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09U -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09U
KR20120007109U KR2020110002902U KR20110002902U KR20120007109U KR 20120007109 U KR20120007109 U KR 20120007109U KR 2020110002902 U KR2020110002902 U KR 2020110002902U KR 20110002902 U KR20110002902 U KR 20110002902U KR 20120007109 U KR20120007109 U KR 201200071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pitching ball
batter
section
rece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김성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경 filed Critical 김성경
Priority to KR2020110002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109U/ko
Publication of KR20120007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는, 둘레 부위를 따라 연장 형성된 프레임 사이에 네트가 장착되어 있는 섹션부; 상기 섹션부가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결합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섹션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섹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상기 복수 개의 섹션부 중 중앙에 위치한 섹션부에 형성된 스트라이크 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에 의하면, 접철이 용이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심판 인력을 아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캐스터에 의하여 운반이 편리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PORTABLE RECEPTIVE DEVICE FOR PITCHING BALL ON BASEBALL}
본 고안은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야구 운동 시 투수가 피칭하는 볼을 수용함과 동시에 접철이 용이하고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여 보다 범용적인 활용성을 보장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9명의 선수가 모여 게임을 실행해야 하지만, 주로 투수가 피칭을 하거나 타자가 피칭 볼을 타격하는 연습을 실행하면서도 충분히 재미를 느낄 수 있는바, 이 경우 공을 던지는 투수와 공을 치는 타자, 공을 받는 포수로 총 3명의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투수가 피칭 연습을 할 때에는 투수와 포수 2명만 있어도 가능한바, 일정한 공간과 공, 글러브만 있으면 충분히 피칭 연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시 환경에서는 지나가는 행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이러한 최소한의 공간조차 보장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혼자서 피칭 연습을 실행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즉, 투타 연습을 할 때에는 공이 뒤로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최소한의 인원, 즉 투수와 타자만 있어도 투타 연습이 수행될 수 있거나 아니면 피칭 연습을 하고자 할 때에는 투수 1명의 인원으로도 충분한 연습이 될 수 있는 환경이 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앞서 말한 이유에 의하여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 경우 그물로 이루어져 공을 수용할 수 있는 바리케이드를 포수 대신 활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그물은 구하기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최소한의 체적을 보장할 경우 보관 및 운반이 힘들어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따른다.
더불어, 국내 특허공개 제 10-2003-0024523호 실내 야구용 피칭 연습기는 실내에서 피칭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되 스트라이크 존에 감지판을 장착하여 스트라이크 여부를 시청각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 경우 실내에서 혼자서 피칭 연습을 하기 때문에 실제 야외에서 스포츠 게임을 할 때 느낄 수 있는 재미를 얻기에는 역부족하고 더불어 야외에서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더불어 국내 특허 제 354420호 야구연습시의 투수보호용 그물장치는 투수의 키에 따라서 그물의 구조를 변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실제 타자가 들어 선 경우 투수의 키보다는 타자의 키에 따라 스트라이크 존이 변경되기 때문에 타자의 키에 따라 스트라이크 존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나 상기 기술은 이러한 방법을 전혀 제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역시 휴대가 불가능하여 야외에서 야구 게임을 할 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최소한의 인원으로 투타 연습 또는 피칭 연습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안전성을 보장하고 더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타자의 키에 따라 스트라이크 존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야구 연습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사안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철을 위한 힌지를 통해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는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수가 피칭한 볼이 스트라이크임을 알림으로써 별도의 심판이 없이도 투타 연습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타자의 키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센서 기능에 의하여 스트라이크 존을 가변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커버를 장착함으로 피칭 볼이 뒤로 빠지는 현상을 보다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하 부위에 캐스터를 장착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는, 둘레 부위를 따라 연장 형성된 프레임 사이에 네트가 장착되어 있는 섹션부; 상기 섹션부가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결합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섹션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섹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상기 복수 개의 섹션부 중 중앙에 위치한 섹션부에 형성된 스트라이크 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크 존 주변에는, 복수 개의 충격 감지 센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충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각각의 충격 수치를 전송하는 센서 수치 판단부; 상기 센서 수치 판단부의 각각의 충격 수치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타격된 피칭 볼의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스트라이크 판단부; 상기 스트라이크 판단부에서 스트라이크로 판단을 하였을 때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는, 타석에 들어서 타자를 촬영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포터 센서의 촬영 영상을 판독하여 타자의 키를 파악하는 영상 판독부로 이루어진 타자 키 파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크 판단부는, 상기 타자 키 파악부에서 파악된 타자의 키에 따라 차등적으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섹션부의 하측에는, 캐스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에 의하면,
1) 힌지에 의한 접철이 용이하여 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2) 피칭 볼에 대한 스트라이크 여부를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심판 인력을 아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3) 타지의 키를 파악하여 타자의 각기 다른 키에 따라 스트라이크 여부를 차등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4) 캐스터에 의하여 이동 및 운반의 편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5) 탈부착 가능한 상부 커버에 의해 위로 솟구친 피칭 볼까지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라이크 존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추가로 부착 가능한 상부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힌지(40)를 중심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피칭 볼을 수용하는 바디(10)와 스트라이크 존(50)에 피칭 볼이 수용(스트라이크 존 부위에 피칭 볼이 타격)될 때 스트라이크 여부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컨트롤러(1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바디(10)는 타자의 후방, 즉 야구 경기에서 심판이 서 있는 위치에 기립시켜 피칭 볼이 뒤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피칭 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크게 섹션부(20)와 네트(40), 힌지(30) 및 스트라이크 존(5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캐스터(80), 탈부착 가능한 상부 커버(90)를 포함한다.
섹션부(20)는 피칭 볼이 뒤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 종 방향이 더 긴 직사각형(물론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의 조합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크게 제 1,2,3 섹션(21,22,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섹션(21)은 도 1에서 중간 위치에 형성된 것이고, 제 2 섹션(22)은 제 1 섹션(21)의 좌측 부위, 제 3 섹션(23)은 제 1 섹션(21)의 우측 부위에 위치하여, 이러한 제 1,2,3 섹션(21,22,23)의 둘레 부위(즉, 프레임) 내에는 네트(40)가 형성되어 있어, 충격량을 완화하면서 피칭 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네트(40)의 재질은 충격을 완화하는 정도 및 필요에 따라 현재 알려진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 1,2,3 섹션(21,22,23)은 힌지(30)에 의하여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힌지(30)는 제 1, 2, 3 섹션(21,22,23)의 사이에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경첩 구조로서 형성이 되어 제 1,2,3 섹션(21,22,23)이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보관성과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실제 야구 경기에 사용할 때에도 중앙에 자리한 제 1 섹션(21)을 중심으로 제 2,3 섹션(22,23)의 접철 각을 조절하여 폭투를 하는 투수의 성향에 따라 피칭 볼을 보다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역시, 이러한 힌지(30)는 잘 알려진 경첩은 물론 일 방향성 회동만 보장하도록 하는 스토퍼 힌지(일 방향성 힌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라이크 존(50)은 섹션부(20), 특히 중앙에 위치한 제 1 섹션(21)의 특정 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러(100)에 의하여 투수가 피칭한 볼의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라이크 존(50)은 제 1 섹션(21)에 디자인 표시를 하여 시인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나, 후술할 충격 감지 센서(70)의 관리 및 활용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플레이트(60)가 제 1 섹션(2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라이크 존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섹션(21)에 플레이트(60)가 부착되어 스트라이크 존(50)을 형성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플레이트(60)에는 스트라이크 존(50)을 시각적으로 알리는 스트라이크 존 표시부(61)와 스크라이크 여부를 충격에 의해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70)가 장착되어 있다.
스트라이크 존 표시부(61)는 시각적으로 스트라이크 존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가령 중앙 부위에 원형의 공간(스트라이크 존) 표시를 하고 이 주변에 'STRIKE ZONE'이라는 글자를 삽입하여 형성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원형의 공간 부위는 사람의 키에 따라 스트라이크 존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개연성에 의거하여 특정한 키를 가진 타자를 기준하여 동그라미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 범위의 타자의 키를 감안하여 보다 직경이 큰 원형 내지 타원형의 공간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라이크임을 감지하기 위한 방식은 스트라이크 존(50)에 타격이 되는 공의 위치를 광 검출 방식으로 수행하는 복수 개의 광센서 측정 방식과, 초음파 측정 방식과 같은 현재 알려진 방식을 상황에 따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바, 본 고안에서는 이 중에서 일 실시예로서 스트라이크 존(50)에 타격이 된 피칭 볼의 충격량 고저에 따른 비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스트라이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충격 감지 센서(70)를 이용하는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량 감지 센서(70)는 특정 형상 형태(도 2에서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에서 일정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바, 도 2를 참조하면 90ㅀ의 각도를 두고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 개수와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충격 감지 센서의 성능과 허용 오차 범위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다.)
즉, 총 4개의 충격 감지 센서(70) 각각은 플레이트(60)에 타격이 된 피칭 볼의 충격량을 감지하여 특정 수치로서 환산한 다음 이를 후술할 컨트롤러(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100)는 플레이트(60)에 타격이 된 피칭 볼의 스트라이크 여부를 파악함과 동시에 스트라이크일 경우 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센서 수치 수신부(110), 스트라이크 판단부(120), 음성 출력부(1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타자 키 파악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서 수치 수신부(110)는 4개의 충격 감지 센서(70)에서 감지된 충격 수치를 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스트라이크 판단부(120)는 상기 센서 수치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4개의 센서 수치를 비교 판단하여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4개의 센서 수치를 통하여 충격량을 비교 판단하는 방식은 피칭 볼이 타격된 플레이트 상의 지점에서 근접한 충격 감지 센서(70)에서의 감지 수치가 보다 크다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4개의 센서 수치가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다면 이는 피칭 볼이 4개의 충격 감지 센서(70)의 정 중앙 부위를 타격했다는 것으로 인식이 될 수 있고, 다시 말해 충격 감지 센서(70)에서 이격된 지점에 타격되었을 때 충격 수치가 작아진다는 원리를 이용한다면 4개의 충격 감지 센서(70)의 상호 센서 수치를 미리 구비된 룩업 테이블(즉, 학습과 실험에 의해 각각의 센서 수치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복수의 데이터를 기록한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대입하는 방식에 따라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30)는 상기 스트라이크 판단부(120)에서 피칭 볼이 스트라이크로 판단한 경우 스피커(131)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베이스(음원)(132)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크라이크!" 또는 "짝짝짝, 스크라이크입니다"와 같이, 음성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을 별도로 구비된 선택 키에 의해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크 존(50)에서의 실제 스트라이크 영역은 타자의 키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4개의 충격 감지 센서(70)에서 절대적으로 스트라이크를 판단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은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100)는 타자 키 파악부(140)를 추가로 포함하여 파악된 타자의 키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 판단부(120)에서 스트라이크 영역을 차등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도록 한다.
타자 키 파악부(140)는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키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141) 및 영상 판독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포토 센서(141)는 사물, 즉 타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일반적으로 카메라와 같은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고 이 때 왼쪽 및 오른쪽 타석 별로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광각 렌즈를 통해 타자의 전체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판독부(142)는 상기 포토 센서(141)의 영상을 전송받아 타자의 키(즉 사이즈)를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예를 들어 타석은 고정된 지점이므로 포토 센서(141)를 타석 방향으로 특정 값의 조리개 수치로 맞춘 다음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기준 영상(즉,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키가 170cm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과 비교 판별을 하는 방식으로 타자의 키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판독부(142)에서 타자의 키를 파악한 다음, 이 결과 데이터를 상술한 스트라이크 판단부(120)에 전송하여, 스트라이크 판단부(120)가 타자의 키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서 스트라이크 여부를 차등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섹션부(20)가 지면에 닿는 부위에 캐스터(8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캐스터(80)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이동성을 편리하게 확보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바, 정지 상태에서 지지가 가능하도록 캐스터(80)와 동일 높이로 이루어진 지지 레그(85)가 주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토퍼를 구비하여 스토퍼의 조작에 의해 바퀴를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바, 이는 카트에 장착된 공지된 스토퍼 등의 원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추가로 부착 가능한 상부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섹션부(20)의 상부 측에는 상부 커버(9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상부 커버(90)는 피칭 볼이 뒤로 빠지는 현상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위로 솟구친 피칭 볼이 뒤로 빠지는 문제를 차단하는데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커버(90)는 전방(투수가 서 있는 방향)으로 휘어져 타격된 피칭 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탈부착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부 커버 하부에 돌기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섹션부(20)의 프레임 상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끼움식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바디 20: 섹션부
21: 제 1 섹션 22: 제 2 섹션
23: 제 3 섹션 30: 힌지
40: 네트 50: 스트라이크 존
60: 플레이트 61: 스트라이크 존 표시부
70: 충격 감지 센서 80: 캐스터
85: 지지 레그 90: 상부 커버
100: 컨트롤러 110: 센서 수치 수신부
120: 스트라이크 판단부 130: 음성 출력부
131: 스피커 132: 음성 데이터베이스
140: 타자 키 파악부 141: 포토 센서
142: 영상 판독부

Claims (6)

  1.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로서,
    둘레 부위를 따라 연장 형성된 프레임 사이에 네트가 장착되어 있는 섹션부;
    상기 섹션부가 횡 방향으로 복수 개 결합되어 형성된 바디;
    상기 섹션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섹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상기 복수 개의 섹션부 중 중앙에 위치한 섹션부에 형성된 스트라이크 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 존 주변에는,
    복수 개의 충격 감지 센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충격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각각의 충격 수치를 전송하는 센서 수치 판단부;
    상기 센서 수치 판단부의 각각의 충격 수치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타격된 피칭 볼의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스트라이크 판단부;
    상기 스트라이크 판단부에서 스트라이크로 판단을 하였을 때 스피커를 통해 음원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타석에 들어서 타자를 촬영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포토 센서의 촬영 영상을 판독하여 타자의 키를 파악하는 영상 판독부로 이루어진 타자 키 파악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크 판단부는,
    상기 타자 키 파악부에서 파악된 타자의 키에 따라 차등적으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부의 하측에는,
    캐스터;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충격 감지 센서는,
    복수 개의 섹션부 중 중앙에 위치한 상기 섹션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부의 상측 위치에는,
    상부 커버가 탈부착 가능하게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KR2020110002902U 2011-04-06 2011-04-06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KR201200071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02U KR20120007109U (ko) 2011-04-06 2011-04-06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02U KR20120007109U (ko) 2011-04-06 2011-04-06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9U true KR20120007109U (ko) 2012-10-16

Family

ID=4750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902U KR20120007109U (ko) 2011-04-06 2011-04-06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1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46Y1 (ko) * 2014-07-22 2014-11-04 강기열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
CN112843644A (zh) * 2021-01-25 2021-05-28 李家全 一种投掷球与球网组成的锻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46Y1 (ko) * 2014-07-22 2014-11-04 강기열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
CN112843644A (zh) * 2021-01-25 2021-05-28 李家全 一种投掷球与球网组成的锻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632B2 (en) Baseball practice device
US7448968B1 (en) Training device for soccer players
US7393291B2 (en) Pitching practice apparatus
US20100261559A1 (en) Tennis Throw Trainer
US20080248901A1 (en) Pitching target
US8784239B2 (en) Batting training device
KR101941260B1 (ko) 다목적 게임형 축구 연습 골대
US20070054757A1 (en) Strike Zone Apparatus
US7179179B2 (en) Device for improving pitching performance
WO2016081212A1 (en) Convertible game system
US20060247106A1 (en) Stationary kick practice stand
US9199154B2 (en) Pitching machine
US7740550B1 (en) Tennis throw trainer
US20070054756A1 (en) Batting practice aid
KR20120007109U (ko) 휴대용 야구 피칭 볼 수용 장치
US7479075B2 (en) Pitcher's catcher
US7220194B1 (en) Pitching practice target
US20030236140A1 (en) Sports target and training aid
KR200450824Y1 (ko) 투척 게임기구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US20090075764A1 (en) Target for throwing a target at
CN110478880B (zh) 一种网球训练矫正装置
GB2536389B (en) A portable goal device
KR20170089620A (ko) 야구 피칭 스크린을 구비한 공스피드 및 정확도 측정머신
TW201107015A (en) Basketball gam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