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88A -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88A
KR20120008388A KR1020100069209A KR20100069209A KR20120008388A KR 20120008388 A KR20120008388 A KR 20120008388A KR 1020100069209 A KR1020100069209 A KR 1020100069209A KR 20100069209 A KR20100069209 A KR 20100069209A KR 20120008388 A KR20120008388 A KR 2012000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caching key
based cach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522B1 (ko
Inventor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기술
Priority to KR102010006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5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3Multi-dimensional databases or data warehouses, e.g. MOLAP or ROL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75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with dedicated cache, e.g. instruction or stack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CONTENT-BASED CACHING KEY}
본 발명은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이동 전화기, IPTV 수신기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가 통신망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일례로, 가장 보편화된 통신망인 인터넷에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디지털 단말 장치에 의하여 소정의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해당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문서, 사진, 동영상, 만화, 지도, 블로그, 미니 홈페이지, 사운드, 음악, 스킨(skin), 아바타(avatar)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통신망을 통한 컨텐츠 이용의 규모는 날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통신망 상에서의 정보 처리에 관한 오버로드의 발생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접근 속도가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캐싱 기술을 이용하게 되었다. 캐싱은 통신망 상의 트래픽(traffic)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캐시 서버에서는 단순하게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기반의 캐싱 키만이 이용된 까닭에, 두 개의 서로 다른 URI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두 개의 컨텐츠가 서로 동일한 것인 경우에는 캐시 서버의 저장 용량이 낭비될 수밖에 없었다. 과거에는 이러한 문제가 그다지 심각한 것이 아니었으나, 사용자들이 통신망 상에서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여러 상이한 URI를 부여하는 행위(예를 들면, 호스트 변경, 경로 변경, 파일명 변경 등)를 빈번하게 하게 되면서,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함으로써 캐시 시스템에서의 저장 용량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캐싱 키를 이용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UR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상기 일부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캐싱 키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URI를 획득하고, 상기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획득하며, 상기 컨텐츠의 상기 일부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캐싱 키 생성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함으로써 캐시 시스템에서의 저장 용량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캐싱 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에서 수행되는 주요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contents) 또는 컨텐트란, 통신망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캐시 시스템(200),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메인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컨텐츠에 관하여 URI 기반 캐싱 키 및/또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여 캐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캐시 시스템(200)은 URI 기반 캐싱 키 및/또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로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가 캐시 시스템(200)이나 메인 서버(4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져(미도시됨)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캐시 시스템(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가 캐시 시스템(200)으로부터 브라우져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가 캐시 시스템(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가 메인 서버(400)로부터 브라우져로 제공될 수 있다(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컨텐츠 제공 및 캐싱을 위하여 캐시 시스템(200)이 개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400)는 캐시 시스템(200)이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400)는, 예를 들면, 각종 웹 서버일 수 있고, 특히,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도 있다. 메인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다양한 컨텐츠와 이와 연관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캐시 시스템(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컨텐츠나 연관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캐시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은 캐싱 키 생성부(210), 정보 제공부(220),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싱 키 생성부(210), 정보 제공부(220),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나 메인 서버(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캐시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캐시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싱 키 생성부(210)는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캐싱 키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캐싱 키 생성부(210)는 컨텐츠의 크기를 파악하고 나서, 컨텐츠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256kB) 이하인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URI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캐싱되도록 하고(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이러한 URI 기반 캐싱 키는 컨텐츠 크기의 파악 이전에 이미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컨텐츠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초과인 경우에는, 컨텐츠의 일부(예를 들면, 컨텐츠 파일의 헤더와 일부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일정 크기(예를 들면, 128kB)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캐싱되도록 할 수 있다(물론, 이러한 컨텐츠 캐싱에 있어서, URI 기반 캐싱 키도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캐싱 키 생성부(210)는, 컨텐츠 크기의 파악 및/또는 컨텐츠 일부의 획득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의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400)의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캐싱 키 생성에 있어서는, 공지의 다양한 해시 함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캐싱 키 생성부(210)에 의하여 생성된 캐싱 키는 그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연관되어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30) 내에 해당 캐싱 키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캐싱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캐싱되어 있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된 컨텐츠가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요청이나 추후의 요청에 따른 컨텐츠 제공을 위하여, 정보 제공부(220) 또는 캐시 시스템(200)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400)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컨텐츠를 캐싱하게 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의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400)의 컨텐츠에 접근함으로써 컨텐츠의 파일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이러한 컨텐츠 파일의 크기는 파일 헤더를 참조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먼저, 컨텐츠의 크기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정보 제공부(220)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URI를 캐싱 키로 하여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이러한 처리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할 수도 있다). 한편, 컨텐츠의 크기가 임계치 초과인 경우, 정보 제공부(220)는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400)로부터 획득된 컨텐츠의 일부(예를 들면, 컨텐츠 파일의 헤더와 일부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일정 크기(예를 들면, 128kB)의 데이터)를 캐싱 키로 하여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고(여기서, 검색은 캐싱 키에 관한 2진 데이터 비교를 수반할 수 있다)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220)가 컨텐츠 기반 캐싱 키보다 URI 기반 캐싱 키를 우선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의 URI에 기한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캐싱 키, 캐싱된 컨텐츠 그리고 캐싱 키와 캐싱된 컨텐츠를 연관시키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30)가 캐시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30)는 캐시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캐싱 키 생성부(210), 정보 제공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캐싱 키 생성부(210), 정보 제공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캐시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외부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캐시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캐싱 키 생성부(210), 정보 제공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시 시스템(200)에서 수행되는 주요 처리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1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 상에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URI를 특정하여 컨텐츠 요청을 발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캐시 시스템(200)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2에서는, 캐시 시스템(200)이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된 컨텐츠의 파일의 헤더를 참조하여 컨텐츠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다(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이하의 단계들은 컨텐츠가 종래 기술에 따른 URI 기반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참조되는 컨텐츠 파일의 헤더는 메인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의 헤더일 수 있다.
단계 S3에서는, 캐시 시스템(200)이 판별된 컨텐츠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에서 "yes"라는 결과가 나오면, 단계 S4에서는, 캐싱 키 생성부(210)가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no"라는 결과가 나오면, 단계 S8에서는, URI 기반의 캐싱 또는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에서는, 정보 제공부(220)가 생성된 캐싱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는, 정보 제공부(220)가 데이터베이스(230) 내에 캐싱되어 있던 컨텐츠가 상기 캐싱 키로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 "yes"라는 결과가 나오면, 단계 S7에서는, 정보 제공부(220)가 검색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에서 "no"라는 결과가 나오면, 단계 S9에서는, 캐시 시스템(200)이 메인 서버(400)로부터 완전한 컨텐츠를 획득하고 나서/획득하면서, 상기 캐싱 키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캐싱을 수행하고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캐싱 키 생성부
220: 정보 제공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통신부
250: 제어부

Claims (15)

  1. 통신망 상에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URI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상기 일부는 상기 컨텐츠의 파일의 헤더 및 일부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 생성 단계는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의 컨텐츠에 접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 단계는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에 관한 2진 데이터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통신망 상에서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URI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상기 일부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일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방법.
  8. 통신망 상에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캐싱 키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URI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상기 일부는 상기 컨텐츠의 파일의 헤더 및 일부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싱 키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의 컨텐츠에 접근하는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기반 캐싱 키에 관한 2진 데이터 비교를 수행하는 시스템.
  13. 통신망 상에서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요청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URI를 획득하고, 상기 URI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일부를 획득하며, 상기 컨텐츠의 상기 일부로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생성하기 위한 캐싱 키 생성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일부의 획득은 상기 컨텐츠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69209A 2010-07-16 2010-07-16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5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09A KR101351522B1 (ko) 2010-07-16 2010-07-16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09A KR101351522B1 (ko) 2010-07-16 2010-07-16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88A true KR20120008388A (ko) 2012-01-30
KR101351522B1 KR101351522B1 (ko) 2014-01-23

Family

ID=4561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209A KR101351522B1 (ko) 2010-07-16 2010-07-16 컨텐츠 기반 캐싱 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5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5989B2 (en) * 2001-09-26 2012-08-28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ccess control and key management system for streaming media
KR100545744B1 (ko) * 2003-11-15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러스터링 환경에서의 모바일 비즈니스 응용 서버간 콘텐츠 캐시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522B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53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browser
JP6091579B2 (ja) ウェブページのネストしたフラグメントキャッシング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509905B2 (en) Ransomware mitigation system
US11210301B2 (en) Client-side search result re-ranking
US9237113B2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web service
US20100036933A1 (en) Dynamic Portal Creation Based on Personal Usage
KR20160030381A (ko) 웹 페이지 액세스 방법, 장치, 라우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328233B2 (ja) ウェブ・ページのロードを最適化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50765B2 (en) Changing icons for a web page
CN101150803A (zh) 微浏览器处理网络数据的方法、微浏览器及其服务器
KR20090006167A (ko) 문서의 오디언스-적정 버전을 제공하는 방법, 문서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TW201723897A (zh) 資訊顯示方法、裝置及智能終端
US8484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a request for a non-canonical web page
WO2013143405A1 (zh) 网络访问的实现方法、装置和系统、以及网络系统
US10558814B2 (en) Privacy aware intent resolution with external sources
CN111756847B (zh) 网站支持https协议的方法和装置
CN114282233A (zh) Web性能优化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20237042A1 (en) Resource pre-fetch using age threshold
KR101666064B1 (ko)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url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2975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kins for a web page
KR20120137629A (ko) 브랜딩을 위한 단축 url 브라우징 제공시스템, 그 제공방법, 및 웹 클라이언트
US10154076B2 (en) Identifying users through a proxy
CN107066889A (zh) 一种基于地理位置信息的数据访问控制方法与系统
KR20150128810A (ko) 도메인 명칭 서버가 자연 언어 질의를 프로세싱하고 콘텍스트를 결정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93998A1 (en) Obtaining desired web content from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