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999U -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 Google Patents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999U
KR20120008999U KR2020110005623U KR20110005623U KR20120008999U KR 20120008999 U KR20120008999 U KR 20120008999U KR 2020110005623 U KR2020110005623 U KR 2020110005623U KR 20110005623 U KR20110005623 U KR 20110005623U KR 20120008999 U KR20120008999 U KR 20120008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gnet
edge
typ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828Y1 (ko
Inventor
안준범
최소영
Original Assignee
안준범
최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범, 최소영 filed Critical 안준범
Priority to KR2020110005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2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블록형 바디; 상기 블록형 바디의 에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에지케이스; 및 상기 에지케이스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에지케이스의 각도 변화시 중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형 바디의 에지케이스의 중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석이 또 다른 형상을 가지는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블록형 바디의 자석과 결합시 에지케이스의 각도 변화와 자석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 자력 결합이 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자력 결합되어 상기 바디들이 다양한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도록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형 자석놀이완구{A block type magnetic toy}
본 고안은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면체 또는 다면체 등과 같은 입체 형상의 바디를 이루는 블록에 있어서 자석이 블록의 에지(Edge) 부분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블록과 다른 블록의 면간(面間) 자력 결합시 자유로운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자석을 이용한 자석놀이완구의 다양한 조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형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구성부재들을 조립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삼차원적 입체물을 구축하는 조립식 완구에 있어서, 그 단위 부재들 간의 조립 및 조립 후 형태 안정성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는 단위 부재 자체의 일부에 암, 수 형상을 형성하여 암, 수 결합을 통한 부재들 간의 직접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워 맞춤 방식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 끼워 맞춤 방식은 조립시 단위 부재들의 암, 수 결합부 위치를 일치시켜서 일정한 힘 이상으로 가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단위 조립 부재 상에 영구자석을 장착 또는 매입하여 단지 단위 부재를 가까이 위치시키기만 해도 자력을 통한 단위 부재들 간의 손쉬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력결합 방식이 자석의 특성과 품질 향상에 더불어 최근에 그 적용범위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자력을 이용한 블록형 조립식 완구는, 일반적으로 형상이 육면체 또는 다면체 등의 입체형 바디를 이루며 바디의 프레임에는 내부에 고정 장착되거나 매입되는 자석에 의해 다른 입체형 바디가 상호간 자력 결합된다.
도 1은 종래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는, 형상이 육면체 또는 다면체 등 입체형을 이루는 블록형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에지 또는 프레임의 내부 또는 장착홈에 장착되거나 매입되는 자석(20)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하나의 블록형 바디(10) 프레임에 구비된 자석(20)과 또 다른 블록형 바디(10-1)의 자석(20-1)의 자력 결합을 통하여 상기 블록형 자석놀이완구가 입체 구조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는, 단순히 자석(20)이 바디(10)의 프레임의 내부 또는 장착홈에 고정된 위치를 가지며 구비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입체 구조 형상을 가지는 블록형 바디(10)들끼리 상호간 자력 결합하는 경우에는 자석(20)들의 고정위치가 상호간 대응되기 때문에 큰 불편함 없이 자력 결합이 가능하지만, 다양한 입체 구조를 가지는 블록형 바디(10)들을 상호간 자력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석(20)들의 고정위치가 각각 달라 자석(20)들의 고정위치가 상호간 대응되지 않기 때문에 상호간 인력에 의해 원하는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기 어려워 조립 형상의 다양한 변화를 제공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원하는 입체 구조물을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록형 바디의 에지 부분을 따라 자석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 다른 형상의 블록끼리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는 블록끼리의 면간(面間) 자력 결합시 자유로운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블록형 바디; 상기 블록형 바디의 에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에지케이스; 및 상기 에지케이스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에지케이스의 각도 변화시 중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형 바디의 에지케이스의 중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석이 또 다른 형상을 가지는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블록형 바디의 자석과 결합시 에지케이스의 각도 변화와 자석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 자력 결합이 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자력 결합되어 상기 바디들이 다양한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도록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형 바디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에지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에지케이스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에지프레임; 및 상기 에지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각 면과 모서리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며 각 면에 결합되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석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일정부위 부착되는 자력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차단부재는, 상기 외주연에 대하여 1/2 이상의 원주를 가지거나 또는 일정한 원주를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석은, 하나의 몸체에 복수개의 N극과 S극을 가지는 다극착자(多極着磁)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블록형 바디의 에지 부분을 따라 자석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형상의 블록끼리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는 블록끼리의 면간(面間) 자력 결합시 자유로운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다양한 입체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도 4는 도 2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들이 다양한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들이 다양한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자석놀이완구는, 블록형 바디(110), 상기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프레임(112)에 탈착 또는 고정 결합되는 에지케이스(120) 및 상기 에지케이스(120)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에지케이스(120)의 각도 변화시 중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자석(130)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하나의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케이스(120)의 중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석(130)이 또 다른 형상을 가지는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블록형 바디(110-1)의 자석(130-1)과 결합시 에지케이스(12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그 위치가 가변되어 바디(110,110-1)들의 접촉면적과 결합위치가 자유롭게 변화되는 자력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블록형 자석놀이완구가 다양한 형상의 입체 구조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블록형 바디(110)는, 육면체, 오면체, 피라미드 등과 같은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에지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된 에지케이스(120)의 탈착 또는 고정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에지프레임(112) 및 상기 에지프레임(112)에 의해 형성된 각 면과 모서리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며 탈착 또는 고정 결합되는 패널(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형 바디(110)는, 경량화를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고, 사출 성형 등과 같은 성형 방식에 의해 해당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에지프레임(112)을 가지는 몸체(111)의 내부 공간에 다수개의 보강용 격벽과 모서리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개구된 상태의 상하면을 제외한 부분에는 각 패널(113)에 대응되는 판넬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상태의 상하면에는 개구부위를 커버하는 커버용 패널이 해당 부위에 탈착 또는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용 패널과 개구된 상태의 상하면에는 상호간 탈착 또는 고정 결합을 위한 결합용 결착구와 결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지프레임(112)과 모서리 부위에는 에지케이스(120)와 패널(113)이 끼움 결합 등과 방식에 의해 탈착 또는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체결홈이나 체결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지케이스(120)는, 상기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프레임(112)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가지며, 상기 에지프레임(112)과의 접촉 부위에는 에지프레임(112)의 체결홈이나 체결공 등에 대응되는 체결블록이나 체결구 등이 형성되어 탈착 또는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에지케이스(110)는, 경량화를 위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고, 사출 성형 등과 같은 성형 방식에 의해 해당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형 바디(110)와 에지케이스(120)는 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한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별도의 색상부재나 장식부재를 더 구비하여 다양한 색상과 장식을 통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석(130)은, 상기 에지케이스(120)의 내부 중공에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나의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케이스(120)에 구비된 자석(130)과 또 다른 블록형 바디(110-1)의 자석(130-1)의 자석 결합시 상기 바디(110,110-1)들이 다양한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외주연에 상기 외주연에 대하여 1/2 이상의 원주를 가지거나 또는 일정한 원주를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반대방향으로 자력이 강하게 발산되도록 하는 자력차단부재(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석(130)은, 하나의 몸체(131)에 복수개의 N극과 S극을 가지는 다극착자(多極着磁)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종래에서와 같이 상기 에지케이스(120)에 자석(130)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같은 극성의 접근시 자석(130)이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회전함을 통하여 자력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지 않아도 되어 자석(130)의 구비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석(130)은, 막대 형상의 다면체를 가지는 몸체(131)에 복수개의 N극과 S극이 비스듬하게(Skew) 착자되거나, 또는, 상기 자석(130)의 길이를 등간격으로 구분하여 복수개의 N극과 S극이 순차적으로 착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자석(130)에 의하면, 몸체(131)의 외주연에 1/2 정도 또는 부분적으로 일정한 원주를 가지는 자력차단부재(133)가 부착됨으로써, 자력차단부재(133)의 대향부위로 강한 자력이 발산되도록 하여 얇고 작은 크기의 자석을 사용 가능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차단부재(133)가 몸체(131)의 외주연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어느 한 부착부위에 자력차단부재(133)가 위치되는 경우 그 부착부위에 대향되는 부위에는 자력차단부재(133)가 부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형 바디(110,110-1)들이 상호간 서로 다른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는 경우 해당 에지케이스(120)에 위치된 자석(130,130-1)들이 인력에 의해 중공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블록형 바디(110,110-1)들이 다양한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질 수 있어 원하는 입체 구조물의 조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지케이스(120)의 내부 중공은 그 단면적이 자석(130)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자석(130)의 슬라이딩 이동 및 착자의 형성에 따른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육면체, 오면체, 피라미드 등과 같은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에지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된 에지케이스(120)의 탈착 또는 고정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에지프레임(112) 및 상기 에지프레임(112)에 의해 형성된 각 면과 모서리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며 탈착 또는 고정 결합되는 패널(113)을 포함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하나의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케이스(120)에 구비된 자석(130)과 또 다른 블록형 바디(110-1)의 자석(130-1)의 상호간 자력 결합은, 상기 블록형 바디(110,110-1)들의 형상이 다양하거나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고자 하는 경우, 상호간 접촉되는 해당 에지프레임(120)에 구비된 자석(130,130-1)들이 상호간 인력에 의해 에지프레임(120)의 내부 중공을 슬라이딩하게 되어 해당 위치 즉, 상호간 자력 결합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블록형 자석놀이완구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입체 구조물로 조립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블록형 바디(110)에 오면체 형상의 블록형 바디(110-1)가 전면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접촉 또는 직교 접촉되는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호간 접촉되는 에지프레임(120)에 구비된 자석(130,130-1)들이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 자력 결합이 가능한 위치로 중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블록형 바디(110,110-1)들의 자력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블록형 바디의 에지 부분에 자석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에지 부분에 자석이 이동되는 구성은 패널형 바디 또는 공지의 연결봉의 에지 부분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에 의하면, 블록형 바디의 에지 부분을 따라 자석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형상의 블록끼리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 다른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는 블록끼리의 면간(面間) 자력 결합시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입체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바디 120 : 에지케이스
130 : 자석

Claims (5)

  1. 블록형 바디(110);
    상기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프레임(112)에 결합되는 에지케이스(120); 및
    상기 에지케이스(120)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어 에지케이스(120)의 각도 변화시 중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자석(130)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형 바디(110)의 에지케이스(120)의 중공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석(130)이 또 다른 형상을 가지는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블록형 바디(110-1)의 자석(130-1)과 결합시 에지케이스(120)의 각도 변화와 자석(130,130-1)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 자력 결합이 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자력 결합되어 상기 바디(110,110-1)들이 다양한 접촉면적과 결합위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바디(110)는,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111);
    상기 몸체(111)의 에지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에지케이스(12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에지프레임(112); 및
    상기 에지프레임(112)에 의해 형성된 각 면과 모서리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며 각 면에 결합되는 패널(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30)은,
    원통형상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외주연에 일정부위 부착되는 자력차단부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차단부재(133)는,
    상기 외주연에 대하여 1/2 이상의 원주를 가지거나 또는 일정한 원주를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30)은,
    하나의 몸체(131)에 복수개의 N극과 S극을 가지는 다극착자(多極着磁)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20110005623U 2011-06-21 2011-06-21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23U KR200468828Y1 (ko) 2011-06-21 2011-06-21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23U KR200468828Y1 (ko) 2011-06-21 2011-06-21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99U true KR20120008999U (ko) 2012-12-31
KR200468828Y1 KR200468828Y1 (ko) 2013-09-06

Family

ID=5139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623U KR200468828Y1 (ko) 2011-06-21 2011-06-21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59Y1 (ko) * 2015-12-10 2017-05-18 문성원 자석블럭완구에 사용되는 조립패널
KR101883287B1 (ko) * 2018-06-28 2018-07-30 (주)신흥이앤지 큐브 적층 구조의 어린이 놀이 시설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830B1 (ko) 2017-09-07 2019-08-13 채홍우 자석 블록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484Y1 (ko) 2005-06-10 2005-08-31 (주)마그넷포유 자석이 결합된 다면체 블록 완구
KR100641366B1 (ko) 2005-08-05 2006-11-02 (주)마그넷포유 자력차단판이 결합된 자석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59Y1 (ko) * 2015-12-10 2017-05-18 문성원 자석블럭완구에 사용되는 조립패널
KR101883287B1 (ko) * 2018-06-28 2018-07-30 (주)신흥이앤지 큐브 적층 구조의 어린이 놀이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28Y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493B2 (en) Magnetic building block
EP3535037B1 (en) A magnetic toy block
KR101240866B1 (ko) 유아용 블록완구
RU2759463C1 (ru) Магнитный блок
KR200468828Y1 (ko)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101245060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200468826Y1 (ko)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3Y1 (ko)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US11331590B2 (en) Building block
KR101611788B1 (ko) 레일 블록 완구
KR20170028805A (ko)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JP2019025275A (ja) 組立用ブロック体とその使用方法
KR200250911Y1 (ko)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블록 조립체
WO2018157223A1 (en) Magnetic toy building block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168139B1 (ko)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JP3213213U (ja) 組立用ブロック体
KR200377822Y1 (ko)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KR20100135125A (ko) 자석 블록완구
KR200483048Y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블록완구의 입체 블록
CN207412746U (zh) 一种玩具方块组件
WO2017152483A1 (zh) 旋转磁力拼装块
KR20130014830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0963388B1 (ko)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WO2017126983A2 (en) A multidimensional building blocks and assembl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