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893A - Functional pillow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893A
KR20120005893A KR1020100066582A KR20100066582A KR20120005893A KR 20120005893 A KR20120005893 A KR 20120005893A KR 1020100066582 A KR1020100066582 A KR 1020100066582A KR 20100066582 A KR20100066582 A KR 20100066582A KR 20120005893 A KR20120005893 A KR 20120005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yngeal
larynx
functional pillow
pillow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인
Original Assignee
서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인 filed Critical 서정인
Priority to KR102010006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893A/en
Publication of KR2012000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93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후두 및 양쪽 뺨을 포근하게 감싸 안락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강한 일반인은 물론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 등이 올바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하였을 때 경추의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와; 후두안치부에 대응하여 안치되는 사용자의 후두 크기에 따라 후두안치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두안치부의 뒤쪽 일단을 함몰하여 형성되는 신축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supports the cervical spine, and comfortably covers the larynx and both cheeks to provide comfortable and stable support, so that healthy people as well as facial plastic patients,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etc.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It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ryngeal settled portion re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A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which extends in front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when the larynx is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region; An expansion space formed by recessing one end of the back of the larynx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laryngeal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larynx of the user 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aryngeal se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Functional pillow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후두 및 양쪽 뺨을 포근하게 감싸 안락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건강한 일반인은 물론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 등이 올바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supports the cervical spine, and comfortably covers the larynx and both cheeks to provide comfortable and stable support, so that healthy people as well as facial plastic patients,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etc.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It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일반적으로 베개는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쳐 숙면을 취하도록 하는 침구로서, 베개를 잘못 선택할 경우 어깨 결림, 코 골이, 두통 불면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베개는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재가 내장된 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몸체는 단순히 사람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Generally, a pillow is a bedding that allows the head to rest comfortably while sleeping, and if the wrong pillow is selected, stiff shoulders, snoring, and headache insomnia may be caused. Most of the pillow has a body with a cushion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cotton or sponge inside, the body has a flat shape as a whole to simply support the head of the person.

이러한 베개의 관련기술로서 특허등록 제0675262호에는 『쿠션을 유지하기 위해 내용물이 내장되는 몸체의 상부 중앙부에는 뒷머리를 받쳐주는 받침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 홈의 좌우측에는 옆머리를 받쳐주는 받침목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받침홈과 받침목에는 돌출된 형태의 목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받침홈, 받침목, 목지지부의 수순으로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받침목측의 목지지부가 받침홈측의 목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목은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목에는 취침자의 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귀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목지지부의 전방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척추굴곡선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를 갖는 보조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As a related technology of such a pillow, Patent Registration No. 0675262 discloses that a support groove for supporting the rear head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built in order to maintain the cushion, and the support neck supporting the side head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groove. In the pillow is formed, the support groove and the support ne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ding neck support portion is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height in the order of the support groove, support neck, neck support portion, the neck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neck side supports It is formed higher than the neck support portion of the groove side, the support neck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 the rear, the support neck is formed with a concave ear support formed so that the ear of the sleeper can be placed, the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neck support portion of the user's spine curv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support having a gentle inclination to be maintained is formed Functional pillows have been published.

또한, 특허등록 제0856571호에는 『제1머리받침부와 제2머리받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베개몸체; 상기 제1머리받침부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베개몸체의 일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머리받침부 반대측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어서 상기 베개몸체의 타측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와 함께 상기 베개몸체 또는 머리를 지지하고 중앙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사이의 상기 베개몸체에 구비되는 제3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면베개』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0856571, "Pillow body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headrest and the second headrest integrally; A first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pillow body opposite to the first headrest part to support one side or the head of the pillow body; A second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pillow body opposite the second head support part to support the other side or the head of the pillow body; And a third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pillow body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so as to support the pillow body or the head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nd a space part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Functional double-sided pillow ”has been published.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356호에는『베개의 상부에 저면이 착탈되게 결합되어 상기 베개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중앙부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되어 후두부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두부수용홈에 연통되게 일측에 목쪽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00356 "The bottom surfac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pillow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top of the pillow, recessed recessed to accommodate the user's back of the head in the center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groove is Is formed, the head support and cervical spine functional headres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neck incision is formed on one side in communication with the laryngeal accommodating groove has been published.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C”와 같은 곡선으로 형성되는 경추와 후두를 받쳐주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취침시 극도로 안정적인 경추 및 후두의 지지를 필요로 하는 특히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ruptured cervical disk)환자, 기타 경추 및 후두의 바른 자세를 요하는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기술적으로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 pillows, however, are designed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and larynx,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curve as the “C”, but in particular face molding patients and cervical intervertebral discs, which require extremely stable cervical and larynx support at bedtime. There are still technically insufficient problems to be applied to patients with ruptured cervical disks and other patients requiring correct posture of the cervical spine and larynx.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두안치홈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하였을 때 경추의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와, 후두안치부에 대응하여 안치되는 사용자의 후두 크기에 따라 후두안치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두안치부의 뒤쪽으로 형성되는 신축공간으로 구성되어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후두 및 양쪽 뺨을 포근하게 감싸 안락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 등의 경추 및 후두의 고정을 필요로 하는 각종 환자들이 올바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larynx is recesse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and when the larynx is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to be formed extending to the front of the laryngeal groove. The cervical spine consists of a cervical spine supporting part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and an elastic space formed behind the laryngeal anterior part so that the size of the laryngeal anterior pa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larynx placed corresponding to the laryngeal anterior part. By stably supporting the larynx and both cheeks to ensure a stable and stable support, various patients who need fixation of the cervical and larynx such as facial plastic patients,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etc.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can be taken as a problem to be solved.

또한, 후두의 안치시 후두안치부의 내주부위가 사용자의 뺨 부위를 감쌀 수 있을 정도로 후두안치부를 함몰형성하여 매우 안락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very comfortable functional pillow by forming a recess in the larynx so th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x can be wrapped around the user's cheek.

또한, 메모리폼, 라텍스, 스펀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made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memory foam, latex, sponge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또한, 속심을 이루는 코어층과 코어층의 표면을 감싸는 겉피층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by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by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kin layer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또한, 코어층과 겉피층의 경도가 서로 다르도록 다른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so that the hardness of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hell laye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또한, 코어층에 비하여 겉피층을 더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allows the user to comfortably support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of the user by configuring the outer skin layer with a softer material than the core layer.

또한, 베개의 최상부 표면층에 스웨이드 질감층을 형성하여 디자인적 가치를 더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o form a suede texture layer on the top surface layer of the pillow to further increase the design value.

또한, 후두 및 경추 부위와 접촉하는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에 1~3줄의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의 경혈을 자극함으로써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cupressure projections of 1 to 3 lines in the laryngeal anterior and cervical spine support in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it provides a functional pillow that helps to promote health by stimulating the acupoints of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of the user. The task is to solve the problem.

또한, 지압돌기를 세라믹, 자석, 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지압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ect of acupressure by configuring acupressure protrusions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ceramics, magnets, and jade.

또한, 코어층의 재질은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구성되며, 겉피층의 재질은 코어층의 재질에 비하여 부드러운 경도의 카스테라폼 또는 스펀지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is made of memory foam or latex, and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layer is made of castella foam or sponge of soft hardness compared to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so as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Providing a pillow is a problem to be solved.

또한, 코어층 또는 겉피층의 재질에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을 더 첨가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상변화물질의 상변화에 의해 후두 및 경추의 열을 빼앗는 등 시원함과 쾌적함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by adding a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to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or the outer skin layer so that the user can feel cool and comfortable, such as taking away the heat of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by the phase chang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또한,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의 기억온도를 25~35℃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상변화물질의 상변화에 의해 후두 및 경추의 열을 빼앗는 등 시원함과 쾌적함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temperature of the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is 25-35 ° C.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coolness and comfort by taking away the heat of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by the phase chang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when contacting the user's body. Providing a pillow is a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하였을 때 경추의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와; 후두안치부에 대응하여 안치되는 사용자의 후두 크기에 따라 후두안치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두안치부의 뒤쪽 일단을 함몰하여 형성되는 신축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ryngeal settled reces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A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which extends in front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when the larynx is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region; An expansion space formed by recessing one end of the back of the larynx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laryngeal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larynx of the user 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aryngeal set;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또한, 후두안치부는, 후두의 안치시 후두안치부의 내주부위가 사용자의 뺨 부위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x is recessed to a depth enough to cover the user's cheek area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또한, 기능성 베개의 재질은, 메모리폼, 라텍스, 스펀지, 카스테라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memory foam, latex, sponge, castella foam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또한, 기능성 베개는 속심을 이루는 코어층과 코어층의 표면을 감싸는 겉피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pillow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re layer constituting the core and the outer skin layer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또한, 코어층과 겉피층은 서로 다른 경도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hell layer is made of a material of different hardness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또한, 코어층에 비하여 겉피층을 더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kin layer is made of a material of a softer hardness than the core layer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또한, 기능성 베개의 최상부 표면층에는 스웨이드 질감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uede textured layer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layer of the functional pillow as a solution for the problem.

또한, 후두 및 경추 부위와 접촉하는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에는 1~3줄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acupressure projections of 1-3 lines are formed i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region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또한, 지압돌기는, 세라믹, 자석, 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upressure protrusion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ceramics, magnets, jade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또한, 코어층의 재질은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구성되며, 겉피층의 재질은 코어층의 재질에 비하여 부드러운 경도의 카스테라폼 또는 스펀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is composed of a memory foam or latex,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oft hardness castor foam or sponge compared to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또한, 코어층 또는 겉피층의 재질에는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or the outer shel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capsule-type phase change material further comprises a functional pillow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또한,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의 기억온도는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In addition,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ory temperature of the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is 25 ~ 35 ℃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두안치홈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하였을 때 경추의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와, 후두안치부에 대응하여 안치되는 사용자의 후두 크기에 따라 후두안치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두안치부의 뒤쪽으로 형성되는 신축공간으로 구성되어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후두 및 양쪽 뺨을 포근하게 감싸 안락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 등의 환자가 올바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yngeal anterior portion tha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and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front of the ocular recess, and the curved surface that conforms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when the larynx is placed o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The cervical vertebral support part is formed in the form, and the elastic space is formed in the back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to adjust the size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larynx corresponding to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stably. By comfortably wrapping the larynx and both cheeks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stable support, patients such as facial plastic patients, cervical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patients, etc.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또한, 후두안치부는 후두의 안치시 후두안치부의 내주부위가 사용자의 뺨 부위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함몰형성되어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락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x is formed to a depth enough to wrap the user's cheek area,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a correct posture as well as take a good night's sleep.

또한, 베개의 재질을 메모리폼, 라텍스, 스펀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하고, 베개를 코어층과 코어층의 표면을 감싸는 겉피층으로 구성하며, 코어층과 겉피층은 서로 경도가 다른 재질로 구성하되 코어층에 비하여 겉피층을 더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를 안락하게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illow is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memory foam, latex, and sponge, and the pillow is composed of a core layer and a skin layer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the core layer and the skin layer are made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hardness from each other. However, the outer skin layer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core layer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take a good night's sleep in a stable state.

또한, 베개의 최상부 표면층에 스웨이드 질감층을 형성하고, 후두 및 경추 부위와 접촉하는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에 1~3줄의 지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베개의 세척시 베개 커버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지압돌기의 지압효과를 통해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uede texture layer on the top surface layer of the pillow, and by forming one to three lines of acupressure protrusions on the laryngeal anterior and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thereby eliminating the pillow cover when the pillow is washed. Eliminate the ills and promote the health through the acupressure effect of the acupressure projections.

또한, 지압돌기는 세라믹, 자석, 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하고, 코어층의 재질은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구성하며, 겉피층의 재질은 코어층의 재질에 비하여 부드러운 경도의 카스테라폼 또는 스펀지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안락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upressure protrusion is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ceramic, magnet and jade, and the core layer is made of memory foam or latex, and the outer skin layer is made of castor foam or sponge of soft hardness compared to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By constructing, a more comfortable functional pillow can be provided.

또한, 코어층 또는 겉피층에 25~35℃의 기억온도를 갖는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을 첨가하여 베개를 제작함으로써 베개에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접촉시 상변화물질의 상변화에 의해 접촉된 신체부위의 열을 흡수하여 시원한 상태를 유지케 함으로써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dding a microcapsule-type phase change material having a memory temperature of 25 ~ 35 ℃ to the core layer or the outer skin layer to make a pillow body contacted by the phase change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when the body part of the user contacts the pillow By absorbing the heat of the site to maintain a cool state, the user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두안치부 및 경추지지부에 지압돌기가 구비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과 겉피층의 재질층으로 구성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과 겉피층과 스웨이드 질감층의 재질층으로 구성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provided with acupressure projections i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terial layer of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ki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consisting of a material layer of the core layer, the outer skin layer and the suede textur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하였을 때 경추의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와; 후두안치부에 대응하여 안치되는 사용자의 후두 크기에 따라 후두안치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두안치부의 뒤쪽 일단을 함몰하여 형성되는 신축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ryngeal settled portion recess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A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which extends in front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when the larynx is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region; An expansion space formed by recessing one end of the back of the larynx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laryngeal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larynx of the user 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aryngeal set;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또한, 후두안치부는, 후두의 안치시 후두안치부의 내주부위가 사용자의 뺨 부위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pill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x is formed to a depth enough to cover the user's cheek area.

또한, 기능성 베개의 재질은, 메모리폼, 라텍스, 스펀지, 카스테라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memory foam, latex, sponge, castella foam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또한, 기능성 베개는 속심을 이루는 코어층과 코어층의 표면을 감싸는 겉피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pillow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re layer and the outer skin layer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constituting the core.

또한, 코어층과 겉피층은 서로 다른 경도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hel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material of different hardness.

또한, 코어층에 비하여 겉피층을 더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ayer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core layer is characterized by a technical configuration.

또한, 기능성 베개의 최상부 표면층에는 스웨이드 질감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uede textured layer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layer of the functional pillow is a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또한, 후두 및 경추 부위와 접촉하는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에는 1~3줄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ropractic projection of 1 to 3 lines are formed i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또한, 지압돌기는, 세라믹, 자석, 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upressur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ceramic, magnet, jade.

또한, 코어층의 재질은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구성되며, 겉피층의 재질은 코어층의 재질에 비하여 부드러운 경도의 카스테라폼 또는 스펀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is composed of a memory foam or latex,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oft hardness castor foam or sponge compared to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또한, 코어층 또는 겉피층의 재질에는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or the outer shel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capsule further comprises a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또한,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의 기억온도는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emory of the microcapsule-type phase chang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25 ~ 35 ℃.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면서 베개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10)와, 후두안치부(10)의 앞쪽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누웠을 때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경추의 “C”자형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20)와, 후두안치부(10)의 뒤쪽 일단을 후두안치부(10)의 상면보다 낮게 함몰하여 형성한 신축공간(30)으로 구성된다.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and laryngeal anterior portion tha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llow recessed while conform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to stably wrap the larynx (10)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20 and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of the cervical spine that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 curve of the cervical spine so that the user can reli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when lying down It consists of a stretch space 30 formed by recessing one end of the rear end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yngeal settlement portion 10.

더욱 구체적으로 후두안치부(10)는, 베개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가 안치되었을 때 후두를 포근하고 안락하게 감쌀 수 있도록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깊이는 후두가 안치되었을 때 후두안치부(10)의 내주 부분이 사용자의 양쪽 뺨을 안락하게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llow, and when the larynx is placed, the larynx is formed in a shape that conforms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so that the larynx can be comfortably wrappe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laryngeal set portion 10 is formed to a depth enough to comfortably wrap both cheeks of the user.

이와 같이 후두안치부(10)는 후두가 안치되었을 때 후두안치부(10)의 내주가 뺨을 안락하게 감싸 후두의 자세가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편안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특히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 등이 사용할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In this way,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can comfortably take a good night's sleep becaus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comfortably surrounds the cheek and supports the larynx stably to maintain the posture of the larynx correctly. In particular, it is very effective when used in patients with facial plastic surgery, cervical disc herniation.

경추받침부(20)는, 후두안치부(10)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면서 경추부위가 접촉되는 부위로서, 경추 부위의 접촉시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경추의 곡선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경추받침부(20)는 후두안치부(10)의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면서 경추라인에 부합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경추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경추받침부(20)는 함몰된 후두안치부(10)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누울 때 후두가 정확히 후두안치부(10)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후두부위가 경추받침부(20)의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게 하여 후두안치부(10)에 안치되도록 유도한다.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20 is a portion where the cervical spine is contacted while extending toward the front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an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so as to st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when the cervical spine is in contact. .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20 is naturally formed to the front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ervical spine line, so that the cervical spine is stably supporte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cervical spine. In addition, the cervical spine support 20 is connected to the recessed laryngeal rest 10 so that when the user's lying down the larynx is not exactly located in the laryngeal rest 10, the back surface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20 Slip along naturally leads to settle in the laryngeal settlement (10).

신축공간(30)은, 후두안치부(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후두안치부(10)의 뒤쪽 일단을 후두안치부(10)의 상면보다 낮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신축공간(30)의 형성에 따라 후두안치부(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신축공간(30)이 없이 완전한 고리형의 후두안치부(10)를 형성할 경우 후두안치부(10)의 크기가 변하기 않기 때문에 후두안치부(10)보다 머리가 큰 사용자는 후두안치부(10)에 후두를 안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신축공간(30)이 형성되어 있어 머리가 큰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후두안치부(10)의 내부가 신축공간(30) 쪽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30 is formed to have a recessed lower end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aryngeal set-up portion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aryngeal set-up portion 10. The size of the laryngeal settlement part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stretchable space 30. For example, whe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is formed without a stretch space 30, the size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does not change, so that a user having a larger head tha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may have a laryngeal anterior portion ( The larynx cannot be placed in 10). However,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etch space (30) is formed even if the user with a large head can be used conveniently anyone because the inside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is opened toward the stretch space (30).

또한, 신축공간(30)은 사용자의 머리 상부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로서 머리 상부부위의 열을 방출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신축공간(30)은 후두안치부(10)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과 함께 머리 상부의 열을 방출하는 통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30 provides a space for dissipating hea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as a portion that does not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s head.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space 30 simultaneously serves as a passage for releasing heat from the top of the head together with controlling the size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한편, 사용자게 누웠을 때 접촉되는 후두안치부(10)와 경추받침부(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줄로 이루어지는 지압돌기(40)가 형성된다. 이 지압돌기(40)는 후두 및 경추 부위의 경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지압돌기(40)의 재질은 세라믹, 소프트한 고무자석, 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신축공간(30)까지 지압돌기(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2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user when laid down are formed with acupressure protrusions 40 consisting of 1 to 3 lines. The acupressure protrusion 40 stimulates acupuncture points in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thereby helping to promote health and take a good night's sleep. The material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40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ceramic, soft rubber magnet, and jade. Of course, the acupressure protrusions 40 may be formed up to the expansion space 3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재질은, 전체 재질을 하나의 재질로 구성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과 겉피층(2)의 2개의 층으로 구성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과 겉피층(2)과 최상부 층을 이루는 스웨이드 질감층(3) 등 3개의 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material is composed of one material, or as shown in Figure 5 composed of two layers of the core layer (1) and the outer skin layer (2) or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re layer 1 and the outer skin layer 2 and the suede textured layer 3 forming the uppermost layer may be composed of three layers.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재질을 하나의 재질 층으로 할 경우 기능성 베개의 재질은 메모리폼, 라텍스, 스펀지, 카스테라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material layer, the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memory foam, latex, sponge, and castella foa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속심을 구성하는 코어층(1)과 코어층(1) 표면을 감싸는 겉피층(2)의 2중의 재질 층으로 구성할 경우, 후두 및 경추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겉피층(2)은 코어층(1)보다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층(1)의 재질은 메모리폼(memory foam) 또는 라텍스(latex)로 하고, 겉피층(2)의 재질은 코어층(1)에 비해 부드러운 경도의 카스테라폼 또는 스펀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겉피층(2)은 신소재인 카스테라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카스테라폼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when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double material layer of the core layer (1) constituting the inner core and the outer skin layer (2)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1),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region The outer skin layer 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ofter hardness than the core layer 1.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1 is preferably a memory foam or latex, and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layer 2 is preferably a castor foam or sponge having a softer hardness than the core layer 1. In particular, the outer skin layer (2) is best to use the new material of the castella foam.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tella foam in detail as follows.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카스테라폼은 기존 메모리폼의 경우 공기투과가 어렵고 온도에 민감하여 열전도성과 통풍이 좋지 않았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공기 투과율이 20배가 높아 통기성, 열전도성이 뛰어나고 온도에 영향을 받지않으며 항상 일정한 탄성을 유지한다.As shown in Figure 1 below, castella foam compensates for the disadvantages of poor thermal permeability and poor ventilation due to temperature permeability of conventional memory foams.It has 20 times higher air permeability, so it has excellent breathability, thermal conductivity and i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And always maintain a constant elasticit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그림 1Pic 1

또한, 카스테라폼은 기존 메모리성 소재와 달리 실리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지금까지 없었던 부드러운 감촉과 머리를 포근하게 감싸주는 구조로 설계되어 숙면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아래의 그림 2와 같이 카스테라폼은 제조과정에서 기포막을 90%이상 제거하기 때문에 기존 메모리폼과는 달리 뛰어난 통기성 구조로 되어 있어 빠르게 머리의 열을 흡수 방출하기 때문에 쾌적하고 산뜻한 환경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mory material, castella foam is designed with a soft texture and a structure that gently wraps around the head so that it helps to sleep better. And, as shown in Figure 2 below, the castella foam removes more than 90% of the air bubbl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unlike other memory foams, it has an excellent breathable structure, so it absorbs and releases the heat of the head quickly so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in a pleasant and fresh environment. Can b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그림 2Picture 2

또한, 기존의 메모리폼 구조는 아래의 그림 3과 같이 열린 셀과 닫힌 셀의 조화로 열전도성과 통풍이 부족하나, 카스테라폼 구조는 아래의 그림 4와 같이 모든 셀이 열린구조로 이루어져 통기성과 열전도성이 매우 뛰어나다.In addition, the existing memory foam structure lacks thermal conductivity and ventilation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open and closed cells as shown in Figure 3 below, but the castella foam structure is made of all the cells open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4 below for breath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This is very excellent.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그림 3Picture 3 그림 4Picture 4

또한, 아래의 그림 5와 같이 기존의 메모리폼에 잉크를 투척한 결과 잉크 흡수가 거의 없었으나, 카스테라폼에 잉크를 투척한 결과 아래의 도 6과 같이 잉크 흡수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result of throwing ink into the existing memory foam as shown in Figure 5 below, there was almost no ink absorption, but as the result of throwing ink into the castella foam, it can be seen that ink absorption proceeds rapidly as shown in FIG. 6 below.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그림 5Picture 5 그림 6Picture 6

기존의 메모리폼의 열전도성은 아래의 그래프 1과 같이 셀구조가 닫혀있어 열전도 속도가 매우 느리나, 카스테라폼은 아래의 그래프 2와 같이 셀구조가 열린 구조로 이루어져 열전도가 매우 빠르며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nventional memory foam is very slow because the cell structure is closed as shown in the graph 1 below, but the castella foam is made of the open cell structure as shown in the graph 2 below, so the thermal conductivity is very fast and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have.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그래프 1Graph 1 그래프 2Graph 2

또한, 카스테라폼은 실리콘 소재를 기반으로 통기성 구조로 제작되어 온도 변화에도 제품이 딱딱해지거나 물러지지 않아 제품 본래의 부드러움과 일정한 복원력을 느낄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메모리폼의 경도는 아래의 그래프 3과 같이 온도변화에 있어 여름에 부드러워지고 겨울에는 단단하여 경도 유지가 안 되는 반면, 카스테라폼의 경도는 아래의 그래프 4와 같이 온도변화에 있어 항상 일정한 경도를 유지하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castella foam is made of a silicone-based breathable structure, so that the product does not harden or recede under temperature changes, and thus the original softness and constant resilience of the product can be felt.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of the existing memory foam is soft in the summer in the temperature change as shown in the following graph 3 and hard in the winter, so the hardness cannot be maintained, whereas the hardness of the castella foam is always in the temperature change as shown in the graph 4 below. Maintain a constant hardness and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그래프 3Graph 3 그래프 4Graph 4

메모리폼 소재와 카스테라폼 소재의 온도를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를 보기 위해 높이 4m에서 날 달걀의 낙하 실험을 하였다. 아래의 테스트 1은 소재를 얼리기 전 4m 높이에서 날 달걀 낙하 실험이고, 테스크 2는 소재를 얼린 후 4m 높이에서 날 달걀의 낙하 실험이다. 실험결과 카스테라폼은 온도 변화에도 일정한 소재의 탄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order to see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mory foam material and castella foam material, the raw eggs were dropped at 4m in height. Test 1 below is a raw egg drop test at 4m height before freezing the material, and Task 2 is a raw egg drop test at 4m height after freezing the materia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astella foam maintains a constant elasticity even with temperature changes.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테스트 1. 소재를 얼리기 전 4m 높이에서 날 달걀 낙하 실험
Test 1 . Experiment of raw egg drop at 4m height before freezing material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테스트 2. 소재를 얼린 후 4m 높이에서 날 달걀 낙하 실험
Test 2 . Experiment of raw egg drop at 4m height after freezing material

한번 더 카스테라폼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카스테라폼은 열린 셀 구조로 통기성이 뛰어나 항상 시원한 느낌을 유지하며, 부드럽고 뛰어난 탄성으로 솜처럼 부드러워 꺼지지 않는 솜이라 불리며, 수면중 자세변화에도 경추를 “C”자 형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며 체압을 분산시켜 지속적인 숙면을 유지시켜 주고, 오랜 기간 사용해도 복원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변형이 없다.
Once ag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tella foam are briefly summarized. The castella foam is an open cell structure that is highly breathable and maintains a cool feeling all the time. The soft and excellent elasticity is called cotton so soft that it does not turn off. It supports C-shaped stably and disperses body pressure to maintain a good night's sleep.

또한, 코어층(1) 또는 겉피층(2)에 선택적으로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을 첨가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변화물질은 마이크로캡슐화된 것을 사용하며 상변화물질로서는 테트라데칸, 에이코산, 옥타데칸, 헥사데칸, 프로피온아미드, 나프탈렌, 아세트아미드, 스테아르산, 왁스,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리그노세레이트, 캄펜, 3-헵타네카논, 폴리에틸렌 글리콜, 시안아미드, 라우르산, 헥사데카논, 카프르산, 카프릴산 및 폴리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화하는 고분자 물질로는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요소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캡슐 크기는 40~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may be selectively added to the core layer 1 or the outer skin layer 2. Phase change materials are microencapsulated, and phase change materials include tetradecane, eicosane, octadecane, hexadecane, propionamide, naphthalene, acetamide, stearic acid, wax, palmitic acid, myristic acid, lignocerate. , Camphor, 3-heptananecanone, polyethylene glycol, cyanamide, lauric acid, hexadecanone, capric acid, caprylic acid, and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ol, and microencapsulated polymer As the material, acrylic resin, melamine resin and urea resin may be used, and the microcapsule size is preferably 40 to 5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사용하는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의 기억온도의 설정범위는 25~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tting range of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used for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25 to 35 ° C.

이러한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은, 물질이 갖고 있는 잠열의 흡수 또는 방출 효과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잠열이란, 물질이 상변화 될 때 즉, 고체에서 액체 또는 액체에서 고체, 액체에서 기체 또는 기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에, 같은 온도에서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을 의미하며, 잠열은 현열 즉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의 흡수 또는 방출되는 열의 양보다 매우 크다.The phase change material (PCM) refers to a material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energy or keeping a temperature constant by using the latent heat absorption or release effect of the material. Is the heat absorbed or released at the same temperature when the substance is phase-changed, that is, from solid to liquid or liquid to solid, liquid to gas, or gas to liquid, and latent heat refers to sensible heat, that is, no phase change. Much greater than the amount of heat absorbed or released at the

따라서, 상변화물질(PCM)은 주변온도가 높을 때에는 서서히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고, 주변온도가 낮을 때에는 서서히 온도가 하강되도록 하여 주변온도가 높은 여름철 등에는 시원한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주변온도가 낮은 겨울철 등에는 따뜻한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Therefore, the phase change material (PCM) is to gradually increase the temperatur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 and gradually decrease the temperature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 so that the cool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e summer, such as high ambient temperature, In wint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 there is a function to maintain a warm state for a long time.

즉, 구체적으로 상변화물질(PCM)에 대하여 일정한 온도를 기억시켜 놓으면 해당 온도범위에서 상변화물질이 상을 변화시키면서 열을 방출하거나 열을 저장하여 주변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여름철에 시원한 장소에서 더운 장소로 옮긴 경우 고체에서 액체로 상이 변화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주변을 시원하게 할 수 있게 되며, 겨울철에 더운 장소에서 차가운 장소로 옮긴 경우 액체에서 고체로 상이 변화되면서 주변에 열을 방출하여 주변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if a specific temperature is specifically stored for the phase change material (PCM), the phase change material may release heat or store heat in a corresponding temperature rang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bient temperature. Bar, if you move from a cool place to a hot place in summer, the phase changes from solid to liquid to take away the surrounding heat to cool the surroundings, and if you move from a hot place to a cold place in winter, the phase changes from liquid to solid. It can release heat to warm the surroundings.

따라서, 이와 같은 상변화물질을 베개의 재료에 첨가하여 베개를 제작할 경우 베개와 접촉하는 후두 및 경추 등에서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빼앗아 후두 및 경추부위를 시원하게 해줌으로써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illow is manufactured by adding such a phase change material to the material of the pillow, it effectively takes away the heat energy transmitted from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illow, thereby cooling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a good night's sleep. can do.

또한, 베개의 최상부 층을 스웨이드(suede) 질감층(3)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웨이드(suede)는 새끼 양이나 새끼 소 등의 가죽 혹은 그와 유사한 것을 이용해 부드럽게 보풀려서 만든 직물의 한 종류로서 베개의 최상부 층에 스웨이드 질감층(3)을 일체로 형성할 경우 베개 커버와 같은 역할을 하여 별도의 베개 커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top layer of the pillow as a suede texture layer 3. Suede is a kind of fabric that is softly fluffed with leather such as lamb or cow, or the like, and serves as a pillow cover when the suede textured layer 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layer of the pillow.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illow cover.

즉, 일반적인 베개는 베개 속과 베개 커버로 구성되어 베개의 세척시 베개 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스웨이드 질감층(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베개 커버를 분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세척시에는 베개 전체를 그대로 세척하면 된다.That is, the general pillow is composed of a pillow cover and the pillow cover has a hassle to separate the pillow cover when washing, but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uede texture layer (3) integrally separate the pillow cover There is no hassle and you can wash the whole pillow as it is.

또한, 베개의 최상부 층을 다양한 색상의 스웨이드 질감층(3)으로 형성할 경우 질감자체에 오는 안락함과 고급스러움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most layer of the pillow is formed of a suede textured layer 3 of various colors, the comfort and luxury of the texture itself can be satisfied by the consumer.

여기서, 2개의 재질 층으로 구성되도록 하나의 재질 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베개의 최상부 층에 스웨이드 질감층(3)을 형성할 수도 있고, 3개의 재질 층으로 구성되도록 속피층(1)과 겉피층(2)의 2중 재질 층의 기능성 베개 최상부 층에 스웨이드 질감층(3)을 형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suede texture layer (3) may be form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functional pillow consisting of one material layer to be composed of two material layers, and the outer skin layer (1) and the outer skin layer (2) to be composed of three material layers. The suede textured layer 3 may be formed on the top layer of the functional pillow of the double layer of materi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후두 및 양쪽 뺨을 포근하게 감싸 안락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얼굴성형환자,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 등의 환자가 올바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tably supports the cervical spine, but also comfortably and stably surrounds the larynx and both cheeks,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patients such as facial plastic patients, cervical disc herniation patients, etc. In order to take a good night's sleep, 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보다 후두 및 경추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겉피층(2)이 코어층(1)에 비해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되어 있어 후두 및 경추 부위의 접촉시 사용자는 안정감과 포근함을 느끼게 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In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outer skin layer 2 directly contacting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than the core layer 1 is made of a material of softer hardness than the core layer 1. When the user contacts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the user may feel secure and warm to sleep.

그리고 경추받침부(20)는 경추의 “C”자 커브에 부합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므로 경추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후두안치부(10)는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두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므로 후두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건강한 사람은 물론 특히 취침시 후두 및 경추의 올바른 자세 유지를 필요로 하는 얼굴성형환자 또는 경추추간판탈출증환자들이 사용할 경우 효과적이다.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 shaped curve of the cervical spine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stably so that the cervical spine can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It is formed in a matching shape to support the larynx stably, so that the larynx can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and it can be used by healthy patients as well as face plastic patients or cervical disc herniation patients who need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f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at bedtime. Is effective.

또한, 후두안치부(10)는 함몰형성되고 후두안치부(10) 내주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후두부위를 후두안치부(10)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더라도 경추부위를 경추받침부(20)에 위치하는 순간 후두부위는 자연스럽게 후두안치부(10) 내주의 곡면을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후두안치부(10)에 정확히 안착하게 된다.
In addition, because the laryngeal set 10 is recessed and the laryngeal set 1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e cervical spine supports the cervical spine 20 even if the user does not accurately position the larynx in the laryngeal set 10. At the moment, the laryngeal region naturally slides on the curv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and is accurately seated on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더욱이 후두안치부(10)의 함몰깊이는 후두안치부(10)의 내부가 사용자의 양쪽 뺨을 감쌀 정도의 깊이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후두부위가 후두안치부(10) 안치되는 순간 후두안치부(10)의 내주가 사용자의 양쪽 뺨을 안락하고 포근하게 감싸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고, 수면 도중에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여 지속적으로 안정된 자세가 유지되게 한다.
Furthermore,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is such that the inside of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is so deep as to cover both cheeks of the user so that the occipital part of the user is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The inner circumference of 10) wraps both cheeks of the user comfortably and comfortably to take a good night's sleep, and maintains a stable posture by supporting the user's head not to move during sleep.

또한, 후두안치부(10)에 후두를 넣으면 신축공간(30)에 의해 후두안치부(10)의 내주가 바깥쪽으로 벌어졌다가 후두의 안치가 완료되면 신축력에 후두안치부(10)의 내부가 원상태의 크기로 복원되면서 사용자의 후두를 안락게 감싼다. 이러한 신축공간(30)은 후두안치부(10)의 크기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후두안치부(10)에 안치되는 사용자 후두와 접촉되지 않는 유일한 부위로서 사용자 머리 상부의 열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arynx is placed in the laryngeal set 10,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aryngeal set 10 extends outwardly by the expansion space 30, and when the larynx is completed, the inside of the laryngeal set 10 is stretched. Restoration to its original size and comfortably wraps the user's larynx. The expansion space 30 may serve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heat of the upper part of the user's head as the only part which does not only adjust the size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but is in contact with the larynx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10. hav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 및 경추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후두안치부(10) 및 경추받침부(20)에 형성되는 지압돌기(40)는 후두 및 경추의 경혈을 지속적으로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목 근육의 뭉침을 풀어주고, 스트레스 해소, 피로회복 등 다양한 효과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
As shown in FIG. 4, the acupressure protrusion 40 formed on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20 in direct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continuously stimulates the menstrual blood of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It helps to loosen the muscles of the neck and help the user's health through various effects such as stress relief and fatigue recover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재질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피층(1)과 겉피층(2)의 2중의 재질 층으로 형성할 경우 겉피층(2)은 속피층(1)에 비하여 부드러우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적인 베개에서 느낄 수 없었던 포근하고 안락한 감촉을 느끼게 하며, 속피층(1)은 겉피층(2)에 비하여 부드럽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의 무게가 겉피층(2)을 거쳐 속피층(1)에 전달될 경우 후두 및 경추의 무게를 분산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받쳐주므로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material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ouble material layer of the epidermal layer 1 and the outer skin layer 2 as shown in FIG. 5, the outer skin layer 2 is formed on the inner skin layer 1. Compared to the soft layer, the user feels soft and comfortable feeling that could not be felt in the general pillow, and since the epidermal layer 1 is not softer than the outer layer 2, the weight of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is cortical layer 2 When delivered to the epidermal layer (1) through the stable distribution of the weight of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so that the user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in a comfortable stat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최상부 층에 스웨이드 질감층(3)을 형성할 경우,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부드러운 촉감으로 인해 베개의 품격을 한층더 높여 다양한 기능과 품질을 요구하는 까다로운 소비자층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when forming the suede textured layer (3) on the top layer of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aising the dignity of the pillow further due to the luxurious design and soft touch to request a variety of functions and quality It can meet the needs of demanding consumer groups.

또한, 스웨이드 질감층(3)의 색감을 다양하게 할 경우 디자인적 가치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웨이드 질감층(3)은 베개의 최상부 층에 일체 재질로 형성되므로 종래의 베개와 같이 세척시 베개 커버를 분리하고, 세척 후 건조된 베개 커버를 베개에 다시 씌우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베개 전체를 그대로 세척하고 그대로 건조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In addition, if the color of the suede texture layer (3) to vary the design value can be further improved. Since the suede texture layer (3) is formed of an integral material on the top layer of the pillow, the pillow cover is removed during washing as in the conventional pillow, and the entire pillow is removed without the hassle of putting the dried pillow cover on the pillow after washing. It is very convenient to manage as it is washed and dried as it is.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후두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후두안치부(10)와 경추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경추받침부(20)와 후두안치부(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공간(3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후두 및 경추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받쳐줌은 물론 그 형상에 있어서 후두의 외형 및 경추의 커브를 베개 디자인에 그대로 적용하여 인체공학적인 독특한 디자인을 창출함으로써 기능적인 측면은 물론 디자인적인 형상미를 고루 갖춘 기능성 베개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comfortably support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20 and the laryngeal anterior part 10 which stably support the cervical spine. Consisting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pace 30,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support the user's larynx and cervical spin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when the user is lying down. By creating a unique design, it can be said to be a functional pillow that has both a functional aspect and a design shape.

1:코어층 2:겉피층 3:스웨이드 질감층
10:후두안치부 20:경추받침부 30:신축공간
40:지압돌기
1: Core layer 2: Outer skin layer 3: Suede texture layer
10: laryngeal rest 20: cervical spine support 30: expansion space
40: Acupressure protrusions

Claims (12)

후두의 외형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후두안치부와;
후두안치부의 앞쪽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후두안치부에 후두를 안치하였을 때 경추의 커브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추받침부와;
후두안치부에 대응하여 안치되는 사용자의 후두 크기에 따라 후두안치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두안치부의 뒤쪽 일단을 함몰하여 형성되는 신축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A laryngeal rest portion recessed and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arynx;
A cervical vertebral support portion which extends in front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an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when the larynx is placed in the laryngeal anterior region;
An expansion space formed by recessing one end of the back of the larynx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laryngeal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larynx of the user 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aryngeal set;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두안치부는, 후두의 안치시 후두안치부의 내주부위가 사용자의 뺨 부위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laryngeal anterior portion of the larynx is formed to a depth enough to cover the user's cheek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성 베개의 재질은, 메모리폼, 라텍스, 스펀지, 카스테라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nctional pillow material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memory foam, latex, sponge, castella foam.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능성 베개는 속심을 이루는 코어층과 코어층의 표면을 감싸는 겉피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nctional pillow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kin layer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청구항 4에 있어서,
코어층과 겉피층은 서로 다른 경도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of claim 4,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layer and the outer shell layer is composed of a material of different hardness.
청구항 5에 있어서,
코어층에 비하여 겉피층을 더 부드러운 경도의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kin layer is made of a softer material than the core lay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능성 베개의 최상부 표면층에는 스웨이드 질감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a suede textured layer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layer of the functional pillow.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후두 및 경추 부위와 접촉하는 후두안치부와 경추받침부에는 1~3줄의 지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acupressure projections of 1 to 3 lines are formed in the larynx and cervical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arynx and cervical spine.
청구항 8에 있어서,
지압돌기는, 세라믹, 자석, 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cupressure projections,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ceramic, magnet, jade.
청구항 4에 있어서,
코어층의 재질은 메모리폼 또는 라텍스로 구성되며, 겉피층의 재질은 코어층의 재질에 비하여 부드러운 경도의 카스테라폼 또는 스펀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of claim 4,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is made of memory foam or latex, and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layer is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oft hardness castor foam or sponge compared to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코어층 또는 겉피층의 재질에는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기능성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layer or the outer shell material further comprises a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청구항 11에 있어서,
마이크로캡슐형 상변화물질의 기억온도는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The method of claim 11,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ory temperature of the microcapsule type phase change material is 25 ~ 35 ℃.
KR1020100066582A 2010-07-09 2010-07-09 Functional pillow Abandoned KR201200058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582A KR20120005893A (en) 2010-07-09 2010-07-09 Functiona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582A KR20120005893A (en) 2010-07-09 2010-07-09 Functional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93A true KR20120005893A (en) 2012-01-17

Family

ID=4561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582A Abandoned KR20120005893A (en) 2010-07-09 2010-07-09 Functional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893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41Y1 (en) * 2014-07-11 2014-09-12 (주)서전에코 Cervical pillow
KR101485701B1 (en) * 2013-09-06 2015-01-22 이명숙 Height adjustable pillow
KR101509204B1 (en) * 2014-02-28 2015-04-09 주식회사에이드앤컴퍼니 Cervical vertebra pillow
KR20150135713A (en) 2014-05-23 2015-12-03 신준식 Functional pillow
WO2016013723A1 (en) * 2014-07-24 2016-01-28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induc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KR20160141644A (en) * 2015-06-01 2016-12-09 곽영철 Health Pillow
CN106456351A (en) * 2014-06-10 2017-02-22 T与I有限公司 Spinal column support
CN106724514A (en) * 2017-01-03 2017-05-31 山东理工大学 Health-care pillow
KR20200139980A (en)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원우성업 Water pillow able to isolate harmfulness electron wave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701B1 (en) * 2013-09-06 2015-01-22 이명숙 Height adjustable pillow
KR101509204B1 (en) * 2014-02-28 2015-04-09 주식회사에이드앤컴퍼니 Cervical vertebra pillow
US10080450B2 (en) 2014-05-23 2018-09-25 Joon Shik Shin Functional pillow
KR20150135713A (en) 2014-05-23 2015-12-03 신준식 Functional pillow
CN106456351A (en) * 2014-06-10 2017-02-22 T与I有限公司 Spinal column support
KR200474341Y1 (en) * 2014-07-11 2014-09-12 (주)서전에코 Cervical pillow
WO2016013723A1 (en) * 2014-07-24 2016-01-28 주식회사 티앤아이 Pillow for induc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TWI559879B (en) * 2014-07-24 2016-12-01 T&I Co Ltd Pillow for inducing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N106535717A (en) * 2014-07-24 2017-03-22 T与I有限公司 Pillow for induc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US10561561B2 (en) 2014-07-24 2020-02-18 T&I Co., Ltd.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KR20160141644A (en) * 2015-06-01 2016-12-09 곽영철 Health Pillow
CN106724514A (en) * 2017-01-03 2017-05-31 山东理工大学 Health-care pillow
KR20200139980A (en)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원우성업 Water pillow able to isolate harmfulness electron wa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893A (en) Functional pillow
JP7290888B2 (en) Adjustable height pillow
US20070056108A1 (en) Face rest with gel fill
CN103379842A (en) neck support pillow
US11412870B2 (en) Ergonomic and orthopaedic pillow for avoiding face wrinkles during sleep
US20120186022A1 (en) Pillow
CN206044204U (en) Jingzhuikang medicine for curing cervical spondylopathy shield pillow
KR101966297B1 (en) Round-type pillow
KR102109986B1 (en) Faculty pillow
CN204232741U (en) A kind of have the cervical vertebra correcting of radian to rest the head on the adjustable liftable of ear groove
CN208988347U (en) A new type of lying pillow with hot compress function
KR102399207B1 (en) Functional pillow with cooling and breathability
KR20180022253A (en) Pillow for forming rear head
KR200438607Y1 (en) Pillow
KR20190023205A (en) Pillow cover with height adjustment pad inserts pocket
CN202604327U (en) Healthy buckwheat memory cotton pillow interior
JP3171680U (en) pillow
CN206303599U (en) A kind of Magnetotherapeutic health medicine-filled pillow
CN222604289U (en) A functional pillow for cervical vertebra conditioning
KR102476475B1 (e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l and fluid materials filling tube
RU231525U1 (en) Orthopedic rehabilitation pillow
CN204670819U (en) A kind of Multipurpose pillow
CN215226542U (en) Support effectual graphite alkene cervical vertebra pillow
CN216293669U (en) A cervical vertebra shaping pillow
CN209528708U (en) A kind of Tai Ji stone silica gel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2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