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41U -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41U
KR20120006241U KR2020110001694U KR20110001694U KR20120006241U KR 20120006241 U KR20120006241 U KR 20120006241U KR 2020110001694 U KR2020110001694 U KR 2020110001694U KR 20110001694 U KR20110001694 U KR 20110001694U KR 20120006241 U KR20120006241 U KR 201200062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ink
plate
break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8313Y1 (en
Inventor
박우진
김현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1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13Y1/en
Priority to CN2012200638644U priority patent/CN202473738U/en
Priority to BR102012003979A priority patent/BR102012003979A2/en
Publication of KR20120006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4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단기의 측면에 구비된 푸시가이드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의 회전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링크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구속플레이트를 상기 크래들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단기가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크래들의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크래들의 셔터를 임의로 개폐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breaker. The cradle includes a restraining plate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rotation of a lin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while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according to whether the push guid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reaker is in contact with the cradl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by preventing the user from opening and closing the cradle shutter arbitrarily so that the shutter of the cradle does not open when the breaker is not drawn in.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Shutter safety device of vacuum breaker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ter safety device of a vacuum circuit breaker.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이하, 차단기로 약칭함)는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과 함께 설치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general, a vacuum circuit break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a circuit breaker) is installed together with a switchboard for managing various electrical devices, and is generally used in a cradle fixed to the switchboard.

상기 차단기는 고전압 대용량의 전류를 차단하는데 필요한 전기 기기로써 차단기의 보수 및 유지에 상당한 위험이 따른다. 이에 따라 차단기의 보수 및 유지가 요구될 때에 대비해서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들을 구비해야 한다.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는 셔터(Shutter)는 상기에서와 같은 안전장치의 일종이다. 상기 셔터는 차단기의 터미널을 크래들의 모선과 분리할 때 자동으로 모선측과 터미널측 사이를 차폐시켜 작업자가 모선측과의 접촉으로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circuit breaker is an electrical device necessary to cut off a high-voltage large current, which poses a significant risk in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ly, various safety devices should be provided in case the breaker needs maintenance and maintenance. The shutter provided in the cradle is a kind of safety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hutter automatically shields between the busbar side and the terminal side when the terminal of the breaker is separated from the busbar of the cradle, and serves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from the operator's contact with the busbar side.

도 1은 종래의 셔터 장치를 갖는 크래들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셔터 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having a conventional shutter device,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er device according to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셔터 장치는, 상기 크레들(1)의 후방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모선을 개폐하는 상부 셔터플레이트(3)와 하부 셔터플레이트(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래들(1)의 양 측면에는 차단기의 삽입력으로 상부 및 하부셔터플레이트(3)(4)를 동작시키는 셔터 작동유닛(10)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conventional shutter device, an upper shutter plate 3 and a lower shutter plate 4 are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cradle 1 to open and close the bus bar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cradle (1) is provided with a shutter operation unit 10 for operating the upper and lower shutter plate (3) (4) by the insertion force of the breaker.

상기 셔터 작동유닛(10)은 상부셔터 작동용 미끄럼링크(이하, 제1 미끄럼링크)(11)와 연결되는 상부셔터 작동용 회전링크(이하, 제1 회전링크)(12)와, 하부셔터 작동용 미끄럼링크(이하, 제2 미끄럼링크)(13)와 연결되는 하부셔터 작동용 회전링크(이하, 제2 회전링크)(14)와,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 작동용 피봇(이하, 피봇)(15)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shutter operation unit 10 is an upper shutter operating rotary li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liding link) 11 connected to an upper shutter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liding link)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otary link) 12 and a lower shutter operated. Lower shutter operation rotary li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liding link) 13 and a second rotary li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rotary link) 14, and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 14 is composed of a shutter operating pivot (hereinafter, pivot) 15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는 중간이 절곡되는 'ㄱ'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의 각 일단은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와 제2 미끄럼링크(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반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의 각 타단은 상기 피봇(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의 절곡부위에는 상기 차단기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셔터가이드(5)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도록 가압력을 전달받는 상부셔터 작동용 레버(이하, 제1 레버)(16)와 하부셔터 작동용 레버(이하, 제2 레버)(17)가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re each formed in a 'b' shape bent in the middle, each end of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liding link 11 and the second sliding link 13 while the other ends of the first rotating link 12 and the second rotating link 14 are connected to the pivot 15. It is rotatably coupled. Further, the bent portions of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re selectively contacted with shutter guides 5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reaker,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first rotary link 12 2 The upper shutter actuating le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lever) 16 and the lower shutter actuating le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lever) 17, which receive the pressing force so that the rotary link 14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combined.

상기와 같은 종래 진공차단기의 셔터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The shutter device of the conventional vacuum circuit breaker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follows.

즉, 사용자가 차단기를 크래들(1)의 수납공간으로 인입하여 운전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기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셔터가이드(5)가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에 접촉되어 그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를 가세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pulls the breaker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cradle 1 and moves it to the driving position, the shutter guides 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reaker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 17)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are added.

그러면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가 각각 피봇(15)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 즉 피봇(15)에서 먼 쪽 끝단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Then,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each generate a rotational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ivot 15, that is, in a direction where the ends far from the pivot 15 meet each other.

그러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피봇(15)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를 밀어 올리는 반면 상기 제2 미끄럼링크(13)를 끌어내리게 된다.Then,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rotates around the pivot 15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2 while pushing up the first sliding link 11 while the second The sliding link 13 is pulled down.

그러면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에 결합된 상부셔터(3)는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2 미끄럼링크(13)에 결합된 하부셔터(4)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크래들(1)의 모선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Then, the upper shutter 3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link 11 moves upward, and the lower shutter 4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link 13 moves downward to move the lower shutter 4 of the cradle 1. The mothership will open.

한편, 사용자가 차단기를 크래들(1)의 수납공간에서 인출하여 테스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전술한 인입과정과 반대로 작동되면서 상기 상부셔터(3)와 하부셔터(4)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ithdraws the breaker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cradle (1) to move to the test position,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is operated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above-mentioned pull-in process, the upper portion The shutter 3 and the lower shutter 4 are 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진공차단기의 셔터 장치에 있어서는, 차단기 없이도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를 밀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회전되면서 상부셔터(3)와 하부셔터(4)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셔터(3)(4)들을 열어 고전압이 인가된 크래들의 단자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shutter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vacuum circuit break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are pushed without the breaker,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re rotated. As the upper shutter 3 and the lower shutter 4 are configured to be ope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arbitrarily opens the shutters 3 and 4 to expose the terminals of the cradle to which the high voltage is applied.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로 셔텨를 열 수 없으며, 반드시 차단기가 크래들에 인입되어야만 셔텨를 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utter safety device for a vacuum circuit breaker that does not allow the user to open the shutter arbitrarily, and the breaker must be inserted into the cradle to open the shutter,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I'm trying to.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셔터를 갖는 크래들; 상기 셔터에 각각 연결되어 그 셔터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크래들에 타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로 인입되는 차단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링크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링크; 및 상기 차단기에 의해 움직이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셔터구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구속유닛은, 상기 차단기의 측면에 입출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시가이드; 상기 푸시가이드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의 회전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구속플레이트; 및 상기 구속플레이트와 크래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가이드가 구속플레이트와 이격되면 상기 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하는 플레이트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having at least one shutter; At least one first link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hutters to operate the shutters; At least one or more second link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radle, respectively, and lifts the first link while rotating by a breaker that is drawn into the cradle; And a shutter restraining unit for selectively limiting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ile moving by the breaker, wherein the shutter restraining unit comprises: a push guide formed at a side of the breaker in an entry / exit direction; A restraining plate configured to restrain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ile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depending on whether the push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push guide; And a plate retur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straint plate and the cradle to allow the restraint plate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en the push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restraint plate.

본 고안에 의한 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는, 차단기의 측면에 구비된 푸시가이드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의 회전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구속플레이트를 상기 크래들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단기가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크래들의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크래들의 셔터를 임의로 개폐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traint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ile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according to whether the push guid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reaker. By providing a plate in the cradle, the shutter of the cradle does not open when the breaker is not retracted so that the user cannot open or close the shutter of the cradle arbitrarily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have.

도 1은 종래의 셔터 장치를 갖는 크래들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셔터 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셔터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크래들에서 일측면을 개방하여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따른 셔터 안전장치에서 셔터 구속유닛을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따른 셔터 안전장치에서 구속 플레이트를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따른 셔터 안전장치에서 구속 해제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3에 따른 셔터 안전장치에서 잠금 유닛이 더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having a conventional shutter devic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hutter device according to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open from the cradle to explain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utter restraint unit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respectively, in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3;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restraint plate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in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being released from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3;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further provided in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3.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셔터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크래들에서 일측면을 개방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따른 셔터 안전장치에서 셔터 구속유닛을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따른 셔터 안전장치에서 구속 플레이트를 외측과 내측에서 각각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cradle open to explain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shutter restraint unit in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estraining plate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shutter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 3, respectively.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는, 상기 크래들(1)과 차단기(2)의 사이에 설치되어 그 차단기(2)가 상기 크래들(1)에서 운전(run) 위치로 이동할 때에만 상부셔터와 하부셔터(3)(4)가 열리는 반면 테스트(test) 위치로 이동할 때 또는 차단기(2)가 크래들(1)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셔터(3)와 하부셔터(4)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 구속유닛(4)00)이 구비된다.As shown therein, 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radle 1 and the breaker 2 so that the breaker 2 is in a run position in the cradle 1. The upper and lower shutters (3) and (4) are opened only when moving to the upper end, while the upper and lower shutters (3 and 4) are open when moving to the test position or when the breaker (2) is disconnected from the cradle (1). The shutter restraint unit 4 00 which prevents (4) from being opened arbitrarily is provided.

상기 크레들(1)의 후방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모선을 개폐하는 상부셔터(3)와 하부셔터(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셔터(3)는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의 타단에는 작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제1 회전링크(12)의 후방단이 연결된다. 상기 하부셔터(4)는 상기 제2 미끄럼링크(12)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미끄럼링크(12)의 타단에는 작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제2 회전링크(14)의 후방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의 각 전방단에는 그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의 회전중심이 되는 피봇(1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n upper shutter 3 and a lower shutter 4 are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cradle 1 to open and close the bus bar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shutter 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liding link 1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liding link 11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first rotary link 12 that transmits an operating force. . The lower shutter 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link 1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liding link 12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rotary link 14 for transmitting an operating force. . Each front end of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is rotatable to the pivot 15 which becom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respectively. To be combined.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는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의 절곡부위에는 상기 차단기(2)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셔터가이드(5)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도록 가압력을 전달받는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가 결합된다.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re bent in a 'b' shape, and the breaker (b)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 first lever selectively contacting the shutter guides 5 provided at both sides of 2) to receive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16) and the second lever 17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는 상기 피봇(15)에 결합되는 일단에 피봇구멍(121)(14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봇구멍(121)(141)들과 상기 레버(16)(17)들이 각각 결합되는 레버구멍(122)(142) 사이의 테두리면에는 후술할 구속플레이트(210)의 제1 구속부(213)와 제2 구속부(214)가 각각 착탈되도록 제1 구속홈(123)과 제2 구속홈(143)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123)(143)들은 차단기(2)의 입출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Here,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re pivot holes 121 and 141 are formed at one end coupled to the pivot 15, respectively, the pivot holes 121 and 141. ) And the first and second restraints 213 and 214 of the restraining plat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an edge between the lever holes 122 and 142 to which the levers 16 and 17 are coupled. The first restraint groove 123 and the second restraint groove 143 are formed to be detached from each other. The restraint grooves 123 and 143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entry / exit direction of the breaker 2.

그리고 상기 셔터가이드(5)는 차단기(2)의 양쪽 측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동시에 입출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가이드(5)는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양쪽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셔터가이드(5)의 끝단은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를 효과적으로 가세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가이드(5)들 사이에는 후술할 푸시가이드(21)가 형성된다. 상기 셔터가이드(5)의 끝단과 푸시가이드(21)의 끝단은 각각 레버(16)(17)들와 후술할 구속플레이트(210)에 동시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푸시가이드(21)가 구속플레이트(210)에 먼저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utter guide 5 has a predetermined height at both sides of the breaker 2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entry / exit direction. The shutter guides 5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respectively. The end of may be bent to effectively add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A push guide 21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between the shutter guides 5. The end of the shutter guide 5 and the end of the push guide 21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lever 16, 17 and the restraining plate 210 to be described later, or at least the push guide 21 to the restraining plate 210. It may be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contacted first.

한편,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셔터 구속유닛(200)은 상기 차단기(2)의 측면에 입출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푸시가이드(21)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12)(14)들의 회전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링크(12)(14)들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구속플레이트(210)와, 상기 구속플레이트(210)와 크래들(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가이드(21)가 구속플레이트(210)와 이격되면 상기 구속플레이트(210)가 상기 회전링크(12)(14)들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안내하는 플레이트 복귀부재(220)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shutter restraint unit 200 is in contact with the push guide 21 formed in the entry and exi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breaker (2) the rotary link 12 ( 14 is provided between the restraining plate 210 and the restraining plate 210 and the cradle 1 to restrain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s 12 and 14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14. When the push guide 21 is spaced apart from the restraining plate 210, the restraining plate 210 is composed of a plate return member 220 for guiding the restraint of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s 12 and 14.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구속플레이트(210)는 상기 푸시가이드(21)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받는 가압부(211)와, 상기 가압부(21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그 구속플레이트(210)가 소정의 길이만큼 좌우방향(회전링크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엇갈리는 방향)으로 가변되도록 하는 가변부(212)와, 상기 가변부(212)의 일단에서 상기 가압부(21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후술할 회전링크(12)(14)의 구속홈(123)(143)들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제1 구속부(213) 및 제2 구속부(214)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restraining plate 210 is in contact with the push guide 21 and receives a pressing force,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pressing part 211 to restrain the restraining plate ( A variable portion 212 which allows the 210 to be vari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link rotat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parallel to the pressing portion 211 at one end of the variable portion 212; It extends and consists of a first restraining portion 213 and a second restraining portion 214 selectively detachable to the restraint grooves 123 and 143 of the rotary link 12 and 1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압부(211)의 중앙에는 상기 피봇(15)에 삽입되도록 제1 관통부시(21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부시(215)의 중간에는 단차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16)의 외측면에는 상기 복귀부재(220)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 푸시가이드(21)와 구속플레이트(210)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구속플레이트(210)가 원위치(회전링크를 구속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221)이 지지되는 반면, 상기 단차부(216)의 내측면에는 그 구속플레이트(210)가 크래들(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봇(15)에 체결된 체결너트(도 5에 도시)(222)가 지지된다.A first through bush 21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rt 2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ivot 15, and a step 216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through bush 215. The outer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216 forms a part of the return member 220 and when the push guide 21 and the restraining plate 210 are separated, the restraining plate 210 rests at its original position (restricts the rotary link). A return spring 221 is supported to return to the pivot 15, while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tepped portion 216 is supported by the pivot 15 to maintain the restraining plate 210 mounted on the cradle 1. A fastening nut (shown in FIG. 5) 222 which is fastened is supported.

상기 가변부(212)는 푸시가이드(21)의 끝단과 접촉된 후 가압부(211)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가변부(212)와 가압부(211)가 만나는 모서리는 경사지거나 곡면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가이드(21)의 시작단은 그 푸시가이드(21)가 상기 가변부(212)를 타고 가압부(211)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곡면지게 안내면(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variable part 212 should be able to move to the pressing part 211 after being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ush guide 21, the corner where the variable part 212 and the pressing part 211 meet is formed to be inclined or curved. . Here, the start end of the push guide 21 is that the guide surface 22 is formed to be inclined or curved so that the push guide 21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pressing unit 211 by the variable portion 212. desirable.

상기 구속부(213)(214)는 평면투영시 "ㄷ"자 단면 모양의 한 쪽 끝단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돌기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양쪽 구속부(213)(214)는 평면투영시 제1 관통부시(215)와 중첩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stricting portions 213 and 214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project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at one end of the "C" cross-sectional shape in planar projection. Both restraints 213 and 214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verlapping with the first through bush 215 in the projection.

상기 구속플레이트(210)의 가변부 전방단에는 안내부(217)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217)에는 상기 크래들(1)에 구비되는 가이드핀(6)에 삽입되어 상기 구속플레이트(210)가 틀어지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관통부시(218)가 형성될 수 있다.A guide part 217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part of the restraint plate 210, and the guide part 217 is inserted into the guide pin 6 provided in the cradle 1 to restrain the restraint plate 210. The second through bush 218 may be formed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out twisting.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사용자가 차단기(2)를 크래들(1)에 인입할 경우에만 상기 크래들(1)의 셔터(3)(4)가 열리는 반면 사용자가 차단기(2)를 크래들(1)에 인입하지 않고 임의로 크래들(1)의 셔터(3)(4)를 열려고 하면 상기 셔터(3)(4)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hutter (3) (4) of the cradle (1) opens only when the user pulls the breaker (2) into the cradle (1) while the user does not pull the breaker (2) into the cradle (1) arbitrarily Attempting to open the shutters 3 and 4 of the cradle 1 prevents the shutters 3 and 4 from opening,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단기(2)를 크래들(1)의 수납공간으로 인입하여 운전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기(2)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셔터가이드(5)가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에 접촉되기 전에 또는 이와 동시에 상기 푸시가이드(21)가 구속플레이트(210)의 가압부(211)를 눌러 그 구속플레이트(2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breaker 2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cradle 1 and moves it to the driving position, the shutter guides 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reaker 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first lever. Prior to or simultaneously with the contact of the 16 and the second lever 17, the push guide 21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11 of the restraining plate 210 so that the restraining plate 21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그러면 상기 구속플레이트(210)에 구비되는 제1 구속부(213)와 제2 구속부(214)가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에 구비된 제1 구속홈(123)과 제2 구속홈(143)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는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Then, the first restraining portion 213 and the second restraining portion 214 provided in the restraining plate 210 are provided with a first restraining groove provided in the first rotating link 12 and the second rotating link 14.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re separated from the 123 and the second restraint groove 143 so that the restraint is released.

그러면 상기 셔터가이드(5)가 후방향(크래들의 안쪽방향)으로 더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를 가세하게 된다. Then, the shutter guide 5 moves further in the rearward direction (inward direction of the cradle) to add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그러면 상기 제1 레버(16)와 제2 레버(17)가 각각 피봇(15)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 즉 피봇(15)에서 먼 쪽 끝단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Then, the first lever 16 and the second lever 17 each generate a rotational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ivot 15, that is, in a direction where the ends far from the pivot 15 meet each other.

그러면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피봇(15)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를 밀어 올리는 반면 상기 제2 미끄럼링크(13)를 끌어내리게 된다.Then,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rotates around the pivot 15 while pushing up the first sliding link 11 while pulling the second sliding link 13. Get off.

그러면 상기 제1 미끄럼링크(11)에 결합된 상부셔터(3)는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2 미끄럼링크(13)에 결합된 하부셔터(4)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크래들(1)의 모선쪽 후면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Then, the upper shutter 3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link 11 moves upward, and the lower shutter 4 coupled to the second sliding link 13 moves downward to move the lower shutter 4 of the cradle 1. The back of the mothership will open.

한편, 사용자가 차단기(2)를 크래들(1)의 수납공간에서 인출하여 테스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회전링크(12)와 제2 회전링크(14)가 전술한 인입과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상부셔터와 하부셔터가 닫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ithdraws the breaker (2)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cradle (1) to move to the test position,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mentioned retraction process The upper and lower shutters are closed while rotating.

그러면, 상기 구속플레이트가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기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구속플레이트의 구속돌기가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의 구속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Then, the restraint plat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break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the restraint projection of the restraint plate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t groove of the first rotary link and the second rotary link to the first rotary link and the second. Constrain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

이때, 사용자가 차단기를 크래들에 인입하지 않은 상태로 셔터를 열려고 하면, 상기 구속플레이트의 구속돌기가 상기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의 구속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링크와 제2 회전링크의 구속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상부셔터와 하부셔터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if the user tries to open the shutter without the break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the restraining protrusion of the restraining plate is coupled to the restraining groove of the first rotating link and the second rotating link, and the first rotating link and the second rotating link. The upper and lower shutters do not open as the link is held in a restrained state.

이렇게 하여, 차단기가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크래들의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크래들의 셔터를 임의로 개폐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hutter of the cradle is not opened when the breaker is not retracted so that the user cannot arbitrarily open or close the shutter of the cradle, thereby preventing a user from being exposed to danger.

본 발명에 의한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셔터가 차단기의 인입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상기 셔터의 개폐동작을 임의로 제한하도록 하는 셔터 잠금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hutter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whether the breaker is pulled in or out,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hutter locking unit for arbitrarily limi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크래들(1)의 측면에는 상기 구속플레이트(210)와 대응되도록 잠금플레이트(220)가 구비되고, 상기 구속플레이트(210)와 잠금플레이트(230)에는 각각 잠금기구(예를 들어, 자물쇠)(240)를 걸어 잠그기 위한 잠금구멍들(231)(23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side of the cradle 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220 to correspond to the restraining plate 210, and the restraining plate 210 and the locking plate 230 are respectively locked mechanisms (eg, For example, lock holes 231 and 232 for locking and locking the lock 240 are formed.

상기 구속플레이트(210)와 잠금플레이트(2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제1 잠금구멍(231)과 제2 잠금구멍(23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잠금구멍(232)에 잠금기구(240)를 걸어 잠그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플레이트(210)가 구속 해제된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셔텨(3)(4)가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잠금구멍(231)에 잠금기구(240)를 걸어 잠그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플레이트(210)가 제1 회전링크(12) 및 제2 회전링크(14)와 구속된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셔터(3)(4)가 차단기(2)의 입출여부와 관계없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restraint plate 210 and the lock plate 230 may have a first lock hole 231 and a second lock hole 23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a result, when the locking mechanism 240 is locked by locking the second locking hole 232, the shutter 3 and 4 are always opened by forcibly maintaining the restrained state of the restraining plate 210. You can keep the state.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locking the locking mechanism 240 to the first locking hole 231, the restraining plate 210 and the first rotary link 12 and the second rotary link 14 and It is possible to forcibly maintain the restrained state so that the shutters 3 and 4 do not open regardless of whether the breaker 2 is in or out.

3 : 상부셔터 4 : 하부셔터
5 : 셔터가이드 21 : 푸시가이드
12,14 : 회전링크 123,143 : 구속홈
210 : 구속 플레이트 211 : 가압부
212 : 가변부 213,214 : 구속부
215 : 제1 관통부시 216 : 단차부
217 : 안내부 218 : 제2 관통부시
221 : 복귀스프링 230 : 잠금 플레이트
3: upper shutter 4: lower shutter
5: Shutter Guide 21: Push Guide
12,14: rotating link 123,143: restraint groove
210: restraining plate 211: pressing portion
212: variable part 213,214: restraining part
215: first through bush 216: stepped portion
217: guide portion 218: second through bush
221: return spring 230: locking plate

Claims (8)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셔터를 갖는 크래들;
상기 셔터에 각각 연결되어 그 셔터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크래들에 타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크래들로 인입되는 차단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링크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링크; 및
상기 차단기에 의해 움직이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셔터구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구속유닛은,
상기 차단기의 측면에 입출방향으로 형성되는 푸시가이드;
상기 푸시가이드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링크의 회전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구속플레이트; 및
상기 구속플레이트와 크래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가이드가 구속플레이트와 이격되면 상기 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제2 링크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하는 플레이트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Cradles having at least one shutter;
At least one first link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hutters to operate the shutters;
At least one or more second link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radle, respectively, and lifts the first link while rotating by a breaker that is drawn into the cradle; And
And a shutter restraining unit for selectively limiting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ile moving by the breaker, wherein the shutter restraining unit includes:
Push guides formed in the entry and exi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breaker;
A restraining plate configured to restrain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ile moving in a direction crossing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depending on whether the push guide is in contact with the push guide; And
And a plate retur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straint plate and the cradle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when the push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restrain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와 구속플레이트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구속홈이 형성되는 반면 다른 한 쪽에는 상기 구속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y one of the second link and the restraint plate is formed with a restraint groove while the other side of 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breaker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projection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estraint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가이드는 차단기의 측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푸시가이드의 인입방향 시작단에는 상기 구속플레이트를 타고 인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경사지거나 곡면지게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ush guid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side of the breaker, the safety of the shutter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is formed in the inclined or curved guide surface to be moved in the inlet direction riding the restraint plate at the start end of the push guid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에는 상기 차단기에 구비되는 셔터가이드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링크가 회전을 하도록 외력을 전달받는 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플레이트는 상기 푸시가이드가 셔터가이드와의 높이차 만큼 상기 레버와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link is formed with a lever in contact with the shutter guide provided in the breaker receives the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second link,
The restraint plate is a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the push guide is formed at a height different from the lever by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shutter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크래들에 구비되는 피봇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피봇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플레이트는 상기 피봇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부시가 형성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link is formed with a pivot hole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 provided in the cradle,
The restraint plate is a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is formed in the bush is inserted and coupl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vo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복귀부재는,
상기 구속플레이트가 푸시가이드와 이격되었을 경우 그 구속플레이트가 상기 제2 링크를 구속하도록 상기 구속플레이트의 일측면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구속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피봇의 끝단에 체결되는 체결편;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ate return member,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one side of the restraining plate so that the restraining plate restrains the second link when the restraining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push guide; And
And a fastening piece fastened to an end of the pivot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restraint plate.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시가 구비되어 그 두 개 이상의 부시가 상기 크래들에 대해 각각 미끄러지게 결합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restraint plate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bushes, 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the two or more bushes are each slidably coupled to the crad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잠금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플레이트와 구속플레이트에는 별도의 잠금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구속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잠금부가 형성되는 진공차단기의 셔터 안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the locking plate and the restraining plate of the shutter safety device of the vacuum circuit breaker is formed with a lock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restraining plate using a separate locking mechanism.
KR2020110001694U 2011-02-28 2011-02-28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KR2004783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94U KR200478313Y1 (en) 2011-02-28 2011-02-28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CN2012200638644U CN202473738U (en) 2011-02-28 2012-02-23 Shutter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BR102012003979A BR102012003979A2 (en) 2011-02-28 2012-02-24 closing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94U KR200478313Y1 (en) 2011-02-28 2011-02-28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41U true KR20120006241U (en) 2012-09-05
KR200478313Y1 KR200478313Y1 (en) 2015-09-17

Family

ID=4692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94U KR200478313Y1 (en) 2011-02-28 2011-02-28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78313Y1 (en)
CN (1) CN202473738U (en)
BR (1) BR102012003979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80A (en) * 2016-12-15 2018-06-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oor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93B1 (en) 2010-02-02 2010-05-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Device for locking case door of vacuum circuit breaker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580A (en) * 2016-12-15 2018-06-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Door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2003979A2 (en) 2016-04-26
KR200478313Y1 (en) 2015-09-17
CN202473738U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KR101052636B1 (en) Balance entry / exit prevention device of circuit breaker
JP5108086B2 (en) Circuit breaker
EP331918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KR101191159B1 (en)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vuit breaker
JP5237407B2 (en) Circuit breaker plug interlock device
KR101261968B1 (en) Vacuum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apparatus
JP2002369321A (en) Lock of draw out type electric apparatus unit
JP6764295B2 (en) Switch gear
US7064283B2 (en) Device for fixing a power circuit breaker in an insertion rack
KR101604280B1 (en) Switchboard
KR101191571B1 (en) An air circuit breaker
KR20120006241U (en) Safety device of shutter for vaccum circuit breaker
KR20170003662U (en) Handle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panel
BR102012006128A2 (en) Vacuum Breaker
KR101704430B1 (en) Interlock device of vaccum circuit breaker
KR100852436B1 (en) Door and closed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5338961B2 (en) switchboard
KR102517740B1 (en) Door Interlock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CN104953496A (en) Interlocking system used for shutters
US20120193194A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breakers
KR101409957B1 (en) Door Lock Assembly with Door Open Switch
KR200461615Y1 (en) Door interlock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of distribute panel board
JP5338122B2 (en) switchboard
KR101698815B1 (en)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