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818A -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818A
KR20120010818A KR1020100072416A KR20100072416A KR20120010818A KR 20120010818 A KR20120010818 A KR 20120010818A KR 1020100072416 A KR1020100072416 A KR 1020100072416A KR 20100072416 A KR20100072416 A KR 20100072416A KR 20120010818 A KR20120010818 A KR 2012001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mmand
unit
name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to KR102010007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818A/ko
Publication of KR2012001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04N5/505Invisible or silent tu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단말기로서,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는 채널 자동 전환부를 포함하며, 채널 자동 전환부는, 수신 가능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에 대하여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켜 두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과 대표 채널명을 비교하여 채널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Data Terminal and Channel Switch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서비스는 이동통신과 방송이 결합된 서비스로서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위성 DMB 및 지상파 DMB로 나뉜다.
DMB 수신 단말기의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에 DMB 수신 모듈을 탑재한 내비게이션 겸용 DMB 단말기가 활발히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단말기의 대중화는 운전 중에 DMB를 시청하거나 청취하고자 하는 요구 또한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운전 중 정보 단말기를 조작함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음성인식 방식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정보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정보 단말기는 예를 들어, 방송 권역이 변경된 경우 수신 가능한 DMB 방송 채널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검색하여,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가 변경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사용자는 검색된 채널 리스트 중 시청 또는 청취하고자 하는 채널명을 음성으로 발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 단말기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하여 대응되는 채널을 찾아 해당 채널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지역방송국에서 송출을 대행하거나 임대채널을 사용하는 방송국의 경우 지역에 따라 그 채널명이 각기 다르게 송출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서울에서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SBS 방송국의 채널명은 부산의 경우 KNNu로 표시될 수 있고, YTN의 채널명은 부산에서 UBCu로 표시되는 등, 동일한 채널이지만 지역에 따라 방송국명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정보 단말기에서는 대표 채널명으로 검색되던 방송국이, 정보 단말기가 방송 권역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해당 지역 방송국의 채널명으로 검색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명을 대표 채널명으로 발성하여도 해당 채널로 전환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정보 단말기가 서울에 위치한 경우 MBCNET, KBS HEART, SBSuTV가 검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에스비에스유티비"를 발성하면 정보 단말기는 SBSuTV로 채널을 전환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 단말기가 방송 권역이 다른 지역, 예를 들어 부산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MBCNET, KBS HEART, KNNu 등의 채널명이 검색된다. 그리고 KNNu 채널에서 SBSuTV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에스비에스유티비"를 발성하여도 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검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음성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검색된 채널 리스트를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지역 방송국 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과정이 운전 중에 수행되는 경우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지역 방송국명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 외에는 발성 경험치가 낮으며, 따라서 지역 방송국명을 음성으로 발성한 경우 음성 인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DMB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역에 상관 없이 대표 채널명을 음성으로 인식하여 채널을 전환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지역 방송국명을 대표 채널명과 매칭시켜 채널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단말기로서,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는 채널 자동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는, 수신 가능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에 대하여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켜 두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과 상기 대표 채널명을 비교하여 채널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널 전환 방법은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는 채널 자동 전환부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정보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키는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 채널 전환을 위한 음성 명령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음성 명령어를 문자로 변환하는 명령어 변환 과정; 및 상기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에서 검색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검색된 각 채널의 대표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대표 채널명에 매칭된 채널로 튜닝하는 채널 변경 과정;을 포함한다.
지역 방송국에서 송출을 대행하는 방송국 또는 임대 채널을 이용하는 방송국은 지방에서 특정한 시간에만 해당 방송국의 서비스 내용을 송출한다. 이러한 방송국은 각 지역마다 그 채널명이 다르게 표시되고 더욱이 채널명이 빈번히 변경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역 방송국 채널명을 대표 채널명과 매칭시켜 두고, 지역 방송국 채널명이 검색된 경우에도 대표 채널명에 대한 음성 발성을 인식하여 해당 방송국으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역 방송국명을 확인하는 번거로움 없이 원하는 채널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운전 중에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익숙하지 않은 지역 방송국명을 발성함에 따른 음성 인식 오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음성 채널 전환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채널 정규화부의 구성도,
도 3은 검색된 지역 채널명에 따른 대표 채널 매칭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채널 변경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신 가능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채널 변경 과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단말기(10)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방송신호 처리부(120), 메모리(130), 사용자 인터페이스(UI, 140) 및 채널 자동 전환부(20)를 포함한다.
방송신호 처리부(120)는 DMB 수신모듈을 포함하여, DMB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형태로 처리한 후 UI(140)를 통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메모리(130)에는 정보 단말기(1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UI(141)는 입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자동 전환부(20)는 기 설정된 조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채널 검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나, 정보 단말기가 방송 권역을 이동한 경우 자동으로 수신 가능한 방송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 리스트를 UI(140)를 통해 표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하는 채널명을 발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문자로 변환, 대응하는 채널명을 검출하여 채널을 전환한다. 이때, 사용자의 음성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대표 채널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채널명이 검색되었는지 확인하여 해당 채널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채널 자동 전환부(20)는 수동/자동으로 수신 가능 채널 리스트를 검색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른 채널로 방송 채널을 튜닝하는 것에 더하여,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방송 채널이 존재하지 않고 이러한 음성 인식 결과가 대표 채널명을 지시하는 경우 이를 대표 채널로 사용하는 지역 방송국의 채널로 튜닝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검색된 채널 명 중 대표 채널이 SBSuTV인 지역 방송국 채널 KNNu가 검색되고, 사용자가 "에스비에스유티비"를 발성한 경우를 가정한다. 기존에는 검색 채널에 'SBSuTV'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성 인식 결과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채널 자동 전환부(20)는 지역 방송국 채널명 별로 대표 채널명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KNNu'라는 채널이 'SBSuTV'를 대표 채널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 결과를 오류로 처리하지 않고 'KNNu'로 채널을 전환시켜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채널 자동 전환부(20)는 채널 정규화부(150),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160) 및 채널 변경부(170)를 포함한다.
채널 정규화부(150)는 정보 단말기(10)가 기동된 경우, 정보 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을 검색한다. 아울러, 검색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 예를 들어 지역 방송국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지역 방송국 채널명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며, 추출된 키워드에 따라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채널 정규화부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채널 정규화부(150)는 정보 단말기(10)의 기동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신 가능한 채널을 탐색하는 채널 검색부(152), 탐색된 채널 중 지역 방송국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지역 방송국 채널명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154) 및 키워드 추출부(154)에서 추출한 키워드에 따라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키는 채널 매칭부(156)를 포함한다.
채널 정규화부(150)의 처리 결과는 데이터베이스(180)로 관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검색된 지역 채널명에 따른 대표 채널 매칭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산의 경우 채널 검색부(152)에 의해 UBCu, KNNu와 같은 지역 방송국 채널이 탐색될 수 있다. UBCu의 경우 키워드로서 UBC, YTN을 포함할 수 있고, KNNu의 경우 KNN, SBS를 키워드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는 키워드 추출부(154)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채널 매칭부(156)는 추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하여 UBCu 의 경우 YTN을, KNNu의 경우 SBS를 대표 채널명으로 매칭시키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160)는 음성 인식 채널 전환 모드에서 UI(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문자로 변환한다.
이때, 채널명이 동일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발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인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음성 명령어를 하나의 명령어로서 정규화할 수 있는 포맷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음성 명령어 정규화 포맷의 일 예로서, 지역 방송국 채널명에 대해 발성 가능한 다양한 음성 명령어를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채널 변경부(170)는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160)에서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음성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채널로 튜닝한다. 반면, 음성 인식 결과와 일치하는 탐색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음성 인식 결과와 일치하는 대표 채널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표 채널과 매칭되어 있는 지역 방송국 채널로 튜닝한다.
이를 위해, 채널 변경부(170)는 도 4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채널 변경부의 구성도로서, 명령어 인식부(172), 채널 탐색부(174) 및 튜닝부(176)를 포함한다.
명령어 인식부(172)는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160)의 처리 결과 즉,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문자로 변환한 결과를 수신한다.
채널 탐색부(174)는 채널 검색부(152)에서 탐색된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 중, 명령어 인식부(172)에서 수신한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전환 대상 채널로 선택한다. 반면,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 검색부(152)에서 탐색한 수신 가능한 채널의 대표 채널명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갖는 채널이 존재하면 이를 전환 대상 채널로 선택한다.
튜닝 제어부(176)는 채널 탐색부(174)에서 전환 대상 채널이 선택됨에 따라, 방송 신호 처리부(120)로 해당 채널로 튜닝할 것을 요청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신호가 서비스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정보 단말기(10)가 기동된 후, 채널 자동 전환부(20)의 채널 정규화부(150)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신 가능한 채널이 검색되며, 수신 가능한 채널 중 지역 방송국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대표 채널명으로 매칭시키는 정규화 과정이 수행된다(S10).
이후, 음성 인식 채널 전환 모드에서 UI(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를 문자로 변환한다(S20).
다음, 채널 변경부(170)는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를 기초로, 단계 S10에서 탐색한 채널 리스트 중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채널로 튜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탐색된 각 채널의 대표 채널명을 검색,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이 존재하면 해당 채널로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0).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신 가능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의 흐름도이다.
먼저, 채널 검색부(152)는 정보 단말기(10)의 기동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신 가능한 채널을 탐색한다(S101). 단계 S101의 탐색 결과 지역 방송국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S103), 키워드 추출부(154)는 탐색된 지역 방송국 채널명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S105), 채널 매칭부(156)는 단계 S103에서 추출한 키워드에 따라 탐색된 지역 방송국 채널명에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킨다(S107).
그리고, 채널 검색부(152)는 탐색된 채널명을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로 생성하여(S109)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음성 인식 채널 전환 모드에서 음성 명령어를 발성한 경우 채널 변경 과정(S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채널 변경 과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에서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는 채널 변경부(170)의 명령어 인식부(172)로 수신되고(S301), 채널 탐색부(174)는 단계 S301에서 수신한 문자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03).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에 문자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면 튜닝 제어부(176)는 방송신호 처리부(120)로 해당 채널로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S307).
반면,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에 문자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가능한 각 채널의 대표 채널명을 검색, 문자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갖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05).
만약, 수신 가능한 채널 중 문자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갖는 채널이 존재하면, 튜닝 제어부(176)는 방송 신호 처리부(120)로 해당 채널로의 튜닝을 요청한다(S307).
아울러, 단계 S305의 확인 결과 대표 채널명에도 일치하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음성 인식 채널 전환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한다(S309).
예를 들어, 지역 방송국 채널명 'KNNu'가 검색된 경우, 도 5의 단계 S10에서는 'KNNu'로부터 키워드 KNN, SBS를 추출하여 대표 채널명을 'SBSuTV'로 매칭시켜 두고,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에 'KNNu'를 포함시켜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케이엔엔유'를 발성할 수 있고, 이는 단계 S20에서 문자로 변환된다.
문자로 변환된 사용자 명령어에 따른 채널 변경은 S30에서 처리된다. 즉, 문자로 변환된 사용자 명령어(KNNu)는 명령어 인식부(172)로 수신되고, 채널 탐색부(174)는 사용자 명령어 'KNNu'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지역 방송국 채널명 'KNNu'가 검색된 것을 가정하였으므로, 튜닝 제어부(176)는 사용자 명령어 'KNNu'에 대응하는 지역 방송국 채널 'KNNu'로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지역 방송국 채널명 'KNNu'가 검색되고, 이를 대표 채널명 'SBSuTV'로 매칭시켜 둔 경우, 사용자로부터 '에스비에스유티비'라는 음성 명령어가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문자로 변환된 사용자 명령어(SBSuTV)는 명령어 인식부(172)로 수신되고, 채널 탐색부(174)는 사용자 명령어 'SBSuTV'에 대응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채널 탐색부(174)는 지역 방송국 채널명 'KNNu'의 대표 채널명을 검색, 'KNNu'의 대표 채널명이 'SBSuTV'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튜닝 제어부(176)는 사용자 명령어 'SBSuTV'에 대응하는 지역 방송국 채널 'KNNu'로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국, 정보 단말기에서 지역 방송국 채널이 검색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지역 방송국명을 확인하고 발성하는 어려움 없이, 대표 채널명을 발성하여 원하는 채널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익숙하지 않은 지역 방송국명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 운전 중에 채널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고, 익숙하지 않은 지역 방송국명을 발성함에 따른 음성 인식 오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음성 채널 전환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정보 단말기
20 : 채널 자동 전환부
110 : 제어부
120 : 방송신호 처리부
130 : 메모리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 채널 정규화부
160 :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
170 : 채널 변경부

Claims (11)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 단말기로서,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는 채널 자동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는, 수신 가능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에 대하여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켜 두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과 상기 대표 채널명을 비교하여 채널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는, 상기 정보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한 채널 중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키는 채널 정규화부;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음성 명령을 문자로 변환하는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 및
    상기 채널 정규화부에서 검색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에서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검색하여 상기 대표 채널명에 매칭된 채널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채널 변경부;
    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규화부는, 상기 정보 단말기의 기동 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신 가능한 채널을 탐색하는 채널 검색부;
    상기 채널 검색부에서 탐색된 채널 중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명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한 키워드에 따라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키는 채널 매칭부;
    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부는, 상기 음성 명령어 정규화부로부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를 수신하는 명령어 인식부;
    상기 채널 정규화부에서 검색한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명령어 인식부에서 수신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명령어 인식부에서 수신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이 매칭된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채널 탐색부; 및
    상기 채널 탐색부에서 검색된 채널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튜닝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탐색부는, 상기 채널 정규화부에서 검색한 수신 가능한 채널 중 상기 명령어 인식부에서 수신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채널을 전환 대상 채널로 선택하는 정보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은 지역 방송국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
  7.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는 채널 자동 전환부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정보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채널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키는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
    채널 전환을 위한 음성 명령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음성 명령어를 문자로 변환하는 명령어 변환 과정; 및
    상기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에서 검색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검색된 각 채널의 대표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대표 채널명에 매칭된 채널로 튜닝하는 채널 변경 과정;
    을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검색 및 정규화 과정은,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수신 가능한 채널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의 채널명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에 대표 채널명을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을 리스트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 과정은, 상기 채널 자동 전환부가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 가능한 각 채널의 대표 채널명을 검색하여,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대표 채널명을 갖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표 채널명에 매칭된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가능한 채널의 채널명 중 상기 문자로 변환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채널명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은 지역 방송국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KR1020100072416A 2010-07-27 2010-07-27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KR20120010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16A KR20120010818A (ko) 2010-07-27 2010-07-27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16A KR20120010818A (ko) 2010-07-27 2010-07-27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818A true KR20120010818A (ko) 2012-02-06

Family

ID=4583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416A KR20120010818A (ko) 2010-07-27 2010-07-27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8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4460A (zh) * 2012-06-19 2012-10-10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频道切换方法及终端设备
WO2014069820A1 (en) * 2012-10-31 201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4038809A (zh) * 2013-03-04 2014-09-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频道名称的方法及装置
US8838456B2 (en) 2012-09-28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WO2018097504A3 (en) * 2016-11-24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channel map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4460A (zh) * 2012-06-19 2012-10-10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频道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8838456B2 (en) 2012-09-28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9037471B2 (en) 2012-09-28 2015-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WO2014069820A1 (en) * 2012-10-31 201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EP2728890A3 (en) * 2012-10-31 2014-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4038809A (zh) * 2013-03-04 2014-09-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频道名称的方法及装置
WO2018097504A3 (en) * 2016-11-24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channel map thereof
US10832669B2 (en) 2016-11-24 2020-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channel map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570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response to voice input,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CN106250474B (zh) 一种语音控制的处理方法及系统
EP3321929B1 (en) Language merge
EP2806422B1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voice recognition guide method
US20150310856A1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television set
KR20120010818A (ko) 정보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전환 방법
JP6244560B2 (ja) 音声認識処理装置、音声認識処理方法、および表示装置
EP2725577A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8112276B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KR102227599B1 (ko) 음성인식 시스템, 음성인식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90374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CN103607609A (zh) 一种电视机频道的语音切换方法和装置
CN103517147A (zh) 提供响应信息的显示设备、交互服务器以及方法
CN102378050A (zh) 使用文本转语音转换的广播系统
CN105825853A (zh) 语音识别设备语音切换方法及装置
KR20130134545A (ko) 리모컨을 이용한 디지털tv 음성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9036406A (zh) 一种语音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3220388A1 (en) Method for correcting false recognition contained in recognition result of speech of user
US8600732B2 (en) Translating programming content to match received voice command language
CN111192586B (zh) 语音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06920546B (zh) 智能识别语音的方法及装置
CN108111922B (zh) 电子设备和用于更新其频道映射表的方法
JP5173648B2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
KR20110047517A (ko) 이동 장치의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채널 선국 방법
KR20060091426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티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