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870U - Apparatus for Fixing Pe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870U
KR20120008870U KR2020110005415U KR20110005415U KR20120008870U KR 20120008870 U KR20120008870 U KR 20120008870U KR 2020110005415 U KR2020110005415 U KR 2020110005415U KR 20110005415 U KR20110005415 U KR 20110005415U KR 20120008870 U KR20120008870 U KR 201200088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ring
writing instrument
writing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4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연식
Original Assignee
임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식 filed Critical 임연식
Priority to KR2020110005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870U/en
Publication of KR20120008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7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각종 필기구를 스프링 노트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하여, 노트와 필기구를 일체로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는 필기구의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에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필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 내측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필기구를 수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 원통 형상을 따라 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띠, 일단이 상기 고정띠와 제1회동핀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2회동핀을 통해 제1 및 제2체결링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 및, 각각 반원 형상을 갖고 각 종단에 잠금 돌기와 잠금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종단 양측에서 제2회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체결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ting device for fixing a writing instrument that is not attached to the fixing clip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ring not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the notebook and the writing instrument integrall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xing a writing instrument that does not have a fixing clip attached to the spring portion of the spring note,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spring portion of the spring not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for storing the writing instrument. An accommodating part having a cylindrical tubular shape having a fixing part, and a fixing band fixedly attached along an upper cylindrical shape of the accommodating part, one end of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band and the first pivot pi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through the pivot pin, and each has a semicircle shape, and locking projections and locking grooves are formed at each end thereof, so that second pivot pi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 which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Description

필기구의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Pen}Apparatus for Fixing Pen}

본 고안은 볼펜이나 연필 등과 같이 고정용 클립(Clip)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필기구를 스프링 노트에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device for fixing the removable writing instruments such as a ballpoint pen or pencil (Clip) is not attached to the spring note.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종이가 개발된 역사만큼이나 오랜 세월부터 존재해 왔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른 신소재의 개발 및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어 필기 성능의 향상 및 내구성을 갖추기 위한 지속적인 개발 노력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In general, writing instruments have existed for as long as the history of paper,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user's ease of us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the continuous development to improve writ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Efforts have been going on.

또한, 최근에는 필기나 도안 등에 사용되는 종이를 다수 장수의 묶음으로 제작한 노트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필기 또는 도안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트의 일측 가장 자리를 일정 간격으로 펀칭하고, 각 펀칭 구멍에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갖는 스프링을 끼워 넣은 소위 "스프링 노트"(이하 스프링 노트라 칭함)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form of a note made of a bundle of a number of sheets of paper used for writing or drawing has been developed and used, and punching one edge of the note at regular intervals to make writing or drawing work easier, The so-called "spring not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ring notes) in which springs having a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plastic are inserted into each punching hole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한편, 이러한 스프링 노트는 노트를 지지하는 스프링의 내측 공간이 충분하여, 고정용 클립이 부착된 필기구를 해당 스프링의 내측 공간에 수납한 상태에서 고정용 클립을 스프링의 나선 방향에 대해 종 방향으로 끼워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필기구를 별도의 필통에 보관해야 하거나, 셔츠 주머니 등에 고정용 클립을 이용하여 꽂아놓지 않아도 노트와 일체로 휴대하고 다니며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spring note has a sufficient inner space of the spring for supporting the note, by inserting the fixing cl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piral direction of the spring in a state in which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fixing clip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pring. Since it is possible to fix it, the user does not have to store the writing instrument in a separate pencil case, or can carry it with the notebook and carry it conveniently without using the clip for fixing it to a shirt pocket or the like.

그러나,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는 필기구의 경우에는 해당 고정용 클립을 통해 스프링 노트에 고정시켜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자들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연필이나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는 스프링 노트에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필기구의 분실 또는 파손의 가능성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fixing clip attached thereto, it is possible to carry it by fixing it to a spring note through the fixing clip, but users usually use a pencil or a ballpoint pen which does not have a fixing clip attached thereto. Since the writing instrument is not easily attached to the spring no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riting instrument may be lost or damaged due to user's carelessness.

이를 위해, 현재는 고정용 클립을 부착하고 있지 않은 필기구를 스프링 노트에 탈착이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고정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To this e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kthrough fixing device that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 writing instrument that is not currently attached with a fixing clip to the spring not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각종 필기구를 스프링 노트에 탈착이 가능하게 부착하여, 노트와 필기구를 일체로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는 필기구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attach the removable writing to the spring note that is not attached to the fixing clip, easy to carry the notebook and writing instruments integrally It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에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필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 내측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필기구를 수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 원통 형상을 따라 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띠, 일단이 상기 고정띠와 제1회동핀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2회동핀을 통해 제1 및 제2체결링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 및, 각각 반원 형상을 갖고 각 종단에 잠금 돌기와 잠금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종단 양측에서 제2회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체결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evice for fixing a writing instrument that is not attached to the fixing clip in the spring portion of the spring note, it is possible to insert in the inner space of the spring portion of the spring note, An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accommodating a writing instrument, a fixing band fixedly attached along the upper cylindrical shap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one end thereof can be rotated through the fixing band and the first pivot pin.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through the second pivoting pin, and each of which has a semicircular shape and a locking protrusion and a locking groove are formed at each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Fixed chapter of the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fastening ring which is rotatably coupled via a second pivoting pin at both ends of the end. To provid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에 고정 장치의 체결부가 체결되어 필기구를 삽입하여 보관하는 수납부가 스프링부의 길이 방향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수납부에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연필이나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를 수납하여 해당 스프링 노트와 일체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의 고정 장치를 스프링 노트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고정용 클립이 없는 어떠한 필기구라도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하여 사용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of the fixing device is fastened to the spring part of the spring note so that the accommodating part for storing and inserting the writing instrumen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inner space of the spring part, By storing writing instruments such as pencils or ballpoint pens that do not have clips attached, they can be carried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spring notes, so that a simple structure fixing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spring notes to remove any writing instruments without fixing clip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and use as much as possible.

또한, 고정 장치가 체결부를 통해서 스프링 노트에 착탈이 가능한 별도의 장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스프링 노트에 교체적으로 적용하여 필기구의 일체형 수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device has a separate device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spring note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it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integrally store the writing instrument by applying it to a spring note of a desired ty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고정 장치가 스프링 노트에 적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고정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고정 장치에 적용된 체결부가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에 체결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필기구의 고정 장치를 통해 고정용 클립이 없는 필기구가 스프링 노트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pring note,
2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a fix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portion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of 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spring portion of the spring not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riting instrument without a fixing clip is detachably stored in a spring note through a fixing device of 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고정 장치가 스프링 노트에 적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pring no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고정 장치는 스프링 노트(10)의 스프링부(20) 내측 공간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 형상의 필기구 수납부(30)가 삽입되고, 상기 수납부(30)의 상부에 설치된 체결부(40)가 상기 스프링부(20)의 나선 형상에 끼워져서 해당 수납부(30)가 스프링부(20)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fixing device of the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tubular writing instrument accommodating portion 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spring portion 20 of the spring note 10. The fastening part 4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fitted to the spiral shape of the spring part 20 to fix the accommodating part 3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spring part 20. Perform.

상기 수납부(20)의 내부는 일정 규격의 필기구가 충분히 수납되도록 필기구의 규격에 맞는 내부 치수를 갖는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20)의 내부에 필기구(50)가 수납되어 보관된다.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penetra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having an internal dimension that meets the standard of the writing instrument so that a writing instrument of a predetermined standard is sufficiently received, the writing instrument 50 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 Is stored and stored.

상기 고정 장치의 수납부(20) 내부에 필기구(50)가 수납되면, 상기 필기구(50)는 해당 고정 장치에 의해 스프링 노트(10)와 일체로 휴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riting instrument 5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20 of the fixing device, the writing instrument 50 can be integrally carried with the spring note 10 by the fixing device.

다음에,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고정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Nex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fix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0)의 내부 격벽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1 및 제2그립부(32a,32b)가 고정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그립부(32a,32b)는 해당 수납부(30) 내부에 수납되는 필기구(50)의 외피에 적정한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노트(10)가 외력에 의해 충격이 가해져도 상기 필기구(50)가 해당 수납부(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grip parts 32a and 32b are fixedly protruded from the inner partition walls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The grip portions 32a and 32b provide an appropriate friction force to the outer shell of the writing instrument 50 stored inside the storage unit 30,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50 may be impacted by an external force. The separation from the storage part 30 is prevented.

상기 제1 및 제2그립부(32a,32b)는 필기구(50)의 삽입시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적정한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재질로서 고무 또는 연질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32a and 32b may be made of rubber, soft silicone, or the like as a material capable of applying an appropriate friction force without disturbing the inser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50.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필기구(50)가 수납부(30) 내부에서 수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립부를 2개로 한정하여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해당 그립부를 적어도 3개 이상 구비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ting instrument 5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storage state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30, and illustrated by limiting two grip parts, but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three grip part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s above.

여기서, 상기 수납부(30)는 상기 필기구(50)가 내부에서 수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그립부(32a,32b)를 구비하고 있도록 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해당 수납부(30) 자체를 고무 또는 연질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고, 그 수납부(3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수납 공간의 내부 폭이 좁아지도록 설계하여 별도의 그립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필기구(50)가 수납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Here, the storage unit 30 is provided with separate grip parts 32a and 32b in order to maintain the storage state in the writing instrument 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housing 30 itself is formed of a rubber or soft silicone material, and the inner width of the storage space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0 so that the writing instrument itself does not have to have a separate grip memb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50 to be housed so that it can remain fixed.

또한, 상기 수납부(30)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 노트(10)의 스프링부(20)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4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부(40)에는 해당 수납부(30)의 상부 원통 형상을 따라 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띠(42)와, 일단이 상기 고정띠(42)와 제1회동핀(45a)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이 제2회동핀(45b)을 통해 제1 및 제2체결링(46,48)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44), 상기 연결 부재(44)의 종단 양측에서 제2회동핀(45b)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각각 반원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체결링(46,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40 that can be fastened with the spring part 20 of the spring note 10, the fastening part 40,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ng part 30 A fixing band 42 fixedly attached along the upper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is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band 42 and the first pivot pin 45a,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otated secondly. The connecting member 44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46 and 48 through the pin 45b, and the second rotating pin 45b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4.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46 and 48 are rotatably coupled and have semi-circular shapes, respectively.

상기 체결부(40)를 구성하는 고정띠(42)와, 연결 부재(44), 제1 및 제2회동핀(45a,45b), 제1 및 제2체결링(46,48)은, 상기 수납부(30)와 스프링 노트(10)의 스프링부(20)와의 체결시 견고성을 고려하여 메탈, 알루미늄, 알루미늄이 코팅된 강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band 42 constituting the fastening part 40, the connecting member 44, the first and second pivot pins 45a and 45b,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46 and 48 are the above-mentioned. In consideration of the firmness when fasten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30 and the spring portion 20 of the spring note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aluminum, aluminum coated reinforced synthetic resin.

한편, 상기 제1 및 제2체결링(46,48)의 각 반원 형상의 종단에는 각각 잠금 돌기(46a)와 잠금 홈(48a)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동핀(45b)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44) 상에서 각기 회동하여 각 체결링(46,48)의 종단이 만나게 되면, 상기 잠금 돌기(46a)가 상기 잠금 홈(48a)에 끼워져서 상호 잠기에 됨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20)에 해당 고정 장치의 수납부(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t each end of the semi-circular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46 and 48, a locking projection 46a and a locking groove 48a are form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When the end of each of the fastening rings 46 and 48 meets by rotating on the connecting member 44 by the 45b, the locking projection 46a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48a to be mutually locked. The accommodating part 30 of the fixing device may be fixed to the spring part 20.

상기 제1 및 제2회동핀(45a,45b)은 상기 연결 부재(44)와, 상기 제1 및 제2체결링(46,48)을 각각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30)를 스프링부(20)의 내측 공간에 삽입시켜서 체결시킬때 유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게 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pivot pins 45a and 45b may rotate the connecting member 44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46 and 48, respectively, the user may receive the accommodating portion 30. )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pring portion 20 to ensure the clearance distance when tightening.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30)가 상기 스프링 노트(10)의 스프링부(20) 내측 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부(40)를 통해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기구(50)를 상기 수납부(30)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해당 스프링 노트(10)에 필기구(50)를 일체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기를 진행할 필요가 있게 되면 상기 수납부(30)에 수납되어 있는 필기구(50)를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writing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pring unit 20 of the spring note 10 and fixedly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unit 40.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fix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0, and carry the writing instrument 50 integrally with the corresponding spring note 10, and when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writing, the accommodating part ( The writing instrument 50 stored in 30 can be removed and used.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ame may be varied in many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스프링 노트, 20:스프링부:
30:수납부, 40:체결부,
42:고정띠, 44:연결 부재,
45a,45b:회동핀, 46,48:체결링,
46a:잠금 돌기, 48a:잠금 홈,
50:필기구.
10: spring note, 20: spring part:
30: storing part, 40: fastening part,
42: fixing strap, 44: connecting member,
45a, 45b: Rotating pin, 46,48: Fastening ring,
46a: locking protrusion, 48a: locking groove,
50: writing utensils.

Claims (2)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에 고정용 클립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필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노트의 스프링부 내측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필기구를 수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 원통 형상을 따라 고정 부착되어 있는 고정띠;
일단이 상기 고정띠와 제1회동핀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2회동핀을 통해 제1 및 제2체결링과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 및
각각 반원 형상을 갖고 각 종단에 잠금 돌기와 잠금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종단 양측에서 제2회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체결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고정 장치.
In the device for fixing a writing instrument that does not have a fixing clip attached to the spring portion of the spring note,
An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 spring portion inner space of the spring note and has a cylindrical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accommodating the writing instrument;
A fixing band fixedly attached along an upper cylindrical shape of the receiving unit;
A connect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fixing band and the first pivot pin, and the other end pivo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through the second pivot pin; And
Each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nd a locking projection and a locking groove are formed at each end,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fastening rings that are rotatably coupled through second pivoting pins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Fixture of writing instrum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내부 격벽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그립부를 고정적으로 돌출되어 설치하거나, 해당 수납부 자체를 고무, 연질 실리콘의 마찰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필기구가 수납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고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is fixedly protrud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partition wall, or the writing instrument is accommodated by any one of forming the accommodating part itself by a friction material of rubber or soft silicone. Fix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characterized in that to maintain.
KR2020110005415U 2011-06-17 2011-06-17 Apparatus for Fixing Pen KR2012000887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415U KR20120008870U (en) 2011-06-17 2011-06-17 Apparatus for Fixing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415U KR20120008870U (en) 2011-06-17 2011-06-17 Apparatus for Fixing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70U true KR20120008870U (en) 2012-12-27

Family

ID=536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415U KR20120008870U (en) 2011-06-17 2011-06-17 Apparatus for Fixing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87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78Y1 (en) * 2013-10-31 2015-01-27 최선나 Name t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78Y1 (en) * 2013-10-31 2015-01-27 최선나 Name t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832B2 (en) Adjustable length pen holder
US9354724B2 (en)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having a deformable elastic fixing device
JP2017521290A (en) Off-axis pen for easy grip
KR20120008870U (en) Apparatus for Fixing Pen
KR200441250Y1 (en) Combination of writing implements with case
KR20120005280U (en) Note having pen-storage
US10897972B2 (en) Storage device combination for pencils, pens, and other stationery devices
KR101146256B1 (en) Multi-function ruler
KR20100000572U (en) Pen with post-it case
KR101394581B1 (en) A pen clip with a bookmark
KR200469724Y1 (en) Eraser holder and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ame
KR101370651B1 (en) Fixing Structure of Clip for Writing Instrument
KR200405138Y1 (en) Tongs Type Ball-Pen
KR200405132Y1 (en) Pen with sticky label and label tag inside
KR100865573B1 (en) Arrangement device of memo scratch paper
KR20130082231A (en) Separable identification tag
KR102654969B1 (en) Pen and adapt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ame to the wrist strap
JP2019112223A (en) Magnet sheet winding device and tool to lean it against
KR101159301B1 (en) Practice tool for letters writing
CN214355132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pen
CN216708872U (en) Compasses
KR20070017431A (en) The Pen Binding Paper
JP3153094U (en) Pen with sticky note storage case
US9511618B2 (en) Writing instrument adapted to dispense note paper
KR20110008585U (en) The pocket book that can receipt a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