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102A - A seat structure of a nursery appliance and child seat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A seat structure of a nursery appliance and child seat for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0102A KR20120010102A KR1020110034047A KR20110034047A KR20120010102A KR 20120010102 A KR20120010102 A KR 20120010102A KR 1020110034047 A KR1020110034047 A KR 1020110034047A KR 20110034047 A KR20110034047 A KR 20110034047A KR 20120010102 A KR20120010102 A KR 201200101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belt
- crotch
- pair
- crotch bel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나 유모차 등, 유소아가 착좌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structure of a childcare mechanism in which a child seats, such as an automobile child seat or a baby carriage.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는, 승용차 내에서의 유소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차량용 아동용 좌석으로서 외에, 리클라이닝 기능이나 회전 기능이나 베드 기능 등, 유소아의 승차감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이러한 어린이 시트는, 차량의 좌석에 실려지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유소아가 착좌하는 시트부와, 유소아의 신체에 건너 질러지는 구속 벨트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5-162151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The child seat for automobiles is not only used as a child seat for a vehic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infant in a passenger car, but also the improvement of the ride comfort performance of the infant, such as a reclining function, a rotation function and a bed function, is aimed at. Such a child seat generally includes a base portion carri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a seat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seated by the infant, and a restraint belt across the infant's body. What is described in 2005-162151 (patent document 1) is known.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어린이 시트는, 구속 벨트로서, 좌우 한 쌍의 어깨 및 허리 벨트와, 시트부의 좌면의 중앙부에서 돌출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랑이 벨트는 유소아의 양다리의 대퇴부의 사이를 통과하고 상방으로 늘어나고, 가랑이 벨트의 선단의 버클에 어깨 및 허리 벨트를 고정하여, 유소아를 5점 구속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의 골반이 좌우의 허리 벨트에 구속된다.The child sea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s a restraint belt,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and waist belts, and a crotch belt tha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seat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he crotch belt passes between the thighs of the infant's legs and extends upwards, and the shoulder and waist belts are fixed to the buckle at the tip of the crotch belt to restrain the infant by five points. As a result, the pelvis of the infant is restrained by the left and right waist belts.
그런데 특허 문헌 1의 어린이 시트에서는, 시트부의 등받이면이 리클라이닝 조정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클라이닝 조정의 전후에서, 구속 벨트가 꽉 끼게 되어 유소아를 압박하거나, 역으로 구속 벨트가 헐겁게 되어 유소아의 신체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되는 부적합함을 해결하기 위해, 어깨 벨트의 상단부가 등받이면을 관통하고, 등받이부의 이면에서 조정 벨트와 접속한다. 조정 벨트는, 베이스부에 따라 하방으로 늘어나고, 다음에 전방으로 방향을 바꾸어 늘어나고, 조정 벨트의 전단부가 좌면의 전단에 달하고 있다. 유소아의 보호자는, 조정 벨트의 인출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구속 벨트의 팽팽한 상태를 적절한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By the way, in the child seat of patent document 1, the back of the seat part can adjust reclining. For this reason, before and after the reclining adjust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belt is fixed so that the restraint belt becomes tight and pressurizes the infant, or conversely, the restraint belt becomes loose and the inability to adequately protect the infant's body. It penetrates the back surface and connects with an adjustment belt at the back surface of a back part. The adjustment belt extends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base portion, and then changes direc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djustment belt reaches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The protector of the infant can adjust the tensioned state of the restraint belt to an appropriate one by adjusting the lead length of the adjustment belt.
이에 대해, 가랑이 벨트는, 시트부의 좌면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가랑이 벨트의 하단부가 좌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접속된다.In contrast, the crotch bel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eat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rotch belt is connected to a member located below the seat surface.
또한, 일본 특개2003-226178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어깨 벨트의 상단측이 등받이부를 관통하고, 등받이부의 이면 및 좌부의 하면에 따라 더욱 늘어나고, 그 선단이 좌부의 전단에서 인출된다. 유소아의 보호자는, 이 인출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어깨 벨트의 팽팽한 상태를 적절한 것으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26178 (Patent Document 2), the upper end side of the shoulder belt penetrates the backrest portion, further extends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the tip thereof is drawn out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portion. The guardian of the infant can adjust the tensioned state of the shoulder belt to an appropriate one by adjusting the lead length.
또한, 일본 특개평10-250426호 공보(특허 문헌 3) 및 일본 특개2003-72435호 공보(특허 문헌 4)에는 등받이면이 후경하여 베드 상태가 되는 좌석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문헌에서는, 의자 상태에서는 좌면의 후방측이 전방측보다도 낮아지도록 경사하여 있고, 유소아가 깊게 앉도록 된다. 이 한편으로 베드 상태에서는, 좌면이 거의 수평이 될 때까지 상승하고, 등받이면과 함께 거의 수평한 베드 공간을 제공한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0-250426 (Patent Document 3)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72435 (Patent Document 4) disclose a seat structure in which the back surface is rearviewed to be in a bed state. In these documents, in the chair state, the rear side of the seat surface is inclined so as to be lower than the front side, and the infant sits deep. On the other hand, in the bed state, it rises until the seat surface is almost horizontal, and provides a bed space which is almost horizontal with the back surface.
[특허 문헌][Patent Document]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5-16215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62151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3-22617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226178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평10-250426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50426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2003-72435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72435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어린이 시트의 좌석에서는, 좌부보다도 하방에서, 가랑이 벨트의 하단이 베이스부의 중앙부에 연결하기 때문에, 조정 벨트가 가랑이 벨트의 하단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조정 벨트의 우회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부(A)보다도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샤프트(B) 또는 브래킷을 가설하고, 샤프트(B)에 가랑이 벨트(C)의 하단을 연결하고, 가랑이 벨트(C)가 좌부(A)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가랑이 벨트(C)의 상단에 마련된 버클(D)을 통하여, 좌우의 어깨 및 허리 벨트(E)를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등받이부(F)의 이면과 좌부(A)의 하면을 통과하는 조정 벨트(G)가, 가랑이 벨트(C)와 간섭하지 않도록 우회시키는 수단(H)이 필요하였다.In the seat of the child seat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since the lower end of the crotch belt connects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below the se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bypass path of the adjustment belt so that the adjustment bel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 end of the crotch be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at is, as shown in FIG. 4, a shaft B or a bracket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part A to the left-right direction is hypothesized, the lower end of the crotch belt C is connected to the shaft B, and the crotch belt (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C) penetrates the center part of the left part A, and makes it possible to peel off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and the waist belt E via the buckle D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crotch belt C, Means H were needed to bypass the adjustment belt G passing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F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rotch belt C. FIG.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가랑이 벨트의 구성을, 특허 문헌 3 및 4에 개시된 좌석에 적용하다고 하면, 새로운 부적합함이 생기는 것을 본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선의 베드 상태에서 좌부(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B)의 돌출 높이(Lb)가 적절하여도, 실선의 의자 상태에서 가랑이 벨트(B)의 돌출 높이(Lc)가 너무 높아 버린다는 문제이다. 이 때문에, 의자 상태에서는, 좌우의 허리 벨트가 유아의 골반을 구속할 수가 없다. 그러면,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로서 유아의 적정한 구속을 실현할 수가 없다. 환언하면, 예를 들어 돌출 높이(Lc)가 적절하여도 이번에는 돌출 높이(Lb)가 너무 낮아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 has found that i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crotch bel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applied to the seat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3 and 4, new incompatibility occurs. That is, as shown in FIG. 4, even if the protrusion height Lb of the crotch belt B which protrudes upwards from the left part A in the bed state of a broken line is appropriate, the crotch belt B is in a solid chair state. It is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 height Lc of the to be too high. For this reason, in the chair state, the left and right waist belts cannot restrain the pelvis of the infant. Then, appropriate restraint of the infant can not be realized as a child seat for an automobile. In other words, for example, even if the protrusion height Lc is appropriat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 height Lb is too low at this time.
또한, 상기 종래와 같은 어린이 시트에서는, 구속 벨트에 작용하는 충격이 가랑이 벨트(C)의 하단에 집중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안전상 더 한층의 개선이 요망된다.In the child seat as described above, the impact acting on the restraint belt is concentrated on the lower end of the crotch belt C. For this reason, further improvement is desired for safety reasons.
본 발명의 1의 목적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간이한 구조로서,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ive of 1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technique which can avoid the interference of an adjustment belt and a crotch belt as a simple structur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조정에 따라 좌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육아 기구의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변화하여 버린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eliminating the inadequacy of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rotch belt changing in the case of a childcare mechanism in which the seat portion interlock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lining adjustment of the backres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랑이 벨트의 하단부에 충격 하중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여, 안전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avoiding concentration of impact load at the lower end of the crotch belt and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는, 좌부 및 등받이부를 갖는 좌석 본체와,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와, 좌석 본체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속 벨트 장치는, 좌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와, 가랑이 벨트의 상단에 부착된 버클 요소를 포함한다. 가랑이 벨트는, 버클 요소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좌석 베이스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한다.The seating structure of the childcar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comprises a seat body having a seat and a back, a seat base for supporting the seat body, and a restraint belt device for restraining the body of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 body. . The restraint belt device includes a crotch belt extending through the s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buckle element attached to the top of the crotch belt. The crotch belt includes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buckle element, and a pair of branch portions branched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tip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bas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부를 관통하는 가랑이 벨트가 좌부보다도 하방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늘어나고, 좌측 선단이 좌석 베이스의 좌측부와 연결하고, 우측 선단이 좌석 베이스의 우측부와 연결하기 때문에, 좌측의 분기부와 우측의 분기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간이한 구조로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조정에 응하여 좌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경우에, 좌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 부분이 좌부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변화해 버린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리클라이닝 조절하는 경우라도 가랑이 벨트를 포함하는 구속 벨트 장치가 유소아의 골반을 항상 구속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벨트의 하단에 걸리는 충격을 좌우로 분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안전성능이 향상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tch belt penetrating the left par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to the left and right side than the left part, and the left end part connects with the left part of the seat base, and the right end part connects with the right part of the seat bas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ranch on the right side,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adjustment belt and the crotch belt can be avoided with a simple structure. In addition, when the seat portion interlock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clining adjustment of the backrest portion, the crotch bel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at portion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eat portion.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adequacy that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rotch belt changes, and even when reclining adjustment, the restraint belt device including the crotch belt can always restrain the pelvis of the infant. In addition, it becomes possible to disperse the impact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crotch belt from side to side, and the safety performance is improved.
가랑이 벨트는, 하단측이 분기되는 것이면 좋고, 분기점의 위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가랑이 벨트는 길이 방향 도중 위치에서 분기되고, 상단부터 당해 도중 위치까지의 영역이 묶여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는 가랑이 벨트는, 상단의 버클 요소로부터 2갈래로 분기된다.As for the crotch belt, the lower end side should just branch, and the position of a branch poi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crotch belt may branch at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g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may be bundled. Or the crotch belt is bifurcated from the buckle element at the top.
좌석 베이스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또한 좌석 베이스의 측부와 가랑이 벨트의 선단부와의 접속 부분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좌석 베이스는, 좌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저벽부와, 저벽부의 좌우 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어나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선단부는, 한 쌍의 측벽부에 연결된다.The shape of the seat b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de portion of the seat base and the tip end of the crotch bel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at base includes a bottom wall located below the seat and a bottom wall. It include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that rise and extend upwar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ortion, and the tip portion of the pair of branch portions of the crotch belt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본 발명은 구속 벨트 장치가 가랑이 벨트 및 한 쌍의 벨트를 포함하는 3점 구속식이라도 좋고, 가랑이 벨트 및 한 쌍의 벨트(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를 포함하는 5점 구속식이라도 좋고, 어깨 벨트의 팽팽함은 조정되는 것이 아니라도 좋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구속 벨트 장치는, 버클 요소에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어깨 벨트의 팽팽함을 조정하기 위해 일단이 한 쌍의 어깨 벨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등받이부의 배면 및 좌부의 이면에 따라 늘어나고 좌부의 전방 영역까지 이끌어지는 조정 벨트와, 좌부의 전방 영역에서 상기 조정 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조정 벨트는,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aint belt device may be a three-point restraint formula including a crotch belt and a pair of belts, a five-point restraint formula including a crotch belt and a pair of belts (shoulder belts and a waist belt), and a shoulder belt. The tension of the may not be adjusted, but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straint belt device includes a pair of shoulder belts that are releasably connected to the buckle element and one pair of shoulder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houlder belts. An adjustment belt connected to the belt, the other end of which extends along the back of the back and the back of the seat and is led to the front region of the seat; and a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belt in the front region of the seat. Pass between the quarter parts of a pair of crotch belts.
본 발명의 등받이부는 리클라이닝 조정 불가능하게 고정되어도 좋고 리클라이닝 조정 가능하여도 좋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등받이부는, 후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좌부는, 등받이부의 후경 동작에 응하여 좌면 높이가 높아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좌부의 높이의 변화에 관계없이 좌부의 좌면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은, 좌부의 이면에 접촉하여 늘어나고 있다.Although the back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or not reclining without reclining adjustment,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backrest is provided to be rearviewable, and the seat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seat surface height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rearview motion of the backrest. The pair of branch portions of the crotch belt extend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so that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crotch belt protruding upward from the left face of the seat is substantially constan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seat.
리클라이닝 조정 각도의 범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등받이부는 거의 수평의 위치까지 후경 가능하다.Although the range of the reclining adjustment angl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s a preferable embodiment, the backrest part can be rearviewed to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본 발명의 좌석 구조는, 유모차, 옥내용 의자 및 베드 등의 육아 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좌석 구조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를 들 수 있다.The sea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child care devices such as strollers, indoor chairs and beds. As a preferable embodiment, a child seat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the sea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ntio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랑이 벨트는, 좌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고, 버클 요소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좌석 베이스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좌부보다도 하방에 조정 벨트를 통과시키는 경우에 조정 벨트와 가랑이 벨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조정에 응하여 좌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는 육아 기구의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변화하여 버린다는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랑이 벨트의 충격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안전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crotch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rough the lef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divided into a center portion connected to the buckle element, and a left and right branch from the center portion, and a pair of branches whose tip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base. Since the part is included, interference between the adjustment belt and the crotch belt can be avoided when passing the adjustment belt below the sea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hildcare mechanism in which the left part interlocks in the up-down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eclining adjustment of the backrest par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adequacy that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rotch belt chang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impact load of the crotch belt,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하방 위치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상방 위치가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종래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eat structure of the child care mechanism which is one Example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at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in a lowermost position.
Fig. 3 is a cross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at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in the uppermost posi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를 구비하는 좌석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하방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실시예의 좌석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좌부가 가장 상방 위치가 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좌석 구조는, 유소아가 착좌하는 좌석 본체(61)와, 좌석 본체(61)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64)를 구비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xample shown to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eat provided with the seat structure of the child care apparatus which becomes one Example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at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in the lowermost position. Fig. 3 is a cross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at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in the uppermost position. The sea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좌석 본체(61)는, 거의 수평 방향에 넓어지고 착좌자인 유소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부(62)와, 좌부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늘어나고 유소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63)를 갖는다. 좌부(62)의 상측이 되는 좌면 및 등받이부(63)의 표면이 되는 등받이면에는 쿠션재가 마련되어 있고, 착좌하는 유소아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등받이부(63)는 리클라이닝 조정이 가능하고, 2점 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의 수평까지 경사시켜서 베드 상태로 할 수도 있다.The seat
실선으로 표시되는 의자 상태에서 등받이부(63)는 좌부(62)의 후단부에서 일어나고, 좌부(62)는 그 후단부가 전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는 좌석 본체(61)에 깊게 앉을 수 있다. 이에 대해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베드 상태에서는, 등받이부(63)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후경함과 함께, 좌부(62)의 후단부가 상승한다. 등받이부(63)의 하단부는 좌부(62)의 후단부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의해 리클라이닝 조정하면, 등받이부(63)의 경사각도에 응하여 좌부(62)의 경사각도도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부(63)를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좌부(62)의 후단부가 상승한다. 반대로 등받이부(63)를 전방으로 일으키면 좌부(62)의 후단부가 하강한다.In the chair state indicated by the solid line, the
이와 같이 좌부(6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정되는바, 좌부(62)의 좌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21)도 좌부(62)의 상하 이동 위치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한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Thus, the
좌부(62)의 좌면 및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에는, 좌석 본체(61)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66)가 접속한다. 구속 벨트 장치(66)는,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부터 좌부(62)의 좌면까지 늘어나는 한 쌍의 좌벨트(67) 및 우벨트(68)와, 좌부(62)의 좌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와, 가랑이 벨트(21)의 상단에 부착되어 이들 벨트(67, 68)와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클 요소(70)를 갖는다.The
전방으로 등을 돌리고 후방의 좌석 본체(61)를 향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좌벨트(67)는,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에서 인출되어 하방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이 좌부(62) 또는 좌석 베이스(64)의 좌측부와 접속한다. 좌벨트(67)의 상하 방향 중앙 영역의 1점에는 버클 요소(70)와 연결 및 벗겨냄 가능한 잠그개(留具)가 마련된다. 유소아를 좌석 본체(61)에 착좌시키고 이러한 잠그개를 버클 요소(70)에 삽입하면, 좌벨트(67)는 버클 요소(70)를 통하여 유소아의 복부 부근에서 가랑이 벨트(21)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좌벨트(67)는,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상측(어깨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오른쪽 어깨부(右肩部)를 구속하고,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하측(허리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오른쪽 허리부(右腰部)를 구속한다.The left belt 67 located on the left side toward the front and turning the back toward the seat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등을 돌리고 후방의 좌석 본체(61)를 향하여 우측에 위치하는 우벨트(68)도, 등받이부(63)의 등받이면에서 인출되어 하방으로 늘어나고, 그 하단이 좌부(62) 또는 좌석 베이스(64)의 우측부와 접속한다. 우벨트(68)의 상하 방향 중앙 영역의 1점에는 버클 요소(70)와 연결 및 벗겨냄 가능한 잠그개가 마련된다. 유소아를 좌석 본체(61)에 착좌시키고 이러한 잠그개를 버클 요소(70)에 삽입하면, 우벨트(68)는 버클 요소(70)를 통하여 유소아의 복부 부근에서 가랑이 벨트(21)와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우벨트(68)는,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상측(어깨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왼쪽 어깨부를 구속하고, 이러한 연결 개소보다도 하측(허리 벨트 부분)에서 유소아의 왼쪽 허리부를 구속한다.Similarly, the right belt 68, which is turned to the front and located on the right side toward the rear seat
따라서 좌우 벨트(67, 68)에서의 잠그개보다도 상측의 영역은 한 쌍의 어깨 벨트를 구성하고, 잠그개보다도 하측의 영역은 한 쌍의 허리 벨트를 구성한다. 또한 도면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좌우의 벨트(67, 68)의 허리 벨트 부분이 가랑이 벨트(21)와 겹쳐져서 표시되고, 좌우의 벨트(67, 68)의 어깨 벨트 부분이 겹쳐져서 표시된다. 그리고 가랑이 벨트(21)는 유소아의 양각 대퇴(太腿)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는, 왼쪽의 어깨 벨트, 오른쪽의 어깨 벨트, 왼쪽의 허리 벨트, 오른쪽의 허리 벨트, 및 가랑이 벨트(21)로 5점 구속된다.Therefore, the region above the fastener in the left and right belts 67 and 68 constitutes a pair of shoulder belts, and the region below the fastener constitutes a pair of waist belts.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the trouble of drawing, the waist belt part of the left and right belts 67 and 68 overlaps with the
좌벨트(67)의 상단부 및 우벨트(68)의 상단부는, 등받이부(63)에 마련된 좌우 한 쌍의 관통구멍(25)를 관통하고, 등받이부(63)의 이면측에서 공통되는 조정 벨트(23)의 상단과 접속한다. 조정 벨트(23)는, 좌석 본체(61)의 좌우 방향 중앙에서, 등받이부(63)의 이면에 따라 늘어나고, 또한 좌부(62)와 좌석 베이스(64)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하단이 좌석 베이스(64)의 전단보다도 전방으로 인출된다. 조정 벨트(23)의 인출 길이를 조정함에 의해, 좌우 벨트(67, 68)의 팽팽함을 알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벨트(23)는, 좌석 베이스(64)와의 로크 기구(42)에 의해 통상에서는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소아의 착좌중에 좌우 벨트(67, 68)가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The upper end of the left belt 67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belt 68 pass through a pair of left and right through
좌석 베이스(64)는, 좌부(62)의 아래에 위치하는 저벽부(64c)와, 저벽부(64c)의 좌우 단부에서 상방에 일어나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64a, 6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측벽부(64a, 64b)의 사이에 좌부(62) 및 등받이부(63)를 지지한다.Th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좌석을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에 적용하는 경우, 저벽부(64c)의 하면측에 원형형상의 대좌를 형성하고, 이 대좌를 베이스부재로 지지한다.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부재는, 좌석 베이스 저벽부(64c)의 원형 대좌를 받아들이는 기부 및 기부의 후단에서 일어나는 후벽부를 갖기 때문에, 좌우 방향 외측에서 보아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석 베이스(64)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좌석 본체(61) 및 좌석 베이스(64)는 연직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는 차량용 좌석에 실려진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ea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n automobile child seat, a circular pedestal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베이스부재에는, 도시하지 않은 어린이 시트용 벨트 고정구가 마련된다. 차량의 시트 벨트를 베이스부재에 건너지르고, 어린이 시트용 벨트 고정구로 차량의 시트 벨트를 끼워 넣어서 고정함에 의해,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는 차량용 좌석에 부착 고정된다.The base member is provided with a belt fastener for a child seat (not shown). The child seat for a vehicle is attached and fixed to a vehicle seat by crossing the vehicle seat belt over the base member and inserting and fixing the seat belt of the vehicle with the child seat belt fastener.
가랑이 벨트(21)는, 중앙 부분 및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랑이 벨트(21)는, 좌부(62)의 중앙부에 마련된 관통구멍(62h)을 관통하고, 좌부(62)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중앙 부분이 버클 요소(70)에 접속되고, 중앙 부분의 하측에서 연속하는 분기 부분이 좌부(62)보다도 하방에서 분기되어 좌우로 늘어난다. 분기 부분 중 마주보아 좌측으로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의 분기 벨트(21a)는, 그 선단부가 좌측 벽부(64a)에 연결된다. 또한, 분기부분 중 마주보아 우측으로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21)의 분기 벨트(21b)는, 그 선단부가 우측 벽부(64b)에 연결된다.The
특히 본 실시예의 가랑이 벨트(21)는, 상단에서 버클 요소(70)를 가지며, 버클 요소(70)로부터 분기 벨트(21a, 21b)가 2갈래로 분기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분기 벨트(21a, 21b)의 상단측이 서로 봉착(縫着)되어, 분리 불능한 소정 길이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슬리브 등의 소정 길이의 통형상 부재에 통과되어 서로 통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슬리브는 좌부(62)에 지지되고, 좌부(62)보다도 하방으로 용이하게 빠지는 일이 없다.In particular,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랑이 벨트의 구성 요소인 분기 벨트(21a)의 선단부 및 분기 벨트(21b)의 선단부는, 이들 측벽부(64a, 64b)의 상하 방향 중앙 영역과 각각 접속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가랑이 벨트(21)의 좌우단을 측벽부(64a, 64b)의 하단부에 각각 접속하여도 좋다. 조정 벨트(23)는, 가랑이 벨트(21)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분기 벨트(21a, 21b)가 조정 벨트(23)보다도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지만, 분기 벨트(21a, 21b)의 높이는 변화한 것이고, 조정 벨트(23)가 가랑이 벨트(21)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는 다름없다고 이해되고 싶다.As shown in FIG.2 and FIG.3, the front end part of the
좌부를 상하 방향에 이동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랑이 벨트(21)가 좌부(62)를 관통하고, 좌부(62)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단에서 좌우 벨트(67, 68)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좌부(62)보다도 하방에서 분기되어 좌우로 늘어나고, 마주보아 좌측의 분기 벨트(21a)의 선단부가 좌측 벽부(64a)와 연결하고, 마주보아 우측의 분기 벨트(21b)의 선단부가 우측 벽부(64b)와 접속한다. 따라서 조정 벨트(23)를 좌부(62)보다도 하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통하여도, 조정 벨트(23)가 가랑이 벨트(21)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조정 벨트(23)를 우회시키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좌석 베이스(64)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서, 조정 벨트(23)와 가랑이 벨트(2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rotch belt in the case of moving-adjusting a seat part up and down direc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좌부(62)가 상방으로 이동 조절되면 가랑이 벨트(21)의 상단부도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좌부(62)가 하방으로 이동 조절되면 가랑이 벨트(21)의 상단부도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좌부(6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분기 벨트(21a, 21b)를 하방에 압하하기 때문에, 가랑이 벨트(21)가 좌부(62)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을 비교하여, 좌부(62)의 상하 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좌부(62)의 좌면으로부터 돌출한 가랑이 벨트(21)의 돌출 높이가 그다지 변하지 않는다. 이 결과, 좌부(62)를 상방 위치에 조절하는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작아져서 구속 벨트(66)가 유소아의 골반을 구속하기 어렵다는 종래의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부(62)를 하방 위치에 조절하는 경우에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커져서 유소아의 골반을 구속하기 어렵다는 종래의 부적합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랑이 벨트(21)가 분기 벨트(21a, 21b)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랑이 벨트(21)의 하단부에 충격 하중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하고, 안전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was shown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present invention or within an equivalent rang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 발명이 되는 좌석 구조는,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유모차, 실내용 육아 의자 및 베드 등의 육아 기구에 있어서 유리하게 이용된다.The sea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ly used in child care devices such as child seats for automobiles, baby strollers, indoor child care chairs, and beds.
21 : 가랑이 벨트
23 : 조정 벨트
51 : 어린이 시트
61 : 시트 본체
62 : 좌부
63 : 등받이부
64 : 좌석 베이스
64a : 좌측 벽부
64b : 우측 벽부
66 : 구속 벨트
67 : 좌벨트(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
68 : 우벨트(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
70 : 버클 요소21: Crotch Belt
23: adjustment belt
51: children seat
61: seat body
62: left
63: backrest
64: seat base
64a: left wall
64b: right wall
66: restraint belt
67 left belt (shoulder belt and waist belt)
68: belt (shoulder belt and waist belt)
70: buckle element
Claims (6)
상기 좌석 본체를 지지하는 좌석 베이스와,
상기 좌석 본체에 착좌한 유소아의 신체를 구속하는 구속 벨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속 벨트 장치는, 상기 좌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늘어나는 가랑이 벨트와, 상기 가랑이 벨트의 상단에 부착된 버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 벨트는, 상기 버클 요소에 접속되는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에서 좌우로 분기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좌석 베이스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A seat body having a seat and a back;
A seat base supporting the seat body,
A restraint belt device that restrains the body of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 body,
The restraint belt device includes a crotch belt extending through the sea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a buckle element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crotch belt,
The crotch belt comprises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buckle element, and a pair of branching portions branching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tip portion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base. Seat structure.
상기 좌석 베이스는, 상기 좌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의 좌우 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어나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선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seat base includes a bottom wall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seat portion,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ttom wall portion,
A front end portion of the pair of branch portions of the crotch belt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상기 구속 벨트 장치는, 상기 버클 요소에 벗겨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어깨 벨트의 팽팽함을 조정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배면 및 상기 좌부의 이면에 따라 늘어나 상기 좌부의 전방 영역까지 이끌어지는 조정 벨트와, 상기 좌부의 전방 영역에서 상기 조정 벨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벨트는, 상기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의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restraint belt device includes a pair of shoulder belt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uckle elemen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houlder belt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houlder belt, and the other end of the back of the backrest portion. And a locking belt extending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and leading to the front region of the seat, and a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elt in the front region of the seat,
And said adjusting belt passes between a pair of branch portions of said crotch belt.
상기 등받이부는, 후경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후경 동작에 응하여 좌면 높이가 높아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부의 높이의 변화에 관계없이 좌부의 좌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랑이 벨트의 돌출 높이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가랑이 벨트의 한 쌍의 분기 부분은, 상기 좌부의 이면에 접촉하여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rest part is provided to be rearviewable,
The seat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seat surface height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rear view motion of the backrest portion,
The pair of branch portions of the crotch belt extend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so that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crotch belt projecting upward from the seat surface of the seat is substantially constant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seat. Seat structure of child care appliance made with.
상기 등받이부는 거의 수평의 위치까지 후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t structure of the child car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can be rearviewed 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64201 | 2010-07-21 | ||
JP2010164201A JP5584035B2 (en) | 2010-07-21 | 2010-07-21 | Child care equipment seat structure and car child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102A true KR20120010102A (en) | 2012-02-02 |
Family
ID=4554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4047A KR20120010102A (en) | 2010-07-21 | 2011-04-13 | A seat structure of a nursery appliance and child seat for a vehicl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584035B2 (en) |
KR (1) | KR20120010102A (en) |
CN (1) | CN102343845A (en) |
TW (1) | TW20121086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61103A4 (en) * | 2021-01-29 | 2024-07-03 | Goodbaby Group Corp | Child seat device and child produc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17877B2 (en) * | 2018-11-06 | 2023-02-06 | コンビ株式会社 | Bicycle child seats and bicycles |
CN114684059B (en) * | 2020-12-25 | 2024-04-16 |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 Safety belt adjusting mechanism and safety seat using same |
CN215322822U (en) * | 2021-01-29 | 2021-12-28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Child seat device and child articl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88002B2 (en) * | 1997-01-08 | 2002-06-04 |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 Automotive child safety seats |
CN1282298A (en) * | 1997-12-16 | 2001-01-31 | 麦格纳内部系统公司 | Child restraint seat safety belt assembly |
JPH11198694A (en) * | 1998-01-12 | 1999-07-27 | Takata Kk | Child seat |
AUPQ387299A0 (en) * | 1999-11-05 | 1999-12-02 | Igc (Australia) Pty Ltd | Improved child restraints |
JP4348417B2 (en) * | 2002-07-08 | 2009-10-21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 Child seat for car |
WO2009088329A1 (en) * | 2008-01-09 | 2009-07-16 | Autoliv Development Ab | A booster cushion |
-
2010
- 2010-07-21 JP JP2010164201A patent/JP5584035B2/en active Active
-
2011
- 2011-04-13 KR KR1020110034047A patent/KR2012001010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7-15 CN CN2011102101802A patent/CN102343845A/en active Pending
- 2011-07-19 TW TW100125406A patent/TW201210860A/en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61103A4 (en) * | 2021-01-29 | 2024-07-03 | Goodbaby Group Corp | Child seat device and child produ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025229A (en) | 2012-02-09 |
CN102343845A (en) | 2012-02-08 |
TW201210860A (en) | 2012-03-16 |
JP5584035B2 (en) | 2014-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82165B2 (en) | Reboard system | |
US9579996B2 (en) | Infant holder for vehicle seat | |
JP2008272212A (en) | Bed for infant | |
KR950031646A (en) | Direct acting headrest | |
KR20120010102A (en) | A seat structure of a nursery appliance and child seat for a vehicle | |
KR102208169B1 (en) | Seat for vehicle | |
EP2599660A1 (en) | Vehicle sea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child seat | |
JP6676320B2 (en) | child seat | |
EP1799497A2 (en) | Child seat | |
US20090014619A1 (en) |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 |
JP2021070344A (en) | Childcare appliance for child | |
JP4421585B2 (en) | Seat seating assist device | |
JP7001339B2 (en) | Seat mats for childcare equipment | |
WO2022160403A1 (en) | Restraint system for child product, child product and child car safety seat | |
JP4523463B2 (en) | Childcare equipment with seat belt | |
KR102721702B1 (en) | Child safety seat | |
CN106458063A (en) | Restraining element | |
JP7573451B2 (en) | Childcare equipment | |
JP7440249B2 (en) | Inner seat for infant seating device | |
CN112297970B (en) | Child care implement for children | |
US9718380B2 (en) | Vehicle seat assembly accommodating a rear facing child seat | |
JP5495610B2 (en) | Childcare chair | |
KR101554561B1 (en) | Portable Car Seat | |
JP2022106688A (en) | Shoulder belt assembly and baby carriage | |
KR20240157601A (en) | Child safety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