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17U - Functional flowerpot - Google Patents
Functional flower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4917U KR20120004917U KR2020100013494U KR20100013494U KR20120004917U KR 20120004917 U KR20120004917 U KR 20120004917U KR 2020100013494 U KR2020100013494 U KR 2020100013494U KR 20100013494 U KR20100013494 U KR 20100013494U KR 20120004917 U KR20120004917 U KR 2012000491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t
- water
- flower pot
- plant
- pla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을 구성하는 데 있어 상단 및 하단으로 구성하되 상단에 구비되는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이 하단에 구비되는 화분에 유입되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하단에 별도의 물받이가 필요없이 상단에 구비되는 화분으로부터 넘쳐 흘러나온 물이 하단에 구비되는 화분에 심어진 수초나 기타 식물에게 영양분으로 재차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하측 외주면에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공(110)이 다수게 천공되어 있는 제1화분(100)과;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210)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210)의 외주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재배 가능하도록 식물 재배홈(220)이 구비되어 있는 제2화분(200)으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에 다수의 체결돌기(120)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돌기(120)가 삽입되는 체결홈(230)을 제2화분(200)의 받침부(210) 상단에 구비하여, 상기 제1화분(100)과 제2화분(20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s a functional potted plant, constituting the planter for cultivating the plant consists of the top and bottom, but the water flowing from the potted plant provided at the top flows into the planter provided at the bottom to grow the pl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unlike the existing pots,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pots provided at the top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rip tray at the bottom of the pot to be re-supplied as nutrients to plants or other plants planted in the pots at the bottom As a thing about the functional flowerpot to prevent the water overflowing,
Specific solution means of the functional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pot 100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110 for discharging water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Support portion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t 100 is formed in the cent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plant cultivation groove 220 so that various plants can be grown Consisting of a second flower pot 200,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2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wer pot 100, and the fastening grooves 230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120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bases 210 of the second flower pot 200.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pots 100 and 200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을 구성하는 데 있어 상단 및 하단으로 구성하되 상단에 구비되는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이 하단에 구비되는 화분에 유입되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기존 화분과 달리 화분 하단에 별도의 물받이가 필요없이 상단에 구비되는 화분으로부터 넘쳐 흘러나온 물이 하단에 구비되는 화분에 심어진 수초나 기타 식물에게 영양분으로 재차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이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s a functional potted plant, constituting the planter for cultivating the plant consists of the top and bottom, but the water flowing from the potted plant provided at the top flows into the planter provided at the bottom to grow the pl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unlike the existing pots,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pots provided at the top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rip tray at the bottom of the pot to be re-supplied as nutrients to plants or other plants planted in the pots at the botto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flowerpot for preventing water from overflowing.
종래의 화분은 단순한 하나의 화분에 하나의 꽃을 재배하도록 구성된 단순한 화분 하단에 화분에 유입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치 아니하도록 물받이가 구비된 구조가 대부분이다.Conventional flower pots are mostly structured with drip trays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flower pots does not leak out to the bottom of the simple flower pots configured to grow a single flower in a single flower pot.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7-2361호는 화분의 내주면에 젤 상태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도포한 후 그 위에다 화성암 석분이나 화산재 등을 도포하여 화분자체적으로 수분을 장기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흡수층을 가진 화분에 관한 것이며,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7-2361 has a moisture absorbing layer that applies gel-based polyethylene resi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lower pot and then applies igneous rock powder or volcanic ash on it to allow the pollen to retain moisture for a long time. It's about pots,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56428호는 화분 내부로 설치되어 화분 내에서 재배되고 각종 관상용 식물의 뿌리부로 원활한 통습,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분용 통습, 통기구에 관한 것이고,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7-56428 relates to a potted plant and a vent,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planter and cultivated in the planter to allow for smooth air permeation and aeration to the roots of various ornamental plants,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7730호는 화석을 화초의 크기에 따라 돌구멍을 뚫어 화분을 물기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폭시로 화분 바깥 부분을 포장한 후 물받침 그릇에 물이 고여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은 자갈을 깔고 뚫은 돌은 화분 밑받침 그릇 위에 놓아 사용할 수 있는 화분이 기재되어 있으며,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7-7730 discloses that fossils can be drilled through stone hol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s, and the pots are packed with epoxy to prevent water from evaporating.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mall pebbles and drilled stones have potted plants that can be placed on a pot underlay.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00-6675호에는 도자기형태의 화분과 화분의 뚜껑체로 구성된 분재용 화분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91-16133호에는 화분동체를 투명하게 주연벽에 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면벽에 온도계 삽입구를 착설하여서된 난 분재용 화분이 기술되어 있고,Domestic Publication No. 2000-6675 describes bonsai pots, which consist of potted plants in the form of porcelain and lids of potted plants, and Publication No. 91-16133 discloses potted bodies on the main wall. Potted plants for egg bonsai are formed by forming two air vents and installing a thermometer insertion hole on the inner wall.
동 공보 공개번호 제92-11346호에는 접목방법을 이용하여 다수 종의 열매를 하나의 분재에서 관상할 수 있는 분재가 기재되어 있으나,Publication No. 92-11346 discloses a bonsai in which a variety of fruits can be observed from a single bonsai using a grafting method.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하나의 화분에서 화초나, 난 등을 재배할 수 있는 분재로서, 단순하여 다양한 꽃들을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기존의 기술은 대부분이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됨에 따른 문제점은 단순히 화분 하단에 별도의 물받이를 설치하여 상기 물받이에 물을 자주 비워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The prior art is a bonsai that can grow flowers, eggs, etc. in a single p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imple to enjoy a variety of flowers, in particular, the existing technology is because mos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 is leaked to the outside The problem is that by simply installing a separate drip tray at the bottom of the pot is adopted to empty the water frequently.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나의 화분에 다양한 꽃들이나 수초 등을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물받이의 물을 비우는 행위는 너무나 번거롭고 자주 잊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물을 화분에 유입시 그 양의 조절이 어려워 물받이 외부로 넘쳐나 실내 바닥이나 베란다 바닥에 넘친 물로 인하여 바닥이 지저분해져 청소를 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not enjoying a variety of flowers or plants in a single pot as described above, emptying the water of the drip tray is too cumbersome and often forgotten. There were problems such as having to clean the floor due to overflow or water overflowing the indoor floor or the veranda floor.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키 위한 것으로서, Functional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우선, 하나의 화분에 다양한 꽃이나 식물들을 재배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화분에 하나의 꽃이 재배 및 디스플레이됨에 따른 단조로움을 해소하고 하나의 화분에 다양한 꽃이나 식물을 재배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실내 분위기를 다양화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식물을 동시에 재배 및 감상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First, it is possible to cultivate various flowers or plants in one pot to eliminate the monotony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and display of one flower in one pot, and to cultivate various flowers or plants in one pot. The purpose is to grow and enjoy various plants at the same time in a limited space,
또한, 화분 바닥면에 별도의 물받이가 설치되지 아니하더라도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유입되는 물이 실내 및 실외로 넘쳐 흐르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토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separate drip tray is no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ot, there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problems such as the water flowing into the plant planted in the indoor and outdoor overflow.
상기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 적 수단은 [하측 외주면에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공(110)이 다수게 천공되어 있는 제1화분(100)과;Specific solution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functional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210)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210)의 외주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재배 가능하도록 식물 재배홈(220)이 구비되어 있는 제2화분(200)으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에 다수의 체결돌기(120)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돌기(120)가 삽입되는 체결홈(230)을 제2화분(200)의 받침부(210) 상단에 구비하여, 상기 제1화분(100)과 제2화분(20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은 우선, 하나의 화분에 다양한 꽃이나 식물들을 재배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화분에 하나의 꽃이 재배 및 디스플레이됨에 따른 단조로움을 해소하고 하나의 화분에 다양한 꽃이나 식물을 재배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실내 분위기를 다양화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식물을 동시에 재배 및 감상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nctional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by cultivating a variety of flowers or plants in one pot to eliminate the monotony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and display of one flower in one pot and various flowers or in one pot By cultivating the plant can be expected to diversify the indoor atmosphere and to be able to grow and enjoy a variety of plants at the same time in a limited space.
또한, 화분 바닥면에 별도의 물받이가 설치되지 아니하더라도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유입되는 물이 실내 및 실외로 넘쳐 흐르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separate drip tray is no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ot,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preventing problems such as the water flowing into the plant planted in the pot overflowing indoors and outdoors.
도 1은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단면도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i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the functional polle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단면도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기능성 화분의 사용 상태로,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i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Figure 6 is a state of use of the functional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화분(100)과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화분(200)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제1화분(100)은 일반적인 화분처럼 꽃 또는 식물 등을 재배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하측 외주면에 다수의 물배출공(11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일반적인 화분은 화분의 바닥면에 물을 배출하는 통공이 천공되어 있어 화분을 받치는 받침대에 물이 고이는 것이 특징이다.The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물배출공(110)을 외주면에 천공하여 후술하는 물이 제2화분(200)에 유입되도록 하였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2화분(200)은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지는 받침부(210)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210)의 외주부 즉 제2화분(200) 내측으로 식물재배홈(2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상기 식물재배홈(220)의 경우 자갈(S)을 깔고 수초 및 기타식물(P) 등을 재배하기 위한 공간이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측에 형성되는 제1화분(100)과 하측에 형성되는 제2화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1화분(100)에 유입된 물이 물배출공(110)을 통해 제2화분(200)의 식물재배홈(220)에 재차 유입되도록 하여,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일반적인 화분에 필요한 화분받침대가 필요하지 않게 되었으며, 제1화분(100)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제1화분(100)에 물이 과다하게 유입되더라도 제2화분(200)에 흘러들어가는 구성으로 제작하여 제2화분(200)에서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었다.
No need for a potted plant in general, planting the plant in the first flower pot (100) and at the same time to produce a configuration that flows into the second flower pot (200) even if water is excessively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er pot (100) Plants can also be grown in the
한편, 도 3내지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분(100)과 제2화분(20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인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3 to 4 and 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the first and
우선 상기 제1화분(100)을 하측 외주면에 다수의 물배출공110이 천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물배출공(110)의 하측 즉 제1화분(100)의 바닥부에 다수의 체결돌기(120)를 구비하여서 형성하고,First, a plurality of fastening
상기 체결돌기(120)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230)을 제2화분(20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210)에 형성하여,By forming a
제1화분(100)의 체결돌기(120)와 제2화분(200)의 체결홈(230)에 의해 제1화분(100)과 제2화분(20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The first an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즉, 상기 제2화분(200)의 받침부(210) 위에 제1화분(100)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안착시켜 상기 제1화분에 꽃(F) 등을 키우고 상기 제2화분(200)의 식물재배홈(220)에 수초나 기타 식물(P)을 재배하게 되면, 상기 제1화분(100)에 물을 유입할 경우 유입된 물이 과다하여 제1화분(100)의 외부로 유출되더라도 유출된 물은 상기 제2화분(200)의 식물재배홈(220)으로 유입되어 수초나 기타 식물(P)의 식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서,In the above state, that is, 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화분(100)의 바닥면과 제2화분(200)의 받침부(210)의 바닥면이 밀착되면 당연히 물의 배출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제1화분(100)의 상단으로부터 물이 낙하 되고 이런 과정에서 흙 등이 함께 낙하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2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화분(100)의 하측 외주면에 다수의 물배출공(110)을 구비하며 제1화분(100)으로 유입된 물이 과다하거나 또는 배출될 경우 상기 물배출공(110)을 통하여 원활하게 물이 배출되어 상기 식물재배홈(220)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제1화분(100)에 심은 꽃(F)이나 기타 식물뿐만 아니라 식물재배홈(220)에서 식생 되는 수초 및 기타 식물(P)도 성장에 불편함이 없고 또한 재배자의 입장에서는 물의 과다 유입으로 인한 화분 외부로의 물 유출로 인한 실내 및 실외의 바닥면 청소 등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Specifically,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100; 제1화분 110; 물배출공
120; 체결돌기 200; 제2화분
210; 받침부 220; 식물재배홈
230; 체결홈 F; 꽃
P; 수초 및 기타 식물 S; 자갈 100;
120; Fastening
210;
230; Fastening groove F; Flower
P; Myelin and other plants S; Pebble
Claims (2)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부(210)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210)의 외주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재배 가능하도록 식물 재배홈(220)이 구비되어 있는 제2화분(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A first flower pot 100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110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a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Support portion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t 100 is formed in the center,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plant cultivation groove 220 so that various plants can be grown Functional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flower pot (200).
상기 제1화분(100)의 하단에 다수의 체결돌기(120)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돌기(120)가 삽입되는 체결홈(230)을 제2화분(200)의 받침부(210) 상단에 구비하여, 상기 제1화분(100)과 제2화분(200)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12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wer pot 100, and the fastening grooves 230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120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bases 210 of the second flower pot 200. Equipped with a functional p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lower pot (100) and the second flower pot (200) detach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3494U KR20120004917U (en) | 2010-12-28 | 2010-12-28 | Functional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3494U KR20120004917U (en) | 2010-12-28 | 2010-12-28 | Functional flower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917U true KR20120004917U (en) | 2012-07-06 |
Family
ID=4685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3494U KR20120004917U (en) | 2010-12-28 | 2010-12-28 | Functional flower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4917U (en) |
-
2010
- 2010-12-28 KR KR2020100013494U patent/KR20120004917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07175A1 (en) | Flowerpot | |
JP3173159U (en) | Simple cultivation tool | |
KR200463816Y1 (en) | Functional flowerpot | |
KR200444397Y1 (en) |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 |
KR20080004674U (en) | Pot for the culture of orchid | |
CN202340511U (en) | Flowerpot | |
KR20180078992A (en) | Hydroponics flower port | |
KR101685568B1 (en) | Bed set for hydroponic culture screen cup is set | |
KR20180079237A (en) | Hydroponics flower port | |
KR100909821B1 (en) | Lotus Cultivation Device | |
KR101811871B1 (en) | Pots for raising ginseng | |
KR100747515B1 (en) | An assemble type flowerpot for growing gardening | |
KR20120004917U (en) | Functional flowerpot | |
KR200461692Y1 (en) | A jardiniere having humidify function | |
KR101012127B1 (en) | Porcelain flower pots | |
CN221409873U (en) | Multifunctional flowerpot | |
CN203985222U (en) | The ventilative sight of merogenesis wets to fall cultivating flowerpot | |
KR20140131611A (en) | equipment for grow plant | |
JP2004236554A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
KR200365118Y1 (en) | Water-flowerpot | |
CN201088045Y (en) | Novel seedling flowerpot | |
KR200375536Y1 (en) | A household instrument for growing vegetables | |
KR200303993Y1 (en) | Water-flowerpot | |
JP3074099U (en) | Hydroponics equipment | |
TWM642130U (en) | planting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