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326A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Upright type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326A
KR20120014326A KR1020100076302A KR20100076302A KR20120014326A KR 20120014326 A KR20120014326 A KR 20120014326A KR 1020100076302 A KR1020100076302 A KR 1020100076302A KR 20100076302 A KR20100076302 A KR 20100076302A KR 20120014326 A KR20120014326 A KR 20120014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vacuum cleaner
type vacuum
uprigh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87078B1 (en
Inventor
서진욱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078B1/en
Publication of KR2012001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3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PURPOSE: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s provided to easily use for a long time by users because the main body is supported by a supporting unit so that a load of the main body is dispersed. CONSTITUTION: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mprises a main body, a suction nozzle(300), a supporting unit(400). An arrangement angle of the main body for a surface to be cleaned can be changed. The suction nozzle is joined to the main body and carried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upporting unit is joined to the main body to be rotated. In case that the main body rotates forwards the surface to be cleaned at a constant angle, the supporting unit is transferred from the initial position fixed to the main body to a working position to support the main body in order to dispers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청소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when cleaning by providing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a main body of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를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air by using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having the above function may be classified into an up-right method in which a suction nozzle, which is a suction po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and a canister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communicates with the main body through a connection pipe.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와,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 등을 진공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흡입 노즐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진공 청소기의 본체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mong the two types of vacuum cleaners,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includ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suction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into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And a suction nozzle and a handl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the suction nozzle moves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즉,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 노즐로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motor is driven, suction force is generated, and air containing dust and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by the suction force.

그리고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다.And the air containing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the dust and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by the cyclone principle in the interior of the dust collector mounted on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이 분리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진공 청소기의 상기 집진통 내부에 포집되고,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dust and foreign matter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air from which the dust and foreign matters is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an air discharge unit.

한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 흡입 모터 등이 장착되는 본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이 일체로 형성되는 관계로 사용자는 본체를 흡입 노즐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cludes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 main body on which a suction motor, etc. are mounted, and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integrally formed. The cleaning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suction nozzle at a predetermined angle.

즉, 사용자는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파지하고, 흡입 노즐에 안착된 본체가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피청소면을 따라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user grips the handle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supports the main body seated on the suction nozzle to maintain the rotated state toward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perform cleaning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된 본체를 한 손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므로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clean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using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to support the main body rotated at a constant angle with one hand and move at the same time.

나아가, 상기 본체에는 집진통 및 흡입 모터 등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본체의 무거운 하중을 사용자의 팔이 모두 지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장시간 동안 청소를 수행하기 쉽지 않고, 수행하더라도 쉽게 피로해지는 등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있었다.Furthermore, the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motor, so that the user's arms must support all the heavy loads of the main body. There was thi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유닛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손쉽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 support unit for supporting a main body having a heavy load to provide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at can be easily cleaned by the user for a long tim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가 소정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되는 지지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hangeabl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suction nozzl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support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moved to an operating posi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o dispers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a predetermined initial position to the side to be cleaned.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피청소면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본체에 마련된 지지 유닛이 집진통 및 흡입 모터 등이 장착된 본체를 지지함으로써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cleans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uppor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supports the main body equipped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suction motor, thereby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lean for a long tim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유닛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래치(latch)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 유닛을 사용할 필요가 없거나 진공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지지 유닛을 본체에 고정시켜, 효율적인 청소를 수행하거나 진공 청소기의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latch is provided to fix the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to the main body, so that when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the support unit or stores the vacuum cleaner, the support unit is fixed to the main body to perform efficient cleaning 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space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utilize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결합부 및 지지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의 지지부 및 래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의 회동부 및 제1탄성 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의 회동부 및 결합부의 걸림턱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과 본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unit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plan views illustrating operating states of the support unit and the latch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ivoting part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locking jaw of a pivoting part and a coupling part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support unit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120)이 장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00)가 안착되고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 노즐(300)과,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 main body 100 on which a dust collecting body 120 for collect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etc., present on a surface to be cleaned is mounted, and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suction nozzle 300 to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s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gether with air are provided, and a handle 20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grip the user for cleaning. do.

상기 본체(100)는 상기 흡입 노즐(300)의 상부에 안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는 청소시 본체(100)가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300 is coupl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provided to change, the user is in a state that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to the side to be cleaned when cleaning It can be supported to maintain.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집진통(1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통(120)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을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필터링하는 먼지 분리 부재(12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dust collector 120 is provided with a dust separation member 122 for filtering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by the cyclone principle.

즉, 상기 흡입 노즐(30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2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통(12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먼지 분리 부재(122)에 의하여 필터링 되어 상기 집진통(120)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nozzle 300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dust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etc. Is filtered by the dust separating member 122 and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n addition, the clean air from which the dust and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또한, 상기 집진통(120)은 상기 본체(10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집진통(120)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 등을 버리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통(120)을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when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are discarded, the user collect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nto the main body ( It can be easily processed by separating it from 100).

한편, 도 1에 도시된 집진통(120)은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 기둥 등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진통(120)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althoug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shown in FIG. 1 has a cylindrical shape, i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column shape such as a square pillar,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no.

상기 흡입 노즐(300)은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노즐부(310)와, 상기 본체(100)가 안착되는 안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ction nozzle 300 includes a nozzle unit 310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gether with air, and a seating unit 320 on which the main body 100 is seated.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310)는 피청소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한다.When the user performs the cleaning, the nozzle unit 310 moves back, forth,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order to suck in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그리고, 상기 노즐부(31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3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322)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a pair of wheels 322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eating part 320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seated in connection with the nozzle part 310.

즉, 상기 노즐부(310)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 이에 연결된 상기 안착부(32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바퀴(322)는 상기 흡입 노즐(300)이 피청소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회전된다.That is, when the nozzle unit 310 mov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eating part 320 connected thereto is also moved, and the wheel 322 smoothly moves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with the suction nozzle 300. Rotate as much as possible.

한편, 본체(100)의 상측에는 손잡이(200)가 마련된다. 따라서, 청소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0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during cleaning,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200 to support the main body 100 to maintain the main body 100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그리고, 상기 손잡이(200)의 전방에는 조작 패널(210)이 마련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210)에 마련된 버튼을 눌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panel 21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handle 200, and a user may manipulate an operating state of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a button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210.

예를 들어, 피청소면에 상태에 따라 흡입 노즐(300)의 흡입 강도, 청소 시간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suction strength and the cleaning time of the suction nozzle 300 according to the state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 1 will be omit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 하부에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110)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2, a motor mounting unit 110 on which a suction motor (not shown) is mounted is provided at a lower rear side of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모터 장착부(110)에는 흡입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흡입력이 발생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 노즐(30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한다.That is, the motor mounting unit 110 is equipped with a suction motor, when the suction motor is driven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dust and foreign matter with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uction nozzle 300 Inhale.

상기 흡입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집진통(120)의 내부에서 상기 먼지 분리 부재(122)에 의하여 필터링 된다.The sucked dust and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by the dust separating member 122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한편,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흡입관(150)이 마련되는데, 상기 흡입관(150)은 상기 집진통(120)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공기를 흡입 모터 측으로 안내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ipe 150, the suction pipe 150 guides the air from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s ar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o the suction motor side.

즉, 상기 흡입 모터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흡입 노즐(300)을 통하여 상기 집진통(120)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집진통(120) 내부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되며,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흡입관(150)을 통하여 상기 흡입 모터 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That is, due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air containing dust, foreign matter, etc.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through the suction nozzle 300,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20 is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separated from the inside, and the clean air from which the dust and the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is moved to the suction motor side through the suction pipe 15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do.

또한,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유닛(400)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back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unit 40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상기 지지 유닛(400)의 상단부는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마련된 결합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래치(600)에 의하여 수용부(140) 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400)은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3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400 is accommodated by the latch 60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By being fixed in the support unit 400 maintains the initial position.

즉, 사용자가 청소시 상기 지지 유닛(400)을 사용하지 않거나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400)의 타단을 수용부(140) 내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래치(600)에 의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청소기의 부피를 감소시켜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upport unit 400 for cleaning or stores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40 and at the same time the latch 600 is used. By fixing by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lean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storage spa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결합부(130) 및 지지 유닛(4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지 유닛(400)의 구성 및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unit 130 and a support unit 400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support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지지 유닛(400)은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410)와, 상기 회동부(41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부(4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바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unit 400 illustrated in FIG. 3 includes a pivoting portion 410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 support portion 420 extending from the pivoting portion 410, and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4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ary wheel 430 provided to be rotatable.

상기 회동부(410)는 상기 지지 유닛(40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결합부(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rotating part 410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400 is coupled to be rotatable to the coupling portion 1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즉, 상기 회동부(410)의 양측에는 보스(416)(boss)가 마련되고, 상기 보스(416)는 상기 결합부(130)에 마련된 회동홈(134)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410)는 상기 보스(41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That is, bosses 416 (bos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pivoting part 410, and the boss 416 is inserted into the pivoting groove 134 provided in the coupling part 130 and the pivoting part 41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boss 416.

그리고, 상기 회동부(41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4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100)에 밀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100)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한다.The support part 420 extending from the pivoting part 41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main body 100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한편, 상기 지지부(420)의 일단부에는 보조 바퀴(4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본체(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보조 바퀴(430)가 회전함으로써 청소기의 이동 성능 및 조향성이 향상된다.Meanwhile, an auxiliary wheel 430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420.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while the support part 420 supports the main body 100, the auxiliary wheel 430 is rotated. ) Rotates to improve the moving performance and steering of the cleaner.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는 그 내측으로 함몰되는 수용부(140)가 형성되므로, 청소시 상기 지지 유닛(400)을 사용하지 않거나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400)의 타단에 마련된 보조 바퀴(430)를 수용부(140) 내에 수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청소기의 부피를 감소시켜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iving portion 140 recessed inwardly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he support unit 400 is not used during cleaning or the support when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By accommodating the auxiliary wheel 43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nit 400 in the accommodating part 140, the cleaning may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storage space may be efficiently utiliz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cleaner.

그리고, 상기 회동부(410)와 상기 결합부(130) 사이에는 제1탄성 부재(500)가 개재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500)는 양단이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회동부(410)에 마련된 삽입 돌기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a first elastic member 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pivoting part 410 and the coupling part 130. Preferably,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sertion protrusions provided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탄성 부재(500)는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4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first elastic member 50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pivoting portion 410 such that the support 42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한편, 상기 결합부(130)의 회동홈(134)의 일측에는 걸림턱(1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결합부(130) 내부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jaw 1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groove 134 of the coupling portion 130. That is, the locking step 132 is formed stepp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30.

또한, 상기 회동부(410)의 외주면에는 걸림 돌기(412)가 마련되는데, 상기 걸림 돌기(412)는 상기 회동부(410)가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132)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회동부(410)의 회동을 제한한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412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voting part 4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2 is locked in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pivoting part 410 is rotated from an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By restricting the jaw 132, the rotation of the pivot 410 is limited.

그리고, 상기 지지부(42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래치(latch)(600)에 구속되어 상기 지지 유닛(400)이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 돌기(422)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422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part 420 so as to be restrained by a latch 60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support unit 400 may maintain an initial position.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400)의 지지부(420) 및 래치(6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지지 유닛(400)이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지지부(420) 및 래치(600)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4 to 5 are plan views illustrating operating states of the support part 420 and the latch 600 of the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the operation state of the support part 420 and the latch 600 when the support unit 40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래치(600)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초기 위치인 경우 상기 래치(600)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부(420)의 하부에는 고정 돌기(422)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4, a latch 600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00, and when the support unit 400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420 is adjacent to the latch 600. The fixing protrusion 422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래치(600)는 상기 지지부(42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 돌기(422)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지지부(420)를 상기 본체(100)에 고정시켜 상기 지지 유닛(400)의 상기 초기 위치를 유지시킨다.In addition, the latch 600 locks the support part 420 to the main body 100 by restraining the fixing protrusion 422 provided under the support part 420, and thu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400. Keep it.

즉,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410)와 상기 결합부(130) 사이에는 제1탄성 부재(500)가 개재되어 상기 지지 유닛(400)을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상기 래치(600)가 상기 고정 돌기(422)를 구속하여 상기 회동부(410)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a first elastic member 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pivoting part 410 and the coupling part 130 to move the support unit 40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In this case, the latch 600 restrains the fixing protrusion 422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410 so that the support unit 400 maintains an initial position fixed to the main body 100.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와 상기 래치(600) 사이에는 제2탄성 부재(70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2탄성 부재(7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와 사기 래치(6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래치(60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래치(600)가 상기 고정 돌기(422)를 구속한다.Meanwhile, a second elastic member 70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latch 600. That is, the second elastic member 700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raud latch 6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latch 600, so that the latch 600 fixes the fixing protrusion 422. Redeem.

그리고, 상기 래치(60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하는 것을 제한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2탄성 부재(70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력보다 큰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latch 600 should limi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42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by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the second elastic member 700 may be Preferably,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having a larger elastic force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 유닛(400)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100)가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유닛(400) 작동 위치로 상기 지지 유닛(40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 돌기(422)를 구속하는 래치(600)를 상기 고정 돌기(422)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upport unit 4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surface to be cleaned from an initial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400 that is fixed to the body 100. In order for the support unit 400 to move the support unit 400 to the support unit 400 operating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unit 400 supports the main body 100, a user latches the locking protrusion 422. May be releas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422.

즉, 사용자가 청소시 상기 지지 유닛(400)을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기 작동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래치(600)의 일측을 사용자의 발 등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2탄성 부재(700)를 중심으로 상기 래치(600)의 타측이 사용자의 발 등이 밀어주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fix the support unit 400 to the operating posi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100 during cleaning, the user may use one side of the latch 600 provided under the main body 100. When it is pushed with the foot, etc., the other side of the latch 60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t of the user pushes the center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700.

상기 래치(600)의 타측이 회동되면 상기 래치(600)와 상기 고정 돌기(422)의 구속 상태는 해제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이 상기 회동부(41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other side of the latch 600 is rotated, the restrained state of the latch 600 and the fixing protrusion 422 is released,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is provided to the pivoting part 410. The support 42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한편, 상기 지지 유닛(400)을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지지 유닛(400)을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다시 상기 래치(600)가 상기 고정 돌기(422)를 구속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ve the support unit 400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e user pushes the support unit 400 in the direction fix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latch 600 is again To fix the fixing projections (422).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400)의 회동부(410) 및 제1탄성 부재(5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410) 및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6 to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operating states of the pivoting portion 41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of the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when the support unit 400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pivoting portion 41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0)이 본체(100)에 밀착되도록 고정된 초기 위치의 상태인 경우, 상기 회동부(410)와 상기 결합부(130) 사이에 개재된 제2탄성 부재(700)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 when the support unit 400 is in a state of an initial position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an interven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ivoting part 410 and the coupling part 130 is provided. The two-elastic member 700 is in a compressed state.

즉,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인 토션 스프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부(130)에 지지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압축 돌기(414)의 지지에 의하여 상기 제1탄성 부재(500)는 압축된 상태에 있다.That is, any one of both ends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rsion spring, which is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is supported by the coupling part 130, and the other is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protrusion 414. Member 500 is in a compressed state.

한편, 상기 고정 돌기(422)를 구속하고 있는 상기 래치(600)를 해제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인 토션 스프링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양단 중 상기 압축 돌기(41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단부는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압축 돌기(414)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회동부(4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latch 600 restraining the fixing protrusion 422, as shown in Figure 7, the compression protrusion of the both ends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rsion spring,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The end supported by 414 rotates the pivoting part 410 counterclockwise by pushing the compression protrusion 414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따라서,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 유닛(400)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support unit 40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400)의 회동부(410) 및 결합부(130)의 걸림턱(13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410)에 마련되는 걸림 돌기(412) 및 상기 결합부(130)에 형성되는 걸림턱(132)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8 to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unit 410 of the pivoting unit 410 and the coupling unit 130 of the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when the support unit 400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it is formed on the engaging protrusion 412 and the coupling part 130 provided on the pivoting part 410.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step 132 is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30)의 일측에는 걸림턱(132)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결합부(130) 내부의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410)의 외주면에는 걸림 돌기(412)가 마련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8, a locking jaw 13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130.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step 132 is stepp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30, and the locking protrusion 41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voting part 410.

상기 지지 유닛(400)이 본체(100)에 밀착되도록 고정된 초기 위치의 상태인 경우, 상기 회동부(410)에 마련되는 걸림 돌기(412)와 상기 결합부(130)에 형성된 걸림턱(132)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When the support unit 400 is in a state of an initial position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the locking projection 412 provided in the pivoting part 410 and the locking step 132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30. )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상기 고정 돌기(422)를 구속하고 있는 상기 래치(600)를 해제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41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latch 600 restraining the fixing protrusion 422, as shown in Figure 9, the rotating part 410 is a clock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Rotate in the direction.

이때, 상기 회동부(410)가 상기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 돌기(412)는 상기 걸림턱(132)에 구속되어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rotating part 4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the locking projection 412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jaw 132 and The support unit 400 moves to and maintains the operating position.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412)는 상기 회동부(410)가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걸림턱(132)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회동부(410)의 회동을 제한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ivoting portion 410 is rota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locking projection 412 restrains the locking jaw 132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pivoting portion 410. Limit the rotation.

그러므로, 청소시 상기 본체(100)가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록 회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하중 압력이 분산되며, 사용자는 손쉽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ain body 10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during cleaning,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100 is dispersed by the support unit 400 supports the main body 100, and the user Cleaning is easy.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400)이 초기 위치인 상태인 경우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400)이 작동 위치인 상태인 경우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본체(100) 및 상기 지지 유닛(400)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10 to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0 is a case where the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initial position, and FIG. 11 is a case where the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operating position. to be. 10 to 11,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upport unit 400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0은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직립시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본체(100), 흡입 노즐(300) 및 지지 유닛(4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First, FIG. 10 illustrates an operating state of the main body 100, the suction nozzle 300, and the support unit 400 when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or when the user uses the upright vacuum cleaner.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흡입 노즐(3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직립된 상태로 있으며, 상기 지지 유닛(400)은 래치(600)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에 밀착되도록 고정된 초기 위치에 있다.That is, the main body 10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300 and is in an upright position, and the support unit 40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by the latch 60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Is in.

한편,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를 변화시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0)은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main body 100 to the side to be cleaned to change th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of the main body 100 to perform the cleaning,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100 is moved to an operating position support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래치(600)의 일측을 발 등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지지 유닛(400)은 제1탄성 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4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pushes one side of the latch 600 with the foot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unit 400 is center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pivot 4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500.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400)은 상기 걸림턱(132)이 상기 걸림 돌기(412)를 구속함으로써 상기 작동 위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400 maintains the operating position by the locking jaw 132 restrains the locking protrusion 412.

상기 지지 유닛(400)이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400)은 상기 본체(100)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에 대한 부담 없이 용이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 unit 400 supports the main body 100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surface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support unit 400 distributes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main body 100. Cleaning can be performed easily without burdening the loa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1400)과 본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14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1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1400)과 동일한 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support unit 1400 and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unit 1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3, a support unit 1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tate as the support unit 1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1400)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First, as shown in FIG. 12, the support unit 1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지지 유닛(1400)은 회동부(1410), 지지부(1420) 및 보조 바퀴(1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1410) 및 상기 회동부(141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1420)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결합부(113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The support unit 1400 includes a pivot part 1410, a support part 1420, and an auxiliary wheel 1430, and the support part 1420 extending from the pivot part 1410 and the pivot part 1410 is provided.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130 provided in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1430)는 상기 결합부(113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 상기 회동부(1410) 및 상기 지지부(14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1430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pivot part 1410 and the support part 1420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1130.

또한, 상기 지지부(1420)의 하부에는 래치(1600)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유닛(1400)이 상기 초기위치인 경우 상기 래치(1600)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고정 돌기(1422)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latch 1600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1420, and a fixing protrusion 1422 is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to be adjacent to the latch 1600 when the support unit 1400 is at the initial position. .

상기 래치(1600)는 상기 결합부(1130)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1420)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1422)에 구속되기 위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V'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latch 1600 is formed of a rectangular frame surrounding the support part 14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1130, and has a 'V'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be constrained to the fixing protrusion 1422. It is formed to have.

그리고, 상기 래치(1600)와 상기 지지부(1420) 사이에는 상기 래치(160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 부재(미도시)로써 토션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a torsion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atch 1600 and the support 1420 as a second elastic member (not shown)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1600.

즉, 상기 래치(1600)는 상기 지지부(1420)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래치(1600)의 일측을 발 등으로 밟는 경우 상기 래치(1600)의 타측은 위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latch 1600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n axis coupled to the support 1420, and when the user steps on one side of the latch 1600 with a foot or the like, the other side of the latch 1600 may be rotated. Will move up.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1400)을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의 발 등을 래치(1600)로부터 떼어내게 되면 상기 래치(1600)의 타측은 상기 제2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 돌기(1422)에 구속된다. When the support unit 1400 is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user's foot is removed from the latch 1600, the other side of the latch 1600 is 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t is constrained by the fixing protrusion 1422 by moving downwar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1400)은 상기 회동부(1410) 및 상기 결합부(1130)를 연결하는 회동축(2200) 및 상기 지지부(1420) 및 상기 보조 바퀴(1430)를 연결하는 회전축(2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support unit 1400 includes a pivot shaft 2200 connecting the pivot part 1410 and the coupling part 1130, the support part 1420, and the auxiliary wheel 14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ng shaft 2300 for connecting.

즉, 상기 회동축(2200)은 상기 회동부(1410)의 회동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1410)와 상기 결합부(113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회동부(1410)는 상기 회동축(220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한다.That is, the pivot shaft 2200 penetrates the pivot center of the pivot portion 1410 to couple the pivot portion 1410 and the coupling portion 1130 to rotate the pivot portion 1410 to the pivot shaft 2200. Rotate around.

그리고, 상기 회전축(2300)은 상기 지지부(142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보조 바퀴(1430)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바퀴(1430)와 상기 지지부(142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바퀴(1430)는 상기 회전축(23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230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s 1420, and the auxiliary wheels 1430 by coupling the auxiliary wheels 1430 and the support parts 1420 through the rotation center of the auxiliary wheels 1430. )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2300.

또한,상기 지지 유닛(1400)은 회동부(1410)의 회동을 상기 초기 위치 또는 상기 작동 위치에서 제한하는 회동 제한 부재(2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1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limiting member 2100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410 in the initial position or the operating position.

즉, 상기 회동 제한 부재(2100)는 상기 결합부(1130)와 상기 지지부(1420) 사이에 마련되는데, 상기 결합부(1130)에 결합되는 연결부(2102)와 상기 연결부(2102)의 양측에 마련된 보스(2104)를 포함한다.That is,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2100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art 1130 and the support part 1420, and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2102 and the connection part 2102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30. Boss 2104.

상기 연결부(2102)는 상기 결합부(1130)에 마련된 연결 돌기(1132)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스(2104)는 상기 지지부(1420)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가이드 홈(1422)에 삽입된다.The connection part 210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132 provided at the coupling part 113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oss 2104 is provided at the support part 1420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 1422).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422)에 삽입된 보스(2104)는 상기 지지 유닛(1400)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홈(1422)을 따라 이동한다.The boss 2104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422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422 when the support unit 1400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즉, 상기 지지 유닛(1400)이 상기 본체에 밀착되도록 고정되는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스(2104)는 상기 가이드 홈(1422)의 상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가이드 홈(1422)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1422)의 상단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보스(2104)가 상기 가이드 홈(1422)의 상단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1410)의 회동은 제한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 unit 1400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the boss 2104 opens the guide groove 1422 until it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1422. Accordingly, when the movement toward the top of the guide groove 1422, the boss 2104 is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guide groove 1422, the rotation of the pivot 1414 is limited.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1400)이 상기 본체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스(2104)는 상기 가이드 홈(1422)의 하단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가이드 홈(1422)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1422)의 하단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보스(2104)가 상기 가이드 홈(1422)의 하단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1410)의 회동은 제한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unit 1400 moves to the operating posi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guide groove 1422 until the boss 2104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1422. ), And when the boss 2104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1422,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1410 is limited.

따라서,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회동부(1410)의 회동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1400)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지지 유닛(1400)은 상기 본체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the pivot 1410 is limited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support unit 1400 is fixed in a stat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support unit 1400 is configured to To distribut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회동부(1410)와 상기 결합부(1130) 사이에는 제1탄성 부재(1500)가 개재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00)는 양단이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탄성 부재(1500)는 상기 지지부(1420)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14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astic member 1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ng part 1410 and the coupling part 1130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first elastic member 1500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protrud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irst elastic member 1500 may include the support 1420 at the initial position.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the pivoting portion 1410 to be moved to an operating posi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본체 200: 손잡이
300: 흡입 노즐 400: 지지 유닛
500: 제1탄성 부재 600: 래치(latch)
700: 제2탄성 부재
100: main body 200: handle
300: suction nozzle 400: support unit
500: first elastic member 600: latch
700: second elastic member

Claims (14)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 노즐;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작동 위치로 이동되는 지지 유닛; 을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A main body provided with a changeable arrangement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suction nozzl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moving along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moving from an initial position fixed to the main body to distribute the load pressure of the main body to an operating position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Supporting unit;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본체를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unit,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pivot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surface in the operating positio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auxiliary wheel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동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rotating portion is coupled,
A first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ivot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pivoting portion such that the support portion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rsion spring (torsion sp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회동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상기 작동 위치에서 제한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 locking jaw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and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caught on the locking jaw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in the operating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와 연동하여 회동되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래치(latch); 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A latch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ixing the support part to the main body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pivoting part;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인 경우 상기 래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부에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상기 래치는 상기 고정 돌기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upport unit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atch,
And the latch restrains the fixing protrusion so as to fix the support part to the main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가 상기 고정 돌기를 구속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와 상기 래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래치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latch so that the latch restrains the fixing protrusio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coil sp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바퀴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When fixing the support to the main body,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auxiliary whe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상기 작동 위치에서 제한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는 회동 제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 rotation limi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rotational portion in the operating positio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상기 회동 제한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보스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and including a bos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nd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와 연동하여 회동되는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래치; 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A latch provided below the support and fixing the support to the main body, the support being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pivot; Upright typ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초기 위치인 경우 상기 래치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를 본체에 고정하도록, 상기 래치는 상기 고정 돌기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support unit is in the initial position, a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atch,
And the latch is constrained to the fixing protrusion to fix the support to the main body.
KR1020100076302A 2010-08-09 2010-08-09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187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02A KR101187078B1 (en) 2010-08-09 2010-08-09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02A KR101187078B1 (en) 2010-08-09 2010-08-09 Upright type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26A true KR20120014326A (en) 2012-02-17
KR101187078B1 KR101187078B1 (en) 2012-09-27

Family

ID=4583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02A KR101187078B1 (en) 2010-08-09 2010-08-09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07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23A1 (en) * 2014-04-09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therefor
US11723498B2 (en) 2018-07-02 2023-08-15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US11864719B2 (en) 2018-09-07 2024-01-09 Sharkninja Operating Llc Battery and suction motor assembly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56A (en) 1997-12-24 1999-07-06 Toshiba Tec Corp Vacuum cleaner
JP4000249B2 (en) * 2001-09-28 2007-10-31 アマノ株式会社 Floor cleaning machine
KR100774508B1 (en) * 2001-10-18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Upright vacuum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23A1 (en) * 2014-04-09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therefor
US10405720B2 (en) 2014-04-09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and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therefor
US11723498B2 (en) 2018-07-02 2023-08-15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US11864719B2 (en) 2018-09-07 2024-01-09 Sharkninja Operating Llc Battery and suction motor assembly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078B1 (en)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510B2 (en) Hand-held and stick vacuum cleaner
US10542857B2 (en) Vacuum cleaner
KR101224595B1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RU2617981C1 (en) Vacuum cleaner
US7380308B2 (en) Vacuum cleaner
EP1795105B1 (en) Vacuum cleaner
EP2389849A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hand-held cleaner having the same
JP2013542783A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KR101187077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N111031872B (en) Vacuum cleaner
TWI689277B (en) Charging base of electric vacuum cleaner
US20090007368A1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wet cleaning function
US20160095485A1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dirt collection assembly
KR101187078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20855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18661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227517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2910444A1 (en) Vacuum cleaner
KR10125319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N109008788A (en)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2153352B1 (en) Vacuum cleaner
CN111918591B (en) Suction device for cleaning purposes
JPS6124008B2 (en)
KR101259125B1 (en) Handl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