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317A - Child car seat - Google Patents
Child car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1317A KR20120011317A KR1020110045628A KR20110045628A KR20120011317A KR 20120011317 A KR20120011317 A KR 20120011317A KR 1020110045628 A KR1020110045628 A KR 1020110045628A KR 20110045628 A KR20110045628 A KR 20110045628A KR 20120011317 A KR20120011317 A KR 201200113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or
- seat
- angle
- backrest
- lock rele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부착되어 회전 및 리클라이닝이 가능한 차일드 시트의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tructure of a child seat attached to a seat of a vehicle and capable of rotation and reclining.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조정 가능하고, 좌석 본체가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한 차량용 차일드 시트로서 종래,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2-301964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 특개2003-291698호 공보(특허문헌 2)에 기재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차일드 시트에서, 좌석 본체(시트 본체)를 베이스 부재(받침대)에 대해 회전시키는 경우, 조작자(操作者)는 베이스 부재 전단부에 마련된 조작 다이얼을 회동 조작함과 함께, 좌석 본체의 전단부에 마련된 리클라이닝 레버를 당겨 일으키게 조작하여, 좌석 본체의 고정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01964 (Patent Document 1)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91698 as a car seat for a vehicle in which the back portion of the seat body is reclining adjustable and the seat body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base member. The same thing as description in patent document 2) is known. In the vehicle child seat described in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 차일드 시트에서, 좌석 본체(시트 본체)를 베이스 부재(시트 대좌)에 대해 회전시키는 경우, 조작자는 베이스 부재 전단부에 마련된 회전 로크 해제 조작부를 조작하여, 좌석 본체의 고정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또는 좌석 본체(시트 본체)를 리클라이닝 조정하는 경우, 조작자는 좌석 본체 전단부에 마련된 리클라이닝 조작부를 조작하여, 좌석 본체의 고정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Further, in the vehicle car seat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when the seat body (seat body)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seat pedestal), the operator operates the rotation lock release operation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member to fix the seat body. You need to release it. Alternatively, when reclining the seat main body (seat main body), the operator needs to release the seat main body by operating the reclining operation uni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 main body.
그러나, 상기 종래와 같은 차량용 차일드 시트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리클라이닝 조정을 위한 조작부와 회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부가 서로 떨어진 개소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각기 조작하여야 하며, 조작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좌석 본체가 후향(後向) 또는 횡향(橫向)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조정을 위한 조작부와 회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부가 두드러지게 떨어져 버려서, 조작이 한층 번잡하여져 버린다.However, in the vehicle car seat as described above, a problem as described below occurs. That is, since the operation part for reclining adjustment and the operation part for adjusting a rotation position are provided in the mutually spaced place, it has to operate individually, and there exists a problem that operation becomes complica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seat body is turned backward or laterally, the operation portion for reclining adjustment and the operation portion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are remarkably separated, and the operation becomes more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고, 좌석 본체를 리클라이닝 조정하는 경우와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는 경우의 쌍방에서, 조작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hild seat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by an operator in both the case of reclining and adjusting the seat body relative to the base member. .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차일드 시트는, 좌석 베이스부 및 후경 가능한 등받이부를 갖는 좌석 본체와, 좌석 베이스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후경각도(後傾角度)를 고정하는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와, 좌석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대한 좌석 본체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와,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각도 로크 해제 기구와,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회전 로크 해제 기구와,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회전 로크 해제 기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공통조작부를 구비한다.For this purpose, the vehicle child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body having a seat base portion and a rear viewable backrest portion, a backrest rear angle angle fixing mechanism for fixing a rear view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base portion; A base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body, a seat rotation position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at body relative to the base member, an angle lock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backrest rear angle angle fixing mechanism, A rotation lock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fixed state by the seat rotation position fixing mechanism, and a common operation portion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angle lock release mechanism and the rotation lock release mechanism.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회전 로크 해제 기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공통조작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공통된 하나의 조작부를 조작함에 의해, 좌석 본체를 리클라이닝 조정하거나,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전시키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이 간략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it has a common operation part which selectively operates an angular lock release mechanism and a rotation lock release mechanism, reclining a seat main body or operating a seat main body with respect to a base member by operating one common operation part. You can rotate it. Therefore, the operation is simplified.
공통조작부는 한 예로서 버튼, 레버, 다이얼, 봉형상체(棒狀體) 등의 조작자(操作子)라면 좋고, 예를 들면, 하나의 조작자를 한쪽 방향으로 조작하여 각도 로크 해제 기구를 동작시키고, 다른쪽 방향으로 조작하여 회전 로크 해제 기구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또는 공통조작부는 제 1 조작자, 그 제 1 조작자에 인접 배치된 제 2 조작자 및 이들 조작자를 지지하는 조작 기부(基部)를 가지며,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는 동일하게 조작됨에 의해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회전 로크 해제 기구의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 비동일(非同一)하게 조작됨에 의해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회전 로크 해제 기구의 나머지 다른쪽을 동작시키는 것이라도 좋다.The common operation part may be an operator such as a button, a lever, a dial, a rod-shaped body, as an example, for example, by operating one operator in one direction to operate the angle lock release mechanism, By oper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rotary lock release mechanism is operated. Or the common operation part has a 1st operator, the 2nd operator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the 1st operator, and the operation base which supports these operators, and a 1st operator and a 2nd operator operate similarly, and the angle lock release mechanism And either one of the rotation lock release mechanism and the other lock operation may be operated by being operated in an identical manner.
동일하게 조작된다는 것은 이들의 조작자가 동일 방향으로 조작되는 것을 말하고, 조작에 의한 이동 거리가 완전히 같은 것이라도 다른 것이라도 좋다. 비동일하게 조작된다는 것은 이들의 조작자가 다른 방향으로 조작되는 것, 또는 한쪽의 조작자가 고정되고 다른쪽의 조작자만이 조작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비동일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이 생각되지만, 한 실시 형태로서,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의 어느 한쪽은 조작 기부를 향하여 압입(押入)되는 것이 가능하고, 압입 위치에서 동작 불능으로 되어도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2개의 조작자의 비동일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The same operation means that these operators are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s by the operation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Non-identical operation means that these operators are operated in different directions, or that one operator is fixed and only the other operator is operated. In order to easily perform such a same operation, various structures are considered, but as an embodiment, either one of a 1st operator and a 2nd operator can be press-fitted toward an operation base, and it operates in a press-in position. It may be disabl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 of two operators can be implemented by a simple structure.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좌석 본체 좌부의 전단부에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 본체가 후향 자세가 된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가 조작부에 덮여버려 조작이 곤란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공통조작부는 등받이부에 마련된다. 등받이부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자의 손이 공통조작부에 용이하게 도달하기 때문에 조작 성능이 향상한다.In the conventional child seat, since the operation part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seat main body left part, when a seat main body became a backward position, the base member was covered with the operation part, and operation was difficult. In contras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operation portion is provided in the backrest portion. Since the backrest protrudes from the base memb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rator's hand easily reaches the common operation part, the oper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는 좌석 베이스부에 형성된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被係合部)와 계합하여 후경각도를 고정하는 후경각도 고정 부재를 가지며, 각도 로크 해제 기구는 제 1 조작자와 후경각도 고정 부재를 연절(連節)하는 각도 로크 해제 부재를 가지며,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는 좌석 베이스부에 부착되어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베이스 부재 피계합부와 계합하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가지며, 회전 로크 해제 기구는 제 1 조작자와 제 2 조작자를 연절하여 이들 조작자의 비동일한 조작에 의해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움직이는 중간 연절 부재를 가지며, 공통조작부는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의 동일 조작에 의해 후경각도 고정 부재만을 움직여서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고,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의 비동일한 조작에 의해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움직여서 베이스 부재 피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연절(連節)이란 2개의 요소를 직접 연결하는 것, 또는, 링크 부재나 연출부(延出部)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the backrest tilt angle fixing mechanism has a rear tilt angle fixing member engaged with the seat base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seat base portion to fix the rear tilt angle, and the angle lock The release mechanism has an angular lock release member that connects the first operator and the rear view angle fixing member, and the seat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seat base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base member engaged portion formed in the base member. It has a fixing member, the rotary lock release mechanism ha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to connect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to move the rotation position fixing member by non-identical operation of these operators, the common operation portion is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The engagement with the seat base engaging part is released by moving only the rear-angle angle fixing member by the same operation. And a first operator and by moving the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mber by the non-operation similar to the second operator may be released to engage with the base member engaged the engagement. In addition, the term "extension" here means connecting two element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ing through a link member or a directing part.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는 진퇴이동(進退動)하는 것이라도, 회동하는 것이라도 좋고, 그 조작 방향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한 실시 형태로서,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는 등받이부의 상하 연재 방향으로 진퇴이동하는 것으로서, 제 1 조작자로부터 하방으로 연설(延設)되는 제 1 샤프트의 하단에 각도 로크 해제 부재가 고정되고, 각도 로크 해제 부재는 진퇴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늘어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후경각도 고정 부재는 일단이 가이드와 계합하고 타단이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에 빼고넣음(拔差) 가능하며 등받이부의 좌우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샤프트라도 좋다.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or may rotate,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ne embodiment,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extend vertically in the backrest portion. A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 angular lock release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operator, and the angular lock release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extend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rear-angle angle fixing member may be a shaft which one end engages with the guide, the other end can be pulled out of the seat base engaging portion,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back portion.
또한 한 실시 형태로서, 중간 연절 부재는 각도 로크 해제 부재에 추착(樞着)되고, 그 추착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제 2 조작자로부터 하방으로 연설되는 제 2 샤프트의 하단에 의해 당겨 일으켜지고, 그 당겨 일으킬 때에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움직이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pulled by the angular locking release member, pulled up b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which is addressed downward from the second operator with the extraction point as the point, and the pulling When rotating, move the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mber.
또한 한 실시 형태로서, 등받이부는 후경각도를 단속적으로 조정 가능하고, 중간 연절 부재는 당겨 일으킬 때에 등받이부의 개개의 후경각도에 대응하여 회전 위치 고정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개소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Moreover, as one Embodiment, the backrest part can adjust rearview angle intermittently,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s to the some connection location formed in the rotation position fix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rearview angle of backrest part when pulling up.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등받이부는 베드 상태까지 후경 가능하고, 당해 베드 상태에서 중간 연절 부재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회전 위치 고정 부재는 움직여지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베드 상태의 좌석 본체는 회전 불능이 된다. 이에 의해, 좌석 본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크게 후경한 등받이부가 좌석 베이스부에 충돌한다는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ckrest can be rearviewed to the bed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mber, and the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mber is not mov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eat main body in a bed state becomes impossible to rotat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improper use that the backrest portion, which is largely backward, collides with the seat base portion by rotating the seat bod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차일드 시트는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회전 로크 해제 기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공통조작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좌석 본체를 리클라이닝 조정하는 경우와 좌석 본체를 베이스 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는 경우의 쌍방에서, 조작자(操作者)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조정과 회전 위치 조정을 일련으로 행한 경우에 있어서 조작 성능이 향상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hild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on operation portion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angular lock release mechanism and the rotation lock release mechanism. In the above,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refore, when performing reclining adjustment and rotation position adjustment in series, operation performance improve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등받이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배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공통조작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공통조작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등받이부의 후경각도를 고정하는 고정 상태의 후경각도 고정 부재 및 각도 로크 해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고정 상태가 해제된 후경각도 고정 부재 및 각도 로크 해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등받이부가 가장 세워진 의자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등받이부가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보다도 후경한 의자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등받이부가 가장 후경한 베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좌석 본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공통조작부 및 중간 연절 부재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a)는 통상의 상태를, (b)는 제 1 조작자가 압입되어 이동 불능이 된 상태를, (c)는 제 2 조작자를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 2 조작자만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4는 중간 연절 부재가 회전 위치 고정 부재에 계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3의 제 2 조작자를 완전히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좌석 본체를 180도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제 2 조작자를 하방으로 되돌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8은 등받이부를 후경시킨 의자상태에서 제 2 조작자만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제 2 조작자를 완전히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child car seat which becomes one Example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 portion of the embodiment taken out.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e member of the embodiment taken ou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mon operation part of the embodiment taken ou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mon operation part of FIG. 4.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rear tilt angle fixing member and the angle lock release member in a fixed state for fixing the rear tilt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rear-angle angle fixing member and the angle locking release member in which the fixing state is released.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chair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most raised;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hair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rearward than the state shown in FIG. 8;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bed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the most backward-lookin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seat body shown in FIGS. 8 to 10.
Fig.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comparing the movements of the common operation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wherein (a) shows a normal state, (b) shows a state where the first operator is pressed into and cannot move, and (c) show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raised the 2nd operator.
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pulling up only a second operator upward; FIG.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engaged with the rotation position fixing member.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anipulator of FIG. 13 is fully lifted up.
FIG.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eat body shown in FIG. 15 is rotated 180 degrees. FIG.
FIG. 1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the middle of returning a second manipulator shown in FIG. 16 downward; FIG.
FIG. 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a second operator is pulled upward in a chair state having a back seat back;
1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anipulator of FIG. 18 is completely lifted up.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의 등받이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차량용 차일드 시트(11)는 유소아(乳幼兒)가 착좌하는 좌석 본체(13)와 이 좌석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81)를 구비한다. 좌석 본체(13)는 좌부(15)와, 후경 가능한 등받이부(17)와, 이들 좌부 및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부(19)를 갖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xample shown in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hild car sea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rest portion of the embodiment taken out.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e member of the embodiment taken out. The
좌부(15)의 후단부와 등받이부(17)의 하단부는 좌우 방향 일직선으로 늘어나는 연결축(71)을 통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석 베이스부(19)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측벽부는 좌부(15)의 좌우 양측 및 등받이부(17)의 좌우 양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부언하면, 좌부(15) 및 등받이부(17)는 전후 방향 내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등받이부(17)를 가장 세운 의자상태와, 등받이부(17)를 후경시킨 의자상태와, 등받이부(17)를 가장 후경시킨 베드 상태의 3상태가 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조작자는 좌석 본체(13)를 소망하는 의자상태 또는 베드 상태로 할 수 있다.The rear end portion of the
좌석 베이스부(19)의 하부에는 원형의 대좌(19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베이스 부재(81)에는, 대좌(19b)를 받아들이는 원형의 오목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좌석 본체(13)는 베이스 부재(8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한 가상 직선(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대좌(19b)는 도시하지 않은 빠짐방지(拔止) 핀 내지 빠짐방지 가이드에 의해 오목부(83)로부터 빠져나가는 일이 없도록 빠짐방지되어 있다.A
베이스 부재(81)는 차량의 좌석에 놓여지고, 차량의 안전 벨트가 건너지러짐에 의해 차량의 좌석에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기립부(86)에는,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로크 오프 디바이스(87)가 마련되어 있다.The
등받이부(17)는 좌석 베이스부(19)에 대한 후경각도가 변화 가능하지만, 후술하는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의해 후경각도가 변화하지 않도록 통상은 고정된다. 그리고 리클라이닝 조정을 행할 때는, 후술하는 각도 로크 해제 기구에 의해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조작자가 등받이부(17)를 후경 내지 전경(前傾)시키는 것으로 행하고, 소망하는 후경각도로 조정한 후, 재차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의해 후경각도를 고정한다.The
좌석 본체(13)는 베이스 부재(8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한 가상 직선(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지만, 후술하는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에 의해 회전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통상은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 위치를 조정할 때는, 후술하는 회전 로크 해제 기구에 의해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조작자가 좌석 본체(13)를 우회전 내지 좌회전시키는 것으로 행하고, 소망하는 회전 위치로 조정한 후, 재차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에 의해 회전 위치를 고정한다.The
등받이부(17)의 후면측에는 공통조작부(30)가 마련되어 있다. 공통조작부(30)는 등받이부(17)의 좌우 방향 중앙에 마련된다. 공통조작부(30)는 제 1 조작자(31), 그 제 1 조작자(31)에 인접 배치된 제 2 조작자(32) 및 이들 조작자(31, 32)를 지지하는 조작 기부(35)를 갖는다. 조작 기부(35)는 등받이부(17)의 후면에 일체 형성된다. 조작자(31, 32)는 등받이부(17)의 후면에 동작 가능하게 부착되고, 등받이부(17)의 상하 연재(延在) 방향, 즉 등받이부(17)에 지지되는 유소아의 머리부측과 허리부측을 잇는 길이 방향으로 진퇴이동한다. 조작자가 등받이부(17)의 상단부에 배치된 조작자(31, 32)에 손가락을 걸고, 공통조작부(30)를 조작함에 의해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회전 로크 해제 기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는 후술한다.The
도 4는, 동 실시예의 공통조작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고, 도 5는, 도 4의 공통조작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이들의 도면은 등받이부의 이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제 1 조작자(31)는 세로로 기다란 사각형이고, 제 1 조작자(31)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늘어나는 제 1 샤프트(33)가 일체 결합한다. 제 1 조작자(31)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크고, 제 1 샤프트(33)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고 평봉형상(平棒狀)이다. 이에 의해, 제 1 샤프트(33)는 도 5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고, 제 1 조작자(31)를 조작 기부(35)를 향하여 압입한 것이 가능하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mon operation part of the embodiment taken out and shown in Fig. 5,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mon operation part of Fig. 4, and these drawings show a state seen from the back side of the backrest part. The
제 2 조작자(32)는 조작자의 손의 제 2 손가락 내지 제 5 손가락을 걸어 상방으로 끌어올리는데 적합한 가로로 기다란 오목부(32c)와 오목부(32c)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세로로 기다란 사각형의 관통구멍(32h)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조작자(32)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늘어나는 제 2 샤프트(34)가 일체 결합한다.The
오목부(32c)는 등받이부(17)에 부착되는 제 2 조작자(32)중, 등받이부(17)로부터 먼 측에 형성된다. 제 2 샤프트(34)의 측부(側部)중, 등받이부(17)에 가까운 측의 측면에는 평봉형상의 제 1 샤프트(33)가 인접 배치된다. 환언하면, 제 1 샤프트(33)는 등받이부(17)와 제 2 샤프트(34)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샤프트(33)의 한쪽의 면이 제 2 샤프트(34)를 향하고, 다른쪽의 면이 등받이부(17)를 향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상상태(常態)에서 제 1 조작자(31)가 관통구멍(32h)에 들어가 돌출하고, 오목부(32c)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조작자(31)의 하단연(下端緣)은 제 1 샤프트(33)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단차를 수반하여 돌출한다. 이 단차로 제 1 조작자(31)는 관통구멍(32h)의 하단연에 계지하고, 제 1 조작자(31)의 상단연도 관통구멍(32h)의 상단연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조작자(31)는 제 2 조작자(32)와 함께 등받이부(17)의 상하 연재 방향으로 진퇴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 1 조작자(31) 및 제 2 조작자(32)는 동일 조작된다.The recessed
제 1 샤프트(33)의 하단측에는, 제 1 샤프트(33)의 중심축부터 좌우 균등하게 돌출한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가 일체 결합된다. 각도 로크 해제 기구로서의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의 좌우 양측에는 긴구멍인 가이드(39)가 각각 천공된다. 또한,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의 좌우 양측연으로부터 한 쌍의 측벽부(37w)가 제 2 샤프트(34)측으로 세워진다.An angular
한 쌍의 측벽부(37w)에는 관통구멍(37h)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좌우의 관통구멍(37h)은 (도 5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한다) 공통된 축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중간 연절 부재(41)의 좌우의 돌기(42)가 이들 좌우의 관통구멍(37h)에 각각 관통한다. 이렇게 하여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의 좌우 양측연에는 중간 연절 부재(41)가 추착된다. 중간 연절 부재(41)는 상술한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다. 중간 연절 부재(41)는 개략 C자형상이고, 그 양단이 서로 마주 본 한 쌍의 내방 돌기(43)를 구성한다. 중간 연절 부재(41)는 한 쌍의 내방 돌기(43)를 유단(遊端)으로 하고, 이들의 내방 돌기를 연결한 중간 영역(45)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회동한다.Through-
중간 연절 부재(41)의 중간 영역에는 상술한 좌우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42) 외에, 상술한 회동축선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에 따라 위치하는 연출부(44)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출부(44)가 중간 연절 부재(41)의 좌우 양측부터 상술한 회동축선과 직각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여 나온다.In addition to the pair of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는 좌우 한 쌍의 연출부(44)에 따라 긴구멍(44h)이 형성된다. 긴구멍(44h)은 서로 대향한다.
제 2 샤프트(34)의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36)가 마련된다. 이들의 돌기(36)는 긴구멍(44h)을 각각 관통 계합하고, 긴구멍(44h)의 연재 방향에 따라 활주 가능하다.The lower end of the
설명을 도 4로 되돌리면, 제 1 샤프트(33)의 하단부 및 제 2 샤프트(34)의 하단부는 코일같이 감은 스프링(38)을 관통한다. 스프링(38)의 상단은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등받이부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스프링(38)의 하단은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 및 제 2 샤프트(34)의 하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스프링(38)은 이들 조작자(31, 32)를 하방으로 가세한다. 그리고 조작자(31, 32)는 통상은 하방 위치가 된다.4, the lower end of the
도 6은 등받이부의 후경각도를 고정하는 고정 상태의 후경각도 고정 부재 및 각도 로크 해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고정 상태가 해제된 후경각도 고정 부재 및 각도 로크 해제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 6 및 도 7은 등받이부의 앞면측에서 본 상태이다. 도 8은 등받이부가 가장 세워진 의자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등받이부가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보다도 후경한 의자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등받이부가 가장 후경한 베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의 등받이부가 3형태로 리클라이닝 조정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좌석 본체의 등받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rear tilt angle fixing member and the angle lock release member in the fixed state which fixes the rear tilt angle of the backrest part.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rear view angle fixed member and the angle lock release member in which the fixed state was released. 6 and 7 are states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chair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most raised. FIG. 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hair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rearward than the state shown in FIG. 8.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bed state with which the backrest part is the most backward. 8 to 10 show that the backrest portion of this embodiment has been reclined adjusted in three forms.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backrest part of the seat main body shown in FIGS. 8-10.
도 6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는 후경각도 고정 부재로서의 핀(49)을 갖는다. 핀(49)은 2개의 봉형상체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늘어난다. 핀(49)의 일방단이 등받이부(17)의 좌우 측연보다도 외방으로 각각 돌출한다. 또한 타방단은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의 가이드(39)에 삽통 계합된다. 도 6 중, 지면(紙面) 좌측의 핀(49)에 대해 설명하면, 좌단이 측연(17s)으로부터 돌출하고, 우단부가 지면 하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지면 좌측의 가이드(39)의 좌상단부와 계합한다. 지면 우측의 핀(49)도, 상술한 것과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With reference to FIG. 6 thru | or 11, the back seat back angle fixing mechanism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backrest tilt angle fixing mechanism has a
좌석 베이스부(19)의 좌우 양측연로부터 세워져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21)에는,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로서 3개의 구멍(22a, 22b, 2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핀(49)이 이러한 구멍(22a, 22b, 22c)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등받이부(17)의 후경각도를 고정한다.Three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7)가 가장 세워진 의자상태에서, 핀(49)의 일방단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17)의 측연(17s)으로부터 돌출하고, 구멍(22a)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17)의 후경각도가 고정된다.As shown in FIG. 8, in the chair state in which the
조작자가 등받이부(17)를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보다도 후경시키는 경우, 먼저 손가락을 공통조작부(30)의 오목부(32c)에 걸어서 끌어올린다. 그러면, 스프링(3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화한다. 즉, 제 1 조작자(31) 및 제 2 조작자(32)가 동일 조작되고, 함께 상방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샤프트(33)를 통하여 제 1 조작자(31)와 결합하는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도 동일 방향이면서 동일 거리만큼 상방 이동한다.When the operator makes the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39)는 상단부끼리가 가장 좌우 방향으로 떨어지고 있고, 하단부끼리가 가장 좌우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각각 경사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The pair of
이러한 가이드(39)에 각각 계합하여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각각 늘어나는 핀(49)은 등받이부(17)에 상하 연재 방향 이동 불능으로 부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핀(49)은 핀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만 진퇴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길이 직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의 가이드(39)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핀(49)의 타방단이 긴구멍의 가이드(39)에 따라 활주하고, 핀(49)의 일방단이 등받이부(17)의 좌우 방향 중앙측으로 끌어넣어 진다(도 7). 이 결과, 핀(49)의 일방단은 구멍(22a)으로부터 끌려 빠지고,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조작자는 제 1 조작자(31) 및 제 2 조작자(32)를 끌어올린 채로 등받이부(17)를 움직여서 소망하는 후경각도로 조정하고, 최후로 오목부(32c)로부터 손을 뗀다. 그러면 스프링(38)의 가세력에 의해, 조작자(31, 32)는 통상의 하방 위치로 복귀하고(도 7 → 도 6), 등받이부(17)의 후경각도는 재차 고정된다.The
이러한 리클라이닝 조정은 의자상태와 베드 상태의 사이에서 실행된다. 또한, 등받이부가 가장 세워진 의자상태와 등받이부가 상대적으로 후경한 의자상태의 사이에서 실행된다.This reclining adjustment is performed between the chair state and the bed state. Further, it is executed between the chair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most erected and the chair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is relatively backward.
여기서 부언하면, 제 1 조작자(31)는 제 2 조작자(32)의 구멍(32h)에 계합하기 때문에(도 4), 제 1 조작자(31)는 제 2 조작자(32)와 함께 동일 조작된다(도 6, 도 7). 또한, 제 1 조작자(31)와 제 2 조작자(32)를 연절하는 중간 연절 부재(41)도 함께 상하 연재 방향으로 진퇴이동하는 바, 이러한 동일 조작의 사이는 후술하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로부터 이격하고 있다(도 6, 도 7). 이 때문에 내방 돌기(43)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와 계합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좌석 본체, 특히 등받이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도 11중 A는 도 8에 대응하고, B는 도 9에 대응하고, C는 도 10에 대응한다. 연결축(71)을 통하여 연결되는 좌부(15) 및 등받이부(17)는 리클라이닝 조정에 수반하여 연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축(71)과 등받이부(17)와 좌부(15)의 3요소가 한 쌍의 측벽(21)에 형성된 가이드 홈(23, 25) 및 등받이부(17)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의해 각각 안내되어, 등받이부가 가장 세워진 의자상태(A)로부터 등받이부가 상대적으로 후경한 의자상태(B)로, 또는 그 역으로 된다. 또한, 등받이부가 상대적으로 후경한 의자상태(B)로부터 베드 상태(C)로 또는 그 역으로 된다.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seat body, particularly the backrest, shown in FIGS. 8 to 10, in which A corresponds to FIG. 8, B corresponds to FIG. 9, and C to FIG. 10. Corresponds. The
구체적으로는, 연결축(71)의 좌우 양단부가 좌우 한 쌍의 제 1 가이드 홈 (23)에 각각 삽통 연결된다. 또한, 상호 대향하여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등받이부축(18)이 좌우의 측벽(21)에 각각 고정 마련되고, 등받이부축(18)은 등받이부(17)의 상하 연재 방향 중앙 영역과 마주 보고 있다. 축(18)은 연결축(71)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등받이부축(18)이 좌우 한 쌍의 제 2 가이드 홈(24)에 각각 삽통 연결된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17)는 이들 2개의 축(18, 71)를 통하여 좌석 베이스 부재(19)에 지지된다.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또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부축(도시 생략)이 좌부(15)의 전후 방향 중앙 영역에 마련된다. 이 축은 연결축(71)보다도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좌부축의 좌우 양단부가, 좌우 한 쌍의 제 3 가이드 홈(25)에 각각 삽통 연결된다. 이에 의해, 좌부(15)도 이들 2개의 좌부축 및 연결축(71)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 부재(19)에 지지된다.In addition, a left axis (not shown) that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center area of the
연결축(71)은 제 1 가이드 홈 (23)에 따라 활주 가능하고, 등받이부축(18)은 제 2 가이드 홈(24)에 따라 활주 가능하고, 이에 의해 등받이부(17)가 이동하여, 리클라이닝 조정된다. 좌부(15)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좌부축은 제 3 가이드 홈(25)에 따라 활주 가능하고, 이에 의해 좌부(15)가 등받이부(17)에 연동한다.The connecting
연결축(71)은 제 1 가이드 홈(23)에 따라 활주하기 때문에, 등받이부(17)의 하단부는 도 11의 상태(A, B, C)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이 이해된다. 그리고, 도 11에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표시된 등받이부(17)를 참조하여, 중간 연절 부재(41)는 상태(A, B, C)마다 위치를 바꾸면서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로부터 이격된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3상태 어느 것에서도 조작자(31, 32)가 통상의 하방 위치가 되는 동안(도 6) 내방 돌기(43)는 후술하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와 계합하는 일은 없다. 또한, 조작자(31, 32)가 동일 조작되는 동안(도 7)도 내방 돌기(43)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와 계합하는 일은 없다.Since the connecting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좌석 본체(13)를 후향으로 하여 리클라이닝 조정하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좌석 본체(13)를 베이스 부재(81)에 대해 횡향으로 하여 리클라이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석 본체(13)를 전향으로 하여 리클라이닝 조정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8 to 10 show a case where the reclining adjustment is performed with the seat
본 실시예의 회전 로크 해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공통조작부 및 중간 연절 부재의 움직임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a)는 통상의 상태를, (b)는 제 1 조작자가 압입되어 이동 불능이 된 상태를, (c)는 제 2 조작자를 끌어올린 상태를 나타내고, 등받이부의 좌우 방향에서 보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도 12(a)는 도 6과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조작자(31, 32)가 통상의 하방 위치가 된다. 조작자가 오목부(32c)에 손가락을 넣어서 제 1 조작자(31)를 압입하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샤프트(33)가 탄성 변형해 휘고, 제 1 조작자(31)는 관통구멍(32h)으로부터 벗어나 조작 기부(35)에 형성된 오목부(35c)에 수용된다. 오목부(35c)는 상측에 단차(35d)를 수반하여 패여져 있다. 이에 의해, 제 1 조작자(31)의 상단은 단차(35d)에 계지하여, 제 1 조작자(31)는 오목부(35c)로부터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The rotating lock release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comparing the movements of the common operation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wherein (a) shows a normal state, (b) shows a state where the first operator is pressed and cannot be moved, and (c) shows It shows the state which pulled up the 2nd operator, and is shown typically, seen from the left-right direction of a back part. Fig. 12A shows the same state as in Fig. 6, and the
도 12(b)에서 조작자가 오목부(32c)에 손가락을 걸고, 제 1 조작자(31)를 압입하면서 제 2 조작자(32)를 끌어올리면,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자(31)는 하방 위치가 된 채로 제 2 조작자(32)만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조작자(31, 32)의 이러한 비동일한 조작에 있어서, 제 1 샤프트(33)를 통하여 제 1 조작자(31)와 결합한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는 이동하지 않지만, 제 2 샤프트(34)를 통하여 제 2 조작자(32)와 결합한 돌기(36)는 스프링(38)의 하향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방 이동한다. 그러면 돌기(36)는 긴구멍(44h)을 활주하여 연출부(44)를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에 끌어넣고, 중간 연절 부재(41)는 돌기(42)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한다(도 12(b) → (c)).In FIG. 12B, when the operator places a finger on the
여기서 부언하면, 도 12(a) 내지 (c)의 어느 것에서도 각도 로크 해제 부재(37)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핀(49)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조작자(31, 32)의 비동일한 조작에 의해 각도 로크 해제 기구는 동작하지 않고, 회전 로크 해제 기구로서의 중간 연절 부재(41)만이 회동 동작한다. 이에 대해, 전술한 조작자(31, 32)의 동일 조작에 의해 각도 로크 해제 기구만이 동작하고, 중간 연절 부재(41)는 회동 동작하지 않는다(도 6 내지 도 10).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도 12에 도시하는 조작자(31, 32)의 비동일한 조작 및 중간 연절 부재(41)의 회동 동작은, 좌석 본체(13)의 회전 위치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도 1 내지 도 12외 도 13 내지 도 19도 적절히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 2 조작자만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중간 연절 부재가 회전 위치 고정 부재에 계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다. 도 15는 도 13의 제 2 조작자를 완전히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좌석 본체를 180도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제 2 조작자를 하방으로 되돌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좌석 베이스부(19)의 내부에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The non-identical operation of the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로서의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회동축(52)을 가지며, 회동축(52)을 통하여 좌석 베이스부(19)에 추착된다.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중 회동축(52)로부터 먼 부위에는 회전 방지 돌기(53)가 마련된다. 회전 방지 돌기(53)는 좌석 베이스부(19)를 관통하여 하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통상은 베이스 부재(81)에 천공된 베이스 부재 피계합부로서의 받이구멍(85)에 삽입되어 있다. 하향으로 늘어나는 받이구멍(8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로 나타나는 회전 중심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향 위치, 후향 위치, 좌횡향 위치 및 우횡향 위치의 4개소에 9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rotating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52)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의 양측부에는 연결 홈(54, 55)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3 to FIG. 17, connecting
좌석 본체(13)의 회전 위치의 조정은, 도 1, 도 13, 도 15, 도 16, 도 17, 도 8의 순서로 실행된다.Adjustment of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eat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도 12(a)와 같이 제 1 조작자(31)는 제 2 조작자(32)에 계합한다. 여기서 조작자(者)가 제 1 조작자(子)(31)를 압입하여 이들의 계합을 해제하고(도 12(b)), 제 2 조작자(32)만을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시작하면, 중간 연절 부재(41)가 회동하기 시작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방 돌기(43)가 연결 홈(54)의 단부에 도달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조작자가 제 2 조작자(32)만을 상방으로 계속 끌어올리면, 중간 연절 부재(41)는 회동을 계속하여, 내방 돌기(43)는 연결 홈(54)에 들어가 연결 홈(54)에 따라 활주한다. 그러면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는 회동하여 끌려 일어난다. 도 12(c)에 도시하는 상방 위치까지 제 2 조작자(32)를 끌어올리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지 돌기(53)가 받이구멍(85)으로부터 완전히 끌려 빠진다.Then, when the operator keeps pulling only the
다음에 조작자는 제 2 조작자(32)를 끌어올리고 있는 손으로 좌석 본체(13)를 회전시켜,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향 회전 위치로 한다.Next, the operator rotates the seat
최후로 조작자가 제 2 조작자(32)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38)의 가세력에 의해 제 2 조작자(32) 및 돌기(36)는 통상의 하방 위치로 복귀함과 함께, 중간 연절 부재(41)는 도 12(a)에 도시하는 원래의 위치로 회동 복귀한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방 돌기(43)는 연결 홈(54)의 단부까지 되돌아오고, 최종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는 자중(自重)으로 통상의 위치로 회동 복귀하고, 회전 방지 돌기(53)가 대응하는 받이구멍(85)에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좌석 본체(13)의 회전 위치는 재차 고정된다(도 17).Finally,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또한, 제 2 조작자(32)가 통상의 하방 위치로 복귀하면, 제 2 조작자(32)의 관통구멍(32h)은 제 1 조작자(31)와 같은 위치가 되고, 제 1 조작자(31)는 제 1 샤프트(33)의 복원력에 의해 관통구멍(32h)에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제 1 조작자(31) 및 제 2 조작자(32)는 도 12(a)에 도시하는 통상의 위치로 복귀한다.Moreover, when the
도 13 내지 도 17은 등받이부가 가장 세워진 의자상태를 도시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등받이부가 상대적으로 후경한 의자상태에서도 회전 위치의 조정이 가능함을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등받이부를 후경시킨 의자상태에서 제 2 조작자만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 2 조작자를 완전히 끌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13 to 17 illustrate the state of the chair in which the backrest is most erected,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can be adjusted even in the state of the chair with the backrest relatively. FIG. 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ly the second operator is pulled upward in a chair state having the backrest portion tilted backward. 1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operator of FIG. 18 is completely lifted up.
이 후경 의자상태에서 좌석 본체(13)의 회전 위치의 조정은 도 9, 도 18, 도 19의 순서로 실행된다. 조작자가 제 1 조작자(31)를 조작 기부(35)의 오목부(35c)에 압입하고 제 2 조작자(32)만을 끌어올리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방 돌기(43)가 연결 홈(55)의 단부에 도달한다.Adjustment of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eat
그리고 조작자가 제 2 조작자(32)만을 상방으로 계속 끌어올리면, 중간 연절 부재(41)는 회동을 계속하고, 내방 돌기(43)는 연결 홈(55)에 들어가 연결 홈(55)에 따라 활주한다. 그러면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는 회동하여 끌려 일어난다. 도 12(c)에 도시하는 상방 위치까지 제 2 조작자(32)를 끌어올리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방지 돌기(53)가 받이구멍(85)으로부터 완전하게 끌려 빠진다.And if an operator continues to pull up only the
다음에 조작자는 제 2 조작자(32)를 끌어올리고 있는 손으로 좌석 본체(13)를 회전시키고, 예를 들면 횡방향 회전 위치로 한다.Next, the operator rotates the seat
최후로 조작자가 제 2 조작자(32)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38)의 가세력에 의해 제 2 조작자(32)는 통상의 하방 위치로 복귀하고,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는 자중으로 통상의 위치에 회동 복귀하고, 회전 방지 돌기(53)가 대응하는 받이구멍에 들어가 좌석 본체(13)의 회전 위치는 재차 고정된다.When the operator finally release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등받이부가 어느 의자상태에서도 회전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베드 상태에서는 회전 위치를 조정할 수가 없다. 이것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의자상태와 비교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베드 상태에서 중간 연절 부재(41)가 상방 이동되어, 예를 들어 중간 연절 부재(41)가 회동 동작하여도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중간 연절 부재(41)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51)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좌석 본체(13)가 회전함에 의해 가장 후경한 등받이부(17)가 베이스 부재(81)의 기립부(86)에 충돌이라는 부적합함을 방지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back position can be adjusted in any chair state. However, the rotation position cannot be adjusted in the bed state. This is compared with the chair state shown in FIG. 8 and FIG. 9,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was shown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present invention or within an equivalent range.
본 발명이 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는 회전 위치의 조정 및 리클라이닝 조정이 가능한 차량용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유리하게 이용된다.The vehicle child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ly used in a vehicle child seat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and reclining adjustment.
11 : 차량용 차일드 시트
13 : 좌석 본체
15 : 좌부
17 : 등받이부
18 : 등받이부 축
19 : 좌석 베이스부
21 : 측벽
22a, 22b, 22c : 구멍
23 : 제 1 가이드 홈
24 : 제 2 가이드 홈
25 : 제 3 가이드 홈
30 : 공통조작부
31 : 제 1 조작자
32 : 제 2 조작자
33 : 제 1 샤프트
34 : 제 2 샤프트
35 : 조작 기부
35c : 오목부
36 : 돌기
37 : 각도 로크 해제 부재
38 : 스프링
39 : 가이드
41 : 중간 연절 부재
42 : 돌기
43 : 내방 돌기
44 : 연출부
44h : 긴구멍
51 : 회전 위치 고정 부재
52 : 회동축
53 : 회전 방지 돌기
54, 55 : 연결 홈
71 : 연결축
81 : 베이스 부재
83 : 오목부
85 : 받이구멍
86 : 기립부
87 : 로크 오프 디바이스11: car seat
13: seat body
15: left
17: backrest
18: backrest shaft
19: seat base
21: sidewall
22a, 22b, 22c: hole
23: first guide groove
24: the second guide groove
25: third guide groove
30: common operation unit
31: the first operator
32: second operator
33: first shaft
34: second shaft
35: Donate Operation
35c: recessed portion
36: turning
37: angular unlocking member
38: spring
39: guide
41: middle joint member
42: turning
43: turning inside
44: director
44h: long hole
51: rotation position fixing member
52: rotating shaft
53: anti-rotation protrusion
54, 55: connecting groove
71: connecting shaft
81: base member
83: recess
85: receiving hole
86: standing part
87: lock off device
Claims (9)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후경각도를 고정하는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와,
상기 좌석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기 좌석 본체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와,
상기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각도 로크 해제 기구와,
상기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회전 로크 해제 기구와,
상기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상기 회전 로크 해제 기구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공통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A seat body having a seat base portion and a rear viewable back portion,
A back back tilt angle fixing mechanism for fixing a back tilt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base portion;
A base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seat body;
A seat rotation position fixing mechanism for fixing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eat body relative to the base member;
An angle lock releasing mechanism for releasing a fixed state by the backrest rear angle fixing mechanism;
A rotation lock releasing mechanism for releasing a locked state by the seat rotation position fixing mechanism;
And a common operation portion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angle lock release mechanism and the rotation lock release mechanism.
상기 공통조작부는 제 1 조작자, 그 제 1 조작자에 인접 배치된 제 2 조작자 및 이들 조작자를 지지하는 조작 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조작자 및 상기 제 2 조작자는 동일하게 조작됨에 의해 상기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상기 회전 로크 해제 기구의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 비동일하게 조작됨에 의해 상기 각도 로크 해제 기구 및 상기 회전 로크 해제 기구가 나머지 다른쪽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operation portion has a first operator, a second operator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operator, and an operation base for supporting these operators,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operate one of the angular lock release mechanism and the rotary lock release mechanism by being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angular lock release mechanism and the rotary lock release mechanism are operated by the same operation. The child seat for a vehicle, wherein the other side operates the other side.
상기 제 1 조작자 및 상기 제 2 조작자의 어느 한쪽은 상기 조작 기부를 향하여 압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압입 위치에서 동작 불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2,
Either of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can be press-fitted toward the manipulation base and becomes inoperable at the press-fitting position.
상기 공통조작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on operation unit is a child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back support.
상기 등받이 후경각도 고정 기구는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형성된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와 계합하여 상기 후경각도를 고정하는 후경각도 고정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각도 로크 해제 기구는 상기 제 1 조작자와 상기 후경각도 고정 부재를 연절하는 각도 로크 해제 부재를 가지며,
상기 좌석 회전 위치 고정 기구는 상기 좌석 베이스부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베이스 부재 피계합부와 계합하는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전 로크 해제 기구는 상기 제 1 조작자와 상기 제 2 조작자를 연절하여 이들 조작자의 비동일한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움직이는 중간 연절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공통조작부는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의 동일 조작에 의해 상기 후경각도 고정 부재만을 움직여서 상기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고, 제 1 조작자 및 제 2 조작자의 비동일한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움직여서 상기 베이스 부재 피계합부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ckrest tilt angle fixing mechanism has a rear tilt angle fixing member which engages with the seat base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seat base portion to fix the rear tilt angle, and the angle lock release mechanism connects the first operator and the rear tilt angle fixing member. Has an angular unlock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eat rotation position fixing mechanism has a rotation position fixing member attached to the seat base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base member engaged portion formed in the base member,
The rotary lock release mechanism ha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which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operators to move the rotation position fixing member by unequal operation of these operators,
The common operation portion moves only the rear-angle angle fixing member by the sam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seat base engaging portion, and the rotation is performed by the sam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A child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by releasing engagement with the base member engaged portion by moving the position fixing member.
상기 제 1 조작자 및 상기 제 2 조작자는 등받이부의 상하 연재 방향으로 진퇴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조작자로부터 하방으로 연설되는 제 1 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각도 로크 해제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각도 로크 해제 부재는 상기 진퇴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늘어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후경각도 고정 부재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와 계합하고 타단이 상기 좌석 베이스 피계합부에 빼고 넣음이 가능하며 상기 등받이부의 좌우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operator and the second operato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ck portion,
The angular lock release member is fix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shaft that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rst operator,
The angular lock release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that extend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and moving direction,
The rear seat angle fixing member is a child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engaged with the guide and the other end can be pulled out into the seat base engaging portion, and the shaft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backrest part.
상기 중간 연절 부재는 상기 각도 로크 해제 부재에 추착되고, 그 추착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 2 조작자로부터 하방으로 연설되는 제 2 샤프트의 하단에 의해 당겨 일으켜지고, 그 당겨 일으킬 때에 상기 회전 위치 고정 부재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6,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pushed by the angular lock release member, pulled up by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haft extended downward from the second operator with the extraction point as the point, and the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mber when pulled out. Child car seat,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상기 등받이부는 후경각도를 단속적으로 조정 가능하고,
상기 중간 연절 부재는, 상기 당겨 일으킬 때에, 상기 등받이부의 개개의 후경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위치 고정 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개소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ckrest portion can adjust the rearview angle intermittently,
The intermediate seat member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points formed on the rotational position fixing member in response to individual rear-angle angles of the backrest portion when the pulling-up occurs.
상기 등받이부는 베드 상태까지 후경 가능하고,
당해 베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연절 부재는 상기 회전 위치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회전 위치 고정 부재는 작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8,
The backrest can be rearviewed to a bed stat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position fixing member in the bed state, and the rotating position fixing member is not opera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69722 | 2010-07-28 | ||
JP2010169722A JP5667807B2 (en) | 2010-07-28 | 2010-07-28 | Child seat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1317A true KR20120011317A (en) | 2012-02-07 |
Family
ID=4554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5628A KR20120011317A (en) | 2010-07-28 | 2011-05-16 | Child car sea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667807B2 (en) |
KR (1) | KR20120011317A (en) |
CN (1) | CN102343844A (en) |
TW (1) | TW20121317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22904A (en) * | 2018-05-15 | 2018-08-21 |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 Child safety seat fold mechanism |
CN114379431A (en) * | 2020-10-20 | 2022-04-22 |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 Base structure of automobile safety se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74315B2 (en) * | 2012-12-21 | 2017-08-02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 Child seat for vehicle seat |
JP6278638B2 (en) * | 2013-08-23 | 2018-02-14 | コンビ株式会社 | child seat |
JP6203268B2 (en) * | 2013-08-23 | 2017-09-27 | コンビ株式会社 | child seat |
CN106671836B (en) | 2015-11-06 | 2020-04-03 |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 Adjustment mechanism and child safety seat with same |
JP6613406B2 (en) * | 2016-01-13 | 2019-12-04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Lock mechanism for seat back or armrest in vehicle seat |
KR101850832B1 (en) * | 2016-09-13 | 2018-04-20 | 주식회사 쁘레베베 | Rotating device for car seat |
JP6781626B2 (en) * | 2016-12-27 | 2020-11-04 | 株式会社カーメイト | child seat |
CN109835219B (en) * | 2017-11-27 | 2024-10-29 |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 Seat posture adjusting device and safety seat |
CN110103787A (en) * | 2019-05-05 | 2019-08-09 | 宁波环球娃娃婴童用品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afety seat of adjustable tilt angle |
JP7409957B2 (en) * | 2020-04-30 | 2024-01-09 |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 child seat |
CN114368327A (en) * | 2020-10-14 | 2022-04-19 |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 Telescopic adjustment structure |
CN114851927B (en) * | 2021-01-20 | 2024-07-09 |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 Child safety seat and ISOFIX telescopic adjustment mechanism thereof |
WO2024034258A1 (en) * | 2022-08-08 | 2024-02-15 | 株式会社カーメイト | Child car seat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4321Y1 (en) * | 1968-06-15 | 1975-05-06 | ||
JPS61191733A (en) * | 1985-02-18 | 1986-08-26 | Takehiko Sasayama | Operating handle for back hoe |
JPH06320992A (en) * | 1993-05-13 | 1994-11-22 | Hamamatsu Kogyo Kk | Child seat supporting device |
JP3288002B2 (en) * | 1997-01-08 | 2002-06-04 |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 Automotive child safety seats |
JP2000296734A (en) * | 1999-02-08 | 2000-10-24 | Aprica Kassai Inc | Youth safety seat for automobile, protector, child care utensil protector, child care utensil and newborn baby bed |
JP2000301972A (en) * | 1999-04-21 | 2000-10-31 | Riiman Kk | Safety belt of child seat |
JP4073233B2 (en) * | 2002-04-01 | 2008-04-09 | 株式会社カーメイト | Child seat and locking device |
EP1636063A1 (en) * | 2003-06-25 | 2006-03-22 | Catalyst Developments (Europe) Limited | Child safety seat |
JP2008168847A (en) * | 2007-01-15 | 2008-07-24 | Combi Corp | Child's seat |
-
2010
- 2010-07-28 JP JP2010169722A patent/JP5667807B2/en active Active
-
2011
- 2011-05-16 KR KR1020110045628A patent/KR2012001131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7-14 CN CN2011102018025A patent/CN102343844A/en active Pending
- 2011-07-18 TW TW100125256A patent/TW201213173A/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22904A (en) * | 2018-05-15 | 2018-08-21 |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 Child safety seat fold mechanism |
CN114379431A (en) * | 2020-10-20 | 2022-04-22 |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 Base structure of automobile safety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030625A (en) | 2012-02-16 |
CN102343844A (en) | 2012-02-08 |
JP5667807B2 (en) | 2015-02-12 |
TW201213173A (en) | 2012-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11317A (en) | Child car seat | |
JP4338277B2 (en) | Booster seat | |
JP2022186976A (en) | Side protection width adjustment mechanism and child seat | |
TW201716265A (en) | Child safety seat | |
CN107901807B (en) | Head rest | |
JP2003024189A (en) | Baby chair | |
KR200426959Y1 (en) | structure for adjusting length of chair seat plate | |
KR101902770B1 (en)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1791106B1 (en) | 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0786009B1 (en) | Combination apparatus for reclining and folding motionsof seat back | |
CN111572422B (en) | Armrest structure of chair | |
JP6950974B2 (en) | Child seats and fixed units for child seats | |
CN117769374A (en) | Armrest structure | |
JP7039042B2 (en) | child seat | |
KR101861847B1 (en) | Stability device and safety car seat for infant using the same | |
JP7440604B2 (en) | child seat | |
JPH11244092A (en) | Armrest device of chair and mechanism for adjusting height of the armrest device | |
JP7092342B2 (en) | Chair | |
JP2011073472A (en) | Seat device for vehicle | |
JP2010094450A (en) | Locking mechanism of rocking device | |
JPH07308232A (en) | Reset device for seat of chair | |
JPH05123228A (en) | Chair with back rest | |
JP4946038B2 (en) | child seat | |
JPH11155685A (en) | Device for chair with armrest | |
JP3637754B2 (en) | Chair armres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