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374A -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374A
KR20120011374A KR1020100072299A KR20100072299A KR20120011374A KR 20120011374 A KR20120011374 A KR 20120011374A KR 1020100072299 A KR1020100072299 A KR 1020100072299A KR 20100072299 A KR20100072299 A KR 20100072299A KR 20120011374 A KR20120011374 A KR 2012001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095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00072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095B1/ko
Priority to US12/987,899 priority patent/US20110172815A1/en
Priority to EP11000158A priority patent/EP2363840A3/en
Publication of KR2012001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같은 다수 종의 약품을 보관하였다가 처방전에 따라 저장된 약품을 인출할 수 있는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쉘프에 약품을 적재하여 관리하는 약품 관리 장치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인출하는 약품 관리 방법으로서, 인출해야할 약품정보가 기록된 처방전 데이터의 약품정보를 약품별 기준으로 재분류하고, 재분류된 약품별 기준에 따라 해당 쉘프로부터 인출될 약품을 인출해 내고, 인출된 약품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약품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INE}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를 같은 다수 종의 약품을 보관하였다가 처방전에 따라 저장된 약품을 인출할 수 있는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등급에 따라 약품별 접근성을 차별화하여 안전한 약품관리 및 약품 보안을 강화하며, 약품의 재고 관리, 약무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국, 대형병원에서 각 환자에서 투여하는 약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약학의 발전에 따라 매년 새로운 신약이 등장하여 약사가 다뤄야할 약품의 종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써 약품의 관리는 점점 복잡해져 수기식으로는 제대로 된 관리가 어렵고 점차 자동화된 재고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알약, 정제를 조합한 제조약에서는 처방전의 내용에 따라 복용분의 제조를 자동으로 하는 통합 제조 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한편, 환자에게 지급되는 약품 중 자동화에 곤란한 것이 균일하지 않은 포장 크기를 갖는 포장약품이다. 포장약품은 주로 직육면체의 종이 포장지로 감싸진 외형을 갖거나, 액약이 담긴 물병의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물게 액체 등이 담긴 봉지형상을 갖는 등 포장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포장약품은 균일화된 사이즈를 갖지 아니함으로써 자동화된 장치로 처리함에 있어서 기술적 곤란함이 존재하며, 기존 자동 출납 장치에서는 포장약품의 인식, 파지, 운반 등에 자동화된 로봇을 사용함에 따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재고파악 및 출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반자동화된 출납장치가 제시되었다. 미국 특허 제 4,643,495 호(Mechanical storage cabinet with container conveyor)에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무한 회전하는 체인을 양측에 설치하고, 체인의 내측에 마주보는 다수의 쉘프를 복수로 설치함으로써 적재공간을 집약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이때, 쉘프는 체인에 결합된 힌지구조에 의하여 쉘프의 바닥이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며 회전됨으로써 쉘프에 담긴 약품이 떨어지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체인과 쉘프의 지지구조는 미국 특허 제 4,877,121 호(Vertical excursion accommodation apparatus)에서 개량되어 쉘프는 지지암으로 체인에 안정되게 고정되며, 상하로 길게 이어진 타원형 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시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 5,438,523 호(Apparatus for storing and delivering sale units)에는 쉘프 내에 상품을 분류 저장하기 위한 상자인 빈이 다수 구비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 6,814,255 호(Method for controlling a drug dispending system)에는 약품을 보관, 인출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개시되어 있다.
약국, 병원에서 사용되는 약품은 마약류 등에 따라 약사의 관리 등급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약품별로 접근 가능한 자를 선별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약품별로 사이즈가 다르기 때문에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쉘프의 공간을 분할하거나, 설치 높이를 달리하는 등의 설치 사이즈 가변성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기술로는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처방전에 따른 약품의 인출을 환자별로 실시하는 대신에 약품별로 인출한 후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카트에서 분류함으로써 약품의 관리를 더욱 신속하고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쉘프에 약품을 적재하여 관리하는 약품 관리 장치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인출하는 약품 관리 방법으로서, 인출해야할 약품정보가 기록된 처방전 데이터의 약품정보를 약품별 기준으로 재분류하고, 재분류된 약품별 기준에 따라 해당 쉘프로부터 인출될 약품을 인출해 내고, 인출된 약품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은, 상기 약품정보의 재분류 이전에 상기 약품 관리 장치는 약국이나 병원의 처방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다수의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품정보의 재분류는, 다수의 환자별 처방전으로부터 인출될 약품이 보관된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쉘프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은, 상기 약품정보의 재분류 이후에, 재분류된 약품별 조제정보에 따라 인출될 약품이 적재되어 있는 상기 쉘프를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출입구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은, 상기 약품 관리 장치가 인출될 약품의 위치와 인출수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은, 상기 약품의 인출시 사용자가 처방전 데이터와 약품의 일치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와, 검수가 완료되면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해당 약품의 인출 수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은, 인출된 약품의 정보가 기록된 라벨을 출력하는 단계와, 약품이 수용될 용기나 복수의 수납 칸이 형성된 약품 카트에 출력된 라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쉘프에 약품을 적재하여 관리하는 약품 관리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쉘프로부터 약품별 기준으로 인출된 약품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해 복수의 수납 칸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약품 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약품 관리 장치와 상기 약품 카트는 유선 혹은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품 카트의 각 수납 칸에는 상기 약품 관리 장치와의 정보교환 또는 사용자의 직접입력에 의해 상기 수납 칸에 수납되는 약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된 약품을 정확하게 해당 수납 칸에 투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수납 칸에는 실제로 투여된 약품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수납 칸에 투여되어야 하는 약품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 검수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처방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수납 칸에 대한 약품 투여가 종료된 것을 상기 약품 관리 장치에 알림으로써, 다음 처방정보를 송수신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약품 카트에는 종료 버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처방전에 따른 약품의 인출을 환자별로 실시하는 대신에 약품별로 인출한 후 복수의 수납공간을 갖는 카트에서 분류함으로써 약품의 관리를 더욱 신속하고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보관되어 있는 약품을 환자별이 아닌 약품별로 인출함에 따라 선반의 구동 회수를 감소시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약품 관리 방법에 대한 비교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처방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의 개념도,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의 약품 카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약품 관리 장치(100)에는, 상하 방향의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다수의 쉘프(200)와, 약품이 담기어 쉘프에 안치되는 다수의 빈(300)이 구비된다.
이때,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carousel, 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00a)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쉘프(200)를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된다. 이러한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는 약품 관리 장치(100)의 어느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약품이 저장된 쉘프(200)의 무게를 고려하여 쉘프를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100a)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다.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에는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하여 작동방향과 속도가 제어되는 구동모터(11)의 회전력을 체인 등의 동력 전달 수단(12)으로 입력받아 회전하는 하단 기어(13)와, 이 하단 기어(13)와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부 구동 기어(14)와, 본체 하우징(100a) 내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구동 기어(15)와, 상기 상부 및 하부 구동 기어(15, 14)의 외주면에 감기는 체인(16)과, 체인(16)에 이격되게 다수가 고정되며 쉘프(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설치높이 조절부(4)가 포함된다.
이로써, 구동모터(11)의 회전 작동시에 하단 기어(13), 하부 구동 기어(14)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체인(16)에 고정된 설치높이 조절부(4)가 이동되며, 그에 따라 쉘프(200)가 무한궤도 타입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설치높이 조절부(4)에는, 쉘프(200)의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궤적 구속용 링크 암(41)이 더 구비되고, 이 링크 암(41)의 끝단부는 본체 하우징(100a)의 측면에 형성된 타원형 이동궤적 홈(45)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관계는 미국 특허 제 4,643,495 호(Mechanical storage cabinet with container conveyor) 및 미국 특허 제 4,877,121 호(Vertical excursion accommodation apparatus)에 자세히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다.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의 작동은 주로 제어부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제어부는 사용자가 특정한 빈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빈이 본체 하우징(100a)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구(101)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를 작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에 의한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의 작동과 별도로 사용자가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를 직접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패널(도시 생략)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패널은 제어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아니하는 상황에서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를 작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제어부의 고장 등의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약품 관리 장치(100)의 작동가능성을 확보하는데 의의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와 쉘프(200)는 본체 하우징(100a)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쉘프(200)에 담기는 약품은 본체 하우징(100a)의 전면에 개방된 출입구(101)를 통하여 출납된다. 약품의 출납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출입구(101)의 바닥측에는 선반(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반(102)의 일측과 출입구(101)의 상단에는 약품출납에 따른 각종 정보를 제시하거나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103)가 구비된다. 또한, 약품의 출납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게 제시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수단, 제어부가 구비된다.
출입구(101)에는 임의의 사용자가 약품에 무단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101)를 개폐하는 메인 도어(2)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도어(2)는 상하 방향의 미닫이식 도어로 이루어져 있는데, 출입구를 폐쇄한 다음에 잠금을 수 있는 시건 수단(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시건 수단(21)은 입출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잠금이 해제되는 전자식 시건 수단일 수 있으며, 간편하게는 열쇠에 자물쇠로 이루어지는 기계식 시건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도어는 미닫이식뿐만 아니라 여닫이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도어(2)는 임의의 사용자가 약품 보관 및 관리장치에 수납된 모든 약품에 대한 접근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있는 것으로, 권한 없는 제3자에 의한 약품의 임의적인 자리 이동을 방지하여 약품의 출고시에 혼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약품 중 마약류 등은 해당 취급 권한을 가진 일부 사용자만이 접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 통상의 약품은 정당한 사용자가 접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별 취급용 약품을 보관하는 쉘프에 대한 개별 잠금장치인 쉘프 보조 도어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약품의 출납 작업 도중 사용자의 오작동에 의한 메인 도어의 작동 및 쉘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구(101)의 내측에 는 출입구에 걸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감시 센서(도시생략)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감시 센서에서 상기 물체의 존재를 인식하였을 경우에 상기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의 작동 또는 메인 도어(2) 구동수단의 폐쇄 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감시 센서는 출입구(101)의 내측, 구체적으로 메인도어(2)가 승강하는 홈의 바로 안쪽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으로, 레이저광의 발신과 수신을 통하여 레이저광의 발신부와 수신수 사이에 임의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쉘프에서 빈을 당겨 선반에 일부가 걸쳐 놓은 경우에 감시센서에 의하여 빈이 출입구에 걸쳐져 있는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는 감시센서에서 출입구에 장애물이 존재함을 수신하여,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의 작동 명령이 있더라고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지 아니하고, 메인 도어가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잠금으로써,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나 메인 도어의 작동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훼손이나 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어부는 감시 센서에 의한 장애물의 존재를 인식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 또는 메인 도어를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에 경고 메세지나 경고음을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쉘프에는 다수의 약품을 보관한 빈이 다수개 보관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입고하거나 출고하려는 약품을 보관하는 빈의 위치를 바로 인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출력장치(103)로 입력한 약품이나 특정 빈의 위치를 가리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5)은 입출력장치(103)의 영상표출장치를 통하여 쉘프의 번호와 쉘프의 전방부 이미지 중 빈의 대략적인 위치를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보다 직접적인 빈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출입구(101)의 좌우의 길이방향에 걸쳐 구비되어 사용자가 지정한 빈(300)의 위치를 화상 이미지로 가리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체 하우징(100a)에는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습도 제어수단(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온습도 제어수단은 공조기기를 통한 온도 조절수단과 제습장치를 포함한 습도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공지된 구성에 따른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온습도 제어수단은, 일예로, 내부의 고온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풍기일 수 있다.
온습도 제어수단(6)은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에 제어되는 것으로, 본체 하우징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빈번한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1)의 사용은 본체 하우징(100a) 내부의 온도상승의 원인이 되며, 약품 보관 및 관리장치의 설치장소나 계절변화에 따라 약품의 적정 보관온도 및 습도가 약품 제조사의 규정범위를 벗어날 우려가 있다. 특히 물약의 경우 온도에 따라 유통기간 이내라도 변질될 우려가 크므로, 일정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될 필요가 있다. 온습도 제어수단(6)이 구비됨에 따라 약품을 유통기간 내에 변질됨 없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온습도 제어수단(6)에는 본체 하우징의 내부 온도 변화를 기록하는 온도이력 기록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온도이력 기록수단은 작동시간 동안 내부 온도 변화를 기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시간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입출력장치를 통하여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온도보관에 민감한 물약 등 특정 약품을 인출시에 온도이력 기록을 참고함으로써, 적정온도에서 보관되지 못한 약품이 소비자에게 지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빈(300)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빈(3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동종 약품이 다수 저장된다. 이러한 빈(300)은 다양한 약품의 사이즈에 맞추어 몇몇의 정형화된 사이즈로 제공된다. 약품 관리 장치에는 빈이 복수로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빈에 담긴 약품의 위치를 외워 약품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쉘프에 안치되는 빈은 어느 특정 빈을 다른 빈과 구별하는 인식정보를 갖는 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제어부가 각 빈을 개별인식하고 각 빈에 저장된 약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출력장치로 약품을 특정하였을 때에 어느 쉘프의 어느 빈에 약품이 보관되었는지 등의 위치정보와 잔여수량 등의 약품정보를 사용자에게 입출력장치를 통하여 제공하고, 입출고 이력을 갱신 저장하며, 해당 약품에 대하여 전술된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의 작동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한 빈의 지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빈에 포함되는 인식수단은 빈의 일련번호로 이루어진 인식정보와, 빈에 저장되는 약품명칭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정되는 빈의 위치 등의 정보가 담겨진다.
일례로 인식수단은 바코드 라벨일 수 있다. 바코드 라벨 생성기(도시생략)에서 일련되게 생산되는 바코드 라벨은 스티커에 인쇄되어, 빈(300)의 전방면에 부착되고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제어부에 등록하면서, 해당 빈이 놓일 쉘 번호와 빈의 위치(일례로, 2층 선반이고 오른쪽에서 30cm 지점)를 입력함으로써 빈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담길 약품을 특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약품명칭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해당 쉘이 출입구로 오도록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를 작동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해당 위치를 화살표 등으로 가리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빈을 약품 관리 장치의 외부로 빼낸 경우에도 바코드 라벨의 조회를 통하여 어느 위치에 다시 빈을 삽입하여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되고, 동종 약품의 보충시 어느 빈에 보충하여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코드 라벨은 추후 설명되는 다른 인식수단보다 가격면에서 저렴한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바코드 라벨은, 빈(300)의 전방 상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손잡이부(32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로써 빈을 쉘프에서 빼지 아니하고도 출입구에서 바로 바코드 라벨을 바코드 리더기로 읽을 수 있게 되어 빈의 조회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인식수단은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도시 생략)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는 쉘프에 길이방향으로 안치된 각 빈의 알에프아이디를 인식하는 리더기(도시 생략)가 장착될 수 있다. 빈에 포함되는 알에프아이디 태그는 전술된 바코드 라벨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부에 등록과정을 거치면서, 위치정보와 약품정보를 함께 입력받아 생성하게 된다. 이로써 특정 약품명칭을 입력하였을 때, 제어부가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와 약품정보를 활용하여 회전식 원형 컨베이어의 작동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자에게 해당 약품이 담긴 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외부로 배출된 빈은 별도의 리더기를 통하여 어느 위치에 안치할 것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약품 관리 장치의 내부에 해당 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바로 알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빈이 외부로 반출된 경우에, 제어부는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리더기에 의하여 해당 빈의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검출되지 아니함을 인지하고 해당 빈에 담긴 약품을 출고하여야 할 때에 사용자에게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해당 빈이 쉘프에 안치되어 있지 아니함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인식수단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인식정보를 담은 메모리
칩과, 상기 메모리칩의 인식정보를 발신하는 발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쉘프의 바닥에는 발신된 상기 인식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신기와 발신기는 빈이 쉘프의 바닥면 특정위치에 고정되게 하여 유선통신방식을 사용하거나, 빈의 고정 여부에 상관없는 무선통신방식이 사용된다. 이때, 쉘프에 안치되는 빈은 출입구 전방으로 수시로 인출되며 사용되므로 유선통신방식보다는 무선통신방식이 바람직하며, 이때, 어느 한 수신기에 수신되는 인식정보는 바로 위에 안치되는 빈에서 발신되는 인식정보와 이웃하는 빈의 발신기에서 발신된 인식정보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와 발신기는 통신시간(Time-of-flight)에 의하여 발신기의 거리정보를 얻을 수 있는 초음파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수신기는 바로 상부에 위치한 인식정보만을 선택하여 무선통신에 따른 혼잡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인식수단과 수신기에 요구되는 전원은 무선 전원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각 쉘프와 빈에 장착되는 배터리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에 의하여 파악된 빈의 위치정보, 인식정보 및 수신기 자신의 고유인식정보는 다른 무선통신방식으로 제어부에 보내져 수집되고, 제어부에서는 수신기 고유인식정보, 인식정보, 약품정보, 빈의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각 쉘프별로 빈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어느 쉘프 중 임의의 위치에 빈을 안치하더라도 수신기에 의하여 특정 빈에 대한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증대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의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방법에 의해 약품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품 관리 장치(100)는, 약국이나 병원의 처방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다수의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환자별 처방전으로부터 인출될 약품이 보관된 약품 관리 장치의 쉘프(200)를 기준으로 조제정보를 재분류한다(S101).
원형 컨베이어(1)를 구동시켜, 재분류된 약품별 조제정보에 따라 인출될 약품이 수용된 빈(300)이 적재되어 있는 쉘프(200)를 약품 관리 장치의 출입구(101)에 위치시킨다(S103). 그와 동시에 약품 관리 장치는 인출될 약품의 위치와 인출수량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5)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입구(101)에 위치된 쉘프(200)에 적재되어 있는 빈(300) 내에 수용된 약품을 바코드 스캔하여 인출한다(S105). 이때 약품을 인출하기 전에 처방전 데이터와 약품의 일치 여부를 검수하고, 검수가 완료되면 입출력장치(103)를 통해 해당 약품의 인출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인출된 약품의 정보가 기록된 라벨을 출력(S107)하여, 약품이 수용될 지퍼백 등의 용기 혹은 복수의 수납 칸(410)이 형성된 약품 카트(cart)(400)에 출력된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인출된 약품은 라벨이 부착된 용기 혹은 약품 카트(400)의 수납 칸(410)에 분류하여 수용된다(S109). 분류 배출이 완료되면 용기 혹은 수납 칸(410)에 부착된 라벨을 바코드 리더기 등으로 스캔하며, 이 스캔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계속해서 추가로 인출할 약품이 존재할 경우에는 S103 단계로 복귀하고, 추가로 인출할 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을 종료한다(S111).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인출된 약품의 정보가 기록된 라벨을 출력하여 약품 카트의 해당 수납 칸에 부착하는 대신에, PDA나 내장 PC 등을 사용하여 약품 카트의 해당 수납 칸에 수용되는 약품의 정보를 식별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는, 복수의 수납 칸(410)이 칸막이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약품 카트(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품 관리 장치(100)(즉, 본체 하우징(100a) 내의 제어부)와 약품 카트(400)는 유선 혹은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약품 카트(400)의 각 수납 칸(410)에는 약품 관리 장치(100)와의 정보교환 또는 사용자의 직접입력 등의 방법에 의해 수납 칸에 수납되는 약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420)가 설치될 수 있다.
약품 관리 장치와 약품 카트가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약품 카트에 표시장치(420)가 설치되어 있으면, 약품 관리 장치(100)의 특정 쉘프(200)의 빈(300)으로부터 인출된 약품을, 약품 카트(400)의 어떤 수납 칸에 몇 개를 수납할 것인지 표시장치(420)를 통해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품 관리 장치(100)로부터 약품을 인출하여 약품 카트(400)의 각각의 수납 칸(410)에 투여하는 작업은 사람이 수행하므로, 표시장치(420)에 표시되는 약품을 정확하게 해당 수납 칸(410)에 투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스캐너 인식장치 등과 같은 검수장치를 각 수납 칸(410)에 마련하여 오투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검수장치는 실제로 투여된 약품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수납 칸에 투여되어야 하는 약품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약품의 오투여를 방지한다.
또한, 하나의 처방정보(환자별 또는 약품별)에 따라 각각의 수납 칸에 약품 투여가 종료되면, 다음 처방정보(환자별 또는 약품별)를 송수신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약품 카트(400)에 종료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종료 버튼을 누르면 약품 관리 장치(100)의 제어부는 하나의 처방정보에 따른 약품 투여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다음 약품의 인출을 위해 쉘프를 구동시키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d에는 약품 카트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는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약품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한 곳에 고정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7c 및 도 7d에는 바코드 이외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납 칸으로서 도 7a 및 도 7c의 약품 카트에는 백 타입의 수납 칸이 마련된 것이 예시되어 있고, 도 7b 및 도 7d의 약품 카트에는 트레이 타입의 수납 칸이 마련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약품 관리 장치의 쉘프(200)를 기준으로, 즉 약품별로, 필요한 약품을 인출한 후 약품 카트(400)에 분류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환자별로 필요한 약품을 인출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에는, 약품별로 필요한 약품을 인출하는 본 발명의 약품 관리 방법과의 비교를 위해, 환자별로 필요한 약품을 인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약품 관리 장치(100)는, 약국이나 병원의 처방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다수의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수의 환자별 처방전으로부터 각 환자에게 필요한 약품을 환자별 기준으로 분류한다(S201).
원형 컨베이어(1)를 구동시켜, 환자별 조제정보에 따라 해당 환자를 위해 인출될 약품이 수용된 빈(300)이 적재되어 있는 쉘프(200)를 약품 관리 장치의 출입구(101)에 위치시킨다(S203).
사용자는 출입구(101)에 위치된 쉘프(200)에 적재되어 있는 빈(300) 내에 수용된 약품을 바코드 스캔하여 인출한다(S205). 이때 약품을 인출하기 전에 처방전 데이터와 약품의 일치 여부를 검수하고, 검수가 완료되면 입출력장치(103)를 통해 해당 약품의 인출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해당 환자에게 필요한 약품이 두 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로 인출한 약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S207), S203 단계로 복귀하여 원형 컨베이어(1)를 구동시킴으로써 두 번째로 인출할 약품이 수용된 빈(300)이 적재되어 있는 쉘프(200)를 약품 관리 장치의 출입구(101)에 위치시키고, 더 이상 해당 환자에게 필요한 약품이 없을 때까지 인출 작업을 반복한다.
해당 환자가 복용할 모든 약품이 인출되었다면, 사용자는 인출된 약품의 정보가 기록된 라벨을 출력(S209)하여, 약품이 수용될 지퍼백 등의 용기에 출력된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인출된 약품은 라벨이 부착된 용기에 포장되어 배출된다(S211). 포장 및 배출이 완료되면 용기에 부착된 라벨을 바코드 리더기 등으로 스캔하며, 이 스캔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계속해서 다른 환자를 위한 약품이 존재할 경우에는 S201 단계로 복귀하고, 추가로 인출할 약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을 종료한다(S213).
이하, 도 5에 도시된 처방정보를,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약품별로 약품을 인출하는 방법에 따라 인출하는 경우와, 도 4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환자별로 약품을 인출하는 방법에 따라 인출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3건의 처방전 정보를 약국이나 병원의 서버로부터 수신받아 본 발명의 약품 관리 장치에 의해 약품을 인출할 때, 선반의 구동 회수는, 환자별로 약품을 인출한다면 환자 A에 대해 3회, 환자 B에 대해 3회, 환자 C에 대해 3회 구동되므로 총 9회이다. 그러나, 약품별로 약품을 인출하는 경우의 선반의 구동 회수는, 쉘프 1에서 환자 A의 약품 인출(1회), 쉘프 2에서 환자 A의 약품 인출(2회), 쉘프 3에서 환자 A, B의 약품 인출(3회), 쉘프 4에서 환자 B, C의 약품 인출(4회), 쉘프 5에서 환자 B, C의 약품 인출(5회), 그리고 쉘프 6에서 환자 C의 약품 인출(6회)로 총 6회이다.
결국 환자별로 약품을 인출하는 경우에 비해 약품별로 약품을 인출하는 경우가 선반의 총 구동 회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약품 인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원형 컨베이어, 2 : 메인 도어, 5 : 디스플레이 수단, 6 : 온습도 제어수단, 100 : 약품 관리 장치, 100a : 본체, 101 : 출입구, 102 : 선반, 103 : 입출력장치, 200 : 쉘프, 300 : 빈, 400 : 약품 카트, 410 : 수납 칸, 420 : 표시장치

Claims (12)

  1. 복수의 쉘프에 약품을 적재하여 관리하는 약품 관리 장치로부터 필요한 약품을 인출하는 약품 관리 방법으로서,
    인출해야할 약품정보가 기록된 처방전 데이터의 약품정보를 약품별 기준으로 재분류하고, 재분류된 약품별 기준에 따라 해당 쉘프로부터 인출될 약품을 인출해 내고, 인출된 약품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품정보의 재분류 이전에 상기 약품 관리 장치는 약국이나 병원의 처방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다수의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품정보의 재분류는, 다수의 환자별 처방전으로부터 인출될 약품이 보관된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쉘프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품정보의 재분류 이후에, 재분류된 약품별 조제정보에 따라 인출될 약품이 적재되어 있는 상기 쉘프를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출입구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약품 관리 장치가 인출될 약품의 위치와 인출수량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인출시 사용자가 처방전 데이터와 약품의 일치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와, 검수가 완료되면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해당 약품의 인출 수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인출된 약품의 정보가 기록된 라벨을 출력하는 단계와, 약품이 수용될 용기나 복수의 수납 칸이 형성된 약품 카트에 출력된 라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방법.
  8. 복수의 쉘프에 약품을 적재하여 관리하는 약품 관리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쉘프로부터 약품별 기준으로 인출된 약품을 환자별로 분류하여 배출하기 위해 복수의 수납 칸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약품 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본체와 상기 약품 카트는 유선 혹은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약품 카트의 각 수납 칸에는 상기 약품 관리 장치의 본체와의 정보교환 또는 사용자의 직접입력에 의해 상기 수납 칸에 수납되는 약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인출된 약품을 정확하게 해당 수납 칸에 투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수납 칸에는 실제로 투여된 약품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수납 칸에 투여되어야 하는 약품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 검수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하나의 처방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수납 칸에 대한 약품 투여가 종료된 것을 상기 약품 관리 장치에 알림으로써, 다음 처방정보를 송수신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약품 카트에는 종료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관리 장치.
KR1020100072299A 2010-01-11 2010-07-27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4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99A KR101243095B1 (ko) 2010-07-27 2010-07-27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US12/987,899 US20110172815A1 (en) 2010-01-11 2011-01-10 Medicin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bin for the apparatus, and cart for the apparatus
EP11000158A EP2363840A3 (en) 2010-01-11 2011-01-11 Medicin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bin for apparatus, and cart for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299A KR101243095B1 (ko) 2010-07-27 2010-07-27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52A Division KR20120034694A (ko) 2012-02-13 2012-02-13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374A true KR20120011374A (ko) 2012-02-08
KR101243095B1 KR101243095B1 (ko) 2013-03-13

Family

ID=4583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299A KR101243095B1 (ko) 2010-01-11 2010-07-27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86B1 (ko) * 2013-01-11 2014-09-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조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98B1 (ko) * 2013-03-18 2015-02-26 주식회사 인포피아 환자 관리 보조용 로봇 장치
KR101872292B1 (ko) * 2017-07-04 2018-06-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사측 단말기와 연동되는 병원용 마약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4671A3 (de) * 1983-01-21 1985-11-27 Electrolux Constructor GmbH Mechanischer Schrank mit einem paternosterartigen Umlaufförderer
US4877121A (en) * 1986-10-30 1989-10-31 Okamura Corporation Vertical excursion accommodation apparatus
KR100889024B1 (ko) * 2007-04-25 2009-03-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의약품 공급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인 의약품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86B1 (ko) * 2013-01-11 2014-09-1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조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095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180B1 (ko) 약품 보관 및 관리장치
US10957144B2 (en) Storing cabinet
CA2533754C (en)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CA2589530C (en)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CA2820895C (en) Universal label and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illing customer orders of medical items
EP2609566B1 (en) Pharmaceutical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8308414B2 (en)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with bulk bin loading
US9334112B2 (en) Pharmaceutical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2397999A1 (en)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US20060272976A1 (en) Container for use in a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KR101243095B1 (ko)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86101B1 (ko) 약품 관리 장치의 약품 수납용 빈 및 상기 빈을 구비하는 상기 약품 관리 장치
KR20120034694A (ko) 약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11726A (ko) 약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약품 관리 방법
KR20240068125A (ko) 의약품 보관용 선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