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02U -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 Google Patents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02U
KR20120006002U KR2020110001345U KR20110001345U KR20120006002U KR 20120006002 U KR20120006002 U KR 20120006002U KR 2020110001345 U KR2020110001345 U KR 2020110001345U KR 20110001345 U KR20110001345 U KR 20110001345U KR 20120006002 U KR20120006002 U KR 201200060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ase plate
support frame
auxilia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69946Y1 (en
Inventor
우명식
Original Assignee
우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명식 filed Critical 우명식
Priority to KR2020110001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46Y1/en
Publication of KR20120006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0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4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4Detachable serving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2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있어서, 상부에 소정의 물건이 안치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작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서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테이블에 탈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용 보조 선반의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plate for a table, the base plate made of a plate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and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formed extending in the 'b' shape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and includes one or more fixing bolts for detaching the shelf to the table by adjusting the spacing, The table relates to a secondary shelf for a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ables with a simple structure, spac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auxiliary table shelf can be reduced.

Description

테이블용 보조 선반{AN AUXILIARY SHELF FOR TABLE}Secondary shelf for tables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점의 테이블 등에 설치하여 그릇이나 병 등 다양한 물건을 안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helf for a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shelf for a table designed to be placed in a restaurant table or the like to place various objects such as a bowl or a bottle.

통상 음식물을 제공하는 요식업소 등에서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인원을 수용하기 위해서 최대한 많은 테이블을 구비하려고 하고, 따라서 테이블의 크기도 인원에 맞게 최소한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밥그릇, 국그릇, 찬기, 음료, 잔, 수저 등을 테이블에 모두 안치하기에는 테이블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general, restaurants and restaurants that provide food is to be provided with as many tables as possible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limited space, and therefore, the size of the table is also generally made to the minimum. Therefore, in some cases,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pace of the table becomes narrow to place all the rice bowls, soup bowls, cups, drinks, glasses, cutlery, etc. on the table.

예를 들면, 3명의 인원을 수용하도록 제작된 원탁형 테이블에 필요에 따라 4명의 인원이 앉게 되는 경우 테이블의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의 공간이 부족하다고 하여 손님을 놓치게 되면 음식점 입장에서 손해가 되며, 그렇다고 처음부터 4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테이블만 설치하게 되면 최대 수용인원 자체가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if four people are seated in a round table that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ree people, a problem may arise that the table is short of space. At this time, if there is not enough space in the table, if the customer misses, the restaurant will be damaged. However, if only the table can accommodate four people from the beginning, the maximum capacity will be reduced.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테이블의 하부에 연결되어 필요한 경우에 꺼내어 쓸 수 있도록 보조테이블을 설치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uxiliary table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ble so that it can be taken out if necessary.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보조테이블을 설치하는 경우 보조테이블 설치를 위해 테이블 하부에 별도의 보조테이블 수납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보조테이블을 테이블 하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을 테이블 하부에 구비해야 하였다. 따라서 테이블의 구조 자체가 복잡해지며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auxiliary table as in the prior art, a separate auxiliary table storage space is requir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for installing the auxiliary table, and a separate fixing means has to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to fix the auxiliary table to the bottom of the table.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table itself is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cost increases.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보조테이블은 항상 테이블 하부에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위치와 개수 및 방향을 바꾸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tabl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alway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number, and direc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flexibly applied to the situ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공간과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shelf for a table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to various situations while minimizing waste of space and cost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있어서, 상부에 소정의 물건이 안치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작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서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테이블에 탈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을 제공한다.An auxiliary shelf for a table, comprising: a base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object can be placed thereon;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in a 'b' shape; And at least one fixing bol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djusting the distance to detach the shelf to the table, wherein the table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Provide a shelf.

여기서, 상기 테이블은 원형의 테이블이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원형의 테이블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table is a circular table, the bas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table.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안치된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s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jaw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so that objects placed therein do not fall.

한편,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테이블과 밀착되는 부분이 원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bol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table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

또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ne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frame.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테이블용 보조 선반의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ary table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tables with a simple structure can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and the production cost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secondary table shelf is reduc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테이블 등에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므로 위치, 개수, 방향 등을 조정하여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attached to the table, et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flexibly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number, dir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이 원형 테이블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이 직사각형 테이블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 복수개가 테이블(200)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shelf 100 for a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auxiliary shelf 100 for the table of FIG.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auxiliary shelf 100 for the table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ary table for the 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lar tabl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ary table for the 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ctangular tabl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secondary shelves 100 for a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table 20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sign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must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좌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정면 부분을 전방 또는 전면으로 배면 부분을 후방 또는 후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secondary shelf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table secondary shelf 100 of FIG. 1, and FIG. 3 is a table secondary shelf 100 of FIG. 1. The left side of.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of FIG. 1, the front por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rear portion or the rear portion as the front or front portion.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이 원형 테이블(200)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이 직사각형 테이블(200)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 복수 개가 테이블(200)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econdary table 100 for a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lar table 200, Figure 5 is a secondary table 100 for a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table 200 )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is mounte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secondary shelves 100 for a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table 20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과 고정볼트(130)와 걸림턱(111)과 원형판(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auxiliary table for the shelf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se plate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the fixing bolt 130 and the locking step 111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ircular plate 13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소정의 물건이 안치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작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크기는 음식점 등의 테이블(200)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모양도 도 1에 실시예로 도시된 형태뿐만 아니라 삼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재질 역시 특별히 어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소정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면서도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이나 스테인리스 재질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late 110 is manufactured in a plate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object can be placed thereon. The size of the base plate 110 can b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ble 200, such as restaurants, the shape of the base plate 110 in various forms such as triangle, semi-circle as well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Can be formed. The material of the base plate 110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configuration, but is preferably made of aluminum, stainless steel, etc., which is strong enough to withstand a predetermined weight.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후면은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도록 하여 위험을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is formed in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to reduce the risk of being injured even when hitting the table auxiliary shelf 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step 111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110.

걸림턱(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안치된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1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볼트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jaw 11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110 so that objects placed in the base plate 110 do not fall as shown in FIG. 1, and detachable from the base plate 110. It is desirable to be fastened to the base plate 110 by bolts.

또한, 상기 걸림턱(11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부분을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물건을 옮기는 경우 등에 있어서 모서리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latching jaw 111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by the edges in case of moving the goods by manufacturing the front portion in a tapered shape as shown in Figs.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ame 1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b' shape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됨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에 의해 'ㄷ'자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ㄷ'자 모양의 공간으로 테이블(200)의 외측면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테이블(200)의 두께를 고려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적절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frame 120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110 and extends downward, thereby forming a 'c' shape by the base plate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The space is form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 200 is inserted into the '' 'shaped space. Therefore, the support frame 120 is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distance from the base plate 110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table 200.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보다 테이블(200) 방향(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테이블(200) 하부에서 지지프레임(120)의 지지력이 향상되므로 선반(100)위에 놓여지는 물건의 무게를 보다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upport frame 12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front) of the table 200 than the base plate 110. In this case, sin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frame 120 is improved i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200, the weight of the object placed on the shelf 100 can be more stably withstanded.

상기 고정볼트(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반(100)을 상기 테이블(200)로부터 탈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bolt 13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is formed to adjust the interval serves to detach the shelf 100 from the table 200.

부착시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의해 형성된 'ㄷ'자형 공간으로 테이블(200)이 삽입되면 고정볼트(130)를 조여줌으로써 선반(100)과 테이블(200)이 밀착되도록 하고, 탈착시에는 그 반대방향으로 고정볼트(130)를 풀어줌으로써 선반(100)과 테이블(200)이 분리되도록 한다.At the time of attachment, when the table 200 is inserted into the 'c' shaped space formed by the base plate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the shelf 100 and the table 200 are tightened by tightening the fixing bolt 130. In ord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helf 100 and the table 200 are separated by releasing the fixing bolt 130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detached.

상기 고정볼트(130)는 선반(100)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에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할 수 있다. 이는 고정볼트(130)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The fixing bolt 130 may be form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helf 100, it may be installed one each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frame 120, as shown in an embodiment in FIG. This is to secure the support efficiently while reducing the cost required for the fixing bolt 130 as possible.

또한, 상기 고정볼트(130)는 상기 테이블(200)과 밀착되는 부분을 원형판(131)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circular plate 131 in close contact with the table 200.

원형판(131)과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가진 판으로 형성하는 경우 테이블(200)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밀착력과 지지력이 향상되고 고정볼트(130)에 의해 테이블(200) 하부가 손상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원형판은 일 실시예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원형판 상면에 다수의 돌기나 홈을 형성함으로써 테이블(200)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고정력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the case of forming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uch as the circular plate 131,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able 200 is widened, thereby improving adhesion and supporting force and damag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200 by the fixing bolt 130. Can also be prevented. However, the circular plate may form a plate in various shapes as an embodiment, and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table 200 by form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plate may improve the fixing force and the supporting forc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이 원형의 테이블(200)에 장착된 것을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that the secondary table 100 for a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ircular table 2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200)이 원형인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지지프레임(120)도 상기 원형의 테이블(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과 테이블(200)의 측면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한 확장함으로써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에 놓인 물건을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table 200 is circular, the base plate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table 200. The reason for this is to expan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able side shelf 100 and the table 200 to the maximum, so that the objects placed on the table side shelf 100 can be stably and reliably supported.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200)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지지프레임(120) 역시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hape of the table 200 is a rectangular shape, the base plate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of the table secondary shelf 100 may also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도 6은 테이블(200)에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이 복수 개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table auxiliary shelv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table 200.

종래 기술의 경우 테이블 하부에 보조테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테이블 하부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설치할 수 있는 보조테이블의 개수가 정해져 있었고, 보조테이블이 한번 설치되면 그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In the prior art, even when installing the auxiliary table i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the space under the table is limited, so that the number of auxiliary tables that can be installed is determined, and once the auxiliary table is installed,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change its position. there was.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은 테이블(200)에 장착되는 개수를 자유롭게 변경시켜 적용할 수 있고, 그 위치도 고정볼트(130)를 이용하여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을 탈부착시킴으로써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table auxiliary 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y freely changing the number mounted on the table 200, and the position thereof using the fixing bolt 130 as well. Since it can be changed at any time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ary shelf 100 for the t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lexibly adapted to the situa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테이블용 보조 선반(100)은 그 구조상 약간의 돌출된 부분만 있으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음식점의 테이블(200)뿐만 아니라 가정용 책상에도 사용할 수도 있고, 의자의 팔걸이 등에도 부착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able auxiliary shelf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f only a slight protruding part in its structure, it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table 200 of a restaurant, but also for a home desk, or can be attached to an armrest of a chair or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100: 테이블용 보조 선반 110: 베이스플레이트
111: 걸림턱 120: 지지프레임
120: 고정볼트 131: 원형판
100: table shelf 110: base plate
111: locking step 120: support frame
120: fixing bolt 131: round plate

Claims (5)

테이블용 보조 선반에 있어서,
상부에 소정의 물건이 안치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제작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서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테이블에 탈부착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
In the auxiliary table shelf,
A base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object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A support fram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in a 'b'shape; And
And at least one fixing bol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djusting the gap to detach the shelf to the table.
The table is an auxiliary shelf for a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원형의 테이블이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원형의 테이블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table is a circular table,
The bas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is a secondary t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안치된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late is a secondary shelf for a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engaging jaw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so that objects placed therein do not f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테이블과 밀착되는 부분이 원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bolt is a secondary table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table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용 보조 선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bolt is a secondary shelf for a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e each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frame.
KR2020110001345U 2011-02-18 2011-02-18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KR2004699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45U KR200469946Y1 (en) 2011-02-18 2011-02-18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45U KR200469946Y1 (en) 2011-02-18 2011-02-18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02U true KR20120006002U (en) 2012-08-28
KR200469946Y1 KR200469946Y1 (en) 2013-11-15

Family

ID=5074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45U KR200469946Y1 (en) 2011-02-18 2011-02-18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4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8099A1 (en) * 2018-12-26 2022-07-14 Bu Seong KIM Movable integrated table
KR102567643B1 (en) * 2023-06-13 2023-08-17 (주) 조은이엔티 Table with auxiliary tab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144A (en) 2014-07-31 2016-02-16 이종훈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KR200483946Y1 (en) 2016-11-19 2017-07-11 김철윤 Auxiliary shelf for t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823A (en) * 1993-02-26 1994-09-06 Toyosetsuto Kk Device for side table
JPH0736759U (en) * 1993-12-24 1995-07-11 株式会社ニホンビソー Side table
JP3458015B2 (en) * 1994-10-26 2003-10-20 株式会社くろがね工作所 Auxiliary tabletop device for table
KR200423490Y1 (en) * 2006-05-29 2006-08-08 도림산업 주식회사 Desk upper board including mag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8099A1 (en) * 2018-12-26 2022-07-14 Bu Seong KIM Movable integrated table
KR102567643B1 (en) * 2023-06-13 2023-08-17 (주) 조은이엔티 Table with auxiliary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946Y1 (en)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946Y1 (en) An auxiliary shelf for table
US20180263379A1 (en) High chair structure
US11490749B2 (en) Nested tableware set
KR101445760B1 (en) Shelf for bathroom
US20120248957A1 (en) Food pan guide
KR101873638B1 (en) Auxiliary support of kitchen shelf
USD675883S1 (en) Combination napkin and utensil holder
KR100673488B1 (en) Chopping board hanger unit
US11129501B2 (en) Cutting board
US11730295B2 (en) Kitchen knife holder and kitchen knife holder unit
US20200367673A1 (en) Tableware stand
US20110084537A1 (en) Seat Frame For A Folding Chair
CN210902038U (en) Supporting frame
KR20160001201U (en) Cabinet fixing device
KR200457306Y1 (en) a crosspiece
CN215777239U (en) Cooking utensil
KR20190103546A (en) Shelf type Kitchen utensils hanger
KR200443182Y1 (en) Shelf for Kitchen
CN210901993U (en) Connecting structure for table plate and table legs of tea table
WO2008125602A1 (en) Tray for food and drinks
JP3228801U (en) Partition unit
CN213464376U (en) Hotel uses food to put cabinet
CN211703996U (en) Bowl basket structure
JP2000197555A (en) Tray for fixtures for table
WO2006017225A3 (en) Edge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