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85U - 쑥뜸기 - Google Patents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85U
KR20120004985U KR2020100013588U KR20100013588U KR20120004985U KR 20120004985 U KR20120004985 U KR 20120004985U KR 2020100013588 U KR2020100013588 U KR 2020100013588U KR 20100013588 U KR20100013588 U KR 20100013588U KR 20120004985 U KR20120004985 U KR 201200049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mugwort
main body
moxa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영훈
Priority to KR2020100013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985U/ko
Publication of KR20120004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 및 유약을 재료로 하는 쑥뜸기로 본체와 뚜껑에 같은 크기의 홈을 내어 공기가 흡일될 수 있는 흡입구를 형성하고 본체 좌우측 상단에 쑥연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토출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휀과 연결이 가능토록 하여 쑥의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여 실내에서 보다 안락한 쑥뜸을 뜰 수 있게 하였다.
본체 안쪽 중간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다수의 원형 으로 타공된 중간판을 안착하고 타공 부위에 다수의 쑥받침관을 결합하여 거기에 성형된 쑥봉을 넣어 쑥뜸을 준비케한다.
이때에 중간판은 뜸자리에 맞춰 원형으로 타공된것으로 뜸자리별로 다양한 형태의 중간판을 뜸자리에 맞추어 교체할 수 있도록 여러개 준비하여 원하는 부위(배,하복부,척추,등,허리....)에 쑥뜸을 할 수 있게 한다.
본체 하부에는 신체와의 밀착성을 높일 밀착패드를 포함하는 쑥뜸기 이다.

Description

쑥뜸기{omitted}
본 고안은 황토 및 유약을 재료로 하고, 토출구를 통한 연기와 냄새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안락한 쑥뜸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중간판만을 손쉽게 교체함으로써 다양하고 정확한 신체부위에 쑥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쑥뜸은 쑥을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쑥뜸을 하거나, 쑥뜸기를 이용한 쑥뜸의 경우에도 쑥연기를 공기중에 노출시켜 쑥뜸을 뜨거나, 밀폐된 쑥뜸기에 인공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해진 뜸자리에만 뜸을 뜨는 것이었다. 즉 원하는 신체부위에 맞는 다양한 뜸자리(배,하복부,척추,등,허리....)에 쑥뜸을 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공기흡입구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공기흡입이 가능하고 토출구를 통해 쑥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안락한 쑥뜸을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여러위치에 타공된 중간판을 다양하게 준비하여 원하는 신체 부위(배,하복부,척추,등,허리....)에 교체하며 쑥뜸을 할 수 있는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황토 및 유약을 재료로 하는 쑥뜸기로 본체와 뚜껑에 같은 크기의 홈을 내어 공기가 흡일될 수 있는 흡입구를 형성하고 본체 좌우측 상단에 쑥연기를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토출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휀과 연결이 가능토록 하여 쑥의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여 실내에서 보다 안락한 쑥뜸을 뜰 수 있게 하였다.
본체 안쪽 중간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다수의 원형 으로 타공된 중간판을 안착하고 타공 부위에 다수의 쑥받침관을 결합하여 거기에 성형쑥을 넣어 쑥뜸을 준비케한다.
이때에 중간판은 뜸자리에 맞춰 원형으로 타공된것으로 뜸자리별로 다양한 형태의 중간판을 뜸자리에 맞추어 교체할 수 있도록 여러개 준비하여 원하는 부위(배,하복부,척추,등,허리....)에 쑥뜸을 할 수 있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쑥뜸기의 재질과 구성에 있어 자연적인 재료와, 토출구를 통한 연기와 냄새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에서 안락한 쑥뜸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중간판만을 손쉽게 교체함으로써 다양하고 정확한 신체부위에 쑥뜸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고안된 쑥뜸기를 고시한 사시도
도2는 쑥뜸기의 단면도
도3은 쑥뜸기의 뚜껑을 제거한 평면도
도4는 중간판의 다양한 타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1, 본체 102, 뚜껑
103, 중간판 104, 쑥받침관
105, 성형쑥 106, 공기흡입구
107, 토출구 108, 연결호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쑥뜸기를 본체(101), 뚜껑(102), 중간판(103), 쑥받침관(104)로 구성하고 본체상단과 뚜껑하단의 접하는 부위에 같은 크기의 홈을 내어 자연스러운 공기 흡입이 가능토록 한다.
본체 상부 좌우측면에 토출구(107)를 형성하여 외부의 휀과 연결이 가능토록 하였고, 본체 내측중간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교체가능한 다양하게 타공된 중간판(103)을 안착하고 타공된 구멍에 쑥받침관(104)을 결합하여 쑥뜸을 뜨게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먼저 뚜껑(102)을 열고 중간판(원하는 신체부위에 맞는)(103)의 타공구멍에 안착된 쑥받침관(104)에 성형된 성형쑥(105)을 넣고 뚜껑(102)을 흡입구가 본체(101)와 맞도록 닫고 쑥뜸을 할 신체 부위에 쑥뜸기를 안치한다. 성형쑥(105)이 연소하면서 발생한 열기와 쑥진은 쑥받침관(104) 하단에 뚫려진 구멍을 통하여 신체부위에 전달되고 연기와 냄새, 일부의 열기는 토출구(10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뚜껑을 돌려 공기흡입구(106)의 구멍을 조절해서 흡입공기량을 조절하여 신체에 전달되는 열기와 연소시간을 조절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위치에 타공된 여러모양의 중간판을 준비하여 뜸을 뜨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적합한 중간판을 안착하여 쑥뜸을 뜸으로서 쑥뜸의 편익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황토와 유약을 재료로 하며 본체 내측중간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다양한 위치에 타공된 중간판을 안착하고 쑥받침관에 성형쑥을 넣어 쑥뜸하는 쑥뜸기로 여러 모양으로 타공된 중간판을 쑥뜸을 뜨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맞춰 교체하며 쑥뜸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2. 1항에 있어서 쑥뜸기 본체상단과 뚜껑하단에 같은 크기로 홈을 파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하고 본체 상단에 토출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휀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기
KR2020100013588U 2010-12-30 2010-12-30 쑥뜸기 KR201200049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88U KR20120004985U (ko) 2010-12-30 2010-12-30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88U KR20120004985U (ko) 2010-12-30 2010-12-30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85U true KR20120004985U (ko) 2012-07-10

Family

ID=4685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88U KR20120004985U (ko) 2010-12-30 2010-12-30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9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83B1 (ko) *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83B1 (ko) * 2012-10-09 2014-09-15 정순국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084B1 (ko)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CN105640765B (zh) 烟灸理疗仪
CN204501615U (zh) 一种多功能艾灸盒
KR101352701B1 (ko) 쑥뜸기
CN209204048U (zh) 一种艾灸盒
CN107374949A (zh) 一种多功能艾灸盒
KR20120004985U (ko) 쑥뜸기
CN204319259U (zh) 一种水溶式无烟艾灸器
CN204364285U (zh) 一种具有输氧净化装置的呼吸内科用病床
CN211658722U (zh) 一种妇科熏蒸治疗器
CN202386957U (zh) 腹部专用艾灸盒
CN108785052B (zh) 一种多功能医用熏蒸座椅
CN202446479U (zh) 胸部专用艾灸盒
CN109907978A (zh) 一种用于中医护理的透明艾灸盒
ES2812338T3 (es) Dispositivo de aspiración para la utilización de aire de colmena
CN202446478U (zh) 肘关节专用艾灸盒
CN206081042U (zh) 一种家用艾灸器
KR200400379Y1 (ko) 쑥뜸 장치
CN109276439B (zh) 一种过敏性鼻炎的熏蒸装置
CN204671545U (zh) 一种中医灸熨多用泥疗模
CN2885232Y (zh) 一种治疗肛肠疾病的药液熏蒸器
CN210355362U (zh) 一种艾灸坐熏装置
CN106726447A (zh) 治疗椅
CN207202248U (zh) 保健透气鞋垫
CN208003093U (zh) 一种可自由组合艾灸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