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498A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498A
KR20120013498A KR1020100075485A KR20100075485A KR20120013498A KR 20120013498 A KR20120013498 A KR 20120013498A KR 1020100075485 A KR1020100075485 A KR 1020100075485A KR 20100075485 A KR20100075485 A KR 20100075485A KR 20120013498 A KR20120013498 A KR 2012001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ubscriber
loc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276B1 (ko
Inventor
백승윤
이창석
조채환
이혜민
강석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276B1/ko
Priority to CN201180046360.XA priority patent/CN103125127B/zh
Priority to US13/811,818 priority patent/US9100782B2/en
Priority to PCT/KR2011/005531 priority patent/WO2012015237A2/ko
Publication of KR2012001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276B1/ko
Priority to US14/688,651 priority patent/US94081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며, 서비스 서버에 의해 검색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Positioning System, Service Server and Mobile using short distanca communication and Providing/Inqui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위자가 이동 중에 있을 때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의 타인의 단말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타인의 단말기 중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 단말기를 활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되어, 무선 인터넷에 대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통신 요금의 차등화,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및 위치 기반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사용된다.
최근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자신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타인의 위치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서비스의 제공 폭을 넓히고자 한다. 타인의 위치를 조회하는 방식은 비동기적인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즉, 해당 서비스에 타인이 최종으로 접속하여 남겨 놓은 위치 기록을 조회하여 해당 타인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타인의 위치 조회방법은, 측위자가 타인의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를 알고 있어야만 하며, 타인 단말기가 측위자의 현재위치의 주변이 있더라도 타인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는 해당 타인 단말기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측위자가 이동 중에 있는 경우에는 함께 이동하는 타인의 위치정보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타인의 위치와 결합된 상태 정보가 관심사항일 수 있으나, 종래의 기술로는 이동 중인 측위자 주변에 위치한 타인 단말기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실질적으로 조회하기 어렵기 때문에, 측위자 주변인들의 상태 정보를 알고자 하는 서비스로의 진화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측위자가 이동 중에 있을 때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의 타인의 단말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타인의 단말기 중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며,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서비스 서버; 및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며, 서비스 서버에 의해 검색된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주변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MACA: 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획득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저장부;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는 로그정보 기록부; 이동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 수신부;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가입자정보 검색부; 및 측위 서버와 연동하며, 검색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조회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는, 검색된 가입자에 대한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정보 전송부는 전송된 리스트 중 이동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접속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정보 수신부는 인증 처리부에 의해 인증처리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획득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부; 및 서비스 서버로부터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부는, 주변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요청된 상기 타인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가입자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리스트 수신부; 및 수신된 서비스 가입자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를 선택하는 가입자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선택된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현재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부; 및 측위부에 의해 측위된 현재의 위치 값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은,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측위 서버와 연동하며, 검색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조회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수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은, 검색된 상기 가입자에 대한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리스트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은, 접속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정보 수신단계는 인증 처리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은, 타인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로부터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은, 전송된 타인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가입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가입자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단계는 선택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 획득단계는, 주변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은, 현재의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및 측위된 현재의 위치의 위치 값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는, 측위자가 이동 중에 있을 때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의 타인의 단말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타인의 단말기 중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서비스의 가입자가 동일한 전화번호로 복수의 단말기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단말기에 복수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주변의 타인 단말기를 검색하고, 타인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단말기 또는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불필요한 통신절차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서비스 서버(200) 및 측위 서버(2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11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네트워크(120) 또는 이동통신 망(13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UWB(Ultra Wide Ban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타인 단말기(110)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MAC 어드레스는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말한다. MAC 어드레스는 이더넷 카드의 ROM(Read Only Memory)에 기록된 것으로서 주소 크기는 일반적으로 48비트인데,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전반부 24비트 벤더를 할당하면, 벤더 측은 후반부 24비트에 대해 세부 할당을 한다. 통신망 운용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 초기 화면에는 각 기계의 이름이 미리 망 관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에 할당되어 MAC 어드레스로 표시되어 있다. 통상 개인용 컴퓨터나 구내정보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기기의 LAN 접속구상의 ROM에 기입해 두고, MAC층 데이터 프레임의 앞쪽(헤더)에는 송신처와 주소를 지정해서 사용한다.
네트워크(120)는 WiBro(Wireless Broadband),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VAN(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와 같은 유선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동통신 망(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 WCDMA(Wideband CDMA) 망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서버로서, 메신저 서비스 제공서버, 친구 찾기 서비스 제공서버 등의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는데,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각각의 가입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해당 가입자 단말기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모듈인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는 동일한 전화번호로 서로 다른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각각의 가입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전화번호에 대한 각각의 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입자 단말기에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되거나, 사용자가 기존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입자 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측위자 주변의 타인의 최근의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검색된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가입자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는 가입자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정보,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ISDN Number) 정보 등일 수 있다.
MIN은 이동국(이동전화 단말기)에 할당된 10자리 전화번호를 디지털로 표시하는 34비트 숫자를 말하며, 단말기의 지정번호(전화번호라고도 한다)로서 MIN1과 MIN2가 있다. MIN1은 단말기에 할당된 7개 디지트(digit)의 전화번호로 24개 비트로 구성되며, MIN2는 3개 디지트의 지역번호로 10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011-YYY-XXXX에서 MIN1은 YYY-XXXX이고 MIN2는 011이다. MIN은 원래 북미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10자리의 MIN은 국제 로밍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정보를 포함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IMSI 체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IMSI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서비스 가입 시에 이동 단말기에 할당되는 고유 15자리 식별번호로서, 이 번호는 이동국가 코드(MCC: Mobile Country Code),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Mobile Network Code),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MSIN: Mobile Subscriber Identifier Number) 및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로 구성된다. MCC와 MNC는 이동전화 가입자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전세계 어떠한 망에서든지 유일하게 식별한다. 다시 말해, IMSI는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네트워크)가 최대 처음 6자리를 분석해서 홈 네트워크를 조회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MSIN은 MCC와 MNC가 주어진 경우, 이동전화 단말기를 유일하게 식별한다.
MSISDN는 WCDMA IMT-2000의 경우 가입자에게 두 가지 번호를 부여한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 IMSI와 단말기에 MSISDN이라는 것이 부여되는데, 예를 들어 최근의 이동단말기 번호체계로 010X를 부여한 것이 바로 MSISDN이고 이 MSISDN에는 실제로는 국가코드가 들어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가입자는 상대방이 어디에 있는지 전혀 예상하지 않고서도 별도의 다이얼링 없이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다른 국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IMSI는 4개의 MSISDN을 가질 수 있다.
측위 서버(210)는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측위한다. 측위 서버(210)는 이동 단말기(100)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에 대한 측위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측위 방식에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의 셀 반경인 전파환경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방식과 이동 단말기 내에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 Based) 방식,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혼합(Hybrid) 방식이 있다.
A-GPS 방식은 핸드셋 기반 방식으로서, TDMA(Time De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 망과 CDMA(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IS-95 기반 망 기술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방식이다. GSM 무선 접속 방식에서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 단말기와 GSM 망 내의 SPC(Supl Positioning Center) 간에 OMA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인터페이스와 OMA SUPL 내의 A-GPS 측위를 위한 프로토콜인 SUPL POS(RRLP(Radio Resource Location Protocol)를 내장한 GSM A-GPS 프로토콜)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데, GPS 위성으로부터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측위를 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이 매우 정확하다. A-GPS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한 위성신호를 전송받아서 위치를 계산하는 SPC(SUPL Positioning Center)와 GSM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 정보에 의한 계산을 가공 또는 다른 시스템으로 연계하는 위치정보센터(SLC: SUPL Location Center)로 구성되어 있다.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방식은 대표적인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식으로 TDMA 무선 접속 규격을 사용하는 유럽의 TDMA 기반 GSM 방식의 GSM 표준위원회에서 LCS Release 98과 99를 통해 표준화되었는데, 이동 단말기가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대적인 도착시간과 거리의 차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E-OTD 방식은 OTD(Observed Time Difference), RTD(Relative Time Difference), GTD(geometric time difference) 등의 시간차 개념을 조합하여 네트워크 방식의 측위 계산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OTD는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까지 도착하는 신호의 도착시간에 대한 차이를 의미하며, GSM 기반의 이동 단말기에서 UE Rx-Tx Time Difference Type 2 Parameter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RTD는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시작시간 차이를 구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서, 기지국에 별도의 측정장치인 LMU(Location Measurement Unit)를 장착해야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GSM 표준에서 권고한 네트워크 방식의 위치 계산을 위한 Key Parameter인 "GTD = OTD - RTD"를 구하기 위해서는 OTD 뿐만 아니라 RTD를 구해야만 E-OTD 방식의 네트워크 위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은 이동 단말기와 서버 간의 약속된 프로토콜(IS-801, RRLP, RRC 등)에 의해 이동 단말기 및 LMU에서 측정한 데이터(PPM, OTD, RTD 등)를 측위 서버에 전달하고, 그 이동 단말기의 측정 데이터(PPM, OTD, RTD 등)를 이용하여 측위 서버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 측위 기능을 수행한다. 측위 서버는 네트워크 방식의 위치 측위(GPS 위성을 이용한 위치측정 방식을 제외한 서버 단에서 측위 요청한 단말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측위 서비스를 요청한 대상에게(SLC, CP(Contents Provider), 서비스를 요구한 이동 단말기 등) 전송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은 일반적으로 위치를 알고 있는 3개 이상의 AP(Access Point)들의 좌표 및 거리를 이용하는 삼각 측량법(Triangulation)을 이용하며, 크게 측정(예측)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거리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분류된다.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우선 위치를 알고 있는 3개 이상의 AP로부터 위치를 알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까지의 각각의 거리를 측정한 후, 측정된 거리와 AP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삼각 측량법을 수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와 AP 사이의 거리는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RSS(Received Signal Strength) 등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측정(예측)한다.
ToA는 전파 속도를 알고 있는 신호가 AP 사이를 이동한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TdoA는 서로 다른 속력을 가진 두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여 두 AP 간에 신호들이 도달한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두 방법은 속도가 낮은 신호일수록, AP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수록 더욱 정확한 측정 결과를 산출한다.
RSS는 노드에 도달한 수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RSS가 사용하는 RF신호는 초음파나 음파보다 회절 특성이 좋기 때문에 가시성(LoS)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며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거리정보를 이용하지 않는 위치 인식 방법으로는 센트로이드(Centroid) 방법, APIT(Approximate Point In Triangulation)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멀티 홉(multi-hop)을 이루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거리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네트워크에 오차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된 방법들이다.
센트로이드 방법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각각의 AP들이 자신들의 위치 정보를 이웃 AP로 전송한 경우 이웃 AP들이 이전의 AP들로부터 받은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를 예측(측정)하는 방법이다. 센트로이드 방법은 AP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을수록, 자신과 통신할 수 있는 AP의 수가 많을수록, RF 전파환경이 동일하게 유지될수록 더욱 정확한 측정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APIT 방법은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가 각 AP들이 이루는 삼각형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위치를 예측한다. 측위 서버(2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서버(210)는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며,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 가입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가입자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측위 서버(210)는 서비스 서버(200)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면,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기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서비스 서버(200)와 측위 서버(210)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측위 서버(210)는 서비스 서버(200) 내에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부(101), 온/오프 제어부(102), 요청부(10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 리스트 수신부(105), 가입자 선택부(106), 측위부(107) 및 위치 전송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01)는 전술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말하며, 블루투스 통신 모듈, UWB 통신모듈, 지그비 통신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의 위치에 대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110)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근거리 통신부(101)는 주변의 타인 단말기(110)로부터 통신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식별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 해당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주변의 타인 단말기(110)에 구비된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식별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온/오프 제어부(102)는 근거리 통신부(101)의 전원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한다. 즉, 근거리 통신부(101)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부(102)는 근거리 통신부(101)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요청부(103)는 획득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비스 서버(200)에 기록된 타인 단말기(110)의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01)가 주변의 복수의 타인 단말기(110)들로부터 획득한 각각의 통신모듈의 식별정보가 A, B, C 및 D라고 하면, 요청부(103)는 각각의 통신모듈의 식별정보 A, B, C 및 D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고 각각의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에 대해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부(103)에 의해 전송된 각각의 타인 단말기(110)의 식별정보가 A, B, C 및 D인 경우, 그 중 A 및 B만이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로그정보가 기록되었다면(즉, A 및 B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의 사용자만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A 및 B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한다.
리스트 수신부(105)는 요청부(103)에 의해 요청된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가입자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부(103)에 의해 전송된 각각의 타인 단말기(110)의 식별정보가 A, B, C 및 D인 경우, 그 중 A 및 B만이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로그정보가 기록되었다면, 리스트 수신부(105)는 요청부(103)의 요청에 대응하는 가입자의 리스트를 요청하여 A 및 B에 대응하는 가입자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선택부(106)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가입자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 수신부(105)가 수신한 가입자 리스트가 A 및 B에 대응하는 가입자라고 하면, 가입자 선택부(106)는 그 중 하나의 가입자를 선택하거나,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입자 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선택신호는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가입자 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가입자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측위부(107)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측위 모듈로서, 전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GPS 신호 수신기능, 삼각측량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위치 전송부(108)는 측위부(107)에 의해 측위된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의 위치 값을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측위 서버(210)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값을 측위 서버(210)로 전송하거나, 측위 서버(210)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도 1의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가입자정보 저장부(220), 로그정보 기록부(230), 식별정보 수신부(240), 가입자정보 검색부(250), 위치정보 전송부(260), 리스트 전송부(270) 및 인증 처리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입자정보 저장부(220)는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가입자 정보 저장부(220)는 타인 단말기(110)의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MIN 정보, MSISDN 정보, IMSI 정보 등과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101)의 MAC 어드레스를 가입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로그정보 기록부(230)는 가입자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가입자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면, 해당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한다.
식별정보 수신부(24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식별정보는 수신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가입자정보 검색부(250)는 식별정보 수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로그정보 기록부(220)에 기록된 가입자의 로그정보로부터 매칭되는 가입자 로그정보를 검색한다.
위치정보 전송부(260)는 로그정보 기록부(230)로부터 검색된 가입자 로그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즉, 각각의 가입자 단말기 및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은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입자정보 검색부(250)는 식별정보 수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가입자의 해당 단말기에 대한 로그정보를 검색하며, 위치정보 전송부(260)는 그 검색된 로그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리스트 전송부(270)는 가입자정보 검색부(250)에 의해 검색된 가입자 로그정보에 대응하여 가입자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타인 단말기(110)의 식별정보 A, B, C 및 D 중 A 및 B만이 로그정보 기록부(230)에 의해 가입자 로그정보가 기록되었다면, 리스트 전송부(270)는 가입자 식별정보 A 및 B에 대응하는 가입자의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정보 전송부(260)는 리스트 전송부(27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된 가입자 리스트 중,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만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처리부(280)는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즉, 인증 처리부(280)에 의해 인증된 이동 단말기(100)만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 단말기(110)의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식별정보 수신부(240)는 인증 처리부(280)에 의해 인증 처리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 의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 단말기(110)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0)는 가입자 단말기의 MIN 정보, IMSI 정보, MSISDN 정보 등과 같은 식별정보 및 가입자 단말기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식별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S401).
로그정보 기록부(230)는 가입자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가입자 단말기가 네트워크(120) 또는 이동통신 망(130)을 통해 접속하면(S403), 접속한 가입자 단말기의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한다(S405).
서비스 서버(200)의 인증 처리부(280)는 네트워크(120) 또는 이동통신 망(130)을 통해 접속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다(S407).
인증 처리부(27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S409), 식별정보 수신부(24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411).
가입자정보 검색부(250)는 로그정보 기록부(230)에 기록된 가입자의 로그정보 중 식별정보 수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가입자 로그정보를 검색한다(S413).
이때, 리스트 전송부(270)는 수동 모드로서, 가입자정보 검색부(250)에 의해 검색된 가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리스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415, S417).
이 경우, 리스트 전송부(270)에 의해 전송된 가입자 리스트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가입자 선택신호가 수신되면(S419), 위치정보 전송부(260)는 로그정보 기록부(230)로부터 선택된 가입자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로그정보를 조회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421). 자동 모드의 경우(S415), 위치정보 전송부(260)는 측위 서버(210)와 연동하여 가입자정보 검색부(250)에 의해 검색된 가입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 단말기(110)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온/오프 제어부(102)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모듈(101)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S501).
측위부(107)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의 위치를 측위하며(S503), 측위부(107)에 의해 측위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값은 측위 서버(21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S505). 이때, 측위부(107)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의 측위는 측위 서버(210)를 통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부(101)가 온(ON) 제어되면(S507), 근거리 통신부(101)는 이동 단말기(100) 주변의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획득한다(S509).
요청부(103)는 근거리 통신부(101)를 통해 획득한 타인 단말기(110)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여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기록된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한다(S511).
리스트 수신부(105)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부(103)에 의해 전송된 타인 단말기(110)의 식별정보 중 로그정보가 기록된 타인 단말기(110)에 대응하는 가입자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513).
가입자 선택부(106)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를 선택한다(S515).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가입자 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에 대응하는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517).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는 가입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대신에, 요청부(103)에 의해 전송된 타인 단말기(110)의 식별정보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인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모든 타인 단말기(110)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측위자가 이동 중에 있을 때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의 타인의 단말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타인의 단말기 중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이동 단말기 101: 근거리 통신부
102: 온/오프 제어부 103: 요청부
1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5: 리스트 수신부
106: 가입자 선택부 107: 측위부
108: 위치 전송부 110: 타인 단말기
120: 네트워크 130: 이동통신 망
200: 서비스 서버 210: 측위 서버
220; 가입자 정보 저장부 230: 로그정보 기록부
240: 식별정보 수신부 250: 가입자정보 검색부
260: 위치정보 전송부 270: 리스트 전송부
280: 인증 처리부

Claims (18)

  1.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고, 기록된 상기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검색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주변의 상기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3.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저장부;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는 로그정보 기록부;
    이동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식별정보 수신부;
    기록된 상기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가입자정보 검색부; 및
    측위 서버와 연동하며, 검색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검색된 상기 가입자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전송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전송부는 전송된 상기 리스트 중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5. 제 3항에 있어서,
    접속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 수신부는 상기 인증 처리부에 의해 인증처리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6.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 통신부;
    획득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대응하는 상기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주변의 상기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요청된 상기 타인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가입자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리스트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를 선택하는 가입자 선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선택된 상기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6항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부; 및
    상기 측위부에 의해 측위된 현재의 위치 값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접속시점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록된 상기 로그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입자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측위 서버와 연동하며, 검색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검색된 상기 가입자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상기 리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접속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 수신단계는 인증처리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인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방법.
  14. 타인 단말기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타인 단말기의 로그정보에 기초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전송된 상기 타인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가입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가입자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단계는 선택된 상기 가입자에 대한 위치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획득단계는,
    주변의 상기 타인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모듈의 MAC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
  18.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현재의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 및
    측위된 상기 현재의 위치의 위치 값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조회방법.
KR1020100075485A 2010-07-27 2010-08-05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KR10140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85A KR101401276B1 (ko) 2010-08-05 2010-08-05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CN201180046360.XA CN103125127B (zh) 2010-07-27 2011-07-27 使用wlan/wpan通信的位置和状态信息提供/查询系统、日志信息提供/查询系统和方法、业务服务器和客户终端、位置和状态提供/查询方法
US13/811,818 US9100782B2 (en) 2010-07-27 2011-07-27 Location and state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using WLAN/WPAN communication, log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and method, service server and customer terminal, location and state providing/inquiring method
PCT/KR2011/005531 WO2012015237A2 (ko) 2010-07-27 2011-07-27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로그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고객 단말기,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및 로그정보 제공/조회 방법
US14/688,651 US9408176B2 (en) 2010-07-27 2015-04-16 Location and state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using WLAN/WPAN communication, log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and method, service server and customer terminal, location and state providing/inqui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85A KR101401276B1 (ko) 2010-08-05 2010-08-05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498A true KR20120013498A (ko) 2012-02-15
KR101401276B1 KR101401276B1 (ko) 2014-05-30

Family

ID=4583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485A KR101401276B1 (ko) 2010-07-27 2010-08-05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2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912A1 (en) * 2012-09-10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event
KR20160006553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호서텔넷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2960A (ko) * 2020-04-02 2021-10-13 이동열 스마트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특정 또는 불특정 스마트 기기 간 접촉 위치 및 범위 확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74B1 (ko) * 2015-09-17 2017-10-26 이상서 무선랜 ap의 주소파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2223A (ja) * 2004-12-16 2006-06-29 Nec Corp マッチング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で実現するプログラム、gps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及び情報サーバ
KR100975892B1 (ko) * 2008-01-04 2010-08-13 주식회사 루키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에서 이동하는 엔드 디바이스의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912A1 (en) * 2012-09-10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event
KR20160006553A (ko) * 2014-07-09 2016-01-19 주식회사 호서텔넷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구조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2960A (ko) * 2020-04-02 2021-10-13 이동열 스마트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특정 또는 불특정 스마트 기기 간 접촉 위치 및 범위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276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176B2 (en) Location and state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using WLAN/WPAN communication, log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and method, service server and customer terminal, location and state providing/inquiring method
CN110121892B (zh) 用于在第五代无线网络中支持控制平面位置的系统及方法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CN101578901B (zh) 用于使用历史网络信息来确定近似位置的方法和装置
CN102037750B (zh) 经由毫微微接入点定位紧急呼叫
KR101332500B1 (ko) 목표 단말의 이동성 이벤트 트리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목표 단말 및 방법
WO2018144140A1 (en)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user equipment preconfigured with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KR20130089388A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의 위치 파악 방법 및 장치
EP2059075A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lost and/or stolen phone based on supl network initiated, triggered by reverse-billed SMS
CN103155663A (zh) 用户设备、网络节点及其中的方法
KR20050109646A (ko) 로밍 중인 이동단말기의 위치 서버 선택방법 및 그 장치와그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위치 결정 방법
KR20100024445A (ko) 정보 수집 시스템, 정보 등록 서버, 정보 수집 방법, 및 휴대 단말 장치
US83011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L roaming using a held client
US9479897B2 (en) SUPL-WiFi access point controller location based services for WiFi enabled mobile devices
KR101687793B1 (ko) 오차 범위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0127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및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WO2012171128A1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 cellular device world-wide
KR101627506B1 (ko) 측위 시스템, 측위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US9210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al time location service provider
KR1012386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영지역에서의 위치 정보 수집방법 및 시스템
KR10143152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로그정보 제공/조회 시스템, 서비스 서버 및 고객 단말기, 및 그 로그정보 제공/조회 방법
KR10142304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 및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위치 및 상태정보 제공/조회 방법
KR101451283B1 (ko) 서로 다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0001358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국 위치정보 전송방법
WO2023212967A1 (en) Method for network assisted ranging and/or sidelink positioning, terminal and soft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