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85A -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85A
KR20120008385A KR1020100069205A KR20100069205A KR20120008385A KR 20120008385 A KR20120008385 A KR 20120008385A KR 1020100069205 A KR1020100069205 A KR 1020100069205A KR 20100069205 A KR20100069205 A KR 20100069205A KR 20120008385 A KR20120008385 A KR 2012000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identifier
displayed
lay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449B1 (ko
Inventor
김진
김사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0006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b) 각 페이지를 각 아이콘에 대응시키고 상기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배열한 페이지 맵을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열된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된 특정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가 다양한 GUI로서 표시되어 컨텐츠의 전체 페이지 구조가 손쉽게 파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불필요한 페이지를 열람할 필요 없이 원하는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달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HELPING USER TO NAVIGATE CONTENT HAVING A COMPLEX STRUCTURE OF HIERARCHY IN MOBILE ENVIRONMENTS}
본 발명은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여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으로 분류한 후, 이를 다양한 GUI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좁은 화면 상에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단말이라는 극도로 제한된 환경 하에서도 컨텐츠의 전체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원하는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컴퓨터, 전자, 인터넷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무선 단말기(특히, 스마트폰)가 각광받게 되었고,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역시 대용량화 되었다.
다만, 아직까진 유선통신망의 회선 속도에 비해 무선통신망의 회선 속도가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어서 모바일 환경에선 데스크탑 환경에서와 달리 웹 상의 대용량 컨텐츠, 특히 복수의 페이지 계층을 가지는 복잡한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위젯을 향유하는데 큰 불편함과 제약이 있는 형편이다. 즉,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페이지 사이를 이동함에 있어서 데스크탑 환경에 비해 긴 로딩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이마저도 현재 무선 단말기는 그 화면의 크기가 작을뿐만 아니라 일반 데스크탑 PC에 비해 페이지 전환을 위한 조작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사용자는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모바일과 같은 제한된 환경에서 사용자가 열람을 원하지 않는 페이지의 로딩을 위한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페이지 구조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원하는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을 구상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계층 구조를 분석하여 이를 무선 단말기의 소형 화면 크기에 알맞은 효율적인 GUI로서 표시하고, 복수의 페이지 중에서 특정 페이지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의 제한된 환경에서 컨텐츠를 열람할 시에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b) 각 페이지를 각 아이콘에 대응시키고 상기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배열한 페이지 맵을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열된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된 특정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b)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단계, (b)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1 계층 - 상기 k-1 은 1 이상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및 (b)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의 페이지의 개수가 m 개일 때,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식별자 및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총 j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j가 상기 m보다 작을 때,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 중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식별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플리킹 제스처(flicking gesture)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각 페이지를 각 아이콘에 대응시키고 상기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배열한 페이지 맵을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배열된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된 특정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1 계층 - 상기 k-1 은 1 이상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의 페이지의 개수가 m 개일 때,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식별자 및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총 j 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j가 상기 m 보다 작을 때,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 중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식별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플리킹 제스처(flicking gesture)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를 모바일의 제한된 환경을 이용하여 띄울 때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계층 구조가 다양한 GUI로서 표시되어 컨텐츠의 계층 구조가 손쉽게 파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불필요한 페이지를 열람할 필요 없이 원하는 페이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열람하도록 할 수 있고 서버 입장에서도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를 통해 제공받은 컨텐츠로 인한 트래픽이 감소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컨텐츠란 텍스트, 링크,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의 데이터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컨텐츠로서, 통신망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디지털 정보 자체 또는 그러한 디지털 정보의 내용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애플리케이션, 위젯 또는 웹 문서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의 제한된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단말 장치(200),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100)은 무선 통신의 양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 인공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WLAN(Wireless LA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여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으로 분류한 후, 이를 다양한 GUI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임의의 페이지로의 이동 요청이 간단하게 입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통신망(1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타블렛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용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2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의 자세한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단말 장치(200) 및 다른 웹 서버(미도시됨)와 통신함으로써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웹 문서 검색 엔진(미도시됨)을 포함하여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혹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위젯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와 연동하여 단말 장치(200)의 요청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인터넷 검색 포털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도 있고, 단말 장치(200)에 제공되는 정보는 쿼리에 매칭된 정보, 웹 사이트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300)의 웹 문서 검색 엔진은 컨텐츠 제공 서버(300)가 아닌 다른 연산 장치나 기록 매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계층 구조 분석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 구조 분석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단말 장치(2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단말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단말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 구조 분석부(210)는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갖는 컨텐츠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여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제1 계층은 전체 계층 중 최상위 계층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컨텐츠가 화면 상에 제공될 때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될 수 있는 페이지 또는 이들의 집합이 속하는 계층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1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를 통해 직접 열람을 요청할 수 있는 페이지(들)가 속하는 계층이 제2 계층에 해당한다. 가령, 제1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퍼링크의 링크 글자 또는 링크 이미지를 통해 직접 접근 가능한 페이지들의 집합이 속하는 계층이 제2 계층에 해당하게 된다. 즉,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단말 장치(200)가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 장치(200)에 컨텐츠를 제공할 때 해당 컨텐츠의 페이지 계층 구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페이지 내비게이션 정보를 포함시켜 제공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 구조 분석부(21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페이지 내비게이션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계층 구조 분석부(210)에 의해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를 다양한 GUI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임의의 페이지로의 이동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GUI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 전체 계층 구조 디스플레이 모드가 시작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을 배치하여 버튼이 선택되면 전체 계층 구조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화면 상의 다른 일부 영역에는 전체 계층 구조 디스플레이 모드가 종료되고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버튼을 배치하여 해당 버튼이 선택되면 전체 계층 구조가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제공되는 중이었던 페이지 또는 전체 계층 구조 디스플레이 모드 상에서 선택된 특정 페이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컨텐츠의 각 페이지에 대응되는 각 아이콘이 이미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되도록 배열된 페이지 맵을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배열된 아이콘 중에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이 감지되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된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 맵은 화면 상에서 줌-인이나 줌-아웃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특히 줌-인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페이지 맵의 일부가 화면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는 페이지 맵을 드래그 행위에 따라 이동시켜가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페이지 맵을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페이지 맵이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제공되는 중이었던 소정 페이지를 컨텐츠의 나머지 페이지와 구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페이지의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차별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 편의적으로 화면 상의 제2 영역에 상기 페이지 맵의 호출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제1 메뉴를 표시하고, 제1 메뉴가 클릭되거나 드래그되어 선택되면 해당 페이지 맵이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메뉴에는 현재 화면 상에 제공되고 있는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화면 상의 제3 영역에 페이지 맵 디스플레이 모드를 종료하고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복귀하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제2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2 메뉴가 클릭되거나 드래그되어 선택되면 페이지 맵이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제공되는 중이었던 페이지를 다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D3 페이지가 제공되고 있고 제2 영역에는 D3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정보(A1-> B1-> C2-> D3)가 표시된 제1 메뉴가 제공되고 있다(도 3a 참조). 그 다음, 사용자가 제1 메뉴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면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되는 페이지 맵이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데(도 3b 참조), 페이지 맵에서 D3 페이지(즉, 페이지 맵을 보기 직전에 열람하던 페이지)의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과 차별되도록 표시되어 있고, 제1 영역 내의 하단 부분에는 줌-인 또는 줌-아웃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메뉴가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줌-인 기능을 통해 페이지 맵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페이지 맵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한꺼번에 전부 디스플레이되지 못하는바, 드래그 행위의 입력에 따라 페이지 맵의 해당 부분이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3c 참조). 참고로, 이때 B2 페이지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B2 페이지가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면서 제2 영역 상에는 B2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정보(A1->B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도 3d 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제k 계층(여기서, 1<= k <= n 임)에 해당되는 특정 페이지가 열람되는 도중에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페이지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와 동일 계층인 제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제k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이러한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가 선택되면, 소정 페이지의 구체적인 내용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i) 제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화면 상의 일부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기설정된 강도 이하로 입력되면, 제k-1 계층(즉, 상위 계층을 의미하고, (k-1)은 1 이상임)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ii) 제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특정 식별자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입력되면, 특정 식별자에 대한 바로 하위 계층, 즉 제k+1 계층(즉, 하위 계층을 의미하고, (k+1)은 n 이하임)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제k-1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때, 제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k-1 계층(즉, 직속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는 나머지 페이지의 식별자와 차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기설정된 강도 이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두 단계 이상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제k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요소로서 사이드바를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사이드바의 개수를 줄이고 하위 계층으로 갈수록 사이드바의 개수를 늘려서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어떤 계층에 해당하는지를 GUI의 형태로 사용자 편의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사이드바의 길이를 줄이고 하위 계층으로 갈수록 사이드바의 길이를 늘리는 등의 변형예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사이드바의 개수 또는 길이를 이용하여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어떤 계층에 해당하는지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계층의 깊이(depth)에 따라 사이드바의 색깔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가시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그래픽 요소가 사이드바를 이용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를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화면의 "Navigator" 메뉴가 선택되어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가장 좌측의 화면) 사용자에 의해 열람되고 있던 B52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고, 리스트의 좌측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제2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하여 2 개의 사이드바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두 번째 좌측의 화면). 여기서, 화면 상의 일부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기설정된 강도 이하로 입력되면, 제2 계층의 한 단계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데(세 번째 좌측의 화면), 특히 제2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B51 내지 B56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페이지(B5 페이지)의 식별자는 나머지 페이지의 식별자와 차별되어 표시되고 있고, 사이드바의 개수는 하나 줄어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제1 계층에 해당됨을 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제1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 중에서, 가령, B3 페이지의 식별자가 터치된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 기설정된 강도 이하의 드래그 행위가 입력되면(세 번째 좌측의 화면), B3 페이지의 바로 밑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B31 내지 B36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가장 우측의 화면). 여기서, 사이드바의 개수는 다른 식으로 변화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b에는,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어떤 계층에 해당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이드바의 길이를 이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리스트에서 특정 식별자가 터치된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입력됨에 따라 리스트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계층이 제1 계층에서 제2 계층, 제3 계층, 제4 계층으로 바뀌게 되면, 이에 따라 리스트의 상측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이드바의 길이가 늘어나고 사이드바의 색깔 역시 짙어지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제k 계층(여기서, 1<= k <= n 임)에 해당되는 특정 페이지가 열람되는 도중에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제k-1 계층((k-1)은 1 이상임)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포함된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즉, 제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들이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선택된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 리스트를 화면의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는 팝업 창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의 "List" 메뉴가 선택되어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사용자에 의해 열람되고 있던 E51 페이지의 직속 상위 계층인 E5 페이지를 포함하여 이와 동일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즉, E1 내지 E5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만약 E3 페이지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E3 페이지의 직속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E31 내지 E35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501). 한편, E31 내지 E35 페이지의 식별자 리스트는 팝업 창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50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의 페이지의 개수가 m 개일 때, 화면 상의 제1 영역에는 화면의 제3 영역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 및 이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총 j개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직속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j가 m보다 작은 경우, 즉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식별자 및 이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제1 영역 내에 한꺼번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에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식별자를 제1 영역에 대한 드래그 입력 등과 같은 플리킹 제스처(flicking gesture)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식별자 중 화면의 제3 영역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는 다른 식별자와 구별되도록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특정 식별자의 직속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가 선택되면 소정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페이지의 식별자 및 이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선택된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제공하는 GUI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 상의 제1 영역에는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C1 페이지의 식별자 및 이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총 3개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의 상측 영역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C1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B2 페이지의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된다(제일 좌측의 화면). 이 후,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B2 페이지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B2 페이지의 식별자 및 이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에는 B2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A1 페이지의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두 번째 좌측의 화면). 여기서, 제1 영역에 대해 왼쪽 방향으로의 플리킹 제스처가 입력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던 B4 및 B5 페이지의 식별자가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이 상태에서 B4 페이지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B4 페이지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E1 내지 E4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세 번째 좌측의 화면). 이후, 리스트에 포함된 E1 페이지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E1 페이지가 화면의 제3 영역 상에 제공되고, 제1 영역에는 E1 페이지의 식별자 및 이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며, 제2 영역에는 E1 내지 E4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B4 페이지의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페이지 또는 페이지 내비게이팅을 위해 제공되는 GUI 등을 비롯한 영상 정보는 단말 장치(200)의 표시부(미도시됨)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는 통상의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30)는 단말 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서버(300)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계층 구조 분석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통신부(2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40)는 외부로의/외부로부터의 또는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계층 구조 분석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통신부(2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를 사용하는 경우 제공받은 컨텐츠에 대한 열람 시에 어느 정도로 트래픽이 감소되는지 실제 실험치에 근거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모바일 환경에서 특정 책을 인터넷으로 주문하기 위하여 아마존(www.amazon.com)에 접속하여 해당 책을 검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모바일 환경에서는 책을 주문하기까지는 총 7 번의 페이지 이동이 이뤄져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를 통해 책을 주문하는데 있어서는 도 7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총 3 번의 페이지 이동만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 한 명당 266.88 KB에 해당하는 트래픽을 절감할 수 있고, 이는 아마존 웹 사이트 전체 사용자 수를 고려하면 무려 16.7 TB에 이르는 트래픽량이 절감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도 7c 참조).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단말 장치
210: 계층 구조 분석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Claims (34)

  1.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b) 각 페이지를 각 아이콘에 대응시키고 상기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배열한 페이지 맵을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열된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된 특정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화면 상의 제2 영역에 상기 페이지 맵의 호출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제1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1 메뉴가 클릭되어 선택되면 상기 페이지 맵을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화면 상의 제2 영역에 상기 페이지 맵의 호출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제1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1 메뉴가 상기 제1 영역으로 드래그되어 선택되면 상기 페이지 맵을 상기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에는,
    현재 화면 상에 제공되고 있는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화면 상의 제3 영역에 상기 페이지 맵 디스플레이 모드를 종료하고 페이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복귀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제2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b4) 상기 제2 메뉴가 드래그 행위 또는 클릭 행위 중 하나에 의하여 선택되면 상기 페이지 맵이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제공되는 중이었던 페이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 맵은 상기 화면 상에서 줌-인 또는 줌-아웃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맵이 줌-인 기능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페이지 맵은 드래그 행위에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페이지 맵이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제공되는 중이었던 소정 페이지를 상기 컨텐츠의 나머지 페이지와 구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 페이지의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과 차별되도록 상기 페이지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b)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c)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소정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사이드바의 개수를 줄이고 하위 계층으로 갈수록 상기 사이드바의 개수를 늘려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상위 계층으로 갈수록 사이드바의 길이를 줄이고 하위 계층으로 갈수록 상기 사이드바의 길이를 늘려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해당 계층의 깊이(depth)에 따라 사이드바의 색깔에 변화를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화면 상의 일부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기설정된 강도 이하로 입력되면, 상기 k-1 계층 ?상기 (k-1)은 1 이상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특정 식별자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k+1 계층 상기 (k+1)은 n 이하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k-1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에 이르기 위한 경로 상에 위치하는 페이지의 식별자는 나머지 페이지의 식별자와 차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상기 기설정된 강도 이상으로 입력되면, 두 단계 이상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단계,
    (b)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1 계층 - 상기 k-1 은 1 이상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은 제k계층 - 상기 k는 n 이하임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할 때,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는 팝업 창 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단계, 및
    (b)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의 페이지의 개수가 m 개일 때,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식별자 및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총 j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j가 상기 m보다 작을 때,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 중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식별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플리킹 제스처(flicking gesture)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c)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소정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의 식별자 중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식별자는 다른 식별자와 구별되도록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식별자 및 상기 선택된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각 페이지를 각 아이콘에 대응시키고 상기 분석된 전체 계층 구조에 부합하도록 상기 아이콘을 배열한 페이지 맵을 화면의 제1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배열된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아이콘에 대응된 특정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6.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주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상기 제k 계층에 해당됨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소정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화면 상의 일부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기설정된 강도 이하로 입력되면, 상기 k-1 계층 ?상기 (k-1)은 1 이상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특정 식별자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k+1 계층 상기 (k+1)은 n 이하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k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되는 도중에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행위가 상기 기설정된 강도 이상으로 입력되면, 두 단계 이상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를 제1 내지 제n 계층 - 상기 제1 계층에 가까울수록 상위 계층임 - 으로 분류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사용자에 의해 특정 페이지 - 상기 특정 페이지는 제k 계층에 해당됨 (1<= k <= n) - 가 열람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 페이지의 전체 계층 구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내비게이팅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k-1 계층 - 상기 k-1 은 1 이상임 - 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를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31.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페이지 사이의 전체 계층 구조를 분석하는 계층 구조 분석부, 및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의 페이지의 개수가 m 개일 때, 상기 화면 상의 제1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식별자 및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총 j 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는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의 상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j가 상기 m 보다 작을 때, 상기 화면 상에 제공되는 중인 페이지와 동일한 계층에 포함되는 페이지의 식별자 중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식별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플리킹 제스처(flicking gesture)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식별자의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식별자가 리스트 형태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 페이지에 대한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소정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69205A 2010-07-16 2010-07-16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3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05A KR101134449B1 (ko) 2010-07-16 2010-07-16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05A KR101134449B1 (ko) 2010-07-16 2010-07-16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85A true KR20120008385A (ko) 2012-01-30
KR101134449B1 KR101134449B1 (ko) 2012-06-04

Family

ID=4561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205A KR101134449B1 (ko) 2010-07-16 2010-07-16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899A (ko) * 2018-02-01 2020-09-04 구글 엘엘씨 디지털 컴포넌트 배경 렌더링
CN113835791A (zh) * 2020-06-23 2021-12-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呈现视图组件的层级关系的方法和装置
KR20220155953A (ko) * 2015-03-02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및 그의 쇼트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105A (ko) 2014-08-25 2016-03-04 강형채 터치 스크린용 전자도서의 페이지 전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953A (ko) * 2015-03-02 2022-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및 그의 쇼트닝 방법
KR20200104899A (ko) * 2018-02-01 2020-09-04 구글 엘엘씨 디지털 컴포넌트 배경 렌더링
CN113835791A (zh) * 2020-06-23 2021-12-2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呈现视图组件的层级关系的方法和装置
CN113835791B (zh) * 2020-06-23 2024-05-0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呈现视图组件的层级关系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449B1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356B1 (ko) 브라우저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 사이에서의 어레이 모드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JP6153868B2 (ja) アイテムをディスプレーする方法及び装置
US9304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isplay screen of a user interface
KR101586627B1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1263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20120023431A1 (en) Comput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the computing device using user interface
CN110244949B (zh) 一种页面信息展示方法及装置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130159930A1 (en) Displaying one or more currently active applications
US201401817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levant applications
CN104238897A (zh) 一种菜单项显示方法及装置
KR20140039209A (ko) 빠른 사이트 액세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웹 브라우저
KR20120132663A (ko) 캐러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03820A (ko)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브라우저를 위한 다중 패널 뷰 인터페이스
US20140351749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erging areas in views of user interfaces
KR101134449B1 (ko) 모바일 환경에서 복잡한 구조의 계층을 가지는 컨텐츠의 페이지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365872B (zh) 一种在移动终端中实现平面化搜索的方法及系统
CN102799343A (zh) 一种显示索引图标内容的方法和装置
KR20150001872A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검색 결과 표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13805752A (zh) 对象移动方法和电子设备
CN112114735B (zh) 用于管理任务的方法和装置
CN110945468B (zh) 在移动终端上处理其每一内容与子内容关联的内容的列表的方法
KR101918705B1 (ko)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761420B1 (ko) 웹브라우저 화면분할 장치
CN113805737B (zh) 文件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