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471U - 다용도 판초우의 - Google Patents

다용도 판초우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471U
KR20120004471U KR2020100012897U KR20100012897U KR20120004471U KR 20120004471 U KR20120004471 U KR 20120004471U KR 2020100012897 U KR2020100012897 U KR 2020100012897U KR 20100012897 U KR20100012897 U KR 20100012897U KR 20120004471 U KR20120004471 U KR 201200044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poncho
storage bag
adjac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돈
Original Assignee
최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돈 filed Critical 최영돈
Priority to KR2020100012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471U/ko
Publication of KR20120004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 A41D2400/422Foldable into a p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판초우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어느 한 변에 사용자의 목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우천시 판초우의로 활용되고,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돗자리나 방한외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몸체를 수납주머니에 수납하여 베개나 방석으로도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판초우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어느 하나의 변의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탈부착되는 제1 고정수단; 상기 몸체의 어느 하나의 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 상기 제1 고정수단이 구비된 변에 인접한 양측변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판초우의{A RAINCOAT OF PONCHO STYLE WITH MULTIPURPOSE}
본 고안은 다용도 판초우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의 어느 한 변에 사용자의 목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우천시 판초우의로 활용되고,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돗자리나 방한외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몸체를 수납주머니에 수납하여 베개나 방석으로도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판초우의에 관한 것이다.
판초우의는 일정한 모양을 갖춘 천의 어느 한 부분에 사람의 목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비가 내리는 경우에 상기 구멍에 목을 삽입하여 뒤집어 써서 우의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대부분 우산이 사용된다. 그러나 비가 내리는 중에도 야외활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이 간편하고 활동성이 좋은 판초우의가 많이 사용된다.
특히, 군인이나 등산객의 경우에는 다소의 빗물에 노출이 되더라도 어느 정도의 활동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판초우의가 많이 사용된다. 판초우의는 천이나 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 보관하게 되면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판초우의를 말아서 별도의 주머니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끈으로 감싸서 보관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판초우의가 비가 내릴 경우에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활용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의 일면이 방수재질로 구성된 판초우의의 어느 한 변에 사용자의 목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몸체의 어느 한 변과 인접한 부분에는 수납주머니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과 인접한 변에는 팔을 고정하는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몸체를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한 경우에는 베개 또는 방석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몸체를 상기 수납주머니로부터 끄집어낸 경우에는 우의나 방한외투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판초우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의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탈부착되는 제1 고정수단(11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130); 상기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에 인접한 양측변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 고정수단(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에 의하며, 비가 내릴 경우 쉽게 판초우의로 변형이 가능하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몸체를 접어서 수납주머니에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주머니에 몸체를 수납하면 적당한 쿠션을 가지기 때문에 베개나 방석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의 일측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의 제2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의 일측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의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탈부착되는 제1 고정수단(110)과,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130) 및 상기 제1 고정수단(110)의 구비된 변에 인접한 양측변을 따라 몸체의 일면에 구비된 제2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판초우의의 형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는 최소한 한쪽 면이 방수코팅이 되어 있거나 방수천이 사용되어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몸체(10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변의 양측에는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되어 있다. 제1 고정수단(110)은 지퍼(zipper), 단추, 스냅단추(똑딱이 단추), 벨크로테잎 등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킹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로 구성된다.
제1 고정수단(110)으로 지퍼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몸체(10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변의 양측의 일정구간에 서로 짝을 이루는 지퍼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퍼는 상기 제1 고정수단(100)이 구비된 변의 가운데 부분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제1 고정수단(110)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판초우의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수납주머니(130)는 몸체(100)를 접어서 수납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에 인접되도록 구비된다. 즉 몸체(100)를 이루는 다수개의 변 중에 어느 하나의 변에 인접하도록 수납주머(130)니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주머니(130)의 개구부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한다. 수납주머니(130)의 개구부에는 단추 또는 지퍼와 같은 패킹수단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패킹수단은 사용이 간편하고 견고한 지퍼가 사용된다.
수납주머니(130)는 몸체(100)를 구성하는 변의 어느 쪽에 구비되더라도 상기 몸체(100)를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의 중앙에 위치하더라고 무방하다. 다만,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뒷목에 접촉하게 때문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수납주머니(130)를 전술한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과 인접한 변에 위치되도록 하고, 개구부를 내측으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우의로 사용할 때 간단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술한 수납주머니(130)는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되는 변과 인접한 양측변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일반인의 체형을 고려할 때 수납주머니(130)는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도록 변의 가운데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른손잡이들을 위한 판초우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수납주머니(130)가 왼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왼손잡이들을 위한 판초우의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오른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시 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수납주머니의 내측 벽면은 방수기능이 구비되어 야외에서 방석으로 사용되는 경우 물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등산용방석기능이 구비된 판초우의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몸체가 수납주머니에 수납되는 경우 수납주머니를 뒤집어서 상기 몸체가 수납된다. 따라서 수납주머니의 내측벽면은 방수기능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수기능은 수납주머니의 내측 벽면의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쪽 벽면에만 구비되고 다른 쪽 벽면은 부드러운 천이나 벨벳 소재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방수기능이 구비된 쪽을 바닥에 놓이게 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수납주머니의 내부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수단(150)은 사용자의 팔을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에 인접한 양측변을 따라 몸체의 일면에 구비된다. 제2 고정수단(150)은 단추,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테잎 중 어느 하나가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고정수단(150)을 체결하여 판초우의가 팔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2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몸체를 팔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 몸체의 타면으로 전술한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과 인접한 부분의 중앙에는 모자(175))를 수납할 수 있는 모자주머니(170)가 더 구비된다(도 2 참조). 모자주머니(170)는 내부에 일정한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개구부는 단추 또는 지퍼와 같은 패킹수단이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모자(175)를 말아서 수납하고, 우천시에 우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자(175)를 빼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의 제2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어느 한 변의 양측에 구비된 제1 고정수단(110)을 체결하면 중앙부분에 목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115)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공간(115)을 통하여 목을 삽입하거나 미리 목을 상기 공간(115)에 위치시킨 다음 제1 고정수단(110)을 체결하여 우의로 사용할 수 있다.
몸체(1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한 후에 제2 고정수단(150)을 서로 체결하면 상기 제2 고정수단(150)의 체결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이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몸체(100)가 사용자의 팔에 고정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판초우의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수납주머니(130)를 기준으로 몸체(100)를 상기 수납주머니(130)의 폭에 대응되도록 접는다(도 4a). 수납부머니(130)의 폭에 대응되도록 접혀진 몸체는 다시 길이방향을 따라 수납주머니(130)의 깊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접는다(도 4b).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수납주머니(13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접혀진 몸체(100)는 상기 수납주머니(130)을 뒤집으면서 상기 수납주머니(130) 속에 수납된다. 수납주머니(130) 속에 수납된 몸체(110)는 상기 수납주머니의 개구부에 구비된 패킹수단을 체결하여 밀봉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평상시에는 몸체(100)를 수납주머니(130)에 수납하여 베개나 방석 등의 용도로 사용하고, 우천시에는 상기 수납주머니(130)로부터 상기 몸체(100)를 빼내어 우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우천시가 아니더라도 수납주머니로부터 몸체를 빼내어 착용하는 경우에는 방한 또는 방풍의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몸체
110: 제1 고정수단
130: 수납주머니
150: 제2 고정수단
170: 모자주머니

Claims (5)

  1.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의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탈부착되는 제1 고정수단(11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하나의 변에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일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130);
    상기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에 인접한 양측변을 따라 상기 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 고정수단(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판초우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110)은,
    지퍼(zipper), 단추,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테잎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판초우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150)은,
    단추,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테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판초우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타면에는,
    상기 제1 고정수단(110)이 구비된 변과 인접한 부분의 중앙에는 모자를 수납할 수 있는 모자주머니(1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판초우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주머니(130)는,
    내측 벽면 중 최소한 어느 한쪽 벽면에는 방수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판초우의.
KR2020100012897U 2010-12-14 2010-12-14 다용도 판초우의 KR201200044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97U KR20120004471U (ko) 2010-12-14 2010-12-14 다용도 판초우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97U KR20120004471U (ko) 2010-12-14 2010-12-14 다용도 판초우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71U true KR20120004471U (ko) 2012-06-22

Family

ID=4685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897U KR20120004471U (ko) 2010-12-14 2010-12-14 다용도 판초우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47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5535A (zh) * 2017-05-21 2017-08-29 常州市武进新兴服装有限公司 一种可变幻为雨披的抱枕
WO2019018519A3 (en) * 2017-07-21 2019-04-11 Rundle Hugh J RAIN CLOTHES
US11051562B2 (en) 2016-10-03 2021-07-06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USD932738S1 (en) 2016-10-03 2021-10-12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1562B2 (en) 2016-10-03 2021-07-06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USD932738S1 (en) 2016-10-03 2021-10-12 Brella Brella Llc Rain garment
CN107095535A (zh) * 2017-05-21 2017-08-29 常州市武进新兴服装有限公司 一种可变幻为雨披的抱枕
WO2019018519A3 (en) * 2017-07-21 2019-04-11 Rundle Hugh J RAIN CLOTH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485B1 (en) Waterproof stadium blanket convertible to a fitted bodywrap hoodie
US6742635B2 (en) Sports bag including an attached mat
US8424113B2 (en) Convertible sleep shell
US4996733A (en) Air mattress reinforced sleeping bag with head covering
US20140338126A1 (en) Sun Towel
US20150113699A1 (en) Wearable sports towel
US11730291B2 (en) Reconfigurable pillow enclosure
US20120317699A1 (en) Foldable rain hat
KR20120004471U (ko) 다용도 판초우의
US20170035189A1 (en) Combination garment- travel bag-sleeping sack-blanket and related methods
US8590551B2 (en) Umbrella cover
KR100743266B1 (ko) 다목적 방수 침낭
US9516902B1 (en) Sleep sack
WO2017109535A1 (es) Gorra con bolsa y sub-bolsa internas imperceptibles
US20170208963A1 (en) Pillow
KR101182982B1 (ko) 레저용 휴대용 침낭
CN213908563U (zh) 一种便于收纳的羽绒服
US3514796A (en) Bedclothes
CN200939079Y (zh) 沙滩围裙
KR200312520Y1 (ko) 다기능 쿠션
JP2004230148A (ja) 保温具
KR20040100133A (ko) 탈착식 매트를 구비한 침낭
JPH0311202Y2 (ko)
JP2001192910A (ja) 自転車用ポンチョ式雨具
KR102107011B1 (ko) 백패킹 취침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