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713U -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713U
KR20120004713U KR2020100013209U KR20100013209U KR20120004713U KR 20120004713 U KR20120004713 U KR 20120004713U KR 2020100013209 U KR2020100013209 U KR 2020100013209U KR 20100013209 U KR20100013209 U KR 20100013209U KR 20120004713 U KR20120004713 U KR 201200047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rame
frame layer
layer
touch pane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티 양
Original Assignee
루미너스 옵티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미너스 옵티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미너스 옵티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00013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713U/ko
Publication of KR20120004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패널 천장판의 밑표면 외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는 제 1 컬러 프레임층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천장판의 밑표면까지 신장하는 제 2 컬러 프레임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어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과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이 공동으로 조성하여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을 형성하되, 이는 터치 감지기의 가장자리에 있는 신호 도선부분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그중, 제 1 컬러 프레임층과 제 2 컬러 프레임층은 불투명 혹은 불투명에 접근한 박막층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컬러 프레임층은 제 2 컬러 프레임층보다 더 두꺼운 박막층두께가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A STRUCTURE OF IMPROVED DECORATIVE FRAME FOR TOUCH PANEL}
본 발명은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의 밑표면에 설치된 프레임 모양의 장식층을 통하여, 터치 패널의 주변 부위에 설치된 신호 선로를 보호하거나 미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투명하며 전자 제품의 스크린 앞에 설치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상의 지시정보에 따라 연동 입력 작업을 진행하게 한다. 전형적인 터치 패널의 구조는 터치감지기가 절연으로 천장판과 기판사이에 설치되고, 아울러 적층판의 주변 부위에는 신호 도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터치감지기상의 신호를 신호처리회로로 전송한다. 또한 터치 패널의 주변 부위에 장식용 프레임이 설치되어 주변 부위의 신호 도선을 완전히 가리는 역할과, 신호도선의 보호 및 미적 효과를 창출한다.
현재 전자 제품의 추세는 평면형 터치 패널의 설계로서, 얇은 컬러 프레임층이 천장판의 밑표면에 인쇄되어, 터치 패널이 장착된 후에도 평탄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인쇄된 얇은 컬러 프레임층의 두께는 적어도 15㎛이상 심지어 200㎛까지 도달하고, 천장판과 기판사이에 설치되어 접착할 때, 상기 얇은 컬러 프레임층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제가 표출되거나 기포가 남아있는 상황이 벌어지곤 한다.
또한, 상기 얇은 컬러 프레임층이 천장판의 밑표면에 인쇄될 때, 공동으로 천장판의 밑표면에 설치되는 상부 ITO 레지스트필름(resistive film)이 가장자리 부위에서 반드시 상기 컬러 프레임층을 넘어야만 신호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ITO 레지스트필름의 두께는 약 20nm 내외이고, 박막 재료의 신장성도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컬러 프레임층의 두께와 천장판의 밑표면이 고저 격차를 초래하므로, ITO 레지스트필름이 상기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가장자리를 넘을 때 파손되거나 파열된다. 그러므로 신호 전달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당업자들은 포토레지스트 도포공정을 이용하여 박막 도안층을 설치하는데, 상기 박막 도안층이 장식용 프레임을 이룬다. 그리고 형성된 포토레지스트 박막층의 두께는 약 1㎛이하이며, ITO 레지스트필름과 조합 설치를 하더라도, 상기 ITO 레지스트필름이 상기 포토레지스트 박막층의 부위를 넘을 때 파손되거나 파열되는 현상이 없다.
그런데, 포토레지스트 박막을 채택하여 장식용 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서 많은 단점들이 있다.
또한, 현재 포토레지스트 박막 도안층의 제작은 주로 습식도포 공정을 택한 바,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도포기술에 있어서 스핀 코팅 도포방법(Spin coating) 또는 슬롯 코팅 도포방법(Slot coating)은 물론 모두 액상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판체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액상 포토레지스트가 판체의 가장자리 혹은 오목한 구덩이, 구멍(예를 들어 마이크 혹은 기능키의 홀)부위에 도포할 때, 상기 액상 포토레지스트가 상기 판체의 가장자리의 입면 방향으로 흘러 오염이 발생하며, 따라서 이를 깨끗이 청소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보았을 때 기존 터치 패널의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는 것이 확실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식용 프레임이 터치 패널의 적합층사이에 설치되고, 두께가 다른 2 종류의 박막 컬러 프레임층으로 형성되며, 그중 비교적 두꺼운 인쇄 박막 컬러 프레임층은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 혹은 구멍 부위에 설치하고, 이로써 박막 컬러 프레임층이 정확하게 설치되고 아울러 미적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얇은 포토레지스트 박막 컬러 프레임층은 상기 인쇄 박막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변두리와 패널의 표면사이에 설치되어, 이로써 장식용 프레임과 ITO 도전필름의 접합에 특히 유리하며, 이와 더불어 ITO 도전필름의 접착부위가 파손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로서, 상기 터치 패널은 가요성 천장판과 기판, 상기 가요성 천장판과 상기 기판사이에 절연으로 설치된 터치 감지기와 상기 터치 감지기상의 감지 신호가 측면에 설치된 신호 도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처리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천장판, 상기 기판과 상기 터치 감지기는 모두 투명한 박층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의 밑표면 외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는 제 1 컬러 프레임층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천장판의 밑표면까지 신장하는 제 2 컬러 프레임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어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과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이 공동으로 조성하여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을 형성하되, 이는 상기 터치 감지기의 가장자리에 있는 상기 신호 도선부분을 가리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과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은 불투명 혹은 불투명에 접근한 박막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은 필름두께가 10㎛이상의 인쇄 컬러 프레임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은 필름두께가 2㎛이하의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 장식용 프레임이 터치 패널의 적합층사이에 설치되고, 두께가 다른 2 종류의 박막 컬러 프레임층으로 형성되며, 그중 비교적 두꺼운 인쇄 박막 컬러 프레임층은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 혹은 구멍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박막 컬러 프레임층이 정확하게 설치되고 아울러 미적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얇은 포토레지스트 박막 컬러 프레임층은 상기 인쇄 박막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변두리와 패널의 표면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장식용 프레임과 ITO 도전필름의 접합에 특히 유리하며, 이와 더불어 ITO 도전필름의 접착부위가 파손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품 조합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판의 밑 표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의 윗 표면 평면도;
도 4는 도 1에 표시된 C-C 선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을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전 용량식 터치 감지기(5)는 천장판(1)과 기판(2)사이에 절연으로 설치되고,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감지기(5)는 사용자의 손가락 혹은 도체의 터치를 통해 순간적으로 터치 패널에 하나의 정전 용량 효과를 생성해 낸 후, 정전 용량 값의 변화로부터 손가락 혹은 도체의 위치를 확정하며, 이에 따라 신호 입력의 목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감지기(5)는 한 쌍의 서로 절연으로 설치된 상, 하부 정전 용량 감지층(51, 52)이 포함되고, 상기 상부 정전 용량 감지층(51)은 다수의 X축 감지선(X-Trace)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정전 용량 감지층(52)도 다수의 Y축 감지선(Y-Trac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개의 X축 감지선과 Y축 감지선의 일단에는 상기 감지층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 도선(53, 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전 용량 감지 신호는 상기 신호 도선을 거쳐 후속 신호처리회로로 전송된다.
보통 상기 정전 용량 감지층은 산화 인디움 주석(Indium Tin Oxide, ITO) 재료의 투명한 박막을 사용하고, 식각공정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X축, Y축 감지선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천장판(1)과 상기 기판(2)은 고 투광율의 재질이고, 또한 평면식 혹은 비평면식 박판일 수 있으며, 재료는 유리 박판 혹은 기타 각종 가요성 박판이 채택되어 지는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페트(PET),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혹은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COC) 등이 있다. 그렇지만 실시되는 재료의 범위는 상기 서술된 재료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연성 혹은 경성 박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판(1)의 밑표면 외부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 인쇄 컬러 프레임층(31)이 환주(주위를 에워쌈) 설치되고, 상기 인쇄 컬러 프레임층(31)은 유기재료 혹은 무기재료의 블랙잉크를 사용하며 필름두께는 10㎛이상이다. 또한 상기 인쇄 컬러 프레임층(31)의 내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 상기 인쇄 컬러 프레임층(31)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천장판(1)의 밑표면까지 신장하는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32)이 환주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32)은 블랙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를 채택한 바, 예를 들면 폴리아이소프렌이며(Polyisoprene), 필름두께는 2㎛이하이다. 이어서 상기 인쇄 컬러 프레임층(31)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32)이 공동으로 조성하여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3)이 형성되되, 이는 상기 터치 감지기의 가장자리에 있는 신호 도선(53, 54)부분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감지기의 상부 정전 용량 감지층(51)은 상기 천장판(1)의 밑표면 작업구역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정전 용량 감지층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32)과 접합하며, 그리고 상기 신호 도선(53)의 접점(53a)은 상기 인쇄 컬러 프레임층(31)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32)을 넘어 상기 상부 정전 용량 감지층(51)의 가장자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감지기의 하부 정전 용량 감지층(52)은 상기 기판(2)의 윗표면 작업구역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도선(54)의 접점(54a)은 상기 하부 정전 용량 감지층(52)의 가장자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천장판(1), 상기 상부 정전 용량 감지층(51)과 상기 기판(2), 상기 하부 정전 용량 감지층(52)사이에는 절연층(55)이 접착되어 합쳐져서 하나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층은 투명한 절연성의 접착층으로 형성된 바, 재료는 UV 접착제(UV adhesive, 자외선광경화수지), 광학용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IR 접착제(아이소프렌고무, Isoprene Rubber)등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되는 재료의 범위는 상기 서술된 재료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상기 터치패널의 장식용 프레임(3)은 상기 터치 감지기의 가장자리에 있는 신호 도선(53, 54)부분을 완전히 가리고, 또한 상기 장식용 프레임(3)이 터치 패널의 적합층내에 설치됨으로써, 터치 패널의 미적 효과 창출 및 평탄도를 확보한다. 본 발명은 인쇄 수단으로 기판의 외부 테두리와 인접한 부위 혹은 구멍, 오목한 구덩이가 배치된 부위에 박막 컬러 프레임층을 설치함으로써, 기존 포토레지스트 도포수단을 통한 액상 포토레지스트가 흘러 오염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인쇄 수단은 박막 컬러 프레임층에 대한 위치의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구멍위치도 정확하게 설정된 면적에 따라 인쇄할 수 있으며, 이어서 인쇄 형성된 박막 컬러 프레임층은 비교적 두꺼운 필름층 두께가 구비되어, 터치 패널의 가공 공정에서 긁힘으로 생기는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품의 양품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토레지스트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상술한 인쇄 박막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주변에 비교적 얇은 포토레지스트 박막 컬러 프레임층을 설치함으로써, 터치 감지기의 도전필름의 접합 설치에 특히 유리하며, 이와 더불어 도전필름의 접착부위가 파손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가요성 천장판과;
    기판과;
    상기 가요성 천장판과 상기 기판사이에 절연으로 설치된 터치 감지기와;
    상기 터치 감지기상의 감지 신호가 측면에 설치된 신호 도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천장판, 상기 기판과 상기 터치 감지기는 모두 투명한 박층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판의 밑표면 외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는 제 1 컬러 프레임층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의 내측 주변과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천장판의 밑표면까지 신장하는 제 2 컬러 프레임층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어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과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이 공동으로 조성하여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을 형성하되, 이는 상기 터치 감지기의 가장자리에 있는 상기 신호 도선부분을 가리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과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은 불투명 혹은 불투명에 접근한 박막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 프레임층은 필름두께가 10㎛이상의 인쇄 컬러 프레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컬러 프레임층은 필름두께가 2㎛이하의 포토레지스트 컬러 프레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KR2020100013209U 2010-12-21 2010-12-21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KR201200047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09U KR20120004713U (ko) 2010-12-21 2010-12-21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09U KR20120004713U (ko) 2010-12-21 2010-12-21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13U true KR20120004713U (ko) 2012-06-29

Family

ID=4685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09U KR20120004713U (ko) 2010-12-21 2010-12-21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7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6204B2 (ja) ウィンドウパネル一体型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ー及び製造方法
US8017884B2 (en) Integrate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029490B1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0514798B2 (en) Touch panel with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00053114A1 (en) Touch pane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1080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WI540484B (zh) 觸控面板
US8520380B2 (en) Frame of touch panel
TWM458612U (zh) 觸控面板
TW201516815A (zh) 電容式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TWI495930B (zh) 具單基板之全平面觸控面板
KR20120045011A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표시 장치
JP2017126299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TWM510491U (zh) 觸控面板
TWI610113B (zh) 單基材的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KR20120082311A (ko) 터치 패널
JP3167028U (ja) タッチパネルの装飾枠
KR101152716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KR101254094B1 (ko) 윈도우 패널 구조체 및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TWI514215B (zh) 觸控面板
TWI486857B (zh) 觸控模組
TWI545483B (zh) 具有指紋識別功能的觸控面板
KR101956204B1 (ko) 터치 패널
KR20120004713U (ko) 개선된 터치 패널 장식용 프레임의 구조
KR20130128711A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