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607A -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607A
KR20120005607A KR1020100066121A KR20100066121A KR20120005607A KR 20120005607 A KR20120005607 A KR 20120005607A KR 1020100066121 A KR1020100066121 A KR 1020100066121A KR 20100066121 A KR20100066121 A KR 20100066121A KR 20120005607 A KR20120005607 A KR 2012000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microwave
light source
transmitter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127B1 (ko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필
Priority to KR102010006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1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도플러 방식에 의해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거나 이탈하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근접거리 범위 내에서는 거리비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센싱유닛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센싱유닛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송신기와, 송신기에 발생된 파동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수신기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를 구비하며, 제어기는 상기 애널라이저가 판단한 피사체의 접근거리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실시간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SENSITIVE ILLUMINATING APPARATUS WITH INTELLIGENT SENSOR}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도플러 방식에 의해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거나 이탈할 때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근접거리 범위 내에서는 거리비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특수목적으로의 활용이 용이하고 갑작스러운 소등으로 인한 불편함이 없으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 아파트, 주택, 빌딩 등의 복도, 통로, 현관, 계단, 화장실 등 사람이 활동하는 다양한 구역에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 자동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같은 조명등과 관련하여, 20세기 이후 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 등이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에너지 절약이 모든 분야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실정에 따라, 조명 분야에서도 과거 밝기의 확보를 위한 기능적인 측면에서 질적인 측면으로 초점이 달라지면서, 질적 향상과 더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에는 조명제어시스템으로 인한 에너지 절감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광센서에 의한 조명시스템의 점소등이나 조광제어, 각 공간의 거주감지 센서를 통한 조명시스템의 점소등 등의 센서기술이 점차 중요시되고 보급화되고 있다.
센서를 이용한 조명등은 다양한 분야 및 공간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계단, 현관, 가로등, 주차장, 실내공간 등에 적용되고 있지만 에너지 절감을 위해 센서가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공간에서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감지센서와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전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근접센서 등이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감지센서에 의해 점등된 조명등을 일정시간 이후 소등하기 위한 것으로 점등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조명등은 최근 좀 더 발전된 형태로 개량되어 감지센서와 타이머 외에도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제품도 출시되어 있다. 이처럼 조도센서가 포함되면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하는 기능이 추가로 포함된다. 즉, 조도센서는 주변 조도가 그 설정값보다 어두운 경우 조명등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감지센서와 타이머에 의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정값보다 밝으면 조명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점등 및 소등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하지만, 종래의 조명등은 전술된 것처럼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점등되는 관계로 갑작스런 소등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시야가 차단되는 것은 물론, 만일 그 후에도 해당 위치에 계속 머물게 되는 경우 손을 흔들거나 몸을 움직여서 센서가 재차 감지토록 하여 조명등을 점등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명등이 갖는 가장 큰 문제는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일정범위로까지 한정되지 못하고 불필요한 범위로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점등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더욱이, 사람의 거리비에 따른 조도의 조절 없이 최대 조도로만 획일적인 점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송수신하는 도플러 방식에 의해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점등하고 거리비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는, 접근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유닛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 발생된 파동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애널라이저가 판단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실시간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의 종류와 접근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기가 피사체의 종류에 따라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파악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기가 사람인 경우에만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은 24.05GHz 내지 24.25Ghz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24.05GHz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에 더해, 1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3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복합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도플러 방식에 의해 광원 또는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피사체의 거리비에 따라 최적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의 종류를 구분하여, 그 종류와 거리비에 따라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 종류에 최적화된 감성 조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용이하게 조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조명등의 용도로뿐만 아니라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장, 음식 조리대, 학습을 위한 공간인 공부방 및 독서실, 스텐드 등 특수목적의 장소나 기구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뿐만 아니라 야간경관 등의 외부조명 즉, 가로등, 보안등을 비롯하여 높이 1m 내외의 낮은 폴 조명인 볼라드 등에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이 점등되더라도 획일적으로 조도를 최대한도로 높이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를 감지하기 위해 다른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복합적으로 발생시키는 구성에 의해 비, 진동, 휴대전화 등 방해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애널라이저가 피사체에 대한 감지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조도 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환 환경에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120)과 함께 설치된 센싱유닛(110)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송수신하는 도플러 방식에 의해 접근하는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거리비에 따라 조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는 사람이 근접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거나 이탈하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근접거리 범위 내에서는 접근한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갑작스러운 소등으로 인한 불편함이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를 주로 염두하여 설명되지만, 자동차 등 사람이 아닌 경우에도 조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조도 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접근하는 피사체(P)를 감지하는 센싱유닛(110)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120)과, 상기 센싱유닛(110)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120)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싱유닛(110)과 제어기(130)는 접근하는 피사체(P)가 사람인지를 판단하고, 접근 거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도를 조절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아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센싱유닛(1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접근하는 피사체(P)를 감지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할 수 있듯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송신기(111)와, 상기 송신기(111)에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가 피사체(P)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112)와, 상기 수신기(112)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1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11)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진된 신호를 적정수준으로 증폭하는 주파수증폭부와 상기 주파수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안테나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11)가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은 마이크로웨이브 영역 중 K-band라 불리는 18.0GHz 내지 26.5Ghz 영역 내의 24.05 내지 24.25GHz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K-band 영역의 주파수에 속하는 24.05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는 12mm 정도의 긴 파장에 속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이 좋으며 신호의 처리 능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참고로 마이크로웨이브의 경우 아래 표 1을 참조할 수 있는 것처럼 K-band, 외에도 L-band, S-band, G-band, C-band, J-band, H-band, X-band, M-band, P-band, N-band, Ku-band, R-band에 속한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분류된다.
Radio waves Frequency range
(Ghz)
Wavelenghth range
(mm)
L-band 1.00 - 2.60 299.7 - 115.3
S-band 2.60 - 3.95 115.3 - 75.9
G-band 3.95 - 5.85 75.9 - 51.2
C-band 4.90 - 7.05 61.2 - 42.5
J-band 5.30 - 8.20 56.5 - 36.5
H-band 7.05 - 10.00 42.5 - 30.0
X-band 8.20 - 12.40 36.5 - 24.2
M-band 10.00 - 15.00 30.0 - 20.0
P-band 12.40 - 18.00 24.2 - 16.7
N-band 15.00 - 22.00 20.0 - 13.6
Ku-band 15.30 - 18.00 19.6 - 16.7
K-band 18.00 - 26.50 16.7 - 11.3
L-band 26.5 - 40.00 11.3 - 7.5
하지만,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인 24.05 내지 24.25GHz 대역이 갖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변 기기의 방해를 받는 경우 감지효과가 떨어지거나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예컨대, 국내에서 광대역 무선접속 서비스를 위해 허가된 주파수 대역은 24 내지 27Ghz으로 본 발명이 최적의 주파수 대역으로 염두하고 있는 24.05 내지 24.25Ghz와 겹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설치된 장소가 광대역 무선접속 서비스가 시행되는 지역이거나, 동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가 본 발명의 감지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는 것이다.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기(111)는 K-band에 속하는 24.05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와 함께 다른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24.05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이 속하는 2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차이가 있는 1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3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동시에 발생시키기 위해 송신기(111)에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여 송신할 수 있는 신호발생부와, 주파수증폭부와 송신안테나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이같이 상기 송신기(111)가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경우 비, 진동, 휴대전화 등 방해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애널라이저(113)가 피사체(P)에 대한 감지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센싱유닛(110)의 구성요소인 애널라이저(113)는 수신기(112)에서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근거로 접근하는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애널라이저(113)는 상기 송신기(111)에서 발생시킨 마이크로웨이브와 상기 피사체(P)로부터 반사되어 수신기(112)에 수신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비교하여 피사체(P)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파악한다. 상기 피사체(P)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취득하여 파악하게 되면 이를 근거로 하고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에 대해 아래 표 2를 참조로 살펴보면,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투과는 없고 반사 및 흡수는 일부 이루어진다.
물질 투과 반사, 흡수
금속 투과 없음 완전 반사
투과 없음 완전 흡수
사람 투과 없음 일부 반사
얼음 낮은 투과 일부 반사
나무 투과 미량 반사
셀룰러(Cellular) 물질 전부 투과 반사 없음
또한, 상기 애널라이저(113)에 의한 피사체(P)의 거리 측정은 일반에 알려진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적용하며, 감지영역에서 피사체(P)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밀도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피사체(P)의 접근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기(130)는 센싱유닛(110)의 송신기(111), 수신기(112), 애널라이저(113)는 물론 광원(120)과 연결되며, 이들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피사체(P)가 사람으로 판명되면 점등 및 소등과 아울러 광원(120)의 조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같은 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애널라이저(113)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는다. 이를 통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원거리인 1차 근접범위 내에 진입한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즉시 가장 약한 수준의 조도로 광원(120)을 점등한다.
이후, 상기 피사체(P)가 광원(120) 혹은 설정된 지점에 더 가까이 접근할수록 광원(120)의 조도를 높여주며, 상기 피사체(P)가 상대적으로 근거리인 2차 근접범위에 진입하면 광원(120)의 조도를 최대로 높여준다.
이후, 상기 피사체(P)가 2차 근접범위를 벗어나 1차 근접범위에 진입하면 광원(120) 혹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낮춰준다. 이후 피사체(P)가 최종적으로 1차 근접범위마저 벗어나게 되면 광원(120)을 소등한다.
이처럼 사람으로 판명된 피사체(P)의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가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 주택, 빌딩 등의 복도, 통로, 현관, 계단, 부엌, 화장실 등은 물론이고,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장, 음식 조리대, 학습을 위한 공간인 공부방 및 독서실, 스텐드 등 특수목적의 장소나 기구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야간경관 등의 외부조명 즉, 가로등 및 보안등을 비롯하여 높이 1m 내외의 낮은 폴 조명인 볼라드 등 다양한 조명 공간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시물이 전시된 전시장의 경우, 관람객과 전시물과의 거리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조절하게 되면 전시물이 광원(120)의 높은 조도에 노출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빛의 노출에 상당히 취약한 지류 등의 유물이나 고가의 작품들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과정은 도 4에 잘 예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센싱유닛(110)의 감지범위 영역에서 피사체(P)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람인지 여부를 애널라이저(113)가 판단하여 광원(120)을 점등하게 되고, 이후 다시 한번 피사체(P)의 거리가 얼마인지를 애널라이저(113)가 판단하여 광원(120)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의 동작순서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도 5a는 센싱유닛(110)의 감지영역인 1차 근접범위까지 피사체(P)가 진입하지 않는 초기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같은 초기상태에서는 센싱유닛(110)은 상시 구동되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광원(120)은 대기상태에 있다.
이후, 도 5b와 같이 피사체(P)가 1차 근접범위에 진입하게 되면 센싱유닛(110)의 송신기(111)에서 발생시킨 마이크로웨이브가 진입한 피사체(P)에 충돌한 후 반사되어 수신기(112)에 수신된다. 이때 애널라이저(113)는 피사체(P)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을 파악하여 피사체(P)가 사람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제어기(130)에 보고한다. 그러면 제어기(130)는 접근한 피사체(P)가 사람인 경우 즉시 광원(120)을 최소 조도로 점등시킨다.
이후, 도 5c와 같이 1차 근접범위 내에서 피사체(P)의 접근거리가 점차 가까워질수록 제어기(130)는 광원(120)의 조도를 거리비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여준다. 이를 위해 상기 애널라이저(113)는 감지영역인 1차 근접범위에서 피사체(P)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밀도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피사체(P)의 접근거리를 측정하며, 이를 제어기(130)에 보고하면 상기 제어기(130)는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조절한다.
이후, 도 5d와 같이 피사체(P)의 접근거리가 더욱 가까워져 2차 근접범위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130)는 광원(120)의 조도를 최대로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2차 근접범위 내에서는 피사체(P)의 접근거리와 관계없이 광원(120)의 조도를 최대로 유지한다.
이후, 상기 피사체(P)가 2차 근접범위를 벗어나 1차 근접범위에 진입하면 광원(120) 혹은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거리비에 따라 광원(120)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낮춰준다. 이후 피사체(P)가 최종적으로 1차 근접범위마저 벗어나게 되면 제어기(130)에 의해 광원(120)을 소등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앞서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일부 사례를 소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다양환 환경에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전시관 또는 박물관, 주방용으로 적용된 예이다. 이 경우는 피사체(P)가 사람이고, 피사체(P)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전시물(주방인 경우 주방용품이나 싱크대 등 특정 지점)까지도 함께 조사해주어야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센싱유닛(110)이 피사체(P)를 감지하면 점진적으로 광원(120)의 조도를 높이다가 피사체(P)가 전시물에 근접하여 관람할 때는 전시물을 관람하기에 적당한 수준의 조도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가로등 또는 보행등으로 적용된 예이다. 이 경우는 피사체(P)가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자동차가 될 수도 있다. 센싱유닛(110)에 의한 넓은 범위의 감지와 더불어 광원(120)에 의한 보다 넓은 범위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처음에는 광원의 조도가 안전을 위한 최저조도로 낮게 유지되다가 피사체(P)가 접근하면 광원(120)의 조도가 서서히 높은 수준으로 점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독서실 등의 학습공간용으로 적용된 예이다. 이 경우는 피사체(P)가 사람이고, 센싱유닛(110)이 피사체(P)의 접근을 감지하면 점진적으로 광원(120)의 조도를 높이다가 최종적으로는 피사체(P)가 책을 읽기 적당한 수준의 조도를 유지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를 변형시켜 마이크로웨이브를 대신하여 차선책으로 초음파나 자기장을 활용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같이 마이크로웨이브 대신에 초음파나 자기장을 사용하는 경우 그 구성은 유사할 수 있으나 주변상황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피사체가 사람인지 여부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파악하는데 따른 효과 및 신뢰도는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센싱유닛 111 : 송신기
112 : 수신기 113 : 애널라이저
120 : 광원 130 : 제어기

Claims (9)

  1. 접근하는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싱유닛과,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과, 상기 센싱유닛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등 및 소등,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유닛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에 발생된 파동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면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파동을 근거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판단하는 애널라이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애널라이저가 판단한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실시간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로 인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밀도변화를 통해 상기 피사체의 접근거리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의 종류와 접근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기로 하여금 피사체의 종류에 따라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널라이저는 피사체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율, 흡수율 및 반사율에 의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여부와 접근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기로 하여금 사람인 경우에만 광원의 점등 및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6.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의 주파수 대역은 24.05GHz 내지 24.25G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24.05GHz 내지 24.25Ghz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것에 더해, 1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와 3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복합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KR1020100066121A 2010-07-09 2010-07-09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KR101208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21A KR101208127B1 (ko) 2010-07-09 2010-07-09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21A KR101208127B1 (ko) 2010-07-09 2010-07-09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07A true KR20120005607A (ko) 2012-01-17
KR101208127B1 KR101208127B1 (ko) 2012-12-05

Family

ID=4561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121A KR101208127B1 (ko) 2010-07-09 2010-07-09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668B1 (ko) 2018-01-02 2020-01-02 신영진 감각자극장치
KR101994198B1 (ko) 2018-01-02 2019-07-01 주식회사 브레인틀 감각자극 기반의 사용자 활동 지원 시스템
KR20210023050A (ko) * 2019-08-21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밀리미터 웨이브를 이용하여 신호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167B1 (ko) * 2007-01-13 2008-06-27 김형국 컴퓨터작업용 보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127B1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85907B (zh) 确定网络节点对于基于rf的存在和/或位置检测的适合性
US8519883B2 (en)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 PIR sensor or a doppler radar sensor disposed within a light fixture
CN102239747B (zh) 用于选择和控制设备的方法
CN111278199A (zh) 灯具亮度控制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20130063046A1 (en) Configuration unit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presence detection sensor
KR102138502B1 (ko) 인체감지용 안테나 유닛을 가지는 공기조화장치
JP7482852B2 (ja) 無線周波数ベースの動き検出を行うために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を制御するためのコントローラ
Nguyen et al. Eyelight: Light-and-shadow-based occupancy estimation and room activity recognition
CN113396563A (zh) 确定避开具有基于rf的存在和/或位置检测功能的节点的网络路由
KR101208127B1 (ko) 인텔리전트 센서를 이용한 감성 조명장치
CN111148323B (zh) 一种基于目标感知的智慧建筑照明灯光调控方法与系统
WO2016103394A1 (ja) 状態検知システム、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状態検知方法
CN106707244A (zh) 一种分区域微波感应的检测方法及微波感应器
CN113377019A (zh) 监控设备、方法和智能家居系统
KR200382647Y1 (ko) 마이크로 모션 검출기를 이용한 대상물 감지장치
US7902508B2 (en) Selectable field motion detector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CN115606203A (zh) 用于配置射频感测网络的网络设备的配置模块
CN105258037A (zh) 一种智能照明系统
KR102158566B1 (ko) Ac 전원 라인을 송수신 안테나로 구현한 마이크로파 도플러 센서
KR20160044240A (ko) 무선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7224B1 (ko) 초전 센서 및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이용한 인체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11115779B1 (en) Switch controlling system and switch controlling method of smart appliances
JP2002343581A (ja) 照明システム
KR100574772B1 (ko) 마이크로 모션 검출기를 이용한 대상물 감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