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633U -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 Google Patents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633U
KR20120003633U KR2020100011804U KR20100011804U KR20120003633U KR 20120003633 U KR20120003633 U KR 20120003633U KR 2020100011804 U KR2020100011804 U KR 2020100011804U KR 20100011804 U KR20100011804 U KR 20100011804U KR 20120003633 U KR20120003633 U KR 201200036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ucket
water
plates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재
Original Assignee
전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재 filed Critical 전영재
Priority to KR2020100011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633U/ko
Publication of KR20120003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2Pal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B44D3/125Containers for storing paint brushes and the like, separate from the can used in painting operation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 팔레트, 붓이 하나의 통 안에 구성되는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인 채색도구인 물통, 팔레트, 붓을 한번에 보관과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가방 없이도 휴대가 용이하며, 미술도구에 남아있는 물기가 외부로 새나오지 않도록 하며, 물통의 물이 엎질러지지 않게 하며, 사용 후 더러워진 팔레트의 세척시에 짜놓은 물감의 손실 없이 팔레트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은, 구획벽(12)으로 나뉘어진 2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나사산(11)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갖는 물통(10)과; 상기 물통(10)위에 탈착되도록 하부는 원형프레임(21,22)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8개의 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흰지편(27)이 돌출된 8각프레임(23)을 형성하는 팔레트 수용부(20)와; 상기 팔레트 수용부(20)에 흰지결합되는 8개의 판, 즉 좁은 측면부위에 흰지돌기(28)가 형성되어 90도로 세워지고 펼쳐지는 붓삽입공927)이 천공된 붓거치판(26) 1개, 그림물감을 짜 놓을 수 있도록 구획이 된 물감 수용부(25) 2개, 팔레트로 사용되는 판(24) 5개와; 상기의 물통(10)의 상부에, 내측 하부에 나사산(31)이 형성된 덮개부(30)로써 개폐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양측에 손잡이 걸이구(35)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부에 3개의 진공흡입부(32)를 돌출시켜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은, 구성요소의 분실은 최소화하고 편리성은 최대한 할 수 있으며, 보관시 뿐만 아니라 팔레트와 물통을 실제 사용시에 좁은 책상에서도 채색활동이 가능하고, 물이 엎질러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세척 후 남아있는 물기로부터 함께 보관한 책을 보호할 수 있어 별도로 방수 주머니에 넣지 않고도 책가방에 지참할 수 있으며, 물감수용부와 팔레트부가 멀리 위치하고 사용한 팔레트판만를 따로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세척시 물감수용부에 물이 닿지 않아 팔레트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어 물감의 손실를 줄일 수 있고 세척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하다.

Description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A improved pail with palette}
본 발명은 물통, 팔레트, 붓이 하나의 통 안에 구성되는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구성된 원통형의 물통의 내부에 8개의 작은 판으로 나뉘어 힌지절첩되는 팔레트를 구성하고 내부에 붓도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 및 실용성, 휴대성의 향상을 크게 도모한 미술도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채화 등의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물감, 붓, 팔레트, 물통 등 많은 미술도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미술도구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학습용으로 보급되어 사용되는 미술도구는 주로 아동,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미술도구로서는 그림물감, 붓, 팔레트, 물통 등의 다수물품 및 도구가 사용되고, 이와 같은 미술도구들은 별도의 미술도구함 내에 넣어 가지고 다니지 않는 이상 직접 가방에 지참하여야 하는데, 각자의 미술도구함들은 모양과 크기가 모두 달라 교과서등과 함께 가방에 넣는 과정에서 가방의 부피가 커져 가방을 메고 다니는 초등학생의 경우 적지 않은 부담을 주며, 미술도구를 찾아 지참하는 과정에서 잊어버리거나 대부분 사용 후에는 물품을 수거하는 가운데 분실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미술도구는 학교에서 사용되는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함에 있어, 책상 위에 각 물품 및 도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부족하여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들 중, 미술용 색칠도구 보관함이나 미술도구 수납함은 항상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모든 종류의 미술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되었다. 물감은 팔레트에 짜서 말림을 통해 따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학습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채화를 위해서 꼭 필요한 미술도구는 물통, 팔레트, 붓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물통, 팔레트, 붓의 휴대 및 보관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여러 종류의 팔레트 겸용 물통이 안출 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20-0440971호인 물통이 결합된 팔레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보관 또는 휴대를 손쉽게 한 물통이 결합된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일측단부에 손잡이부재가 연장 형성되고 상면이 다수 칸으로 구획된 하부팔레트부재와, 하부팔레트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물통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저면이 다수 칸으로 구획된 상부팔레트부재와, 신축 가능토록 외주면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향 개방형의 내부공간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개방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20-0438762호인 회화용 물통 겸용 팔레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회화용 물통의 덮개에 붓삽입공을 천공하고, 본체의 양측에 손잡이 걸이구를 돌출시켜 구성하며, 본체의 내부 중앙에 붓보관부와 여러 칸으로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물통에서 탈부착되는 팔레트에는 중앙에 붓삽입공을 천공한 후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물감수납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물통, 팔레트, 붓의 미술도구를 한번에 휴대하거나 보관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조상 미술도구에 남아있는 물기가 밖으로 새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책과 노트를 젖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방수가 되는 비닐주머니에 넣은 후 다시 그 비닐주머니를 책가방 안에 넣거나, 미술도구를 지참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가방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필요한 미술도구들을 한번에 보관이나 휴대는 가능하지만, 미술도구를 실제 사용시에는 각각의 미술도구들을 좁은 책상 위에 펼쳐 놓거나 팔레트를 손에 들어야만 사용할 수 있고, 좁은 책걸상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약간의 부주의만으로도 물통이 쓰러지는 일이 많이 생겨 항상 불안함을 갖고 채색에 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물감을 짜 놓는 칸과 팔레트로 사용하는 칸이 바로 옆에 위치함으로써 물감으로 더럽혀진 팔레트 부분을 물로 세척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물감을 짜 놓은 부분까지 물이 흐를 수밖에 없어서 물감의 낭비를 초래하고 팔레트를 깨끗이 세척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팔레트 겸용 물통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 물통과 상부 덮개부로 구성된 물통의 내측에 붓을 보관할 수 있고 하부 물통의 상부에 흰지절첩되는 팔레트판이 형성된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기본적인 채색도구인 물통, 팔레트, 붓을 한번에 보관과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부의 물통과 덮개부를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미술도구에 남아있는 물기가 밖으로 새나오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 덮개부에 손잡이를 구성함으로써 손잡이에 의해 별도의 가방없이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의 용이함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물통이 진공흡착부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이 될 수 있게 하여 물을 엎지르는 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팔레트판을 물통 상부에 끼워 사용할 시에도 물통의 개구부가 넓게 확보됨으로 인하여 팔레트를 분리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팔레트 판들이 서로 멀리 위치함으로써 사용 후 더러워진 팔레트를 세척시에도 짜놓은 물감부분에 물이 흐르지 않아 물감의 낭비를 줄이고 팔레트를 더욱 깨끗이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은, 구획벽으로 나뉘어져 2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갖는 물통과; 상기 물통 위에 탈착되도록 하부는 원형프레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8개의 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흰지편이 형성된 8각프레임의 팔레트 수용부와; 상기 팔레트 수용부에 흰지결합되는 8개의 판, 즉 좁은 측면부위에 흰지돌기가 형성되어 90도로 세워지고 펼쳐지는 붓삽입공이 천공된 판 1개, 그림물감을 짜 놓을 수 있도록 구획이 된 판 2개, 팔레트로 사용되는 판 5개와; 상기의 물통의 상부를, 내측 하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양측에 손잡이 걸이구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부에 3개의 진공흡입부를 돌출시켜 형성하는 덮개부로써 개폐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팔레트의 구획이 된 물감수용부에 미리 물감을 충분히 짜서 말린 후, 그림을 그릴 때 먼저 덮개부를 열어 뒤집어 물통 하부에 겹쳐 끼우고 진공 흡착부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모여있는 팔레트를 펼친 다음 내부에 수용된 여러 굵기의 붓들을 팔레트의 붓삽입공에 각각 끼우고, 물통의 2개의 공간부에 물을 각각 채운다. 편리에 따라 팔레트를 물통 위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팔레트를 물통에서 분리하여 팔레트 수용부의 가운데 뚫린 공간에 엄지 손가락을 넣고 손바닥으로 받쳐 사용할 수 있다. 미술도구를 다 사용후에는 물통부와 사용한 팔레트판을 분리시켜 세척하고 다시 조립한 후 물통부와 덮개부의 나사산을 이용하여 밀폐하고 책가방 안에 직접 지참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은, 채색을 위해 꼭 필요한 팔레트와 물통, 붓이 모두 결합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지 않고 보관과 휴대가 가능함으로써 구성요소의 분실은 최소화하고 편리성은 최대한 할 수 있다.
또한 보관시 뿐만 아니라 팔레트와 물통을 실제 사용시에 물통 상부에 팔레트부가 설치되어도 넓은 팔레트와 충분한 물통 개구부을 유지함으로써, 좁은 책상에서도 채색활동이 가능하고, 뒤집어 겹쳐놓은 덮개부의 진공흡착부로 물통을 책상바닥에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좁은 책걸상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자주 발생하는 물이 엎질러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나사산으로 개폐되는 물통부와 덮개부 내부에 팔레트와 붓을 모두 수납할 수 있고 세워서 지참하기 용이한 디자인으로 인하여, 세척 후 남아있는 물기로부터 함께 보관한 책을 보호할 수 있어 별도로 방수 주머니에 넣지 않고도 책가방에 지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물감수용부와 팔레트부가 멀리 위치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한 팔레트판만를 따로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세척시 물감수용부에 물이 닿지 않고도 팔레트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어 물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세척 시간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이외에도 덮개부에 부착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별도의 보조가방 없이도 휴대가 간편하고, 팔레트부가 물통에서 탈부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달리 사용할 수 있고, 물통의 공간부가 2개로 나뉘어져 붓을 좀 더 깨끗이 세척해 가며 사용이 가능하고, 바닥공간이 넣어 물을 엎지를 염려가 없는 곳에서는 덮개부를 뒤집어 충분한 공간부를 다른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는 등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덮개부가 닫혀 일체형이 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구성요부인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구성요부인 팔레트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을 실제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덮개부가 닫혀 일체형이 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구성요부인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의 구성요부인 팔레트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을 실제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개량형 팔레트 겸용 물통은, 물통부(10)와, 상기 물통부 상부에 끼울 수 있는 팔레트부(20)와, 상기 물통부와 나사산으로 개폐되는 덮개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물통부(10)는, 내측에 구획벽(12)으로써 물통 내부를 2개의 공간부로 나뉘고, 상부 외측에 제 1 나사산(11)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팔레트부(20)는, 상기 물통부(10)의 상부에 내측 원형프레임(21)이 삽입되고 외측 원형프레임(22)이 걸쳐져 끼울 수 있는 것으로, 상부에는 단면에 흰지편(27)이 돌출되어 형성된 8각 프레임(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8각 프레임 (23)의 각 부분에 흰지돌기(28)이 돌출되어 형성된 8개의 판(24,25,26)이 탈부착되어 세우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8개의 판(24,25,26)은 5개의 팔레트판(24), 2개의 물감수용부(25), 1개의 붓 거치판(26)으로 구성되고, 붓 거치판(26)에는 다양한 크기의 붓삽입공(27)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물통부(10)의 상부에 상기 팔레트부(20)를 끼운 후, 상기 덮개부의 하부 내측에 있는 제 2 나사산(31)과 상기 물통부의 상부 외측에 있는 제 1 나사산(11)을 이용하여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 양측에 돌출된 손잡이 걸이구(35)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걸이구(35)에 손잡이(34)가 탈착되고, 상부에는 3개의 진공흡착부(3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함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30)는, 실제 채색이 이루어질 때는 상기 물통부(10)의 하부에 포개져 상기 물통부(10)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통부(10)의 1개의 공간부에 붓을 보관할 수도 있고 상기 붓거치판(26)의 붓삽입공(27)에 붓을 끼워 보관할 수도 있고, 상기 팔레트부(20)를 상기 물통부(10)에 끼워 사용하거나 따로 분리 인출하여 손에 들고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34)를 보다 긴 어깨끈으로 교체하면 미술도구를 한번에 어깨에 맨 상태로 두 손이 자유로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은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물통수용부 11: 제 1 나사산
12: 구획벽
20: 팔레트부 21: 내측 원형 프레임부
22: 외측 원형 프레임 23: 8각프레임
24: 팔레트판 25: 물감수용부
26: 붓거치판 27: 붓삽입공
30: 덮개부 31: 제 2 나사산
32: 진공흡착부 33: 진공흡착부 삽입공
34: 손잡이 35: 손잡이 걸이구

Claims (3)

  1. 구획벽(11)으로 나뉘어져 2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외측 상부에 나사산(12)을 형성하며 개구부를 갖는 물통(10)과;
    상기 물통(10) 위에 탈부착되도록 하부는 원형프레임(21,22)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8개의 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흰지편(27)이 돌출된 8각 프레임(23)이 형성된 팔레트 수용부(20)와;
    상기의 물통(10)의 개구부 상부로, 내측 하부에 나사산(31)을 형성한 덮개부(30)를 개폐함으써 구성되는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2. 상기 팔레트 수용부(23)에 흰지결합되는 8개의 판은, 좁은 측면부에 흰지돌기(28) 가 형성되어 90도로 세워지고 펼쳐질 수 있고, 붓삽입공이 천공된 붓거치판(26) 1개, 그림물감을 짜 놓을 수 있도록 구획이 된 물감수용부(25) 2개, 팔레트로 사용되는 판(24) 5개로 구성된다.
  3. 상기 덮개부(30)의 양측에 손잡이 걸이구(35)를 돌출시켜 형성시키고, 손잡이(34)를 연결하고, 상부에는 3개의 진공흡착부를 돌출시켜 형성한다.
KR2020100011804U 2010-11-17 2010-11-17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KR201200036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04U KR20120003633U (ko) 2010-11-17 2010-11-17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04U KR20120003633U (ko) 2010-11-17 2010-11-17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33U true KR20120003633U (ko) 2012-05-25

Family

ID=4661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04U KR20120003633U (ko) 2010-11-17 2010-11-17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63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504U (ko) 2022-01-20 2023-07-27 (주)다다 팔레트를 구비하는 물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504U (ko) 2022-01-20 2023-07-27 (주)다다 팔레트를 구비하는 물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827A (en) Tool attachment for crate
KR20120003633U (ko) 개량된 팔레트 겸용 물통
KR100924949B1 (ko) 미술도구 수납함
KR200438762Y1 (ko) 회화용 물통 겸용 팔레트
CN216268437U (zh) 一种新型的美术用多功能工具
CN205890378U (zh) 一种组合式美术用具
KR101376694B1 (ko) 그림용품 통합 세트
KR20090011200U (ko) 회화용 파레트
CN211869059U (zh) 一种便携式绘画用颜料盒
KR101611353B1 (ko) 미술용 복합 물통
CN201304843Y (zh) 多功能调色盘
CN201282936Y (zh) 新式浴筐
CN213167569U (zh) 一种美术用品收纳装置
KR200335933Y1 (ko) 붓 보관용 파렛트
KR101502819B1 (ko) 만능 미술용 물통
US10328745B2 (en) Artist's tote
KR20110122945A (ko) 파렛트
CN206579386U (zh) 一种多功能手提式画箱
KR200432214Y1 (ko) 팔레트가 결합된 물통
CN220298201U (zh) 一种可拆卸绘画工具箱
KR200412007Y1 (ko) 미술용 물통
RU207212U1 (ru) Коробка для красок
KR102369558B1 (ko) 바인더형 팔레트
CN210416065U (zh) 多功能颜料桶
KR200391618Y1 (ko) 미술 도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