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669A -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669A
KR20120005669A KR1020100066220A KR20100066220A KR20120005669A KR 20120005669 A KR20120005669 A KR 20120005669A KR 1020100066220 A KR1020100066220 A KR 1020100066220A KR 20100066220 A KR20100066220 A KR 20100066220A KR 20120005669 A KR20120005669 A KR 20120005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hand
wrist
keyboard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진
Original Assignee
박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진 filed Critical 박은진
Priority to KR102010006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669A/ko
Publication of KR20120005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건반악기 교육을 위한 손가락 보조기구(10)로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F)을 끼울 수 있고 손가락의 셋째 마디(F3)에 걸림으로써 손가락에 고정되는 손가락 고정부(11)와; 구부러지지 아니하는 얇고 평탄한 부재로서 적어도 손등(H1)과 손목(H2)까지 연장되는 본체부(153)의 일 단부(151)가 상기 손가락 고정부(11)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 단부(155)는 상기 본체부(153)가 상기 손등(H1)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손등(H1)과 손목(H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손목(H2)에 대하여 상대 거리가 변동되는, 자세 표시부(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2세 ~ 5세 사이의 유아가 건반악기 학습을 시작하기 전 준비단계로서 소 근육운동을 흥미롭게 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6세 이후 실제 건반악기 학습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손목, 손등 및 손가락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보조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Finger Aid for Keyboard Instruments}
본 발명은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 1세 ~ 만 4세 사이의 유아가 건반악기 학습을 시작하기 전 준비단계로서 소 근육운동을 흥미롭게 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만 5세 이후 실제 건반악기 학습 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손목, 손등 및 손가락의 올바른 연주 손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보조하는 새로운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뇌 발달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여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유아의 뇌 발달이 출생 이후부터 만 5세까지 지속적으로 발달된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결과를 통하여 검증되었고, 또한 이 시기에 수행되는 감각기관 운동은 뇌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근육동은 크게 달리기, 뛰기, 오르기 등의 대 근육 운동과 눈과 손의 협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손가락 운동과 같은 소 근육 운동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손가락 운동을 포함하는 소 근육 운동은 유아의 뇌를 보다 정교히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증명되었다. 이에 유아교육분야에서 유아의 소 근육 운동을 조장하는 방안이 관심 있게 연구되고 있고, 이러한 연구와 관심에 의하여 대두된 것이 악기 교습이다. 악기 교습은 유아의 예술적 감각 측면을 발달시켜 감성 교육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사용을 유도하여 소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악기 교습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의 교습으로 알려져 있다. 유아가 건반악기 연주를 학습하기 위해서 건반을 두드리기 위한 손가락 근육 힘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발달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 근육 발달이 미약한 어린 연령의 유아에게 건반악기 학습을 시작할 경우 부적절한 손 자세를 취하게 되기 쉽고, 연령에 맞지 않는 과제의 부담으로 인해 유아의 흥미를 잃게 할 수 있으므로 적당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본격적인 건반악기 교습은 일정 수준 이상의 손가락 근육이 발달된 만 5세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뇌 발달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소 근육 운동 시기는 뇌 발달이 진행되고 있는 출생 이후 ~ 만 5세까지이며, 출생 이후의 뇌 발달은 만 3세에 이르는 시기에 그 대부분이 이루어지므로 가장 적합한 건반악기 교습의 시기와 뇌 발달을 자극하기 위한 소 근육 운동 시기가 서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만 5세 이하의 유아에게 건반악기 교습이 아닌 형태로 소 근육 운동을 조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한편, 건반악기 교습이 가능한 연령에서 교습을 시작한 경우라 하더라도 어려움이 따른다. 건반악기 교습에 있어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손가락을 손등 아래로 구부리고 손등보다 손목을 올리는 자세 - 일명 달걀을 살짝 쥔 자세 -와 같은 올바른 연주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아는 손가락을 펴거나 손목이 내려가는 부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교사는 계속적인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계속적인 지적을 받은 유아는 교습 자체에 흥미를 잃게 될 염려가 많으므로, 유아의 흥미를 잃게 하지 않으면서 손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는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건반악기 교습 시 필요한 손 자세 교정을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국내 특허등록번호 10-595830 "건반악기용 손 자세 교습기구"에는 새끼손가락의 상하 또는 좌우 움직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한정하는 손가락 보조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새끼손가락뿐만 아니라 손등과 손목 및 손목과 팔꿈치 사이의 팔 부분까지 고정하는 기구이다. 그러나 이렇게 손 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손의 움직임을 일정범위로 한정하는 기구의 사용은, 각각의 개인별 차이마다 일일이 적응된 기구들을 제공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어린 사용자에게 더 큰 정신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역효과가 발생될 염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악기 교습이 이루어지기 전 시기의 유아에게 적절하게 흥미적 요소를 부가하여 손가락 근육운동을 선행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실제 악기교습에 임하였을 시기에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건반악기의 올바른 연주 손 자세를 스스로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는 손가락 보조기구에 대한 절실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기술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특히 만 1세 ~ 만 4세 사이의 유아가 건반악기 학습을 시작하기 전 준비단계로서 소 근육운동을 흥미롭게 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만 5세 이후 시기의 실제 건반악기 학습 시 교수방법에 흥미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손목, 손등 및 손가락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보조하는 새로운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고 손가락의 셋째 마디에 걸림으로써 손가락에 고정되는 손가락 고정부와; 구부러지지 아니하는 얇고 평탄한 부재로서 적어도 손등(H1)과 손목(H2)까지 연장되는 본체부의 일 단부가 상기 손가락 고정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 단부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손등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손등과 손목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손목에 대하여 상대 거리가 변동되는, 자세 표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세 표시부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인물, 동물,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내용이 표현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부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부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고리 형태로서 그 손가락 등 부분에 접하는 손가락 등부의 면적보다 그 손가락 바닥 부분에 접하는 손가락 바닥부의 면적이 더 크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부와 상기 자세 표시부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만 1세 ~ 4세 사이의 유아가 건반악기 학습을 시작하기 전 준비단계로서, 예컨대 인형 놀이하는 방식으로 소 근육운동을 흥미롭게 할 수 있게 하며, 더 나아가 만 5세 시기의 건반악기 학습 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손목, 손등 및 손가락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 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손의 움직임을 일정범위로 한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사용자 자신이 손가락을 교정할 수 있도록 지시하기 때문에 어린 사용자가 정신적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기구는 손가락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을 신축성있는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개인별 차이마다 쉽게 적응될 수 있어, 비교적 저렴한 비용의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의 결합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의 손가락 고정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 2와는 수직인 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소 근육운동을 실시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를 실제 건반악기 교습시 올바른 손자세를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며, 도 2는 특히 결합 부분의 여러 가지 예들을 보여주고, 도 3은 손가락 고정부의 여러 가지 예들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10)는 첫째, 유아의 손가락 근육 운동을 돕는 기구이며, 둘째, 건반악기의 교습시 손가락의 자세를 유지시키도록 돕는 기구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악기 교육을 위한 손가락 보조기구(10)는, 손가락 고정부(11)와 자세 표시부(15)가 결합부(13)에 의하여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손가락 고정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F)을 끼울 수 있고 손가락의 셋째 마디(F3)에 걸림으로써 손가락에 고정된다. 대체로 반지 또는 고리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고무줄 끈과 같이 서로 묶어서 고정하는 두 개의 끈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고정부(11)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고리 형태로서 그 손가락 등 부분에 접하는 손가락 등부(111)의 면적보다 그 손가락 바닥 부분에 접하는 손가락 바닥부(112)의 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가락 바닥부(112)가 손가락을 지지함으로써 착용자가 손가락을 예컨대 90도로 구부리는 올바른 연주 손 자세를 취할 시에 안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을 위한 손가락 보조기구(10)는, 예컨대 만 1~ 만 4세 연령의 사용자에게는 소 근육 발달 운동을 흥미롭게 하는 단순 목표만 충족하면 되므로, 손가락 바닥부(112)가 손가락 등부(111)보다 더 넓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손가락 고정부(11)는 단순 고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반면에 만 5세 연령의 사용자에게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의 손 자세 교정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이 손가락 바닥부(112)가 손가락 등부(111)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손가락 고정부(11)는 손가락의 자세를 어떤 일정한 범위로 한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하여 손가락이나 손등 및 손목의 자세가 전적으로 착용자의 의사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적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가락 고정부(11)는 기본적으로 손가락을 끼워 고정되는 기능만을 충족하면 충분하다. 다만 그 용도가 연약한 피부를 가진 유아의 교육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피부에 트러블을 생기게 하지 않으며 환경적으로 무해한 수지나 천연 재질로 된 재질 중 유연성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손가락 보조기구(10)에 있어서 하나의 자세 표시부(15)에 대하여 손가락 1개를 끼울 수 있는 크기로 1개의 손가락 고정부(11)를 구비할 수 있고{도 3의 (a) 참조}, 손가락 2개를 끼울 수 있는 크기로 1개의 손가락 고정부(11)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도 3의 (b) 참조}, 손가락 1개를 끼울 수 있는 크기로 2개의 손가락 고정부(11)를 구비할 수도 있고{도 3의 (c) 참조}, 또는 손가락 1개를 끼울 수 있는 크기로 4개의 손가락 고정부(11)를 구비할 수도 있다{도 3의 (d) 참조}. 물론 도시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손가락 고정부(11)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복수개 구비되는 예도 가능하다.
한편 자세 표시부(15)는, 예컨대 두꺼운 종이 재질이나 탄성있는 얇은 플라스틱 수지 재질 또는 얇은 금속 재질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있으며, 구부러지지 아니하는 얇고 평탄한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자세 표시부(15)는 사용자인 유아의 손목 움직임을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한된 범위에서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단, 그 형태가 지나치게 변형되지 않고 본래의 형태를 유지되어야 하며, 또한 무거운 재질보다는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 표시부(15)는 손등(H1)과 손목(H2)을 지나 길게 연장되는 본체부(153)를 가진다. 이 본체부(153)의 일 단부(151)는 결합단부로서 손가락 고정부(11)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체부(153)의 타 단부(155)는 자유단부로서 손등(H1)과 손목(H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손목(H2)에 대하여 상대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다만, 본체부(153)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만 1~ 만 4세 유아의 소 근육 발달 운동만을 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라면, 이 자세 표시부(15)가 손목을 지나서 너무 길게 연장될 필요가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부(153)는 손등(H1)을 덥는 정도의 길이만을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예컨대 만 5세 연령의 사용자에게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의 손 자세 교정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본체부(153)가 손목(H2)을 지나 더 위쪽의 아래팔 부분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자세 표시부(15)와 손가락 고정부(11)가 결합되는 결합부(13)의 예가 2가지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는 손가락 고정부(11)와 자세 표시부(15)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3)가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자세 표시부(15)의 일단부에는 고정 구멍(134)이 형성되고, 손가락 고정부(11)의 손가락 등부(111) 상에 후크 형상의 후크돌기(132)가 돌출 형성된다. 이 예에서 손가락 고정부(11)를 잡고 후크돌기(132)를 고정구멍(134) 속으로 밀어 넣어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변형예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자세 표시부(15)로 바꾸기 위하여, 다시 손가락 고정부(11)를 잡아 당겨 후크돌기(132)가 고정구멍(134)으로부터 나오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에는 접착층(135)으로 된 결합부(13)를 도시한다. 이 경우 예컨대 본드와 같은 결합제로 된 접착층(135)에 의하여 손가락 고정부(11)와 자세 표시부(15)는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위에서는 자세 표시부(15)와 손가락 고정부(11)가 서로 다른 부재로 만들어진 후 결합되는 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세 표시부(15)와 손가락 고정부(11)는 예컨대 플라스틱 수지와 같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표시부(15)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인물, 동물,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내용이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친근한 캐릭터 인물이나 동물 등이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자신의 사진을 이용하여 캐릭터를 꾸미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교통신호등과 같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을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아가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10)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착용했을 때, 유아의 삽입된 손가락(들)은 자세 표시부(15)에 표현되어 있는 사물이나 동물의 다리로서 여겨질 수 있어,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10)를 사용하여 유아의 소 근육운동을 실시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2개의 손가락(F)을 끼운 상태로 친근한 인물 캐릭터 형태로 형성된 자세 표시부(15)를 상대에게 보여주면서 찰흙(A)을 손가락 끝으로 누르는 소 근육 운동을 실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한편, 도 5는 4개의 손가락(F)을 끼운 상태로 친근한 동물 캐릭터 형태로 된 자세 표시부(15)를 상대에게 보여주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경우, 두 개의 손가락(F)은 인물 캐릭터가 표현된 자세 표시부(15)의 두 다리 역할을 하며, 네 개의 손가락(F)은 동물 캐릭터가 표현된 자세 표시부(15)의 동물의 네 다리 역할을 하므로, 인형극과 유사한 놀이 형태로 유아의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소 근육 운동이 실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보조기구(10)에 있어서, 자세 표시부(15)는 특히 손목과 손등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손가락 보조기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 자세를 강제적으로 일정 범위로 한정하지 않으면서도, 친근한 사물이나 캐릭터를 표현하고 있는 자세 표시부(15)가 손목과 손등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자발적으로 건반 악기 연주를 위한 올바른 자세로 되도록 자신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손목(H2)이 손등(H1) 보다 아래로 내려가 있는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나타내고, 도 7은 손목(H2)이 손등(H1) 보다 위로 올라가 있는 올바른 자세를 나타낸다. 자세 표시부(15)는 손가락(F)의 셋째 마디(F3)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주로 손등(H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B)을 치는 손(H)의 자세가 손등(H1)이 손목(H2) 위로 올라가 있는 경우에는, 자세 표시부(15)의 자유단부는 손목(H2)에 닿는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B)을 치는 손(H)의 자세가 손등(H1)이 손목(H2) 아래로 내려가 있는 경우에는, 자세 표시부(15)의 자유단부는 손목(H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자세 표시부(15)는 손등(H1)에 의하여 지지되며,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손등(H1)과 손목(H2)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라 그 자유단부와 손목(H2) 사이의 거리가 변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신의 자세의 올바름과 올바르지 않음을 흥미로운 캐릭터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즉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 : 찰흙 B : 건반
F : 손가락 F0 : 손가락 끝
F1 : 첫째 마디 F2 : 둘째 마디
F3 : 셋째 마디 H : 손
H1 : 손등 H2 : 손목
10 : 손가락 보조기구 11 : 손가락 고정부
111 : 손가락 등부 112 : 손가락 바닥부
13 : 결합부 15 : 자세 표시부
151 : 결합단부 153 : 본체부
155 : 자유단부

Claims (5)

  1. 건반악기 교육을 위한 손가락 보조기구(10)로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F)을 끼울 수 있고 손가락의 셋째 마디(F3)에 걸림으로써 손가락에 고정되는 손가락 고정부(11)와;
    구부러지지 아니하는 얇고 평탄한 부재로서 적어도 손등(H1)과 손목(H2)까지 연장되는 본체부(153)의 일 단부(151)가 상기 손가락 고정부(11)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 단부(155)는 상기 본체부(153)가 상기 손등(H1)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손등(H1)과 손목(H2)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손목(H2)에 대하여 상대 거리가 변동되는, 자세 표시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표시부(15)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인물, 동물, 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내용이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부(11)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부(11)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고리 형태로서 그 손가락 등 부분에 접하는 손가락 등부(111)의 면적보다 그 손가락 바닥 부분에 접하는 손가락 바닥부(112)의 면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부(11)와 상기 자세 표시부(15)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KR1020100066220A 2010-07-09 2010-07-09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KR20120005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20A KR20120005669A (ko) 2010-07-09 2010-07-09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20A KR20120005669A (ko) 2010-07-09 2010-07-09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69A true KR20120005669A (ko) 2012-01-17

Family

ID=4561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220A KR20120005669A (ko) 2010-07-09 2010-07-09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587A1 (ko) * 2017-11-13 2019-05-16 박준엽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587A1 (ko) * 2017-11-13 2019-05-16 박준엽 현악기 연습용 손가락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 Embodied Pronunciation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Havas The twelve lesson course in a new approach to violin playing
Millican Starting out right: Beginning band pedagogy
Campos Trumpet technique
Houseman Finding your voice: A step-by-step guide for actors
Pica Early elementary children moving and learning: A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US7582818B2 (en) Violin thumb pad
Woodfield Physical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KR20120005669A (ko) 건반악기 교육용 손가락 보조기구
Skoog Use of image and metaphor in developing vocal technique in choirs
Kemp The choral challenge: Practical paths to solving problems
Barrows et al. The Teacher's Book of Phonetics
LeFevre Techniques for maintaining a low larynx and open throat in classical singing
Gumm Making More Sense of How to Sing: Multisensory techniques for voice lessons and choir rehearsals
Shokirova FORMATION OF SPEECH SOUND OF CHILDREN WITH RHINOLALIA AFTER URANOPLASTY
Pica Preschoolers and Kindergartners Moving and Learning: A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sada The Lister-Sink method: A holistic approach to injury-preventive piano technique
Wisbey Learning through music
Pica Toddlers Moving and Learning: a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odgers Complete Voice and Speech Workout
CN208766871U (zh) 钢琴手指肌肉训练器
RU2808348C1 (ru) Комплексный способ запуска, стимуляции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диалоговой речи у детей
McAllister EINE KLEINE YOGA MUSIK: AN EARLY CHILDHOOD MUSIC PROGRAM UTILIZING YOGA POSTURES AND BREATH WORK
Banach et al. Good start method when working with an fas child in elementary Schools
RU2287190C2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младших школьников с речевыми нарушени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