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806A -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806A
KR20120011806A KR1020110072949A KR20110072949A KR20120011806A KR 20120011806 A KR20120011806 A KR 20120011806A KR 1020110072949 A KR1020110072949 A KR 1020110072949A KR 20110072949 A KR20110072949 A KR 20110072949A KR 20120011806 A KR20120011806 A KR 2012001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information
terminal
idle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정
육영수
이은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811,6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21300A1/en
Priority to PCT/KR2011/005440 priority patent/WO2012011782A2/ko
Priority to KR1020110072949A priority patent/KR20120011806A/ko
Publication of KR2012001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장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Method for supporting network reentry of no mobility mobile station with idle state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reentry at no mobility mobile station with idle state}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접속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에 기반하고 있으며, 다수의 부반송파들을 이용하여 물리채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타입은 크게 멀티캐스팅/브로드캐스팅 데이터 타입과 유니캐스트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멀티캐스팅/브로드캐스팅 데이터 타입은 기지국이 불특정/특정 단말들이 속한 하나 이상의 그룹(들)에게 시스템 정보,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정보 등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니캐스트 데이터 타입은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 요청 정보를 전송하거나, 특정 단말에게만 전달해야 할 정보(예를 들어, 구성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 등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타입에는 유니캐스트 데이터 타입이 있다. 단말은 최종적으로 다른 단말 혹은 서버 등에 전달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기존의 통신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과 기지국과의 통신에 대부분이었지만, 통신 기술의 발달로, 기기 간 통신이 가능해 지게 되었다. 기기 간 통신(Machine to Machine, 이하 M2M)이란 표현 그대로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광의로는 전자 장치 간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이나, 사람이 제어하는 장치와 기계간의 통신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간 즉, 기기 간 무선 통신을 특별히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M2M 통신의 개념이 처음 도입된 1990년대 초반에는 원격 조정이나 텔레매틱스 정도의 개념으로 인식되었고, 파생되는 시장자체도 매우 한정적이었으나, 지난 몇 년간 M2M 통신은 고속 성장을 거듭하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판매 관리 시스템(Point Of Sales, POS)과 보안 관련 응용 시장에서 물류 관리(Fleet Management), 기계 및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건설 기계 설비상의 작동시간 측정 및 열이나 전기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지능 검침(Smart Meter) 등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앞으로의 M2M 통신은 기존 이동 통신 및 무선 초고속 인터넷이나 Wi-Fi 및 Zigbee 등 소 출력 통신 솔루션과 연계하여 더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더 이상 B2B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B2C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M2M 통신시대에서는 SIM 카드를 장착한 모든 기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 원격 관리 및 통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트럭, 기차, 컨테이너, 자동판매기, 가스탱크 등 수없이 많은 기기와 장비에 M2M 통신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 등 적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이러한 M2M 기기는 롱-텀(long-term)으로 기지국으로 보고하거나, 이벤트가 트리거링되어 보고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M2M 기기는 대부분 유휴상태로 유지하다가 롱-텀 주기가 돌아오거나 이벤트가 트리거링되면 깨어나서 활성 상태(Active state)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M2M 기기 중에서 이동체에 장착되어 이동성(mobility)이 있는 기기들도 있겠지만 대부분 이동성이 적거나 이동성이 없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성이 없으며 유휴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단말들만을 기지국이 식별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이 활성상태로 전환하는 절차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아직까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진입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된 적이 없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방법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정보는 수퍼프레임 헤더(SF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비-사용자 특정 A-MAP IE(non-user specific A-MAP IE), 확장된 비-사용자 특정 A-MAP IE(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수퍼프레임 인덱스, 프레임 인덱스, 서브프레임 인덱스 또는 슬롯 인덱스로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사용자 특정 A-MAP IE(user specific A-MAP IE), 확장된 사용자 특정 A-MAP IE 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일 수 있다.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부터 상기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하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 3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된 상기 하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정보는 수퍼프레임 헤더(SF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비-사용자 특정 A-MAP IE(non-user specific A-MAP IE), 확장된 비-사용자 특정 A-MAP IE(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하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 3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된 상기 하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은 네트워크 재진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통신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하향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고, 그 외의 단말들은 자신들을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통신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IEEE 802.16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유휴상태의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서 기술한 IEEE 802.16m 시스템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외의(혹은 나머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단말 입장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IEEE 802.16 시스템, 3GPP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S(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기지국(105) 및 단말(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105)과 하나의 단말(110)을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5)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15), 심볼 변조기(120), 송신기(125), 송수신 안테나(130), 프로세서(180), 메모리(185), 수신기(190), 심볼 복조기(19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65), 심볼 변조기(175), 송신기(175), 송수신 안테나(135), 프로세서(155), 메모리(160), 수신기(140), 심볼 복조기(155),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안테나(130, 135)가 각각 기지국(105) 및 단말(110)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 및 단말(110)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5)은 SU-MIMO(Single User-MIMO), MU-MIMO(Multi User-MIMO) 방식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하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는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하여, 코딩하고, 코딩된 트래픽 데이터를 인터리빙하고 변조하여(또는 심볼 매핑하여), 변조 심볼들("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이 데이터 심볼들과 파일럿 심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20)는,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을 다중화하여 이를 송신기(125)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 심볼은 데이터 심볼, 파일럿 심볼, 또는 제로(null)의 신호 값일 수도 있다. 각각의 심볼 주기에서, 파일럿 심볼들이 연속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파일럿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 심볼일 수 있다.
송신기(12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또한,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업 컨버팅(up-converting) 하여, 무선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하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송신 안테나(130)는 발생된 하향링크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110)의 구성에서, 수신 안테나(13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140)로 제공한다. 수신기(140)는 수신된 신호를 조정하고(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한다. 심볼 복조기(145)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복조하여 채널 추정을 위해 이를 프로세서(155)로 제공한다.
또한, 심볼 복조기(145)는 프로세서(155)로부터 하향링크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에 대해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송신된 데이터 심볼들의 추정치들인)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획득하고,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150)로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 (150)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볼 디-매핑(demapping))하고,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고, 디코딩하여,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심볼 복조기(145)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기지국(105)에서의 심볼 변조기(120) 및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15)에 의한 처리에 대해 상보적이다.
단말(110)은 상향링크 상에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165)는 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한다. 심볼 변조기(170)는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볼들의 스트림을 송신기(175)로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175)는 심볼들의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135)는 발생된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105)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05)에서, 단말(110)로부터 상향링크 신호가 수신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기(190)는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이어서, 심볼 복조기(195)는 이 샘플들을 처리하여, 상향링크에 대해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 및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제공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97)는 데이터 심볼 추정치를 처리하여,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단말(110)의 프로세서(155) 및 기지국(105)의 프로세서(180)는 각각 단말(110) 및 기지국(105)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55, 18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60, 185)들과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60, 185)는 프로세서(155, 18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55, 18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5, 18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55, 18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155, 180) 내에 구비되거나 메모리(160, 185)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55, 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단말(110)과 기지국(105)이 무선 통신 시스템(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레이어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잘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레이어를 기초로 제 1 레이어(L1), 제 2 레이어(L2), 및 제 3 레이어(L3)로 분류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에 속하며, 물리 채널을 통해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는 상기 제 3 레이어에 속하며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제어 무선 자원들을 제공한다. 단말, 기지국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RRC 레이어를 통해 RRC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 있는 M2M 방식으로 통신하는 기기는 M2M 기기, M2M 통신 기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기 등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단말은 HTC(Human Type Communication) 단말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M2M 기기는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타입(Machine Application Type)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네트워크에서 그 수가 점차 증가할 것이다. 논의되고 있는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는 (1) 보안(security), (2) 치안(public safety), (3) 트래킹 및 트레이싱(tracking and tracing), (4) 지불(payment), (5) 건강관리(healthcare), (6) 원격 유지 및 제어(remote maintenance and control), (7)검침(metering), (8) 소비자 장치(consumer device), (9) 판매 관리 시스템(POS, Point Of Sales)과 보안 관련 응용 시장에서 물류 관리(Fleet Management), (10)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의 기기간 통신, (11) 기계 및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건설 기계 설비상의 작동시간 측정 및 열이나 전기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지능 검침(Smart Meter), (12) 감시 카메라의 감시 영상(Surveillance Video) 통신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 다양한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기 어플리케이션 타입이 증가함에 따라 M2M 통신 기기들의 수는 일반 이동통신 기기들의 수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M2M 기기의 특성으로 기지국으로 트래픽을 주로 롱-텀(long-term) 으로 전송하거나, 이벤트가 트리거링되어 데이터를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M2M 기기는 대부분 유휴상태로 유지하다가 롱-텀 주기가 돌아오거나 이벤트가 트리거링되면 깨어나서 활성 상태(Active state)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M2M 기기는 대부분 이동성이 적거나 이동성이 없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이동성이 없는 M2M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타입도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기지국 내에 이러한 M2M 기기는 무수히 많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으며 유휴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단말들만을 식별하기 위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식별자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무선통신 시스템에 기존의 단말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여기서, 3GPP LTE 시스템에서의 경우를 예를 들어 기지국이 단말에게 PDCCH를 내려 보내기 위한 과정과 관련하여 살펴본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보내려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이를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가 마스킹된다. 한편,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3GPP의 RNTI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STID(Station IDentifier)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특정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인 SI-RNTI(System information-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다음 표 1는 PDCCH에 마스킹되는 식별자들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C-RNTI가 사용되면 PDCCH는 각각 해당하는 특정 단말을 위한 제어정보를 나르고, 다른 RNTI가 사용되면 PDCCH는 각각 셀 내 모든 또는 복수의 단말이 수신하는 공용 제어정보를 나른다. 기지국은 CRC가 부가된 DCI에 대해 채널 코딩을 수행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PDCCH 포맷에 할당된 CCE의 수에 따른 레이트 매칭(rate mathching)을 수행한다. 그 후, 기지국은 부호화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변조 심볼들을 물리적인 자원 요소에 맵핑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LTE 시스템에서 RNTI를 단말 식별자로, IEEE 802.16 시스템에서는 STID를 단말 식별자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유휴상태(Idle State) 또는 유휴모드(Idle Mode)에 대해 설명한다. 유휴상태(Idle State) 또는 유휴모드(Idle Mode) 동작은 일반적으로 단말이 다중 기지국으로 구성된 무선링크 환경을 이동 시, 특정 기지국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하향링크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전송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동작을 말한다. 단말은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traffic)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전력을 절약(Power saving)하기 위해 유휴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유휴모드로 천이한 단말은 평균적 기간(Available interval) 동안 기지국이 방송하는 방송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일반모드(normal mode)로 천이할지 또는 유휴상태로 남아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휴상태에 있는 단말은 위치갱신을 수행함으로써, 페이징 제어기(Paging controller)에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유휴상태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활성 요구 및 일반적인 운영 요구들을 제거함으로써 단말에 혜택을 줄 수 있다. 유휴상태는 단말 활동을 이산 주기에서 스캐닝하도록 제한함으로써, 단말이 사용하는 전력 및 운용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휴상태는 단말에 팬딩(pending) 중인 하향링크 트래픽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간단하고 적절한 방식을 제공하고, 비활동적인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핸드오버(HandOver, HO) 트래픽을 제거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기지국에 혜택을 줄 수 있다.
페이징이란 이동통신에서 착신호 발생시 해당하는 단말의 위치(예를 들어, 어느 기지국 또는 어느 교환국 등)를 파악하는 기능을 말한다. 유휴상태 또는 유휴모드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들은 특정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에 소속되어 페이징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그룹은 논리적인 그룹을 나타낸다. 페이징 그룹의 목적은 단말을 타겟(target)으로 하는 트래픽이 있다면, 하향링크로 페이지(page)될 수 있는 인접범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징 그룹은 특정 단말이 동일 페이징 그룹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페이징 부하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징 그룹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징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 그룹은 관리 시스템에서 정의한다. 페이징 그룹에서는 페이징 그룹-실행(action) 백본망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백본망 메시지 중 하나인 페이징 공지(paging-announ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유휴상태인 단말들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모든 기지국의 초기 페이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IEEE 802.16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유휴상태의 단말 간에 네트워크 진입 혹은 재진입 후 상호작용(interaction)을 위한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휴상태 단말들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들은 해당 단말들에게 네트워크 재진입을 요구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유휴상태의 단말과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위해서, 단말(들)이 속한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의 각 기지국들은 해당 단말(들)의 리스닝 구간(listening interval)에서 이들에게 네트워크 진입을 요구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유휴상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등록해제 식별자(Deregistration ID, DID), 페이징 주기(paging cycle))가 포함되어 있으면 활성(active)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S220). 즉, 유휴상태 단말들은 네트워크 진입을 위한 임의 접속(random access) 등의 절차를 각각 수행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IEEE 802.16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단말은 레인징 (ranging), 기본 성능 협상, 등록(registration)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의 유휴상태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EEE 802.16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재진입을 시도하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TSTID, STID, MTC 그룹 식별자(ID)를 할당하지만, 3GPP LTE, LTE-A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재진입을 시도하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RNTI, MTC 그룹 식별자(ID)를 할당할 수 있다.
즉, 유휴상태 단말은 레인징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AAI-RNG-REQ)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유휴상태 단말에게 할당한 임시 스페이션 식별자인 TSTID(Temporary STID)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AAI-RNG-RSP)를 전송해 줄 수 있다(S230).
그리고,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과 SBC-REQ/RSP 메시지를 교환하고, 기지국과 인증(authorization) 과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S235).
그 후,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 등록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AAI-REG-REQ)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유휴상태 단말에게 STID를 할당하여 등록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AAI-REQ-RSP)에 포함시켜 전송해 줄 수 있다(S240).
그 후 유휴상태 단말과 기지국은 동적 서비스(Dynamic Service) 관련 메시지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S250). 그 후, 유휴상태 단말과 기지국은 하향링크/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260).
도 2와 관련하여, 기지국이 유휴상태 단말들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들이 일일이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해 주어야 하고, 이때 페이징 메시지 내에 페이징되는 단말 별로 파라미터(예를 들어,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등록해제 식별자 -Deregistration ID, DID 및 페이징 주기 - paging cycle와 요구되는 동작 - action code)를 포함시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하향링크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유휴상태 단말은 임의 접속(random access)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많은 유휴상태 단말들이 임의 접속을 시도하면서 상향링크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임의접속을 시도한 단말 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지국은 활성(active) 상태에서의 단말 구분 목적으로 사용되는 ID를 해당 단말에게 부여해야 하므로 유니크(unique)한 ID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경우에는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이 유휴상태 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알 필요가 없고, 따라서 기지국이 유휴상태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 대해서는 기지국이 위치를 알고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네트워크에 재진입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임의 접속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이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으로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때, 기존 단말(Human Type Communication, HTC)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를 기존 HTC 단말을 위한 식별자(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에서의 CID,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STID, 3GPP LTE 시스템에서의 RNTI) 와는 다른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새로운 식별자를 사용할 경우, 모든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할당(assignment) 정보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동일한 식별자 값을 갖는 일반 단말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존재할 경우, 이들 단말들은 동일한 값으로 마스킹된 할당 정보에 대해 그것이 자신의 것인지 아닌지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상향링크 자원(Uplink resource)이 자신에게 할당된 경우, 해당 단말의 프로세서(155)는 해당 자원을 통해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한 절차, 즉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AAI-RNG-REQ 메시지) 전송, 3GPP의 경우 RRC 연결 설정(connection establishment)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과의 데이터 송신/수신이 필요할 때, 기지국은 특정 상향링크 자원 영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만을 위해 사용됨을 다양한 방법으로 MTC 단말들뿐만 아니라 일반 단말들에게 시그널링 해 줄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수퍼프레임 헤더(SuperFrame Header, SFH), 3GPP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은, 예를 들어 수퍼프레임 인덱스 값, 프레임 인덱스 값, 서브프레임 인덱스 값, 슬롯 인덱스 값 등으로 지시될 수 있다. 지시된 자원 단위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으로 할당된 영역은 하나의 수퍼프레임, 프레임,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일 수 있다. 한편,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은 사전에 정의하여(예를 들어, 특정 수퍼프레임 내 특정 프레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시그널링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인덱스 0인 수퍼프레임(SU0) 내의 수퍼프레임 헤더를 통해 전송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은 수퍼프레임(SU1)의 프레임 인덱스 1인 프레임(F1)의 인덱스 7인 서브프레임(SF7)일 수 있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프로세서(155)는 인덱스 0인 수퍼프레임(SU0) 내의 수퍼프레임 헤더를 디코딩하여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지시된 상향링크 영역인 인덱스 1인 수퍼프레임(SU1) 내 인덱스 1인 프레임(F1)의 인덱스 7인 서브프레임(SF7)을 통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공통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DL-MAP,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비-사용자 특정 A-MAP IE(non-user specific A-MAP) 또는 확장된 비-사용자 특정 A-MAP(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410), 3GPP에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420)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모든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공통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등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420)에 대한 정보를 단말들(예를 들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공통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등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임을 가리킨다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으로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은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PDCCH 등을 통해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410), PDCCH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영역(예를 들어, non-user specific A-MAP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그리고 PDCCH가 전송되는 슬롯)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지국은 별도의 사용자 특정 A-MAP IE 또는 별도의 PDCCH를 통해 각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실질적으로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예를 들어, 420 내의 모든 혹은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유휴상태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기지국은 공통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을 통해 어떤 서브프레임 혹은 슬롯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인지를 지시하고, 사용자 특정 A-MAP IE 또는 PDCCH을 통해 해당 서브프레임 / 슬롯 내에서 어떤 영역이 각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영역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동일한 서브프레임 / 슬롯에서 전송된 각 사용자 특정 A-MAP IE / PDCCH는 해당 서브프레임 / 슬롯 내의 각기 다른 영역을 각기 다른 단말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으로 할당하는 상향링크 영역(420)은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프레임 단위,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 3GPP에서는 슬롯 단위일 수 있다.
3GPP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PDCCH를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단말용 상향링크 할당 영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현재 RNTI reserved 값 (FFF4-FFFD) 중에서 하나를 해당 상향링크 할당 유무 정보 전송을 위한 RNTI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상향링크 할당 유무 정보는 PDCCH 내에서 맨 앞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BCCH, PCH에 대한 제어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그 다음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실제 단말의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DL-MAP,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user specific A-MAP(510), 3GPP에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내에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영역이 할당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해당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의 CRC를 해당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할당된 식별자(예를 들어, DID 및 페이징 주기,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인 임시 이동성 없는 가입자 식별자(Temporary No Mobility Subscriber IDentifier, TNMSID)로 마스킹하고, 해당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내에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 할당용도임을 지시하는 추가적인 필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주기(paging cycle)는 CRC에 마스킹되지 않고, 해당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내의 하나의 필드로써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 이외의 일반 단말에게 할당된 것이라면, 기지국은 해당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의 CRC를 해당 단말에게 할당된 식별자(예를 들어, STID, RNTI)로 마스킹하고,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의 해당 필드를 그 외의 일반 단말 할당용도임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실제 단말의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DL-MAP,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user specific A-MAP(510), 3GPP에서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내에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520, 53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서브프레임의 user specific A-MAP(510)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만을 위한 상향링크 영역(520, 530)에 대한 정보를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의 user specific A-MAP(510)을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일반 단말에 대해서도 상향링크 영역(540)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만을 위한 상향링크 영역(520, 530)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일반 단말에 대해서도 상향링크 영역(540)은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된 형태로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음 표 2는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CRC 마스크(Mask)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마스킹 프리픽스(Masking Prefix)는 1비트로 ‘0’과 ‘1’을 나타내며, 마스킹 프리픽스가 ‘0’인 경우 타입 지시자(type indicator)에 따른 마스킹 코드를 나타낸다. 이때,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타입 지시자는 ‘000’, ‘001’, ‘010’까지만 정의되어 있다. 타입 지시자가 ‘000’인 경우에는 12 비트의 STID 또는 TSTID를 나타낸다. 그리고, 표 2에서 타입 지시자가 ‘001’인 경우에는 Table 844를 참조하라고 기재되어 있고, 타입 지시자가 ‘010’인 경우에는 Table 845를 참조하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Table 844와 Table 845는 순차적으로 각각 다음 표 3과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3과 표 4는 각각 타입 지시자 ‘001’, ‘010’에 대한 마스킹 코드를 설명하는 표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특정 상향링크 영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할당한 것인지 그 외의 일반 단말들을 위한 상향링크 영역으로 할당한 것인지 여부를 CRC 내의 마스킹 프리픽스(Masking Prefix)와 3 비트의 타입 지시자(3 bit type indicator)를 이용하여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때 3 비트 크기의 타입 지시자는 지금까지 정의되지 않은 ‘011’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 대한 식별자를 마스킹 프리픽스 ‘0’와 3 비트의 타입 지시자 ‘011’ 값과 함께 마스킹하여 특정 상향링크 영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임을 지시해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CRC보다 식별 필드들의 총 비트 수가 클 경우에는, 마스킹되지 않는 나머지 식별 필드(예를 들어, DID의 x 비트 및 페이징 주기,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인 TNMSID y 비트)는 단말의 실제 할당(assignment)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예를 들어 user specific A-MAP, PDCCH) 내의 하나의 필드로서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과 기지국 간에 데이터 송신/수신(interaction)이 필요할 때,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리스닝 구간(listening interval) 내에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활성상태(active state)로 전환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활성상태로의 전환 절차(즉 IEEE 802. 16m 시스템에서 레인징 요청(ranging request) 메시지,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 기본 성능 협상 요청(basic capability request) 메시지, 동적 서비스(dynamic service) 메시지 등을 교환하는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3GPP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혹은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에 대한 할당(assignment) 정보의 CRC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DID 및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또는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인 TNMSID)로 마스킹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어떤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인지를 알릴 수 있다. 즉, 해당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을 구분(혹은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부여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DID 및 페이징 주기,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인 TNMSID)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에게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것으로 파악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향링크 자원 할당에 대한 할당(assignment) 정보의 CRC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이 속한 하나의 그룹 ID로 마스킹 될 수도 있다.
기지국의 프로세서(180)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에 대한 할당(assignment) 정보의 CRC를 하나의 페이징 주기 값으로 마스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할당(assignment) 정보를 페이징 주기의 reserved 값 중 하나로 CRC 마스킹하여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이 속한 하나의 그룹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 표 5는 단말을 위한 페이징 주기(paging cycle)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들이다.
Figure 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페이징 주기의 reserved 값은 0x08~0x15이다. 기지국은 이 0x08~0x15 중에서 하나의 값을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이 속한 그룹 ID 용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의 프로세서(180)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assignment) 정보의 CRC를 선택한 하나의 값으로 마스킹하거나 할당 정보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그룹 목적의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인 TNMSID를 할당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상향링크 할당(assignment) 정보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이 속한 그룹 ID 용도로 선택한 TNMSID로 CRC 마스킹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자신의 리스닝 구간에서 비-사용자 특정 A-MAP IE(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확장된 비-사용자 특정 MAP IE(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를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S610). 이때 상기 전송된 상향링크 지시자는 해당 A-MAP IE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특정 A-MAP IE(user specific A-MAP IE)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한 제어 정보인지 아닌지를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1’이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수신한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상향링크 A-MAP IE(예를 들어, 상향링크 할당(UL assignment) 정보 등)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S620). 이때, 전송되는 상향링크 할당 A-MAP IE는 DID 및 페이징 주기로 마스킹된 MCRC를 포함하거나, 또는 TNMSID로 마스킹된 MCRC를 포함한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사전에 할당받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예를 들어, DID 및 페이징 주기, 또는 새롭게 정의된 TNMSID)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식별자에게 해당하는 DID 및 페이징 주기, 또는 TNMSID로 CRC 마스킹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UL assignment) 정보 등)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620).
그 후,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 정보가 있다면(즉, 자신의 식별자로 CRC 마스킹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가 전송되었다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로서 먼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RNG-REQ)를 전송한다(S630). 그리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지시자를 포함하는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40). S640 단계에서 하향링크 지시자는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예를 들어, 이 하향링크 지시자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지시하는 ‘1’로 설정되어 전송되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수신할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할당(assignment) A-MAP IE를 수신할 수 있다(S650). 이때 하향링크 할당(assignment) A-MAP IE는 DID 및 페이징 주기(paging cycle)로 마스킹된 MCRC 또는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 TNMSID로 마스킹된 MCR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하향링크 할당(assignment) A-MAP IE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한 하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임시 스테이션 ID인 TSTID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AAI-RNG-RSP)를 수신할 수 있다(S660).
그 후,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assignment) A-MAP IE를 수신할 수 있다(S670). 할당(assignment) A-MAP IE는 TSTID로 마스킹된 MCR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과 성능(capability) 및 등록(registration)을 협상하는 메시지(AAI-REG-REQ/RSP)를 교환할 수 있다(S680). 이때, 기지국은 AAI-REG-RSP 메시지를 통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 대해 할당한 STID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RNG-RSP)를 수신하면 기존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한 나머지 절차인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 기본 성능 협상 요청(basic capability request) 메시지, 동적 서비스(dynamic service) 메시지를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기지국과 맺은 정보(예를 들어, 성능 협상, 보안 협상)와 동일하다면, 네트워크 재진입을 위한 나머지 절차인 기본 성능 협상 요청(basic capability request) 메시지, 동적 서비스(dynamic service) 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 등은 생략될 수 있고, 생략되는 이들은 기존 정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완료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과 데이터 송신/수신(interaction)을 수행할 수 있다(S690).
이때,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과 기지국이 초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맺은 성능 및 보안 협상 등의 정보를 그대로 사용한다고 미리 협의한다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S620 단계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네트워크 재진입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S610 단계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0’이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수신한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상향링크 A-MAP IE(예를 들어, 상향링크 할당(UL assignment) 정보 등)를 무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서 기술한 IEEE 802.16m 시스템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외의(혹은 나머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단말로는 활성(active) 상태의 단말 혹은 이동성이 있는 유휴상태 단말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단말들을 일반 단말로 부르도록 한다. 활성상태의 단말은 거의 모든 하향링크 구간에서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성 있는 유휴상태 단말은 자신의 리스닝 구간에서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지시자는 해당 A-MAP IE에 대응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특정 A-MAP IE(user specific A-MAP IE)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한 제어 정보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1’이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가 있음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고,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0’이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가 없음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1’이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단말(즉, 일반 단말)은 자신에게 해당하는 제어정보(예를 들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가 없으므로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내의 상향링크 A-MAP IE(예를 들어, 상향링크 할당(UL assignment) 정보)를 무시한다. 즉,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1’이면, 일반 단말은 non-user specific A-MAP IE 또는 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IE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지시자 값이 ‘0’이면, 일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TID로 마스킹된 MCRC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할당(assignment) A-MAP IE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할당(assignment) A-MAP IE는 일반 단말을 위해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MME는 기지국으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10). 이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인 S-TMSI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 예로서 S-TMSID는 0x123456789F일 수 있다. 그리고, 페이징 요청 메시지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요구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제어정보임을 알리는 상향링크 지시자(예를 들어, 비트값 ‘1’로 표현됨)를 위해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를 CRC에 마스킹하여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S820).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0XFFF5로 CRC 마스킹된 PDCCH를 수신함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 수 있고, 묵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820).
이때, 모든 단말은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가 CRC에 마스킹된 PDCCH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묵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일반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 중 자신에게 할당된 TNMSID(예를 들어, 0x003F로 할당됨)로 CRC 마스킹되고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한다(S830).
그리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S830 단계에서 수신한 상향링크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 RRC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840),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RRC 연결 셋업(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50). 그러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60). 기지국은 S810 단계에서 전송된 페이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MME로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70). 기지국과 MME는 데이터 송신/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S880), 기지국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도 데이터 송신/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S890).
도 8a의 경우는 MME와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를 서로 다르게 각각 관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MME는 S-TMSI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를 관리하며, 기지국은 새롭게 정의된 식별자 TNMSID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관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b를 참조하면, MME는 기지국으로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05). 이때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인 TNMSID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0x003F 일 수 있다. 그리고, 페이징 요청 메시지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establishment)을 요구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임을 알리는 상향링크 지시자(예를 들어, 비트값 ‘1’로 표현됨)를 위해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를 CRC에 마스킹하여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S815).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가 CRC에 마스킹된 PDCCH를 수신함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 수 있고, 묵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값이 ‘1’인 상향링크 지시자를 수신함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명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든 단말은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가 CRC에 마스킹된 PDCCH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묵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일반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 중 자신에게 할당된 TNMSID(예를 들어, 0x003F로 할당됨)로 CRC 마스킹된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S825). 그리고,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835),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에게 RRC 연결 셋업(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45). 그러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은 기지국으로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55). 기지국은 S805 단계에서 전송된 페이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MME로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65). 기지국과 MME는 데이터 송신/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S875), 기지국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도 데이터 송신/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S885).
도 8b의 경우는 MME와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를 동일하게 TNMSID를 사용하여 관리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단말 입장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단말(즉, 일반 단말)로는 활성(active) 상태의 단말 혹은 이동성이 있는 유휴상태 단말 등이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인 상향링크 지시자(예를 들어, 비트값 ‘1’로 표현됨)를 위해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를 CRC에 마스킹하여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단말을 위한 제어정보인 상향링크 지시자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 단말은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가 CRC에 마스킹된 PDCCH를 수신함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할당 여부를 나타내는 제어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 수 있고, 묵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값이 ‘1’인 상향링크 지시자를 수신함에 따라, 일반 단말은 명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든 단말은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가 CRC에 마스킹된 PDCCH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묵시적으로 해당 PDCCH에 대응하는 슬롯이 일반 단말을 위해 할당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단말(즉, 일반 단말)은 PDCCH에서 지시하는 해당 서브프레임의 해당 슬롯의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그 후, 일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제외한 그 외의 단말을 위한 제어정보임을 있음을 알리는 상향링크 지시자(예를 들어, 비트값 ‘0’로 표현됨)를 위해 reserved된 RNTI 중 하나인 0XFFF5가 CRC에 마스킹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일반 단말은 일반 단말용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향링크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는 C-RNTI(예를 들어, 0x00F1)가 CRC에 마스킹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들은 네트워크 재진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통신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보는 수퍼프레임 헤더(SF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비-사용자 특정 A-MAP IE(non-user specific A-MAP IE), 확장된 비-사용자 특정 A-MAP IE(extended non-user specific A-MAP)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중 어느 하나인,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수퍼프레임 인덱스, 프레임 인덱스, 서브프레임 인덱스 또는 슬롯 인덱스로 지시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사용자 특정 A-MAP IE(user specific A-MAP IE), 확장된 사용자 특정 A-MAP IE 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부터 상기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하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 3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된 상기 하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지원 방법.
  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이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4.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한 상향링크 영역을 통해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을 위해 할당된 하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하향링크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 3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된 상기 하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수행 방법.
  1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재진입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만을 위해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로 마스킹되어 전송되는, 단말 장치.
KR1020110072949A 2010-07-22 2011-07-22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KR20120011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11,637 US20130121300A1 (en) 2010-07-22 2011-07-22 Method for reentering network of no-mobility mobile station in idle state and method for supporting same
PCT/KR2011/005440 WO2012011782A2 (ko) 2010-07-22 2011-07-22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KR1020110072949A KR20120011806A (ko) 2010-07-22 2011-07-22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653410P 2010-07-22 2010-07-22
US61/366,534 2010-07-22
KR1020110072949A KR20120011806A (ko) 2010-07-22 2011-07-22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806A true KR20120011806A (ko) 2012-02-08

Family

ID=4583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949A KR20120011806A (ko) 2010-07-22 2011-07-22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18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885B2 (en) Base station,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 for suppressing load of blind decoding using a control signal
US9408236B2 (en) Method for distributing random access, method for distributing and performing random access, and device therefor
US10034317B2 (en) Method for allowing base station to support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D2D device to efficiently transmit D2D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US9271273B2 (en) Base st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program,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terminal
US8923254B2 (en) Method in which a group of terminals receives a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method in which the terminals make requests for bandwid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same STID or C-RNTI is allocated to the group of terminals
RU256205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анных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без мобильности в состоянии бездействия
US91919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group resources for M2M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056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rameter upd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US89960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identifier for no-mobility mobile station in idle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0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aging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13077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group paging and grouping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various criteria
CN109600843B (zh)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US20130121300A1 (en) Method for reentering network of no-mobility mobile station in idle state and method for supporting same
KR20120025392A (ko) 임의접속을 분산하는 방법 및 임의접속을 분산하여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91977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용 식별자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15206A2 (ko) 임의접속을 분산하는 방법 및 임의접속을 분산하여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11806A (ko) 이동성이 없는 유휴상태 단말의 네트워크 재진입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
EP37034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c warning system on unlicensed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73349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감 모드 내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