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513A -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 Google Patents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513A
KR20120014513A KR1020100076636A KR20100076636A KR20120014513A KR 20120014513 A KR20120014513 A KR 20120014513A KR 1020100076636 A KR1020100076636 A KR 1020100076636A KR 20100076636 A KR20100076636 A KR 20100076636A KR 20120014513 A KR20120014513 A KR 2012001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input
image
button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은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513A/en
Publication of KR2012001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is provided to improve display quality of a still image. CONSTITUTION: A user interface(50) outputs pointer creation signal. The pointer can be moved to a display where a still image is displayed. A DVR(Digital Video Recorder)(30) outputs the still image coping with the selection signal input time point. The digital video recorder improves the picture quality of the selected area in the still image. The DVR outputs the improved image to the selected area.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및 정지영상 처리 방법{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정지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중인 녹화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효과적으로 복원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및 정지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for effectively reconstructing a still image from a recorded image during playback.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DVR)는 하드 디스크(HDD)와 같은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기반으로 하여 아날로그 신호는 물론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사용자가 이를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저장기기이다.The digital video recorder (DVR) of the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is based on a large-capacity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HDD), which stores not only analog signals but also digital signals, which users can play by watching them when needed. Digital video storage.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감시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감시 시스템은 여러 대의 감시용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압축 처리함으로써, 감시 영상에 대한 장시간 녹화, 신속한 검색 및 선명한 재생 등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보안 솔루션 시스템이다. 이러한 DVR은 고해상도의 보안을 필수로 하는 금융원이나 공항 등에서도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Digital video recorders can also be applied to surveillance systems. Surveillance system is a high resolution security solution system that can convert analog image signal input from several surveillance cameras into digital signal and compress it for long time recording, quick search and clear playback of surveillance video. Such DVRs are increasing in demand at financial institutions and airports that require high-resolution security.

종래의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녹화된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 또는 구간에서 정지영상을 추출하는 경우, 블럭화 현상 등으로 인해 정지영상의 화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시 정지된 정지영상의 복원 및 재생을 위해 별도의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고 사용자가 이를 숙지하여 동작시키는데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when a user extracts a still image from a recorded video at a viewpoint or a sec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age quality of the still image is deteriorated due to blocking. In addition, it is a little cumbersome to purchase a separate expensive software for restoring and playing back a paused still image, and the user knows and operates it.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 중에 일시 정지(pause) 버튼을 눌렀을 경우 화면에 보이는 열화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좀더 화질이 개선된 영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및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 degraded image displayed on a screen as a more improved im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a pause button is pressed during video playback. to prov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동영상 재생 중에 정지영상을 선택하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 및 상기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정지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출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for outputting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till image during video playback, an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inter that can be mov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interface; And a digital video recorder outputting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time point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nd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selected region in the still image to output the selected image to the selected reg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은, 동영상 재생 중에 정지영상을 선택하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 및 상기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고, 상기 포인터가 생성된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지영상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지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선택 영역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till image during video playback an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inter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on a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Displaying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time point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nd generating the pointer; Extracting a region selected from the still image when a region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region of the still image is input; And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extracted selection area and displaying the same in the selection area.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 중에 일시 정지 버튼을 눌렀을 경우 화면에 보이는 열화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좀더 화질이 개선된 영상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영상 처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use button is pressed during video playback, the deteriorated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an image with more improved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improving image processing speed.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ideo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연속하여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록 및 저장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으로서,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장치 또는 개인용 디지털 비디오 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겠다.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recording, storing, and reproducing image data transmitted continuously, and includes a digital video device for monitoring, a personal digital video device, and the like. Hereinafter, a digital video device for monitor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ould.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10)는 영상 입력부(2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 저장부(40), 사용자 인터페이스(5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20, a digital video recorder 30, a storage unit 40, a user interface 50, and a display unit 60. .

영상 입력부(20)는 미리 설정된 관심 지역들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영상 입력부(20)는 렌즈, 카메라, 및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특정 장소에 다수 설치되어 해당 지역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부(20)는 정해진 경로를 이동하는 이동형 순찰 로봇이 될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20 receives an image from preset regions of interest. The image input unit 20 may include a lens, a camera, and a driving device. Multiple cameras can be installed at specific locations to capture the area from different angles. The image input unit 20 may be a mobile patrol robot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녹화 또는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입력신호는 사용자 요구명령 및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감지신호일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영상 입력부(20)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 영상을, 표시부(60)를 통해 출력 표시함과 아울러, 저장부(40)에 녹화 저장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을 출력하고, 정지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여 선택 영역에 출력한다. The digital video recorder 30 controls recording or viewing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50. The input signal may be a motion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 request command and a movement of a subject. The digital video recorder 30 outputs and displays the subject image photographed from the image input unit 20 through the display unit 60 and records and stores the image in the storage unit 40. The digital video recorder 30 outputs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time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nd improves the image quality of the selected region in the still image and outputs it to the selected region.

저장부(40)는 상기 영상 입력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40)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 내장되거나 또는 장착가능한 자기디스크, 메모리카드, 광디스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0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input unit 20. The storage unit 40 may be a magnetic disk, a memory card, an optical disk, or the like, which may be built in or mountable in the digital video recorder 30.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를 비디오 레코더(30)로 전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동영상 재생 중에 정지영상을 선택하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 및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50 is a place that can input a control signal from the outside such as a user. The user interface 50 has a button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When a button is selected by a user's operation, the user interface 50 generat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to the video recorder 30. The user interface 50 may include a button for outputting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till image during video playback, an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inter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원격제어 가능한 유/무선 리모컨을 통해, 또는 표시부(60)에 일체로 구비된 메뉴 버튼을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부(60)의 디스플레이 화면 자체에 표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또는 트랙볼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또는 손가락, 펜 또는 스타일러스 시스템과 같은 터치스크린 감도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5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When the user interface 50 is implemented in hardware,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 wired / wireless remote controller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or through a menu button integrally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60. If the user interface 50 is implemented in software, 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60 itself, for example via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keyboard or trackball, or a touch such as a finger, pen or stylus system. Screen sensitivity allows input of control signals.

표시부(60)는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즉, 이미지 데이터 등)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이다. 표시부(60)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부(6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6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60 is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stored data in a form of data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gain (ie, image data, etc.). The display unit 60 may provide visual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display unit 6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and the like. Can be made. The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o receive an input through a user's touch and operate as a user interfa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제어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한다. 각 버튼의 기능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interfa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for control input.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each button is as follows.

온/오프(on/off) 버튼(201)은 버튼 누름시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오프 버튼(201)을 누르면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온 상태가 되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가 온 상태에서 온/오프 버튼(201)을 누르면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오프 상태가 된다. The on / off button 201 turns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on or off when the button is pressed. Pressing the on / off button 201 in the off state of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turns on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nd pressing the on / off button 201 in the on state of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turns off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It becomes a state.

되감기(rewind) 버튼(202)은 버튼 누름시 재생되고 있는 영상의 스트림을 뒤로 이동시킨다. The rewind button 202 moves the stream of the video being played back when the button is pressed.

정지(stop) 버튼(203)은 버튼 누름시 영상의 재생을 중지시키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라이브 상태가 되어 녹화를 개시한다. A stop button 203 stops playback of an image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becomes a live state to start recording.

재생/일시정지(play/pause) 버튼(204)은 버튼 누름시 영상을 재생시키거나 또는 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킨다.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영상 재생 신호가 입력되고, 동영상이 재생된다. 동영상 재생 중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버튼 누른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이 정지영상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정지영상 선택 신호와 동시에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열화된 화질의 정지영상과 함께 포인터가 나타난다. 또는, 동영상 재생 중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후, 한번 더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는 마우스 커서 또는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손가락 가리킴 표시일 수 있다.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동영상의 재생이 재개된다. The play / pause button 204 plays an image or pauses playback of the image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en the play / pause button 204 is pressed, a video play signal is input and a video is played. When the play / pause button 204 is pressed again during video playback,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and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button is pressed is selected and displayed as a still image. In this case,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inter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on a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may be input simultaneously with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ccordingly, a point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gether with a still image of deteriorated image quality. Alternatively, when the play / pause button 204 is pressed during video playback,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Accordingly, after the still image is displayed, press the play / pause button 204 again to display the still image display screen.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inter may be input. Here, the pointer may be a finger pointing indication when the mouse cursor or the display is a touch screen. When the play / pause button 204 is pressed again while the still image is displayed, playback of the video is resumed.

빨리감기(fast forward) 버튼(205)은 버튼 누름시 재생되고 있는 영상의 스트림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The fast forward button 205 moves the stream of the video being played forward when the button is pressed.

이하에서는,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눌러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중,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재생 중인 영상이 멈추고 누른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정지영상은 부호화 및 복호화에 의해 열화되거나 일부 정보가 손상된 영상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포인터(P)가 나타난다. 포인터(P)는 마우스, 손가락 등에 의해 화면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포인터(P)는 마우스 커서 또는 손가락 가르킴 표시일 수 있으며, 도 3a는 터치 스크린에 나타난 손가락 가리킴 표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3A,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204 and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204 again during playback of the recorded video, the image being played is stopped and the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is displayed. do. In this case, the still image is an image deteriorated by encoding and decoding or some information is damaged. Then, the pointer P appears on the display screen. The pointer P may be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on the screen by a mouse, a finger, or the like. Pointer P may be a mouse cursor or finger pointing indication, and FIG. 3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inger pointing indication shown on a touch screen.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눌러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중,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재생 중인 영상이 멈추고 누른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한번 더 재생/일시정지 버튼(204)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P)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정지영상은 부호화 및 복호화에 의해 열화되거나 일부 정보가 손상된 영상이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204 and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204 again during playback of the recorded video, the image being played is stopped and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int in time is displayed. When the play / pause button 204 is pressed again, the pointer P may appear on the display screen. In this case, the still image is an image deteriorated by encoding and decoding or some information is damaged.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정지영상의 포인터(P)를 이용하여 개선된 화질로 복원하고자 하는 영역을 드래그하여 선택한다. Referring to FIG. 3B, the user drags and selects an area to be restored to the improved image quality by using the pointer P of the still image.

도 3c를 참조하면, 영역이 선택됨과 동시에 선택된 영역의 영상 데이터는 화질, 명암. 선명도 등이 향상되어 상기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3C, the image data of the selected area at the same time the area is selected, the image quality and the contrast. Sharpness and the like are improved and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제어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한다. 각 버튼의 기능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4, the user interface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for control input.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each button is as follows.

온/오프(on/off) 버튼(401)은 버튼 누름시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오프 버튼(401)을 누르면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온 상태가 되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가 온 상태에서 온/오프 버튼(401)을 누르면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오프 상태가 된다. The on / off button 401 turns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on or off when the button is pressed. Pressing the on / off button 401 when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off state,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and pressing the on / off button 401 when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is in the on state,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is turned off. It becomes a state.

되감기(rewind) 버튼(402)은 버튼 누름시 재생되고 있는 영상의 스트림을 뒤로 이동시킨다. The rewind button 402 moves the stream of the video being played back when the button is pressed.

정지(stop) 버튼(403)은 버튼 누름시 영상의 재생을 중지시키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라이브 상태가 되어 녹화를 개시한다. A stop button 403 stops playback of an image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becomes a live state to start recording.

재생/일시정지(play/pause) 버튼(404)은 버튼 누름시 영상을 재생시키거나 또는 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킨다. 재생/일시정지(play/pause) 버튼(404)을 누르면 영상 재생 신호가 입력되고, 동영상이 재생된다. 동영상 재생 중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404)을 누르면 정지영상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버튼 누른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이 정지영상으로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정지영상은 열화되거나 일부 정보가 손상된 영상이다.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404)을 누르면 영상의 재생이 재개된다. The play / pause button 404 plays an image or pauses playback of the image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en the play / pause button 404 is pressed, an image playback signal is input and a video is played. When the play / pause button 404 is pressed again during video playback,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and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button is pressed is selected and displayed as a still image. In this case, the still image is an image that is degraded or some information is corrupted. When the play / pause button 404 is pressed again while the still picture is displayed, playback of the picture is resumed.

빨리감기(fast forward) 버튼(405)은 버튼 누름시 재생되고 있는 영상의 스트림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The fast forward button 405 moves the stream of the video being played forward when the button is pressed.

복원(restore) 버튼(406)의 버튼 누름시 포인터 생성 신호가 입력되고,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가 나타난다. 포인터는 마우스 커서 또는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손가락 가리킴 표시일 수 있다. When the button of the restore button 406 is presse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is input, and a pointer appears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The pointer may be a finger pointing indication when the mouse cursor or the display is a touch screen.

이하에서는 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D.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5A to 5D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재생/일시정지 버튼(404)을 눌러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중,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404)을 누르면 재생 중인 영상이 멈추고 누른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정지영상은 부호화 및 복호화에 의해 열화되거나 일부 정보가 손상된 영상이다. Referring to FIG. 5A,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404 and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404 again during playback of the recorded video, the image being played is stopped and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is displayed. do. In this case, the still image is an image deteriorated by encoding and decoding or some information is damaged.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지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원 버튼(406)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P)가 나타난다. 포인터(P)는 마우스, 손가락 등에 의해 화면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포인터(P)는 마우스 커서 또는 손가락 가르킴 표시일 수 있으며, 도 5b는 터치 스크린에 나타난 손가락 가리킴 표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5B, when the user presses the restore button 406 while the still image is displayed, a pointer P appears on the display screen. The pointer P may be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on the screen by a mouse, a finger, or the like. Pointer P may be a mouse cursor or finger pointing indication, and FIG. 5B shows an example of a finger pointing indication shown on a touch screen.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정지영상의 포인터(P)를 이용하여 개선된 화질로 복원하고자 하는 영역을 드래그하여 선택한다. Referring to FIG. 5C, the user drags and selects an area to be restored to the improved image quality by using the pointer P of the still image.

도 5d를 참조하면, 영역이 선택됨과 동시에 선택된 영역의 영상은 화질, 명암. 선명도 등이 향상되어 상기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Referring to FIG. 5D, the image of the selected area at the same time the area is selected, the image quality, contrast. Sharpness and the like are improved and displayed in the selection are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레코더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ideo rec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비디오 레코더(300)는 입력신호 수신부(301), 제어부(303), 영상 처리부(305), 영역 추출부(307), 및 영상 복원부(309)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video record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signal receiver 301, a controller 303, an image processor 305, an area extractor 307, and an image reconstructor 309. .

입력신호 수신부(301)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페이스의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The input signal receiver 301 receiv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button of an interface selected by a user.

제어부(303)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비디오 레코더(3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303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video recorder 300 to perform a user's comman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영상 처리부(305)는 제어부(30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한다. 영상 처리부(305)는 제어 신호가 녹화된 영상의 재생을 나타내는 경우 저장된 녹화 영상을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305)는 제어 신호가 정지영상 출력을 나타내는 경우,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정지영상에는 별도의 화질 개선을 위한 복원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는다. The image processor 305 encodes or decodes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03. The image processor 305 decodes and stores the stored recorded image when the control signal indicates reproduction of the recorded image. When the control signal indicates a still image output, the image processor 305 outputs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time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n this case, the restoring process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is not performed on the still image.

영역 추출부(307)는 제어부(30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지영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을 추출한다. 영역 추출부(307)는 정지영상에서 시작점(x1,y1)과 종료점(x2,y2)을 기초로 선택 영역을 추출한다. The area extractor 307 extracts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still imag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03. The region extractor 307 extracts the selection region based on the start point (x 1 , y 1 ) and the end point (x 2 , y 2 ) from the still image.

영상 복원부(309)는 추출된 선택 영역의 영상 데이터의 휘도, 콘트라스트, 컬러량, 명암비, 선명도 등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선택 영역의 부분 영상은 화질이 개선된 복원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때, 화질 개선을 위한 각 파라미터 값은 초기값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영상 복원부(309)는 복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등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 복원 기술들은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The image reconstructor 309 adjusts the brightness, contrast, color amount, contrast ratio, sharpness, and the like of the extracted image data of the selected region. As a result, the partial image of the selected region is output as a reconstructed image having improved image quality. In this case, each parameter value for improving image quality may be fixed to an initial value or adjusted and preset by a user. The image reconstruction unit 309 may apply various methods such as filtering of image data to generate a reconstructed image. Since the image reconstruction techniques are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305) 및 영상 복원부(309)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영상 처리부(305)가 선택 영역의 화질 개선을 위한 복원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305 and the image restoring unit 309 are described separately, but the image processing unit 305 may be performed by integrating a restoration process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selected region. to b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ill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선택된 임의의 동영상을 재생한다(S701). 사용자는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눌러 영상의 재생 신호를 출력하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녹화 저장된 영상에서 선택된 영상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reproduces a selected arbitrary video (S701). The user presses a play / pause button to output a playback signal of an image, and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selected from the recorded image on the display unit.

동영상 재생 중에,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정지영상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702). During video playback, the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a still image output signal is input (S702).

정지영상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정지영상 출력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을 정지영상으로 출력한다(S703). 사용자는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눌러 재생 중인 영상에서 특정 프레임을 정지영상으로 출력시키는 정지영상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해당 정지영상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재생/일시정지 버튼 누름시 정지영상 출력 신호와 함께 포인터 생성 신호가 출력되어,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가 나타날 수 있다. 또는, 정지영상 출력 신호에 의해 정지영상 디스플레이 후, 사용자가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한번 더 누름으로써, 또는 별도 구비된 복원 버튼을 누름으로써 포인터 생성 신호가 출력되어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가 나타날 수 있다. When the still image output signal is input,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outputs an image frame corresponding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still image output signal is input as a still image (S703). The user presses the play / pause button to output a still image output signal for outputting a specific frame as a still image from the image being played back, and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till image on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when the play / pause button is presse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is output together with the still image output signal, and the pointer may appear on the display screen simultaneously with the display of the still image. Alternatively, after displaying a still image by the still image output signal, a pointer generation signal is output by the user pressing the play / pause button once again or by pressing a separately provided restore button so that the pointer appears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Can be.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704).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를 드래그하여 특정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역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an area selection signal is input (S704). The user outputs an area selection signal by dragging a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 select a specific area.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선택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선택 영역의 부분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여 표시부의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705).When the region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extracts the selection region, improves the image quality of the partial image of the extracted selection region, and displays the selected region on the selection region of the display unit (S705).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동영상 재생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705). 사용자는 정지 버튼을 눌러 영상 재생을 중지시키는 동영상 재생 종료 신호를 출력하고,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는 라이브 상태가 된다. The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a video reproduction end signal is input (S705). The user outputs a moving image reproduction end signal for stopping image reproduction by pressing the stop button, and the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becomes a live stat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동영상 재생 중에 정지영상을 선택하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 및 상기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정지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출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A user interface for outputting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till image during video playback, an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inter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on a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And
And a digital video recorder outputting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time point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nd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selected region in the still image and outputting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to the selected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상기 동영상 재생 중에 입력되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정지영상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지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선택 영역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는 영상복원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video recorder,
An image processor for outputting a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an input time point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nput during the video reproduction, and outputting the pointer on a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A reg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region selected from the still image when a region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region of the still image is input; And
And an image restorer for improving an image quality of the extracted selection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영상 재생 중에 버튼 입력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와 상기 포인터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And a play / pause button for outputting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nd the pointer generation signal when a button is input during video play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영상 재생 중에 버튼 입력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출력하고, 정지영상 디스플레이 중에 버튼 재입력시 상기 포인터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And a play / pause button that outputs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when a button is input during video playback, and outputs the pointer generation signal when the button is re-input during the still imag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영상 재생 중에 버튼 입력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일시정지 버튼; 및
정지영상 디스플레이 중에 버튼 입력시 상기 포인터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복원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A play / pause button for outputting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when a button is input during video playback; And
And a restore button for outputting the pointer generation signal when a button is input while displaying a still im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추출부는,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상기 선택 영역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기초로 상기 선택 영역을 추출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gion extraction unit,
And extracting the selection area based o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the selection area set using the pointer.
동영상 재생 중에 정지영상을 선택하는 정지영상 선택 신호 및 상기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 이동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터 생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의 입력 시점에 대응하고, 상기 포인터가 생성된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정지영상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정지영상에서 선택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선택 영역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여 상기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
Receives a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till image and a pointer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positionable pointer on a display screen of the still image during video playback, and corresponds to an input time point of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wherein the pointer is generated. Displaying the captured still image;
Extracting a region selected from the still image when a region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region of the still image is input; And
And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the extracted selection area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area on the selection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 및 상기 포인터 생성 신호는 동영상 재생 중 재생/일시정지 버튼 누름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and the pointer generation signal are input by pressing a play / pause button during video playba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는 동영상 재생 중 재생/일시정지 버튼 누름으로 입력되고, 상기 포인터 생성 신호는 정지영상 디스플레이 중 재생/일시정지 버튼의 재누름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play / pause button during video playback, and the pointer generation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play / pause button again during still image displ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영상 선택 신호는 동영상 재생 중 재생/일시정지 버튼 누름으로 입력되고, 상기 포인터 생성 신호는 정지영상 디스플레이 중 복원 버튼의 누름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ill image selection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play / pause button during video playback, and the pointer generation signal is input by pressing a restore button during the still image displ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 추출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상기 선택 영역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기초로 상기 선택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의 정지영상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xtracting the selection region,
And extracting the selection area based o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the selection area set by using the pointer.
KR1020100076636A 2010-08-09 2010-08-09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KR201200145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36A KR20120014513A (en) 2010-08-09 2010-08-09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36A KR20120014513A (en) 2010-08-09 2010-08-09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13A true KR20120014513A (en) 2012-02-17

Family

ID=4583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636A KR20120014513A (en) 2010-08-09 2010-08-09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51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16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content from any location and any time
US20190230307A1 (en) Tracking object of interest in an omnidirectional video
KR1008830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moving path using text
US9071806B2 (en) Reproducing apparatus
JP4874425B1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2005318125A (en) Method for dividing and recording data, method for dividing and recording data of electronic camera, and the electronic camera
JP2008252454A (en) Camera and gui switching method in camera
US10049703B2 (en) Data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2008140467A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1033238B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 which video surveillance program is recorded
JP6214762B2 (en) Image search system, search screen display method
CN101753943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401573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reproduc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8818174B2 (en)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210634B2 (en) Image search system
KR10119815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 and playback in digital video recorder
KR20120014513A (en) Digit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ill image
KR101340308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89798B1 (en) Video recording system and backup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06774A5 (en)
JP2015080035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136198A1 (en) Video reproducing/recording and play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nd playing video section
KR101029730B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discriminating between human and vehicle
TW201513655A (en) Video editing
JP2015080034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