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878A -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 Google Patents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878A
KR20120010878A KR1020100072517A KR20100072517A KR20120010878A KR 20120010878 A KR20120010878 A KR 20120010878A KR 1020100072517 A KR1020100072517 A KR 1020100072517A KR 20100072517 A KR20100072517 A KR 20100072517A KR 20120010878 A KR20120010878 A KR 20120010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ypass
network device
out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1919B1 (en
Inventor
김영락
이경헌
윤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Priority to KR102010007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919B1/en
Publication of KR2012001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9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is provided to support a bypass function through a multiplexor without using an optical switch. CONSTITUTION: A plurality of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200, 210) converts the execution of a network device function into a packet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 bypass unit(220) does not transfer data to the network device if data is abnormally inputted/outputted through I/O(Input/Output) ports(240, 250). The bypass unit sets up a bypass path between I/O(Input/Output) ports.

Description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와 바이패스 모듈{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스위치(Optical switch)를 이용하지 않고 바이패스를 수행하는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 및 바이패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device and a bypass module having a bypass function for performing a bypass without using an optical switch.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네트워크 장비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한 트래픽의 폭주 등에 의해 네트워크 장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기존의 네트워크 경로를 대신하는 우회 경로를 설정하여 네트워킹이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장치이다.In general, the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is installed between network devices. When a network device fails due to a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and applications, the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sets a bypass path instead of the existing network path. This is continuously possible device.

즉, 네트워크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통해 독립적으로 패킷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한편,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으로 동작할 경우, 네트워크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바이패스 기능을 통해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입력 포트로 들어오는 패킷은 출력 포트로 바로 전달되어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at is, the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processes the input / output of packets independently through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when the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continuously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network equipment and operates normal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network equipment is abnormally operated, the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physically connects between the input port and the output port through the bypass function. As a result, packets entering the input port can be forwarded directly to the output port to maximize network availability.

이 같은 종래의 네트워크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장치 내부 혹은 외부에 장착된 광 스위치(Optical switch)를 통해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 같은 종래의 바이패스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광 스위치를 이용하여 바이패스를 수행함으로써, 광 스위치 사용에 따른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며, 광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광 케이블링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Such a conventional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performs a bypass function through an optical switch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device. In the network bypass module device which performs the conventional bypass, the bypass is performed by using the optical switch, so that the price increase due to the use of the optical switch is inevitable, and an optical cabling space for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witch should be secured.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장치의 바이패스 모듈에 광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바이패스 기능을 지원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provide a bypass function without using an optical switch in a bypass module of a network device.

나아가, 본 발명은 광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그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공간 이용을 최소화함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light switch,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minimizing use of space.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외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패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와, 복수의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의 입출력이 비정상이면, 네트워크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복수의 입출력 포트 간의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The foregoing technical problem is achieved by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the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vice into a packet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Ethernet physical Located between the hierarchical process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if the input / output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vice is abnormal through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without transferring the data to the network device It includes a bypass unit for setting a bypass path capable of data transfer between ports.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체크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하는 바이패스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device further includes a bypass controller for checking an input / output state of data through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and generating a bypass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tting of the bypass path. Includ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바이패스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이패스 경로 설정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하며, 바이패스부는 바이패스 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또다른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도록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control unit generates a bypass signal for controlling the bypass path settin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the bypass unit according to the bypass signal,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The bypass path is set up so that the data input through is output through another input / output port.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바이패스부는 다중 입력 데이터를 단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먹스(MUX)를 구비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includes at least one MUX for outputting multiple input data to establish a bypass path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와 입 출력 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입출력 포트들 간의 데이터 통신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path may be set to be located between the network device and the input / output port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or the state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network device and the input / output por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 및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광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먹스(MUX)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종래의 바이패스 모듈 제작에 비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광 케이블링을 할 필요가 없어 바이패스 모듈 제작 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device and the bypass module device having the bypass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e bypass function by using the MUX without using an optical switch,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conventional bypass module. Compared with this, the cost can be minimized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optical cabling, thereby minimizing the bypass module manufacturing space.

도 1은 종래의 광 스위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모듈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device using a conventional optical switch,
2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bypass modu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종래의 광 스위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device using a conventional optical switch.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 스위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의 광 스위치(120)는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100,110)와 제1 및 제2 커넥터(140,150) 사이에 위치하며, 바이패스 제어부(130)로부터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할지를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패스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정상 모드 신호이면, 제1 입출력 포트(100)는 제2 커넥터(14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제2 입출력 포트(110)은 제2 커넥터(1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바이패스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바이패스 신호 즉, 비정상 모드 신호이면, 광 스위치(120)는 제1 입출력 포트(100)와 제1 커넥터(140)의 통신 경로 및 제2 입출력 포트(110)와 제2 커넥터(150)의 통신 경로를 차단하고, 제1 커넥터(140)와 제2 커넥터(15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는 광 스위치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광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광 케이블링 공간 확보 및 제작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스위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의 문제점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으로부터 해소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optical switch 120 of a network device using a conventional optical switc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100 and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40 and 150, and bypasses the bypass. The controller 130 periodically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a data input / output state of the network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o set a bypass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ypass controller 130 is a normal mode signal,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10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nector 140,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11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nnector 150. On the other hand,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ypass controller 130 is a bypass signal, that is, an abnormal mode signal, the optical switch 120 communicates between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100 and the first connector 140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Blocking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ort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50, and by setting a bypass path so that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40 and the second connector 150 can be smoothly performed data communication. .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device performing the conventional bypass function has a problem in that a cost is generated due to securing and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ing space for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witch by setting the bypass path using the optical switch. The problem of the network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optical switch as described above can be sol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및 제2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200,210)와 바이패스부(22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200,210)는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외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패킷으로 변환한다. 이 같은, 제1 및 제2 이더넷 물리계층 처리부(200,210)는 10G 파이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이더넷 물리계층 처리부(200,210)는 SFU(Switching fabric unit) 또는 MCU(Micro control unit)와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 간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패킷 즉, 10기가급의 AUI(10Giga(X) attachment unit interface : XAUI) 패킷으로 변환한다.As shown in FIG. 2, the network apparatus includes first and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200 and 210 and a bypass unit 220. The first and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200 and 210 convert data corresponding to performance of a network device into a packet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s such, the first and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200 and 210 may be formed of 10G pie chip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200 and 210 may be switching fabric units (SFUs) or MCUs. The data input / output between the micro control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are converted into a packet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that is, a 10 Gigabit AUI (XAUI) packet.

바이패스부(220)는 제1 및 제2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200,210)와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이 정상 모드이면, 제1 이더넷 물리계층 처리부(200)와 제1 입출력 포트(240) 간에 설정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바이패스부(220)는 제2 이더넷 물리계층 처리부(210)와 제2 입출력 포트(250) 간에 설정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bypass unit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200 and 210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and the network device. When the data communication is in the normal mode, the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path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200 and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In addition, the bypass unit 22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path established between the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210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한편,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이 비정상 모드이면, 바이패스부(220)는 제1 이더넷 물리계층 처리부(200)와 제1 입출력 포트(240) 간의 경로 및 제2 이더넷 물리계층 처리부(210)와 제2 입출력 포트(250) 간의 경로를 차단한다. 이후, 바이패스부(220)는 제1 입출력 포트(240)와 제2 입출력 포트(25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1 입출력 포트(24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2 입출력 포트(250)로 출력되거나 또는 제2 입출력 포트(25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1 입출력 포트(240)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if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and the network device is an abnormal mode, the bypass unit 220 may include a path between the first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or 200 and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and The path between the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or 210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is blocked. Thereafter, the bypass unit 220 sets a bypass path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Accordingly, data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is output to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or data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is output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By doing so,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 같은 바이패스부(220)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다중 입력 데이터를 단일 출력하는 복수개의 먹스(Multiplexer : MUX)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먹스는 여러 개의 입력선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들 중 선택된 하나의 입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이 같은 복수의 먹스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는 바이패스부(220)는 후술할 바이패스 제어부(230)의 제어 명령 신호에 의해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바이패스 제어부(230)는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체크하여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ypass unit 220 may set a bypass path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by using a plurality of MUXs that single output multiple input data. The mux outputs data through one selected input line among data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input lines, and the bypass unit 220 for setting a bypass path using the plurality of muxe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ypass path is set by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bypass controller 230. The bypass controller 230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bypass signal by checking the input / output state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vic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or requests from users. Generates a bypass signal.

실시예에 따라, 바이패스 제어부(230)는 MCU의 데이터 통신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 또는 제2 입출력 포트(240, 250)와의 데이터 통신 장애 발생 또는 내부 시스템의 장애를 감지하여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입출력 포트(240)와 제2 입출력 포트(250) 간에 서로 연결되도록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ypass controller 230 continuously monitors the dat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CU to detect a data communication failure with the first or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or a failure of the internal system, thereby bypassing the bypass signal. Generates.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bypass unit 220 sets a bypass path such that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지금까지,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는 바이패스 모듈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o far, the network device with the bypass func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a bypass module device that performs the bypass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모듈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bypas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의 제1 및 제2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200, 210)와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 사이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같은 바이패스 모듈 장치는 체크부(310)와 먹스(320)를 포함한다. 체크부(310)는 제1 또는 제2 입출력 포트(240, 250)와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체크한다. 실시예에 따라, 체크부(310)는 MCU의 데이터 통신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바이패스 제어부(230)로부터 데이터 통신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정상 모드의 신호인지 혹은 비정상 모드의 신호 즉, 바이패스 신호인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하는 바이패스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이 비정상 모드이거나 혹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바이패스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체크부(310)는 바이패스 제어부(230)로부터 주기적으로 데이터 통신 상태와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정상 모드의 신호인지 혹은 바이패스 신호인지를 체크한다.As shown, the bypass module devic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200 and 210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vice. Enable data communication. Such a bypass module device includes a check unit 310 and a mux 320. The checker 310 checks the input / output state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or second input / output ports 240 and 250 and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hecker 310 periodically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state from the bypass control unit 230 continuously monitoring the dat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CU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normal mode signal or an abnormal mode signal. Check if it is bypass signal. In this case, the bypass controller 230 generating the bypass signal generates a bypass signal according to a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network devices in an abnormal mode or at the request of a user. Accordingly, the checker 310 periodically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the data communication state from the bypass controller 230 and analyzes it to check whether the signal is a normal mode signal or a bypass signal.

먹스(320)는 체크부(310)를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체크되면,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여 제1 입출력 포트(240) 또는 제2 입출력 포트(250) 중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나머지 입출력 포트로 출력한다. 이 같은 먹스(320)는 여러 개의 입력선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 중 선택된 하나의 입력선을 통해 단일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바이패스 모듈 장치 내에 구성된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전원를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먹스(320)는 체크부(310)를 통해 바이패스 제어부(23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정상 모드의 신호인 것으로 체크되면,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와 네트워크 장치 간에 설정된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체크부(310)를 통해 바이패스 제어부(23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비정상 모드인 바이패스 신호인 것으로 체크되면, 먹스(320)는 제1 및 제2 입출력 포트(240,250)와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통신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 즉, 먹스(320)는 제1 입출력 포트(24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2 입출력 포트(2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제2 입출력 포트(25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1 입출력 포트(2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중단 없이 네트워킹이 가능해질 수 있다.When it is checked that the input / output state of the data is abnormal through the checker 310, the MUX 320 sets a bypass path to selec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or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Outputs data input through the remaining I / O port. The mux 320 outputs a single data through one input line selected from among multiple input lines, and receives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configured in the bypass module device.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or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source. On the other hand, the mux 320 is a path se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put and output ports 240, 250 and the network device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ypass control unit 230 through the check unit 310 is a normal mode signal, Perform data communication via On the other hand,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ypass control unit 230 through the check unit 310 is checked to be a bypass signal in the abnormal mode, the mux 320 is the first and second input and output ports 240, 250 of the network device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communication state for th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is abnormal to set a bypass path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That is, the mux 320 processes the data input from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240 to be output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or processes the data input from the second input / output port 250 to the first input / output port ( By processing the output via 240, networking may be enabled without network interrup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240 : 제1 입출력 포트 110, 250 : 제2 입출력 포트
120 : 광 스위치 130, 230 : 바이패스 제어부
140 : 제1 커넥터 150 : 제2 커넥터
200 : 제1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 210 :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
220 : 바이패스부 310 : 체크부
320 : 먹스
100, 240: first input / output port 110, 250: second input / output port
120: optical switch 130, 230: bypass control unit
140: first connector 150: second connector
200: firs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for Ethernet 210: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for Ethernet
220: bypass unit 310: check unit
320: mux

Claims (5)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외부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패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의 입출력이 비정상이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 간의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는 바이패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
In a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A plurality of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s for Ethernet converting data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network device into packet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ports, if the input and output of th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vice through at least one input an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ports to the network device, A bypass unit configured to set a bypass path capable of transferring data between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without transferring data;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설정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하는 바이패스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
The network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network device is:
A bypass controller configured to check an input / output state of data through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and generate a bypass signal for controlling the bypass path setting;
The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경로 설정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바이패스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또다른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도록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ypass control unit:
Generates a bypass signal for controlling the bypass path setting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bypass unit:
According to the bypass signal, the network with a bypas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ypass path is set so that data input through at least one input an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ports through the other input and output port.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다중 입력 데이터를 단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먹스(MUX)를 구비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ypass unit:
A network device having a bypass function, comprising: setting a bypass path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by including at least one mux for outputting multiple input data.
네트워크 장치의 복수의 이더넷용 물리계층 처리부와 복수의 입출력 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이패스 모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 수행에 따른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체크하는 체크부와;
상기 체크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입출력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복수의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또다른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먹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모듈 장치.
In the bypass module device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Ethernet physical layer processing unit of the network device and a plurality of input and output ports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device,
A checker for checking an input / output state of data according to a function of the network device through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If the data input / output state between the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and the network device is abnormal through the check unit, another data is inputted through at least one input /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ports. A mux output through an input / output port;
Bypass module apparatus comprising a.
KR1020100072517A 2010-07-27 2010-07-27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KR101151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17A KR101151919B1 (en) 2010-07-27 2010-07-27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17A KR101151919B1 (en) 2010-07-27 2010-07-27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878A true KR20120010878A (en) 2012-02-06
KR101151919B1 KR101151919B1 (en) 2012-06-01

Family

ID=4583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17A KR101151919B1 (en) 2010-07-27 2010-07-27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9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640A (en)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투파더 Apparatus for collecting power usage data of apartment house
KR20230094654A (en)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투파더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real-time energy usage data in public spa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406Y1 (en) * 2005-07-07 2005-10-12 주식회사 윈스테크넷 Apparatus for controlling network traffic of High availability
KR100596362B1 (en) * 2006-03-27 2006-07-05 주식회사 윈스테크넷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traff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919B1 (en)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1973B (en) Redundant intermediary switch solution for detecting and managing fibre channel over Ethernet (FCOE) switch failures
JP4831473B2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system
US20080215910A1 (en) High-Availability Networking with Intelligent Failover
US9647879B2 (en) Network backup device and network system
US8462623B2 (en) Bandwidth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equipment
US9384102B2 (en) Redundant, fault-tolerant management fabric for multipartition servers
US200700709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computer product
US9258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switching fabric
US6751699B1 (en) Fibre channel mini-hub powered by and supported within a host computer and directly controlled over a bus of the host computer
US7706259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redundant structure of ATCA (advanced telecom computing architecture) system via base interface and the ATCA system for use in the same
KR101151919B1 (en) Network apparatus with bypass function and bypass module
KR101266041B1 (en) General purpose multi-port network interface card for fault-tolerant ethernet using switching chip base of logic gate
CN101931546B (en) Ethernet interface device between protection veneers
US20110246793A1 (en) Method of providing out of band monitoring and control of a data storage subsystem
US20070237127A1 (en) Using a dual purpose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a flexible chassis-based server
US20050060394A1 (en) Programmable delay, transparent switching multi-port interface line card
US20140036660A1 (en) Network switching device, network switching system, and method of changing power state of network switching device
US20150138959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data plane redundancy
US20230055239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KR20040020727A (en) Apparatus of duplexing for ethernet switching board i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TWI717778B (en) Network switc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hao et al. OeIM: An Optoelectronic Interconnection Middleware for the Exascale Computer
KR100389955B1 (en) Bus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upper and lower processors in msc and method therefor
KR100912819B1 (e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SxP at ATCA platform based Optical Transport HierarchyOTH
Baidu et al. A Novel Networking Box System Architecture and Design for Data Center Energy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