the other end is bent at a right angle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3 relative to one en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support bar (5) It is formed to have).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에 3개의 지지바(5)를 통하여 걸쳐진 상태로, 자갈이나 입자가 큰 이물질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rose plate unit 1 for drain pi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 a state spanned through three support bars 5 at the inlet part 11 of the drain pipe 10. ,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rain pipe 10 having large gravel or particles.

또한, 다공판(3)을 배수관(10)의 입구부(11)에 용접하지 않고, 3개의 지지바(5)를 통하여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용접열에 의한 산화로 배수관(1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성부품의 수를 줄이게 된다.In addition, the porous plate 3 is not welded to the inlet 11 of the drain pipe 10, but is mounted through the three support bars 5 to prevent corrosion of the drain pipe 10 due to oxidation by welding heat. This reduces the number of components.

또한, 다공판(3)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에 대하여 단순 거치 타입으로 구성되어 설치 및 제거가 쉬우며, 선박이 항구에 접안 시, 배수관 플러그를 손쉽게 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forated plate 3 is configured in a simple mounting type with respect to the inlet portion 11 of the drain pipe 10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when the vessel is docked in the port, the drain pipe plug can be easily operated.

상기 도 5의 미 설명부호 "13"은 배수관(10)의 "내주면"을 지칭한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3 in FIG. 5 refer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10.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한다.Next, a rose plate unit 1 for a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 역시, 하나의 다공판(3)과 3개의 지지바(5)로 구성된다. 6 to 8, the rose plate unit 1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mposed of one porous plate 3 and three support bars 5.

즉,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상기한 하나의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다공판(3)과 지지바(5)를 구성요소로 한다.That is, the rose plate unit 1 for the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the same porous plate 3 and the support bar 5 as one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단, 각 지지바(5)의 절곡형상에 그 차이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ending shape of each support bar (5).

즉,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 지지바(5)의 절곡형상은 일측에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절곡점(P1)을 갖고, 다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점(P2)을 가지며, 이로부터 다시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3절곡점(P3)이 형성된다.That is, the bending shape of each support bar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first bending point (P1) in which one end, the other end is b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3 with respect to one end portion. And a second bending point P2, which is bent upwards again, from which a third bending point P3 is bent outwards.

이때, 상기 제2절곡점(P2)과 제3절곡점(P3) 사이의 구간은 수직구간으로 상기 배수관(10)의 내주면(13)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단(7)으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int (P2) and the third bending point (P3) is formed as a support end (7)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drain pipe 10 in a vertical section. .

또한, 상기 제1,제2,제3절곡점(P1,P2,P3)은 각 절곡각(θ)이 직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bending angles θ is formed at right angl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nding points P1, P2, and P3.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대하여 3개의 지지바(5)가 각 지지단(7)을 통하여 접촉 지지된 상태로, 다공판(3)을 거치하여 다공판(3)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대하여 일정간격(G)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갖는다.As shown in FIG. 8, the rose plate unit 1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ree support bars 5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inlet part 11 of the drain pipe 10. ) Is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upporting end (7), the porous plate (3) through the porous plate (3) a predetermined interval (G)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inlet portion (11) of the drain pipe (10) ), So that it can be kept as it is.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1을 통하여 설명한다.Next, a rose plate unit 1 for a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적용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of an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line CC of FIG. 10.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도 하나의 다공판(3)과 3개의 지지바(5)로 구성된다. 9 to 11, a rose plate unit 1 for a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one porous plate 3 and three support bars 5.

즉,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상기한 하나의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다공판(3)과 지지바(5)를 구성요소로 한다.That is, the rose plate unit 1 for the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ses the same porous plate 3 and the support bar 5 as one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상기 다공판(3)의 세부 구성에 있어서는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경(d1) 보다 직경(d2)이 작은 원판으로 구성되어 단면상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배출공(H)이 형성되는 구성 이외에, 가장자리부를 따라 120°간격으로 3개의 관통홀(9)이 더 형성된다. 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rous plate 3 is composed of a disk of which the diameter (d2)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1) of the inlet portion (11) of the drain pipe (10) to form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radially on the cross sec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three through holes 9 are further formed at 120 ° intervals along the edges.

또한, 상기 지지바(5)의 세부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각 지지단(7)이 지지되어 걸쳐지도록 일측에 3개의 절곡점(P1,P2,P3)을 갖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이외에, 다공판(3)의 각 관통홀(9)에 용접되지 않고, 체결되는 차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ar (5) three bent points (P1, P2) on one side so that each support end (7) is supported and spann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inlet portion (11) of the drain pipe (1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formed in a bent shape with P3,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fastened without being welded to each through hole 9 of the porous plate 3.

즉, 지지바(5)는 다공판(3)의 각 관통홀(9)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일단부 일측에 지지턱(15)이 형성되고, 다공판(3)의 하부에서 너트(19)로 체결되도록 상기 일단부에 나사부(17)가 형성된다.That is, the support bar 5 has a support jaw 15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support bar 5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each through hole 9 of the porous plate 3, and the nut 19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rous plate 3. The screw portion 17 is formed at the one end to be fastened to.

또한,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 지지바(5)의 절곡형상은 상기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 지지바(5)의 절곡형상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bending shape of each support bar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bending shape of each support bar 5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

즉, 일측에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3)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절곡점(P1)을 갖고, 다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점(P2)을 가지며, 이로부터 다시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3절곡점(P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점(P2)과 제3절곡점(P3) 사이의 구간은 수직구간으로 상기 배수관(10)의 내주면(13)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단(7)으로 형성된다. That is, at one side, the other end has a first bending point P1 that is b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3 with respect to one end, and has a second bending point P2 that is bent upwards again. A third bending point P3 is bent toward the outside from the second bending point P3, and a section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int P2 and the third bending point P3 is a vertical section and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10. It is formed of the support end 7 supported in contact with (13).

또한, 상기 제1,제2,제3절곡점(P1,P2,P3)은 각 절곡각(θ)이 직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bending angles θ is formed at right angl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bending points P1, P2, and P3.

이러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대하여 3개의 지지바(5)가 각 지지단(7)을 통하여 접촉 지지된 상태로, 다공판(3)을 거치하여 다공판(3)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대하여 일정간격(G)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은 상기 다른 하나의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1, the rose plate unit 1 for the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ree support bars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inlet part 11 of the drain pipe 10. 5)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upporting end (7), through the porous plate 3, the porous plate (3) is a predetermined interval (inner)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inlet (11) of the drain pipe (10) The function of maintaining G) is the same as that of the other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의 다른 적용 상태의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of another application state of the rose plate unit for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1)은 상기 배수관(10) 이외에 그 입구부(11) 내경의 사이즈가 다른(즉, 좁은) 배수관(10)에 적용되는 경우, 다공판(3)에 대한 3개의 지지바(5)의 체결각도(α)를 조정하여 각 지지바(5)의 지지단(7)이 상기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2, the rose plate unit 1 for a drain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have a drain pipe 10 having a different inner diameter of the inlet portion 11 (ie, narrower) in addition to the drain pipe 10. ), The support end 7 of each support bar 5 is adjusted to the inlet of the drain pipe 10 by adjusting the fastening angle α of the three support bars 5 to the perforated plate 3. (11) It has a function that can be adjusted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이에 따라, 상기 다공판(3)을 배수관(10)에 거치하여 다공판(3)이 배수관(10)의 입구부(11) 내주면(13)에 대하여 일정간격(G)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porous plate 3 is mounted on the drain pipe 10 so that the porous plate 3 maintains a predetermined interval G with respec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 of the inlet portion 11 of the drain pipe 1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로즈 플레이트 유닛 3: 다공판
5: 지지바 7: 지지단
9: 관통홀 10: 배수관
11: 입구부 13: 내주면
H: 배출공 P1,P2,P3: 절곡점
15: 지지턱 17: 나사부
19: 너트
1: rose plate unit 3: perforated plate
5: support bar 7: support group
9: through-hole 10: drain pipe
11: entrance 13: inner circumference
H: Outlet hole P1, P2, P3: Bending point
15: support jaw 17: screw portion
19: Nut

Claims (7)

배수관 입구부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으로 구성되며,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다공판; 및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입구부에 걸쳐지도록 일측에 절곡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A porous plat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inlet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on a cross section; And
Rose plate unit for a drain pi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having a bent shape on one side is formed along the edge portion of the porous plate to span the inlet of the drain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다공판의 단면상에 일단이 용접 고정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ar is
A rose plate unit for a drain pipe, one end of which is welded and fix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porous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상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을 기준으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는 하나의 절곡점을 갖도록 형성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shape is
Rose plate unit for the drain pipe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relative to one en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support bar has one bending point bent at right angles to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상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절곡점, 다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점, 및 다시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3절곡점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점과 제3절곡점 사이의 구간이 상기 배수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지지단으로 형성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shape is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the first bending point is b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with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one end, the second bending point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third bent again to the outside The point is formed, the rose plate unit for a drain pipe,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int and the third bending point is formed as a support end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pipe.
배수관 입구부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으로 구성되며, 단면상에는 다수개의 배출공과 함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및
상기 다공판의 각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배수관의 입구부 내주면에 각 지지단이 지지되어 걸쳐지도록 일측에 3개의 절곡점을 갖는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Comprising a disk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pipe inlet, the cross-section is a porous plate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formed in a bent shape having three bent points on one side to be fastened to each through hole of the perforated plate so that each support end is supported and spread ove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of the drain pi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다공판의 각 관통홀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일단부 일측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의 하부에서 너트 체결되도록 상기 일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bar is
A support jaw is formed on one side of one end portion to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in each through hole of the porous plate, and a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one end portion to screw the nu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orous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상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서,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다공판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절곡점, 다시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절곡점, 및 다시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3절곡점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절곡점과 제3절곡점 사이의 구간이 상기 배수관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단으로 형성되는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The method of claim 5,
The bending shape is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the first bending point is bent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porous plate with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one end, the second bending point is bent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third bent again to the outside The point is formed, the rose plate unit for a drain pipe,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int and the third bending point is formed by the support end suppor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pipe.
KR1020100076953A 2010-08-10 2010-08-10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KR101236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53A KR101236829B1 (en) 2010-08-10 2010-08-10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53A KR101236829B1 (en) 2010-08-10 2010-08-10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778A true KR20120014778A (en) 2012-02-20
KR101236829B1 KR101236829B1 (en) 2013-02-26

Family

ID=4583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53A KR101236829B1 (en) 2010-08-10 2010-08-10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82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63Y1 (en) * 2012-07-20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KR20160061529A (en) * 2014-11-21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raining apparatus and drain pipe
KR20180034898A (en) * 2016-09-28 2018-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a water air cooling and floating marine power plant using the apparatus
KR20210011597A (en) 2019-07-23 2021-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424B2 (en) 2006-01-06 2011-06-08 株式会社Inax Hair catcher
KR100795437B1 (en) * 2006-05-02 2008-01-17 병 균 임 Device for Blocking Hollow of Precast Concrete Pile
JP2008025105A (en) * 2006-07-18 2008-02-07 Hitachi Housetec Co Ltd Hair catcher and bathroom unit having 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63Y1 (en) * 2012-07-20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hip
KR20160061529A (en) * 2014-11-21 2016-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raining apparatus and drain pipe
KR20180034898A (en) * 2016-09-28 2018-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a water air cooling and floating marine power plant using the apparatus
KR20210011597A (en) 2019-07-23 2021-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829B1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829B1 (en)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CN103748293B (en) Tank and the gutter for tank
US2889928A (en) Finish rims for surface drains
US20210131088A1 (en) Floor sink
KR20190127599A (en) Drain Apparatus for Marine Vessel
US20180266094A1 (en) Floor sink strainer and assembly
KR200439985Y1 (en) Reducer type scupper for vessel
US8764976B2 (en) Biological wastewater system having a screen structure for confining biofilm carriers to a reactor forming a part of the system
US7708207B2 (en) Wash liquid spray nozzles for pulp mat and method to assemble nozzle
JP3173773U (en) Pollution prevention fence
JP6060325B2 (en) Drainage device mounting structure
US20150089729A1 (en) Drain
US7350246B1 (en) Bathroom leak damage prevention apparatus
JP4252505B2 (en) Ceiling structure
KR20140003514U (en) Drain apparatus for ocean structure
JP2015055137A (en) Drain trap
JP2010138619A (en) Ceiling system and ceiling joist member
US20080307857A1 (en) Leak detection within the interior of a cabinet
JP4408359B2 (en) Bathroom unit drainage structure
CN219722048U (en) Water receiving tank of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KR200443941Y1 (en) Filter apparatus
KR200439464Y1 (en) Half round type scupper for vessel
JP4502670B2 (en) Double strainer structure of submersible pump
KR20210011597A (en) Rose plate unit for scupper pipe
KR200200823Y1 (en) Pipe joint for low s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