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650A -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650A
KR20120012650A KR1020100074742A KR20100074742A KR20120012650A KR 20120012650 A KR20120012650 A KR 20120012650A KR 1020100074742 A KR1020100074742 A KR 1020100074742A KR 20100074742 A KR20100074742 A KR 20100074742A KR 20120012650 A KR20120012650 A KR 2012001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ignal
sub
main controll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7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650A/en
Priority to US13/809,145 priority patent/US8977416B2/en
Priority to CN201180043380.1A priority patent/CN103108770B/en
Priority to PCT/KR2011/005036 priority patent/WO2012005552A2/en
Publication of KR2012001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6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PURPOSE: A control circuit for 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to obtain the layout or space gain of a circuit and reduce costs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data. CONSTITUTION: A main control unit(111) generates a control data,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a vehicle, corresponding to a signal from a plurality of sensors measuring the state of a vehicle. A sub control unit(112) generates th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y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the sensors. The sub control unit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by comparing with the control data in the main control unit.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113)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the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the sensors.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sub control unit through one or more resistances.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신호 왜곡을 감쇄시키는 전기자동차 및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vehicle, and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and an emergency control method for attenuating signal distortion of data input to a plurality of processors when a plurality of processor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are provided.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Electric vehicle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in that they are the most likely alternatives to solve future automobile pollution and energy problems.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Electric vehicles (EVs) are mainly vehicles powered by AC or DC motors using battery power, and are classified into battery-only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Using a motor to drive and recharging when the power is exhausted, the hybrid electric vehicle can run the engine to generate electricity to charge the battery and drive the electric motor using this electricity to move the car.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hybrid electric vehicles can be classified into a series and a parallel method, in which the mechanical energy output from the engin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a generator, and the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a battery or a motor so that the vehicle is always driven by a motor. It is a concept of adding an engine and a generator to increase the mileage of an existing electric vehicle, and the parallel method allows the vehicle to be driven by battery power and uses two power sources to drive the vehicle only by the engine (gasoline or diesel). Depending on the driving conditions and the parallel method, the engine and the motor may drive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또한, 최근 모터/제어기술도 점점 발달하여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DC모터를 AC모터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과 EV의 동력성능(가속성능,최고속도)이 크게 향상되어 가솔린차에 비하여 손색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출력화를 추진하면서 고회전화 함에 따라 모터가 경량소형화되어 탑재중량이나 용적도 크게 감소하였다. In addition, the motor / control technology has also been developed recently, a high power, small size and high efficiency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DC motor is converted into AC motor, the power and acceleration performance (acceleration performance, maximum speed) of the EV are greatly improved, reaching a level comparable to gasoline cars. As the motor rotates with high output, the motor becomes light and compact, and the payload and volume are greatly reduced.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그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의 제어부를 포함하나, 제어부 자체 이상 또는 제어부와의 통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의 이상으로 차량이 정상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주행 중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처리가 불가능하고 그로 인해 차량의 주행이 어려워 지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Such an electric vehicle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ts function, but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control unit itself or an error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does not operate normally due to an error in the control unit. In particular, when an abnormality occurs while driving, it is impossible to process an input signal, which makes driving of the vehicle difficult, which may lead to an accident.

그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를 제어부로써 구비함에 따라 상호 동작할 수 있으나, 두 개이상의 프로세서가 구비되는 경우, 입력신호를 복수의 프로세서에서 동시에 입력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신호를 두 개이상의 제어부가 동시에 입력받기 위해 단순히 신호를 분기시켜 입력시킨다면 원 신호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although a plurality of processors are provided as a control unit, the plurality of processors may be interoperable. However, when two or more processors are provided, input signals may be simultaneously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processors. However, when two or more controllers simultaneously input a signal in order to receive the same signal, the original signal is distorted.

그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또 하나의 동일한 신호를 만들어 복수의 프로세서에 각각 입력되도록 하고 있으나 복수의 신호 유닛을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각 유닛 간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This inevitably creates another identical signal to be inpu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ocessors, but deviation occurs between each unit that may occur when using a plurality of signal units.

그로 인하여 복수의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실제로 일치하지 않고 일부 데이터에서 왜곡이 발생하여 상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프로세싱하는게 되므로, 정상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오동작하는 것으로 오판단하는 문제가 발생된다.As a result, since data input to a plurality of processors does not actually match and distortion occurs in some data and is processed based on different data,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rrectly malfunctioned even in a normal operation state.

그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하고 그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nsure that data input to a plurality of processors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can be verified.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제어를 위한 복수의 프로세서가 구비되는 경우 별도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동일한 신호가 각 프로세서로 입력되도록 하고, 입력된 신호를 각각 비교하여 그 신호의 정상유무를 판단하여 입력신호의 정확성을 높여 복수의 프로세서에서 안정적으로 프로세싱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processors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s provided without having to generate a signal separately, the same signal is input to each processor, by comparing the input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normal status of the input signal It is to provide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signal and reliably processes it in a plurality of processors to control the vehic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제어회로는 차량의 상태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서브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서브제어부로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왜곡보상부를 포함한다.
An electric vehicl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ai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vehicle; A sub-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generates control data for vehicle control, compares the control data with the control data of the main controller, and monitors an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ler; And a distortion compensator for compensating for distortion of th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for inputting the same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차량을제어 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신호 및 신호유닛의 상태를 검증하기 위해 복수의 신호를 추가하여 검증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의 내부적인 셋팅 및 간단한 회로 설계를 통해 단일 신호의 복수 입력이 가능하고 신호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차량 제어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ors in controlling a vehicle with a plurality of processors, without adding and verifying a plurality of signals to verify a state of one signal and a signal unit. Through the internal setting of the control unit and a simple circuit design, a plurality of inputs of a single signal are possible and signal deviations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stability due to vehicle control.

또한, 신호생성을 위해 복수의 신호유닛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 유닛간의 편차가 없어 데이터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회로의 레이아웃 또는 공간의 이득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signal units are not used for signal generation, there is no variation between each unit that can occur,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data, and reducing the layout and space of the circuit and reducing th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메인제어부와 서브제어부의 AD 체크 모드 설정에 따른 입력 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에서 왜곡보상부를 통한 정상 신호 입력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 controller.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rmal signal input throug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n the control circui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센서부(130), 인터페이스부(140), 모터제어부(MCU)(150), 전원부(160), PRA(17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180), 배터리팩(190) 그리고, 차량 주행 및 동작에 따른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30, the interface unit 140, the motor control unit (MCU) 150, the power supply unit 160, PRA 170,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180), the battery pack 190, and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riving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센서부(130)는 차량 주행, 또는 소정 동작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하고 이를 제어부(110) 로 입력한다. 센서부(130)는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센서의 종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30 detects and inputs a signal generated during a vehicle driving or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110. The sensor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to input various sensing signals. At this time, the type of the sensor may als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alled position.

특히 센서부(130)는 비상제어 시 필요한 엑셀 또는 브레이크 조작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In particular, the sensor unit 130 applies a signal for an Excel or brake operation required for emergency control to the control unit 110.

인터페이스부(14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입력수단과, 전기 자동차의 현 상태 동작중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The interface unit 140 includes input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by a driver's operation, and output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during current state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이때 출력수단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악, 효과음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그리고 각종 상태 등을 포함한다. 입력수단은 차량 주행에 따름 방향지시등, 테일램프, 헤드램프, 브러시 등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 버튼 등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output mean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 speaker for outputting music, sound effects and warning sounds, and various states. The input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buttons, etc. for operating a direction indicator light, tail lamp, head lamp, brush, etc.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또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스티어링 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와 같은 운전을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출력수단은 제어부(110) 이상 시, 그에 따른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40 includes operation means for driving such as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or, a brake. In particular, the output means outputs at least one of a warning sound,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ler 110 so that the driver recognizes.

충전된 전기를 동작전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팩(190)을 구비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충전소 또는 차량 충전설비 또는 가정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배터리팩(190)은 복수의 배터리로 구성되며, 고전압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An electric vehicle using charged electricity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includes a battery pack 190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and operates, and receives a battery that is supplied with power from a predetermined charging station, vehicle charging facility, or at home. To charge. The battery pack 19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stores electrical energy of high voltag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180)는 배터리팩(190)의 잔여용량, 충전 필요성을 판단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충전전류를 전기자동차의 각 부로 공급하는데 따른 관리를 수행한다.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180 determine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pack 190 and the need for charging, and performs management for supplying the charging current stored in the battery to each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이때, BMS(180)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할 때, 배터리 내의 셀 간의 전압차를 고르게 유지하여, 배터리가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At this time, when charging and using the battery, the BMS 180 maintain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cells in the battery evenly,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by controlling the battery from being overcharged or overdischarged.

또한, BMS(180)는 전류사용에 대한 관리를 통해 차량이 장시간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MS 180 allows the vehicle to travel for a long time through management of the current use, and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for the supplied current.

전원부(160)는 충전소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 또는 연결회로를 포함하고, 외부 전원 연결 시 BMS(180)의 관리하에 충전전류를 배터리(190)에 인가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160)는 배터리(190)에 충전된 동작전원을 차량의 각 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6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or a connection circuit for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station, and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90 by applying a charging current under the management of the BMS 180 to charge the battery.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60 may change and supply the operating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190 to a power source that can be used in each unit of the vehicle.

모터제어부(15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모터제어를 위한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이때 모터제어부(150)는 모터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인버터(미도시) 및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인버터 또는 컨버터를 제어함으로써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제어부(150)는 제어부(110) 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The motor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at least one connected motor (not shown) and generates and applies a predetermined signal for motor control. In this case, the motor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motor, and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by controlling the inverter or the converter including an inverter (not shown) and a converter (not shown). The motor controller 150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10.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40) 및 센서부(13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여 제어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d applies a predetermined command to control the input of the interface unit 140 and the sensor unit 130 to perform the operation, and controls the input / output of the data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Be sure to

또한 제어부(110)는 BMS(180)를 통해 배터리팩(190)을 관리하고, PRA(170)로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의 시동제어를 수행하고, 특정 위치(부품)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nages the battery pack 190 through the BMS 180, applies a switching signal to the PRA 170, performs a start control of the vehicle, and controls power supply to a specific position (part). .

이때, 제어부(11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 및 모니터링을 통해 차량을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ors to control the vehicle through mutual data exchange and monitor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0)는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 그리고 왜곡보상부(113)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main controller 111, a sub controller 112, and a distortion compensator 113.

메인제어부(111)는 차량 제어에 따른 주요 동작 전반을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140) 및 센서부(13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모터제어부(150)로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여 제어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11)는 서브제어부(112)와 모터제어부(15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한다. The main controller 111 controls the overall mai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command to the motor controller 150 to perform a se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interface unit 140 and the sensor unit 130. It is applied and controlled, and the operation state is displayed by controlling the input / output of the data.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11 monitors the operating states of the sub controller 112 and the motor controller 150.

서브 제어부(112)는 메인제어부(111)와 연결되어 메인제어부(111)의 입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메인제어부(111)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서브 제어부(112)는 입출력되는 신호의 값, 신호의 형태, 신호가 입출력되는 시간 등에 대응하여 메인제어부(111)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sub controller 112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receives the input / output signal of the main controller 111 to monitor the main controller 111. At this time, the sub controller 112 determines whether the main controller 111 operates normally in response to the value of the input / output signal, the type of the signal, the time at which the signal is input / output, or the like.

또한, 서브제어부(112)는 센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모터제어부(150)로 인가할 토크 정보를 연산하여, 메인제어부(111) 및 모터제어부(150)로 인가함으로써, 메인제어부(110)에서 연산되는 값과 비교한다. In addition, the sub-control unit 112 calculates torque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motor control unit 150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unit 130, and applies the main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motor control unit 150. It compares with the valu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10.

서브제어부(112)는 메인제어부(111)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메인제어부(111)를 대신하여 백업제어부로써 동작한다. 즉 서브제어부(12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터 및 전기자동차 동작을 제어한다. The sub controller 112 operates as a backup controller instead of the main controller 111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main controller 111. That is, the sub controller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electric vehicle by using the input data.

여기서 서브제어부(112)는 메인제어부(111)를 백업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제어부(111)의 모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 기능에 대해 차량이 비상운전 할 수 있도록 비상제어 한다.  Here, the sub-control unit 112 is to back up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does not perform all operations of the main control unit 111, but emergency control so that the vehicle can be emergency operation for some functions.

메인제어부(111) 또는 서브제어부(112)는 상기와 같이 상호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정상동작하는 다른 하나의 제어부가 차량을 제어하도록 하며, 이상 발생에 대한 에러가 인터페이스부(140)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11 or the sub-control unit 112 monitors the mutua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occurs, if any one of the abnormality occurs, the other control unit that normally operates to control the vehicle, the abnormality occurs The error for the output through the output means of the interface unit 140.

상기와 같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동일한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독립적으로 프로세싱하여 차량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 각각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에 대한 상호 이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receive the same signal, and process them independently to generate data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n each of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By comparing the generated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are mutually abnormal.

이때, 동일한 신호를 바탕으로 프로세싱이 진행되도록 센서부(130)의 복수의 센서(131 내지 133)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은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각각 입력되는데,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과정에서 신호에 왜곡이 발생하거나 신호 전달에 문제가 있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가 상이해 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alues input from the sensor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131 to 133 of the sensor unit 130 are processed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so that the processing proceeds based on the same signal. The signal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ler 112 may be different because distortion occurs in a signal or a problem in signal transmission during the input to the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ler 112. .

왜곡보상부(113)는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 즉 센서부(1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131 내지 13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왜곡을 보상하여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compensates for the distortion of a signal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that is, a signal input from a plurality of sensors 131 to 133 included in the sensor 130. The same signal is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왜곡보상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한다. 또한, 왜곡보상부(113)와 메인제어부(111) 또는 서브제어부(112)는 소정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통해 연결된다.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includes at least one resistor. In addition,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and the main controller 111 or the sub controller 112 are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resisto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왜곡보상부(113)에 포함되는 저항은 복수의 센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The resistance included in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may be preset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sensors.

경우에 따라 왜곡보상부(113)의 저항은 입력되는 신호 즉 어느 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가, 또는 연결된 센서의 특성에 따라 그 값이 가변되는 가변저항이 사용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resistance of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may be a variable resistor in which a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hat is, data from which sensor, or a characteristic of a connected sensor.

이때, 왜곡보상부(113)는 신호를 입력하는 센서에 따라 가변저항의 그 값이 변경되도록 가변저항의 값을 변경하는 저항값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may further include a resistance value setting unit for changing th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so that th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according to a sensor for inputting a signal.

왜곡보상부(113)에 의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가 동일신호가 되도록 처리되기 위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are set as follows so that the signal inpu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by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become the same signal.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내부 설정이 AD체크모드(AD Check Mode) 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AD 체크 모드가, 입력되는 신호의 값을 그대로 읽는 플로팅 체크 (Floating check)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have a floating check state in which the internal setting sets the AD check mode to be the same, and the AD check mode reads the value of the input signal as it is. Set it to

여기서,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설정이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메인제어부(111)의 AD 체크모드 설정이 기준전압을 기준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Pull up Check 상태이고, 서브제어부(112)는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Pull Down Check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가 실질적으로는 왜곡보상부(113)을 통해 연결되므로, 제어부(110) 내부에서 각각 메인제어부(111)로부터 서브제어부(112)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되므로, 입력되는 신호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Here, when the settings of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are different, for example, the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 unit 111 is a pull-up check state for processing a signal based on a reference voltage, and the sub-control unit When 112 is set to a pull down check state for processing a signal based on ground, since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are substantially connected throug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113, the controller 110 Since the circui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control unit 112 from the main control unit 111, respectively, there may be distortion in the input signal.

반대로 메인제어부(111)의 AD 체크모드 설정이 Pull Down Check상태이고, 서브제어부(112)의 설정이 Pull up Check 상태이면, 서브제어부(112)로부터 메인제어부(111)로 연결되는 회로가 형성되어 이 역시 신호 왜곡의 원인이 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f the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 unit 111 is in the Pull Down Check state and the setting of the sub control unit 112 is in the Pull Up Check state, a circuit is connected from the sub control unit 112 to the main control unit 111. This can also cause signal distortion.

또한,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설정이 동일하게 Pull up 또는 Pull Down 으로 설정되더라도,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제어부(110)내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AD Check하는 순간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Pull up, Pull Down 저항으로 인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왜곡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settings of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are set to Pull Up or Pull Down in the same manner, since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are interconnected in the control unit 110, At the time of AD Check, they can affect each other, and the input signals can be distorted due to the pull up and pull down resistances.

따라서 신호 왜곡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AD체크모드(AD Check Mode)로 설정되고 플로팅 상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signal distortion,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 control unit 112 are preferably set to the AD check mode and the flo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이때,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동일 제조사 또는 동일계열의 프로세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AD 체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양의 프로세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is preferably used the same manufacturer or the same series of processors, it is preferable to use a processor of the specification that can set the AD check mode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제어부(110)의 외부 신호 유닛이 오픈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센서 오픈 시, 입력되는 신호가 없으므로 메인제어부(111) 및 서브제어부(112)는 입력되는 신호가 0V이어야 하나, 메인제어부(111) 및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 모드가 플로팅 체크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0V가 아닌값이 입력될 수 있다.Here, when the external signal unit of the control unit 110 is opened, for example, when the sensor is open, there is no input signal, so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should have an input signal of 0V, but the main control unit ( When the AD check mode of the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is set to the floating check state, a value other than 0V may be input.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모드가 플로팅 체크 상태로 설정되면, 메인제어부(111) 및 서브제어부(112)와 센서부(130)의 사이에 연결되는 왜곡보상부(113)는 풀 다운(Pull down) 방식으로 저항이 구성된다. Accordingly, when the AD check mode of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 control unit 112 is set to the floating check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 control unit 112 are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unit 130 and the sensor unit 130.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includes a resistor in a pull down manner.

왜곡보상부(113)는 상기와 같이 내부의 저항이 연결됨에 따라, 센서 오픈 시 발생되는 전압 플로팅(Voltage Floating) 현상을 방지한다. 이때 저항값은 입력되는 신호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값으로 설정되며 이는 실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prevents a voltage floating phenomenon generated when the sensor is opened as the internal resistance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resistance value is set to a value at which distortion does not occur in the input signal, which can be set through an experiment.

왜곡보상부(113)를 통해 메인제어부(111) 및 서브제어부(112)로 신호가 입력되므로, 제어부(110) 외부에 연결되는 유닛이 오픈 상태가 되더라도, 왜곡보상부(113)에 의해 메인제어부(111) 및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는 0V를 유지한다. Since a signal is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through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even if a unit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ler 110 is in an open state, the main controller is controlled by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The signal input to the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maintains 0V.

이때,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AD 체크 타이밍(AD Check Timing)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may be set so that AD check timing does not overlap each other.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는 각각 필터를 더 포함하여, AD Check Timing이 겹치는 경우 순간적으로 신호변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순간적인 신호 변경에 비대하여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한다.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each further include a filter, and when AD Check Timing overlaps, a signal change may occur instantaneously, so that filtering is performed in comparison to the instantaneous signal change.

도 3은 메인제어부와 서브제어부의 AD 체크 모드 설정에 따른 입력 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이때 도 3의 a는 왜곡된 신호의 예이고, 도 3의 b는 신호 왜곡 보상을 통해 메인제어부와 서브제어부로 입력되는 정상 신호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 controller. 3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istorted signal, and FIG. 3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normal signal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 controller through signal distortion compens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 모드 설정에 따라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istortion may occur in a signal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according to the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 모드 설정이 상이한 경우 도 3의 a와 같이 신호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신호(301)는 메인제어부(111)로 입력되는 신호이고, 제 2 신호(302)는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이다. When the AD check mode settings of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are different, deviations may occur in the signal as shown in FIG. The first signal 301 is a signal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econd signal 302 is a signal input to the sub-control unit 112.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 모드가 상이한 경우 제 1 신호(301)와 제 2 신호(302)에 편차(305, 306, 307)가 발생하는데, 이때 편차가 일정한 경우에는 신호 보상을 통해 신호를 일치 시킬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편차가 발생하는 구간이 일정하지 않고, 발생되는 편차의 크기 또한 상이하므로 동일한 신호로 처리하기 어려워 진다. When the AD check mode of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are different, deviations 305, 306, and 307 are generated in the first signal 301 and the second signal 302. Signals can be matched through signal compensation, but as shown, the interval where the deviation occurs is not constant, and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deviation is also different, making it difficult to process the same signal.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 모드 설정이 플로팅 체크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메인제어부(111)로 입력되는 제 3 신호(3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제 4 신호(312)가 일치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is set to the floating check mode, as shown in FIG. 3B, the third signal 311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11 is input. And the fourth signal 312 input to the sub-control unit 112 coincide with each other.

그에 따라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가 동일한 신호를 입력받아 프로세싱하므로, 상호 동작상태를 체크 하여 안정적으로 차량을 정상 제어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since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receives and processes the same signal, it is possible to stably control the vehicle by checking the mutual operation state, and determine whether any one abnormality occurs.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에서 왜곡보상부를 통한 정상 신호 입력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이때, 제 3 신호(321)는 왜곡보상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의 신호이고, 제 4 신호(322)는 왜곡보상부가 구비되는 경우의 신호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rmal signal input throug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n the control circui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third signal 321 is a signal when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not provided, and the fourth signal 322 is a signal when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provided.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AD 체크모드가 플로팅 체크 상태로 설정된다 하더라도 왜곡보상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 3 신호(321)와 같이 신호 왜곡이 발생한다. Even if the AD check mode of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is set to the floating check state, when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not provided, signal distortion occurs as in the third signal 321.

왜곡보상부(113)이 제어부(110)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의 외부 유닛의 오픈되거나 신호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 또는 센서 오픈 시(323),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로 입력되는 신호가 0V가 되어야 하나 제 5 신호(321)와 같이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내부에서 인식되는 전압이 0V가 아니고 점차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When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is not provided in the controller 110, when an external unit of the controller 110 is opened or when a signal input is interrupted or when the sensor is opened 323,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ler ( The signal input to 112 should be 0V, but the voltage recognized inside the main control unit 111 and the sub-control unit 112, like the fifth signal 321, gradually rises instead of 0V.

이 경우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가 소정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오판단하여 그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게 되므로 차량이 오동작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 controller 112 may misjudge that a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and control the vehicle accordingly, which may cause the vehicle to malfunction.

한편, 왜곡보상부(113)가 구비되는 경우, 제 6 신호(322)와 같이, 외부 유닛의 오픈 또는 센서 오픈시(323)에도 메인제어부(111)와 서브제어부(112)의 내부에서 인식되는 전압이 0V로 유지된다. Meanwhile, when the distortion compensator 113 is provided, the main controller 111 and the sub-controller 112 are recognized inside the external unit or the sensor open 323, as in the sixth signal 322. The voltage is kept at 0V.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로세서가 구비하는 제어부에서 메인제어부와 서브제어부의 내부 AD 체크 모드 설정을 플로팅 체크상태로 설정하고, 왜곡보상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신호를 실질적으로 일치시키면서 회로 오픈 시에도 정상적으로 이를 인식 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보상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internal AD check mode setting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sub control unit to the floating check state in the control unit of the plurality of processors, and includes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thereby substantially matching the signals input to the plurality of processors, The signal can be compensated for normal recognition even when open.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신호를 바탕으로 복수의 프로세서가 프로세싱하여 차량을 제어함에 따라 보다 차량 제어에 따른 효율성이 향상되고, 차량 추행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urality of processors process and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same signal,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is improved, and the stability of vehicle tracking is ensu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제어부 111: 메인제어부
112: 서브제어부 113: 왜곡보상부
130: 센서부 140: 인터페이스부
150: 모터제어부 160: 전원부
110: control unit 111: main control unit
112: sub-control unit 113: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130: sensor unit 140: interface unit
150: motor control unit 160: power supply unit

Claims (6)

차량의 상태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메인제어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서브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서브제어부로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왜곡보상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A main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measuring the state of the vehicle;
A sub-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generates control data for vehicle control, compares the control data with the control data of the main controller, and monitors an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ler; And
And a distortion compensator for compensating for distortion of th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to allow the same signal to be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보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서브제어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서브제어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ortion compensato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control unit, respectively, through at least one resistor, and applies th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control unit.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서브제어부는, 입력되는 신호의 값을 그대로 읽는 플로팅 체크(Floating check) 상태로 AD 체크 모드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 controller set the AD check mode to a floating check state in which the value of the input signal is read as it i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보상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또는 연결되는 외부 유닛이 오픈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 및 상기 서브제어부의 내부에서 인식되는 전압이 0V가 되도록 신호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tortion compensator compensates for a signal such that the voltage recognized in the main controller and the sub-control unit becomes 0V when the plurality of sensors or the external unit to be connected are in an open state.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보상부는 풀 다운(Pull Down) 방식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ncludes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resistor configured in a pull down (Pull Down)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보상부는 연결되는 센서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경되는 가변저항을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회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tortion compensator includes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nsor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control circuit.
KR1020100074742A 2010-07-09 2010-08-02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KR20120012650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742A KR20120012650A (en) 2010-08-02 2010-08-02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US13/809,145 US8977416B2 (en) 2010-07-09 2011-07-08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thereof
CN201180043380.1A CN103108770B (en) 2010-07-09 2011-07-08 Electronlmobil and emergency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1/005036 WO2012005552A2 (en) 2010-07-09 2011-07-08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742A KR20120012650A (en) 2010-08-02 2010-08-02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650A true KR20120012650A (en) 2012-02-10

Family

ID=4583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742A KR20120012650A (en) 2010-07-09 2010-08-02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65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8428B2 (en) 2014-12-16 2018-03-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charging system for selecting charging mode of electric vehicle
KR20210001664A (en) * 2019-06-28 2021-01-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ensor data smart transceiver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8428B2 (en) 2014-12-16 2018-03-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charging system for selecting charging mode of electric vehicle
KR20210001664A (en) * 2019-06-28 2021-01-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ensor data smart transceiver and th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907B1 (en) Car battery management system
US8977416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thereof
US8655535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5391108A (en) Battery pack and hybri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KR20120081824A (en)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US20120274277A1 (en) Vehicle
JP5860886B2 (en) Battery control device, power storage device, and vehicle
KR20120005729A (en)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CN110466364B (en) Battery pack for vehicle
US9931949B2 (en) Fault detection in a multi-high voltage bus system
JP6928477B2 (en) Charging system or charger
CN103283103A (en) Power supply system, vehicle mounted therewith,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torage apparatus
KR20130068993A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89800A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12662A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in an emergency
KR20120012650A (en)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KR20140020659A (en) Ev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65209A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45735A (en) Power storage system
KR20120005725A (en) Electric vehicle
KR102095321B1 (en)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for sharing status information of navigatio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harging stations using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40065208A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81825A (en)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KR20120114605A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8033269A (en) Power supply controller for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