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879A -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879A
KR20120006879A KR1020100067588A KR20100067588A KR20120006879A KR 20120006879 A KR20120006879 A KR 20120006879A KR 1020100067588 A KR1020100067588 A KR 1020100067588A KR 20100067588 A KR20100067588 A KR 20100067588A KR 20120006879 A KR20120006879 A KR 2012000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unit
ice
motor
ma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021B1 (ko
Inventor
김성재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021B1/ko
Priority to US13/181,548 priority patent/US20120011868A1/en
Publication of KR2012000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8Power to drive the auger motor of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 유니트는 제빙 영역과 저빙 영역을 갖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동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제빙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빙실의 제빙 영역 및 저빙 영역을 일정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실의 제빙 영역 및 저빙 영역을 일정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냉장고 중 일부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냉장고의 내부에서 제빙된 얼음을 인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 및 제빙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빙기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벽에 설치되며, 만빙된 얼음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이빙하고, 물리적으로 이젝하여 분리시키는 히팅 타입과, 만빙된 얼음을 일정 온도로 가열함과 아울러, 얼음이 수납된 아이스 트레이를 하방으로 회전하여 배출하는 트위스트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前者) 타입을 갖는 제빙기는 개략적으로 공급수가 저장되는 일정 형상의 수납홈들이 형성되는 아이스 트레이(ICE TRAY)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인근에서 만빙된 얼음을 물리적으로 이젝(EJECT)하는 이젝터(EJECTOR)와, 상기 이젝터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갖는다.
또한, 후자(後者) 타입을 갖는 제빙기는 개략적으로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 모듈과, 상기 회전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기들은 인 도어 타입(IN-DO OR TYPE)의 경우에, 도어 내측에 형성되는 제빙 영역과 제빙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빙 영역을 갖는 제빙실에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제빙실의 제빙 영역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의 제빙 영역에는 제빙기들의 구동 모듈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되는 제어 박스가 배치됨에 따라, 제빙 영역의 공간이 일정 이하로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전형적으로, 제빙량(일일 생산 제빙량)과, 저빙량(아이스 버킷(ICE BUCKET)에서의 최대 얼음 저장량)은 냉장고의 주요 성능 지표이며, 이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가 설치되는 제빙실의 영역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어 박스를 포함한 제빙기가 설정된 영역을 갖는 제빙실에 설치되면, 제어 박스(CONTROL BOX)는 제빙 영역에 전면이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제어 박스의 부피 만큼 제빙 영역의 크기는 줄어 들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에서의 수납홈의 크기가 제한되고, 제빙량이 일정 이하로 줄어 들며,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버킷의 크기, 즉 저빙 영역의 크기 또한 제한되어 결국, 저빙량 역시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 용량 및 저빙 용량을 일정 이상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이스 트레이 부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서로 분리하고, 제어 모듈을 제빙실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구동 모듈과 아이스 트레이 부만이 연결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빙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 유니트는 제빙 영역과 저빙 영역을 갖는 제빙실과; 상기 제빙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동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제빙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 영역이 위치되는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구동 모터를 갖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와 축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축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어들을 갖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연결되는 축을 제외한 전체 영역이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 영역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냉장 영역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부에 배치되며, 제빙 영역과 상기 제빙 영역의 저부에 위치되는 저빙 영역을 갖고, 상기 제빙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동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를 갖는 제빙실; 및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 또는 도어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상기 제빙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 영역이 위치되는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 모터를 갖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와 축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축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어들을 갖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연결되는 축을 제외한 전체 영역이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구동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상단부와, 상기 제빙실의 하부 일정 위치에서의 도어 하단부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를 개력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실에 제 1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 1고정홈에 분리형 구동 모듈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실에 제 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 2고정홈에 분리형 구동 모듈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실에 제 3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 3고정홈에 분리형 구동 모듈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실에 제 1'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제 1'고정홈에 일체형 구동 모듈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실에 제 2'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제 2'고정홈에 일체형 구동 모듈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실에 제 3'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 3'고정홈에 일체형 구동 모듈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고정홈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고정홈을 개폐하는 개폐 커버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모듈이 설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이 제빙실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상단 영역(A)과 하단 영역(B)이 격벽(110)으로 구획되며, 일면이 개방되는 본체(10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단 영역(B)에는 냉동에 요구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미도시)가 배치되는 냉동 영역이고, 상기 상단 영역(A)은 상기 냉동 영역(B)에서 생성된 냉기를 덕트와 같은 유로(미도시)를 통하여 전달 받아 일정 온도로 식품을 냉장하는 냉장 영역이다.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상단 도어(200)와 하단 도어(120)를 갖는다. 상기 상단 도어(200)는 상기 냉장 영역(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하단 도어(120)는 통상 상기 냉동 영역(B)을 개폐 할 수 있도록 트레이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빙 유니트는 상기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제빙실(300)과, 상기 제빙실(300)에 설치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회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갖는다.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듈(400,400', 도 1 내지 도 7b 참고)과 제어 모듈(500,501,502,503)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 모듈은 하기에 기술될 분리형(400)과 일체형(400', 도 5b 참고)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 모듈은 본체(100) 및 상단 도어(200)의 다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빙실(300)은 냉동 영역(B)으로부터 제공된 냉기를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영역(a)과, 상기 제빙 영역(a)의 저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빙 영역(b)을 갖는다.
상기 제빙 영역(a)에는,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일정 형상으로 저장되는 수용홈들(310a)이 형성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310)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 영역(B)으로부터 제공된 냉기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310)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덕트(320)가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310)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400,400')이 설치된다.
상기 저빙 영역(b)에는 상기 회동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310)로부터 인출되는 얼음들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아이스 버킷(600)에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는 상기 아이스 버킷(600)과 연통되며, 상기 제조된 얼음이 순차적으로 상단 도어(200)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디스펜서(70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 장치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단 도어(200)의 내측벽에서의 제빙실(300) 내벽 내부에 고정되어 아이스 트레이 부(300)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400, 도 1기준)과, 상기 제빙실(300)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 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500, 본체(100) 상단에 설치된 경우)을 갖는다.
상기 구동 모듈(400)은 상기 제어 모듈(5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410)와, 상기 모터부(410)로부터의 회전력을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축(311)에 전달하는 기어부(420)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의 모터부(410)와 기어부(420)는 분리형(도 1 내지 도 4b) 또는 일체형(도 5a 내지 도 7b)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전자의 경우(모터부와 기어부가 분리형으로 형성된 경우)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모터부(410)는 기어부(420)와 모서리부가 'ㄱ'형상을 이루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부(410)의 모터축은 동력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지는 기어부(420)와 연결되고, 기어부(420)는 아이스 트레이 부(310)와 축(311)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410)는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제빙실(300) 상측벽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기어부(420)는 상기 제빙실(300)의 측벽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300)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서로 결합된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 1고정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정홈(331)이 깊이(D1)는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이루고, 모터부(410)와 기어부(420)의 다른 부분은 제 1고정홈(331)의 외부(제빙실,300)에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420)와 축(311) 연결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310)는 모터부(410)의 하부에 위치되고, 기어부(42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측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 일부분이 제빙실(300)의 벽에 형성되는 제 1고정홈(311)에 삽입되는 공간(A1) 만큼,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의 공간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된 제빙 영역(a)의 공간 만큼,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부(310)에 형성되는 수용홈들(310a)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수용홈들(310a)에 급수되는 급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일일 제빙량이 증가되어 제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 하면, 상기 모터부(410)는 일면이 제빙실(300)에 노출되도록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제빙실(300) 상측벽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기어부(420)는 일면이 제빙실(300)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빙실(300)의 측벽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300)의 내측 상단 모서리부에는 제 2고정홈(3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고정홈(332)의 깊이(D2)는 상기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의 둘레와 내측면은 제 2고정홈(332)에 에워싸이게 되고,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의 외측면은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빙실(300)의 벽에 형성되는 제 2고정홈(332)에 삽입되는 공간(A2) 만큼,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의 공간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된 제빙 영역(a)의 공간 만큼,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부(310)에 형성되는 수용홈들(310a)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수용홈들(310a)에 급수되는 급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일일 제조되는 얼음량이 증가되어 제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편, 도 4a 및 도 4b를 참조 하면, 상기 모터부(410)는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매설된 상태로 제빙실(300) 상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부(420) 역시,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매설된 상태로 제빙실(300) 상측벽에 고정된다. 다만, 상기 기어부(420)에 형성되어 아이스 트레이 부(310)와 축(311) 연결되는 축 부분은 노출공(341)에 의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300)의 내측 상단 모서리부에는 제 3고정홈(333)이 형성된다. 상기 제 3고정홈(333)의 깊이(D3)는 상기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가 매설될 수 있는 깊이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는 기어부(420)와 연결되는 축(311)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제빙실(300)의 내측벽에 매설될 수 있기 때문에,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매설될 수 있도록 제빙실(300)의 벽에 형성되는 제 3고정홈(333)에 삽입되는 공간(A3) 만큼,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의 공간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된 제빙 영역(a)의 공간 만큼,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부(310)에 형성되는 수용홈들(310a)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수용홈들(310a)에 급수되는 급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일일 제조되는 얼음의 양이 증가되어 제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제빙실(300)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 3고정홈(333)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커버(3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커버(340)가 제 3고정홈(333)을 커버하는 경우, 상기 개폐 커버(340)의 외면은 제빙실(300)의 내측벽과 실질적으로 동일 선 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개폐 커버(340)의 외주는 제 3고정홈(333)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C)에 걸쳐 제 3고정홈(333)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커버(340)는 제 3고정홈(333)의 단차진 부분(C)과 볼트(B)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커버(340)는 제 3고정홈(333)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커버(340)를 사용하여 제 3고정홈(333)을 개폐함으로써, 제 3고정홈(333)에 매설된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고정홈(3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에 이상 증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를 외부로 인출하여 수리하여 재장착 또는 새로운 장치로 장착할 수 있다.
다음,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 하여, 후자의 경우(모터부와 기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 하면, 모터부(410')는 기어부(42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터부(410')는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제빙실(300) 측벽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기어부(420')는 상기 모터부(410')와 나란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빙실(300)의 측벽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300)의 내측벽에는 서로 하나의 몸체로 밀착되어 연결된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 1'고정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정홈(331')이 깊이(D1')는 상기 모터부(410')가 매설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기어부(420')의 일부분의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이루고, 기어부의 다른 부분은 제 1'고정홈(331')의 외부(제빙실,300)에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결되고, 기어부(420')는 아이스 트레이 부(310)와 축(311)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측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제 1'고정홈(331')에 삽입되는 공간(A1') 만큼,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의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가된 제빙 영역(a)의 공간 만큼,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부(310)에 형성되는 수용홈들(310a)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수용홈들(310a)에 급수되는 급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일일 얼음 제조량이 증가되어 제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 하면, 상기 모터부(410')는 제빙실(300) 측벽에 매설되어 고정되고, 상기 기어부(420')는 모터부(410')와 나란하게 연결된 상태로 일부분이 상기 제빙실(300)의 측벽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일측부가 제빙실(300)에 노출된다.
상기 제빙실(300)의 측벽에는 제 2'고정홈(33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고정홈(332')의 깊이(D2)는 상기 모터부(410')의 두께와, 기어부(420')의 일부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10')는 제 2'고정홈(332')에 매설되고, 기어부(420')는 일부분이 제 2'고정홈(332')에 삽입되며, 상기 기어부(420')의 외측부는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410')의 두께 및 기어부(420')의 일부 두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빙실(300)의 벽에 형성되는 제 2'고정홈(332')에 삽입되는 공간(A2) 만큼,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의 공간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된 제빙 영역(a)의 공간 만큼,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부(310)에 형성되는 수용홈들(310a)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수용홈들(310a)에 급수되는 급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일일 얼음 제조량이 증가되어 제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편, 도 7a 및 도 7b를 참조 하면, 상기 모터부(410')는 상단 도어(200)의 내측부에 매설된 상태로 제빙실(300) 상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부(420') 역시, 모터부(410')와 나란하게 연결된 상태로 제빙실(300) 측벽에 고정된다. 다만, 상기 기어부(420')에 형성되어 아이스 트레이 부(310)와 축(311) 연결되는 축 부분은 노출공(351)에 의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300)의 내측벽에는 제 3'고정홈(333')이 형성된다. 상기 제 3'고정홈(333')의 깊이(D3')는 상기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가 매설될 수 있는 깊이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는 기어부(420')와 연결되는 축(311)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제빙실(300)의 내측벽에 매설될 수 있기 때문에,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매설될 수 있도록 제빙실(300)의 벽에 형성되는 제 3'고정홈(333')에 삽입되는 공간(A3') 만큼,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의 공간이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증가된 제빙 영역(a)의 공간 만큼,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 역시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부(310)에 형성되는 수용홈들(310a)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수용홈들(310a)에 급수되는 급수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일일 얼음의 제조량이 증가되어 제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제빙실(300)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 3'고정홈(333')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커버(3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커버(350)가 제 3'고정홈(333')을 커버하는 경우, 상기 개폐 커버(350)의 외면은 제빙실(300)의 내측벽과 실질적으로 동일 선 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개폐 커버(350)는 그 외주가 제 3'고정홈(333') 테두리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C)에 걸침으로써, 제 3'고정홈(333')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커버(350)는 제 3'고정홈(333')의 단차진 부분(C)과 볼트(B)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커버(350)는 제 3'고정홈(333')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 커버(350)를 사용하여 제 3'고정홈(333')을 개폐함으로써, 제 3'고정홈(333')에 매설된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는 외부에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고정홈(3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에 이상 증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모터부(410') 및 기어부(420')를 외부로 인출하여 수리하여 재장착 또는 새로운 장치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모터부(410)와 기어부(420)로 분리되는 경우,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구동 모듈(400,400') 각각이, 제빙실(300)의 내측벽에 일부 고정 또는 완전 매설 될 수 있음을 통하여 제빙실(300)의 제빙 영역(a)을 일정 공간 이상으로 확보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한편, 도 8에는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러한 구동 모듈(4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2고정홈(331,332)을 회전 개폐하는 개폐 커버(340')가 더 설치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개폐 커버(340')는 제 1,2고정홈(331,3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직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그 일단은 제 1,2고정홈(331,332)의 일측 일정 부분의 제빙실(300) 벽에 형성되는 힌지단(H1)과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커버(340')는 상기 힌지단(H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 2고정홈(332)을 회전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커버(340')의 타단과, 상기 개폐 커버(340')의 타단이 안착되는 제 2고정홈(3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C)에는 서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반대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들(301,34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 커버(34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고정홈(331,322)을 커버하는 경우, 상기 개폐 커버(340')의 타단은 상기 서로 극성이 반대인 마그네트들(301,342)로 인하여 상기 단차진 부분에 일정의 인력을 형성하면서 부착된다.
또 한편, 도 9에는 모터부(410')와 기어부(42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러한 구동 모듈(4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2'고정홈(331',332')을 회전 개폐하는 개폐 커버(350')가 더 설치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개폐 커버(350')는 제 1',2'고정홈(331',3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직각으로 벤딩되어 형성되고, 그 일단은 제 1',2'고정홈(331',332')의 일측 일정 부분의 제빙실(300)의 상측벽에 형성되는 힌지단(H2)과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 커버(350')는 상기 힌지단(H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 2'고정홈(332')을 회전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커버(350')의 타단과, 상기 개폐 커버(350')의 타단이 안착되는 제 2고정홈(3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C)에는 서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반대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들(301,35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 커버(35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고정홈(331',332')을 커버하는 경우, 상기 개폐 커버(350')의 타단은 상기 서로 극성이 반대인 마그네트들(301,352)로 인하여 상기 단차진 부분(C)에 일정의 인력을 형성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개폐 커버(350')가 제빙실(300) 벽에서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개폐되고, 그 타단이 마그네트들(301,352)의 인력 작용에 의하여 부착됨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상기 개폐 커버(350')의 타단은 마그네트들(301,352) 뿐 만이 아니라 단차진 부분(C)과의 후크식의 결합도 가능 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1을 참조 하면, 특히 본 발명은 구동 모듈(400,40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 모듈(400,400')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모듈(500,501,502,503)이 제빙실의 외부에 설치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 모듈(500,501,502,503)은 구동 모듈(400,400')과 신호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첫 번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501)은 상단 도어(20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선(512)은 상단 도어(200)의 내부에 매설되는 상태로 상단 도어(20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어 모듈(501)과 구동 모듈(4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이의 길이는 1 미터 범위 내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500)은 냉장 영역(A)이 형성되는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선(511)은 상단 도어(200)에 매설되는 상태로 본체(100)와 상단 도어(20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210)를 통하여 본체(100)의 벽체에 매설되어 구동 모듈(400)과 제어 모듈(5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신호선(511)의 길이는 1미터 범위 내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500)은 본체(100)의 상단에서 본체(100)의 내부에 매설될 수도 있다.
세 번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503)은 본체(100)의 측벽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선(513)은 상단 도어(200)에 매설되는 상태로 본체(100)와 상단 도어(20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210)를 통하여 본체(100)의 측벽에 매설되어 구동 모듈(400)과 제어 모듈(50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신호선(513)의 길이는 1미 터 범위 내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네 번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모듈(502)은 상단 도어(20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 도어(200)의 하단부는 디스펜서(700)의 하부 위치인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선(514)은 상단 도어(200)에 매설되는 상태로 상단 도어(200)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구동 모듈(400)과 제어 모듈(5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선(514)의 길이는 1미터 범위 내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제어 모듈(500,501,502,503)은 제빙실(300) 외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단부, 상단 도어(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 또는 본체(100)의 측부에 설치함으로써, 제빙실(300)로부터 분리시키어, 제빙실(300) 내부에서 제어 모듈 설치로 인한 공간 낭비를 삭제하여 제빙실(300) 내의 충분한 제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구동 모듈(400)과 제빙실(300)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 모듈(500,501,502,50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선(511,512,513,514)의 길이를 1미터 이내로 한정하였다.
이는, 전기적 신호선의 길이가 1 내지 2미터 이상으로 길어지게 형성되는 경우에, 제빙실(300) 내의 아이스 트레이 부(310)의 회전 여부 및 이젝터 동작을 판단하는 홀 아이씨(Hall IC)와 제어 모듈 내부의 마이컴 간의 신호 노이즈가 발생되어 정상적인 신호 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제어 모듈(500,501,502,503)의 설치 위치는 상기 신호선의 길이가 1미터 이내를 이룰 수 있는 위치인 것이 좋다.
또 한편, 도 1 및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은 모니터링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어 모듈의 설치 위치를 네 가지의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네 가지의 경우에 해당되는 제어 모듈들(500,501,502,503)을 모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구동 모듈(400,400')과 4개의 제어 모듈(500,501,502,503)은 각각의 신호선들(511,512,513,514)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신호선들(511,512,513,514) 중 어느 하나만이 전기적 신호가 통하도록 하는 스위치(80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800)는 4개의 신호선들(511,512,513) 중 어느 하나만을 택하여 선택된 제어 모듈(500, 도 10기준)과 구동 모듈(400,4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제어 모듈들(500,501,502,503)이 정상적인 작동 능력을 이루고 있는지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부(900)를 더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니터링 부(900)는 상기 제어 모듈들(500,501,502,503) 작동시 발생되는 작동 전압이 정상 전압을 이루는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 부(900)는 정상인 제어 모듈과 비정상인 제어 모듈을 선별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800)와 연결되어 정상인 제어 모듈을 작동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800)의 스위칭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동 모듈(400,400')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들(500,501,502,503)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작동되는 제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구동 모듈(400,400')이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 본체
200 : 상단 도어
300 : 제빙실
310 : 아이스 트레이 부
331 : 제 1고정홈
332 : 제 2고정홈
332 : 제 3고정홈
331': 제 1'고정홈
332': 제 2'고정홈
333': 제 3'고정홈
400, 400': 구동 모듈
410, 410': 모터부
420, 420': 기어부
500.501, 502, 503 : 제어 모듈
600 : 아이스 버킷
700 : 디스펜서
800 : 스위치
900 : 모니터링 부

Claims (16)

  1. 제빙 영역과 저빙 영역을 갖는 제빙실;
    상기 제빙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동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제빙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 영역이 위치되는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 모터를 갖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와 축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축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어들을 갖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연결되는 축을 제외한 전체 영역이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
  8. 냉장 영역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냉장 영역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부에 배치되며, 제빙 영역과 상기 제빙 영역의 저부에 위치되는 저빙 영역을 갖고, 상기 제빙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동되는 아이스 트레이 부를 갖는 제빙실; 및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 또는 도어의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과, 상기 제빙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 영역이 위치되는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 모터를 갖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와 축 연결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축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어들을 갖는 기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기어부는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 부와 연결되는 축을 제외한 전체 영역이 상기 제빙실의 내벽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구동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상단부와, 상기 제빙실의 하부 일정 위치에서의 도어 하단부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유니트를 갖는 냉장고.
KR1020100067588A 2010-07-13 2010-07-13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71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88A KR101718021B1 (ko) 2010-07-13 2010-07-13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3/181,548 US20120011868A1 (en) 2010-07-13 2011-07-13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88A KR101718021B1 (ko) 2010-07-13 2010-07-13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79A true KR20120006879A (ko) 2012-01-19
KR101718021B1 KR101718021B1 (ko) 2017-03-20

Family

ID=4546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588A KR101718021B1 (ko) 2010-07-13 2010-07-13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11868A1 (ko)
KR (1) KR101718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045B2 (en) 2012-05-03 2016-12-06 Whirlpool Corporation Heater-less ice maker assembly with a twistable tray
US8925335B2 (en) 2012-11-16 2015-01-06 Whirlpool Corporation Ice cube release and rapid freeze using fluid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s
US9557087B2 (en) 2012-12-13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ing apparatus having an oscillation frequency and angle
US9410723B2 (en) 2012-12-13 2016-08-09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with rocking cold plate
US9273891B2 (en) 2012-12-13 2016-03-01 Whirlpool Corporation Rotational ice maker
US9476629B2 (en) 2012-12-13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and method for forming clear ice
US9500398B2 (en) 2012-12-13 2016-11-22 Whirlpool Corporation Twist harvest ice geometry
US9470448B2 (en) 2012-12-13 2016-10-1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US9518773B2 (en) 2012-12-13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er
US9518770B2 (en) 2012-12-13 2016-12-13 Whirlpool Corporation Multi-sheet spherical ice making
US20170089629A1 (en) * 2014-06-20 2017-03-30 Dae Chang Co., Ltd. Ice maker,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ce maker heater
US9915458B2 (en) 2014-10-23 2018-03-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ate of ice production in an automatic ice maker
US10030906B2 (en) 2014-12-18 2018-07-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US10739053B2 (en) 2017-11-13 2020-08-11 Whirlpool Corporation Ice-making appliance
US10907874B2 (en) 2018-10-22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downspou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2194A (en) * 1979-07-30 1983-09-06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Ice making apparatus to be incorporated in refrigerators
JPH09178318A (ja) * 1995-12-22 199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用自動製氷機
KR20060096533A (ko) * 2005-03-02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도어
KR20080090100A (ko) * 2007-04-04 2008-10-08 주식회사 대창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1933A (en) * 1959-07-13 1963-01-08 Philco Corp Freezing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ng it
US3677030A (en) * 1970-06-17 1972-07-18 Whirlpool Co Axially movable twist tray domestic ice maker
US3714794A (en) * 1972-02-04 1973-02-06 Whirlpool Co Drive motor-defrost timer for refrigerator
US3864933A (en) * 1973-11-29 1975-02-11 Gen Motors Corp Defrost timer arrangement for making clear ice
US4424683A (en) * 1982-09-27 1984-01-10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control
AU622049B2 (en) * 1989-10-25 1992-03-26 Kabushiki Kaisha Toshiba Heating cooking appliance
JPH0733943B2 (ja) * 1989-11-15 1995-04-12 株式会社東芝 自動製氷装置
KR100432752B1 (ko) * 2002-05-31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1491833A1 (en) * 2003-06-25 2004-12-29 Lg Electronics Inc. Ice bank of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MXPA04003411A (es) * 2004-04-07 2005-10-11 Mabe De Mexico S De R L De C V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hielos en gabinetes refrigerados.
MXPA06002373A (es) * 2005-03-02 2006-09-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dor.
US7395672B2 (en) * 2005-10-18 2008-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272398B1 (ko) * 2006-09-20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뱅크용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하는 냉장고용 아이스뱅크
US20080092574A1 (en) * 2006-10-20 2008-04-24 Doberstein Andrew J Cooler with multi-parameter cube ice maker control
EP2357437A1 (en) * 2006-12-11 2011-08-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2194A (en) * 1979-07-30 1983-09-06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Ice making apparatus to be incorporated in refrigerators
JPH09178318A (ja) * 1995-12-22 199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用自動製氷機
KR20060096533A (ko) * 2005-03-02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도어
KR20080090100A (ko) * 2007-04-04 2008-10-08 주식회사 대창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1868A1 (en) 2012-01-19
KR101718021B1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879A (ko)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2610564B1 (en) Refrigerator and icemaker
EP2610563B1 (en) Refrigerator
EP2476977B1 (en) Ice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074804B2 (en) Refrigerator
EP2730865B1 (en) Refrigerator
KR101189452B1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20080034779A1 (en) Refrigerator
US8328054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KR20110072506A (ko) 냉장고
KR20130028324A (ko) 냉장고
EP2808627A2 (en) Refrigerator
KR20100094880A (ko) 냉장고 및 그의 만빙감지장치
US1107915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1760B1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236771B1 (ko) 제빙기의 얼음 분리 저장 장치
KR10213640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20200036455A (ko) 냉장고 및 제빙 어셈블리
KR100795886B1 (ko) 제빙기
KR20160045554A (ko) 만빙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제빙기
KR20210051712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408573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제어방법
KR20000032977A (ko) 냉장고의 얼음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