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90U -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 Google Patents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90U
KR20120004290U KR2020100012635U KR20100012635U KR20120004290U KR 20120004290 U KR20120004290 U KR 20120004290U KR 2020100012635 U KR2020100012635 U KR 2020100012635U KR 20100012635 U KR20100012635 U KR 20100012635U KR 20120004290 U KR20120004290 U KR 20120004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electronic tag
rfid tag
management
t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977Y1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박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2020100012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7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는, 수목(나무)의 관리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IC칩과 상기 수목의 관리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태그가 삽입되는 전자태그 삽입부, 및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 및 제 1 신축부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신축부는, 주름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수목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수목이 성장하거나, 외부 환경요인(우천, 태양열 또는 강설 등)의 변화에도 RFID 태그가 파손되거나 손상을 받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RFID Tag Apparatus For Tree Management}
본 고안의 실시예는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축성 있는 소재와 주름 형상을 적용하여 수목이 성장하거나, 외부 환경요인(우천, 태양열 또는 강설 등)의 변화에도 파손이나 손상을 받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고 한다)는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 동물, 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기술로서,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IC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말한다.
RFID는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리더기와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Tag)로 구성되는데,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리더기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서 이 정보를 읽도록 한다.
이와 같은, RFID의 활용범위는 무궁무진한데, 도난과 복제 방지를 위한 목적, 상품 유통, 도서출납, 대중교통 요금징수, 동물추적장치, 자동차 안전장치, 개인 출입 및 접근 허가장치, 전자요금징수장치, 생산관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목(나무)의 도난 방지용, 수목 이력 관리용으로 RFID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수목에 큰 구멍을 뚫고 나무 모양의 RFID 태그를 삽입하여 수목을 관리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RFID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나무에 큰 구멍이 뚫어져 나무가 죽을 수 있고, 나무가 자람에 따라 RFID 태그가 나무 안으로 파고들어 파손되거나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RFID로서의 인식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수목의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목이 성장하더라도 RFID 태그의 파손 없이 수목에 적용 가능한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를 제공하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는, 수목(나무)의 관리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IC칩과 상기 수목의 관리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태그가 삽입되는 전자태그 삽입부; 및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 및 제 1 신축부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신축부는, 주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신축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각각에는, 상기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를 고정부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타단과 상기 제 1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신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신축부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고, 주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에 따르면, 신축성 있는 소재와 주름 형상을 적용한 RFID 태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수목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수목이 성장하거나, 외부 환경요인(우천, 태양열 또는 강설 등)의 변화에도 RFID 태그가 파손되거나 손상을 받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장치가 나무에 장착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장치가 나무에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RFID 태그 장치(100)는 전자태그 삽입부(110), 신축부(120, 130) 및 결합부(140, 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수목(나무)의 성장의 의미는 부피성장(매년 나이테가 늘어남으로써 나무의 둘레(부피)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나무의 길이성장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RFID 태그 장치(100)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하여 나무의 둘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의 신축성 소재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매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목(나무)이 성장하더라도 RFID 태그 장치(100)가 상기 신축성 소재로 인해 일정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자태그 삽입부(110)는 전자태그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전자태그(미도시)에는 해당 수목의 관리정보(예를 들어, 수목의 종류, 심은 연월일 등)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IC칩과 상기 수목의 관리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RFID 리더기를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110)에 근접시킬 경우 안테나를 통해 IC칩에 저장된 수목 관리정보가 RFID 리더기로 전송되고, 관리자는 이를 통해 해당 수목의 관리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되거나, 수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자태그를 전자태그 삽입부(110)에 삽입하는 방법은 사출시 동시에 삽입하거나 별도의 수납공간을 두어 삽입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므로 그 삽입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신축부(120, 130)는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일단 또는/및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신축부(120, 130)의 형상은 주름형상으로 형성하여 수목이 성장함에 비례하여 상기 RFID 태그 장치(100)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120, 130)의 주름 개수 정도는 통상적으로 RFID 태그 장치가 장착된 나무의 성장 정도를 예측하여 주름의 개수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주름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서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신축부(120, 130) 중 제1 신축부(120)는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일단에 형성하고, 제2 신축부(130)는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타단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신축부(120, 130) 모두를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한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부(120, 130)를 2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축부(120, 130)의 개수는 해당 수목(나무)의 성장 정도, RFID 태그 장치(100)의 크기 및 길이 등을 감안하여 1개만 형성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합부(140, 150)는 상기 신축부(120, 130)의 양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RFID 태그 장치(100)를 수목(나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홀(141, 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홀(141, 151)을 통해 플라스틱 나무 또는 못으로 RFID 태그 장치(100)를 고정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및 도 1 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140, 150)가 신축부(120, 13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상기 신축부(120, 130)가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양단에 형성될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신축부(120, 130)가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일단에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40, 150) 중 어느 하나는 신축부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전자태그 삽입부(110)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RFID 태그 장치(100)를 신축성 소재로 형성하고, 전자태그 삽입부(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 주름형상의 신축부(120, 130)를 추가로 더 형성함으로써, 수목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수목이 성장하거나, 외부 환경요인(우천, 태양열 또는 강설 등)의 변화에도 RFID 태그가 파손되거나 손상을 받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RFID 태그 장치 110 : 전자태그 삽입부
120, 130 : 신축부 140, 150 : 결합부
141, 151 : 홀

Claims (3)

  1. 수목(나무)의 관리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IC칩과 상기 수목의 관리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태그가 삽입되는 전자태그 삽입부; 및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신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 및 제 1 신축부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신축부는, 주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신축부의 타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각각에는, 상기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를 고정부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태그 삽입부의 타단과 상기 제 1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신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신축부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고, 주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KR2020100012635U 2010-12-07 2010-12-07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KR200461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35U KR200461977Y1 (ko) 2010-12-07 2010-12-07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35U KR200461977Y1 (ko) 2010-12-07 2010-12-07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90U true KR20120004290U (ko) 2012-06-15
KR200461977Y1 KR200461977Y1 (ko) 2012-08-17

Family

ID=5804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35U KR200461977Y1 (ko) 2010-12-07 2010-12-07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7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214A (ja) 2006-04-14 2007-11-01 Hitachi Ltd 装着バンド
JP2008234635A (ja) 2007-02-19 2008-10-02 Morito Co Ltd Rfidタ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977Y1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416B2 (en) Method and system of attaching a RFID tag to an object
US8743661B2 (en) Timing tag
WO2007047677A3 (en)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n rfid system including a multiplicity of rfid readers
DE602005026784D1 (de) RFID-Funk-Identifizierungssystem
MX2009011053A (es) Funcionalidad de identificacion de radiofrecuencia acoplada a señalizacion electricamente conductora.
US8031053B2 (en) RFID label time synchronization
ATE484036T1 (de) Rfid-einrichtung mit kombiniertem reaktivem koppler
WO2006055737A3 (en) Radio frequency animal tracking system
WO2011084435A3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inventory using an rfid tag tape
ATE494593T1 (de) Objektverfolgung
WO2007139969A3 (en) Data format for efficient encoding and access of multiple data items in rfid tags
WO2008051598A3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TE555448T1 (de) Vorrichtung zur kommunikation mit einem rfid- etikett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mit einem rfid-etikett
WO2009088591A3 (en) Optically readable tag
WO2007109366A3 (en) Method for determining identif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20098641A1 (en) Stake With RFID Tag For Outdoor Asset Tracking
ATE452381T1 (de)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s einen rfid-tag enthaldenden etiketts auf einem objekt
KR200461977Y1 (ko) 수목 관리용 rfid 태그 장치
US20120067963A1 (en) Apparatus and Process Includ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CN205487110U (zh) 一种电子信息标识牌
WO2008081551A1 (ja) 読み取り装置及び呼び出し装置及びid読み取りプログラム及びid読み取り方法
CN104408508A (zh) 管线电子标签
CN209182859U (zh) Rfid标签
CN102930323B (zh) 光缆标签及光缆标签系统
CN202514731U (zh) 智能徽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