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054A - Handy type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Handy type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054A
KR20120003054A KR1020100063679A KR20100063679A KR20120003054A KR 20120003054 A KR20120003054 A KR 20120003054A KR 1020100063679 A KR1020100063679 A KR 1020100063679A KR 20100063679 A KR20100063679 A KR 20100063679A KR 20120003054 A KR20120003054 A KR 2012000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extension pipe
ground
main body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3779B1 (en
Inventor
장승락
김진범
Original Assignee
(주)마미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미로봇 filed Critical (주)마미로봇
Priority to KR102010006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779B1/en
Publication of KR2012000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Abstract

PURPOSE: A handy vacuum cleaner is provided not to scratch a floor or an article on the floor even if the floor or the article on the floor is bumped against an extension pipe portion and a barrier by including the extension pipe portion and the barrier which are made of the material having a buffer force like a rubber. CONSTITUTION: A handy vacuum cleaner comprises a main body(110), a leading portion, a body(210), an extension pipe portion(200), and a fastener. The main body generates vacuum pressure. An inlet(120), which is drawn from the main body and vacuums dust and a foreign material, is formed in the leading portion. The body is prepared in the inlet of the leading portion. The body is made of a material which has a buffer force and extended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The extension pipe portion is formed in the body. The extension pipe portion has the penetration hole connected with the inlet. The fastener is respectively formed in the extension pipe portion and the inlet. The fastener attaches and detaches the extension pipe portion to/from the inlet.

Description

핸디형 진공청소기{HANDY TYPE VACUUM CLEANER}Handy type vacuum cleaner {HANDY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에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연장관이 설치되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연장관이 청소 중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부딪쳐도 연장관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held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an extension tu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is installed at a suction port of the handy vacuum cleaner so tha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tioned and removed with improved suction force, and the extension tube is clea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held vacuum cleaner that does not have a risk of causing scratches on an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because the extension tube deforms and absorbs an impact even when it collides with an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일반적으로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내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계단, 책상 위, 차량의 내부 등 좁고 협소한 면적에 존재하는 먼지나 이물질을 구석구석 제거하는데 사용된다.In general, a handheld vacuum cleaner uses vacuum pressure generated in a cleaner to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a narrow and narrow area such as stairs, on a desk, and inside a vehicle.

이와 같은,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의 내부에 모터(2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0)는 임펠러(22)와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20)의 동력에 의해 임펠러(22)가 고속회전하여 흡입구(12)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발생시킨다.As shown in FIG. 1, the handy vacuum cleaner has a motor 2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in which the suction port 12 is formed, and the motor 20 is connected to the impeller 22 and the shaft. The impeller 22 rotates at a high speed by the power of the motor 2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that sucks air outside the suction port 12 into the case 10.

또한, 상기 임펠러(22)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10)에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그릴(14)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2)와 임펠러(22) 사이의 케이스(10) 내부에는 흡입구(12)를 통해 빨아들인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포집부(3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16) 및 상기 모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40)이 마련된다.In addition, an exhaust grill 14 for exhaus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2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case 10 positioned behind the impeller 22, and the inlet 12 and the impeller ( 22, the case 10 between the collection unit 30 for collecting the dust and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inlet 12 is installed,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the handle that can be wrapped by the user with one hand An operation button 40 for operating the motor 16 and the motor 20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16)를 감싸쥐고 흡입구(12)를 청소 영역의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버튼(40)을 조작하여 모터(20)를 구동시켜 임펠러(22)를 고속회전시키게 된다.The conventional handy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operates the motor 20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40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16 and the suction port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thereby driving the impeller 22. ) Will be rotated at high speed.

상기와 같이 임펠러(22)가 고속회전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특히 상기 임펠러(22)의 전방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 흡입구(12) 외부의 공기와 함께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구(12)를 통해 빨아들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peller 22 rotates at a high speed,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case 10, particularly in front of the impeller 22, and i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together with the air outside the suction port 12.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the inlet 12.

이때,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은 포집부(30)에 집진되고, 상기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부(30)에 떨어낸 공기는 케이스(10)에 형성된 배기그릴(14)을 통해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ust and foreign matter sucked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suction port 12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unit 30, the air dropped the dust and foreign matter to the collecting unit 30 is the case 10 By exhaus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grill 14 formed in the, it is to remove the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가 주둥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케이스(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2)에서 일정 영역을 벗어난 먼지와 이물질은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andy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the inlet 12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se 10 having a spout-like shape, the dust out of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inlet 12 And foreign matter is difficult to inhale.

즉,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상기 임펠러(22)가 고속회전하게 됨에 따라 임펠러(22)의 전방으로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진공압(22)은 흡입구(12)에 집중되어 먼지와 이물질을 케이스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입력으로 발휘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handy vacuum cleaner is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front of the impeller 22 as the impeller 22 is rotated at a high speed, the vacuum pressure 22 thus formed is concentrated in the suction port 12,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t is exerted by the suction power that can suck the inside of the case.

하지만, 상기 흡입구(12)에서 발휘되는 흡입력은 흡입구(12)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기 때문에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구(12)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흡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12)가 청소 영역의 지면과 밀착되지 않고 떨어진 상황에서는 더욱 흡입력이 약해져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되기 어렵다.However, since the suction force exerted by the suction port 12 becomes weaker as it moves away from the suction port 12,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re not inhaled when separated from the suction port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n a situation where the suction port 12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the suction power is weaker, and dust and foreign matter are hard to be sucked.

이와 함께,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가 케이스(10)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2)를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하는 중 흡입구(12)가 가구의 표면,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 표면 등과 같은 청소 영역의 지면을 긁어 흠집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dy vacuum cleaner is a suction inlet 12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10, the suction inlet 12 while mov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suction inlet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scratches are generated by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cleaning area such as the surface of the furniture, the dashboard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입구에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관이 마련되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let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into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tube extending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to remove and remove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without leaving the suction with improved suction for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y vacuum cleaner.

또한, 상기 연장관이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관이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부딪쳐도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y vacuum cleaner tha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of the extension tube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even if the extension tube hits the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또한, 상기 연장관이 본체의 흡입구와 탈부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적합한 상태로 연장관을 본체의 흡입구에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y vacuum cleaner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inlet of the main body in a suitable state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of the cleaning area by having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inlet of the main body. .

그리고,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으로 빨아들일 때 회전류가 생성되도록 하여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In addition, when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re sucked into the extension tube, a rotational flow is generated to completely remove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with improved suction force.

또한, 틈새나 구석 등과 같은 협소한 부분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andy vacuum cleaner that can easily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narrow parts such as gaps and corn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main body formed with a suction port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and a material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of the main body having a cushioning force extending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 hand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body, an extension tub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and a fastener respectively formed at the extension tube and the suction port to detach the extension tube to the suction port.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rawer formed with a main body for generating a vacuum pressure, a suction port drawn out of the main body and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and a suction port of the drawer An extension tube having a bod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and extending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respectively formed in the extension tube and the suction port, respectively. A handy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astener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inlet.

여기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흡입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 및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연장관의 상단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와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asten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i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a second locking projection respectively formed on the side.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내경이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단면적이 일정해지는 내경이 형성된 직선부를 갖는 벨 마우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hole may further include a bell mouse having an inclined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suction port, and a straight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at a position where the inclined portion ends. .

그리고, 상기 경사부는 그 형상이 비대칭되도록 급한 경사면과 완만한 경사면의 단면적을 갖고, 상기 완만한 경사면과 직선부가 만나는 절곡지점이 상기 급한 경사면과 직선부가 만나는 절곡지점보다 흡입구와 가깝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clined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a steep inclined surface and a gentle inclined surface such that its shape is asymmetrical, and a bending point where the gentle inclined surface and a straight portion meet is formed closer to the suction port than a bending point where the steep inclined surface and the straight portion meet.

또한,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barrier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본 발명에 의한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흡입구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과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을 외부와 차폐하는 방벽에 의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Handy typ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ed by sucking the dust and foreign matt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ithout leaving dust and foreign matter with an improved suction force by an extension tube extending close to the ground at the suction port and a barrier that shields the ground where dust and foreign matter gather from the outside. have.

또한, 상기 연장관과 방벽이 고무와 같은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청소 중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연장관 또는 방벽이 부딪쳐도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extension tube and the barri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orce such as rubber, so that the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extension tube or the barrier do not scratch the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during cleaning.

또한, 상기 연장관과 흡입구는 패스너에 의해 탈부착되기 때문에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연장관을 흡입구에서 탈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nsion pipe and the suction port are detachable by the fastener,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extension pipe from the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 of the cleaning area.

또한, 상기 연장관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빨려들어갈 때 관통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회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generates a rotational flow when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extension tube can be removed by sucking the dust and foreign matter with a further improved suction force.

그리고, 상기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의 흡입구에 상기 연장관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접근하기 힘든 틈새나 구석 등과 협소한 부분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몸체로부터 인출된 인출부의 연장관을 통해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어 편리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tube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outlet portion drawn out from the body, so that the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narrow portion such as a gap or a corner which is difficult to access the body are sucked out through the extension tube drawn out of the body. I can clean it conveniently and cleanly.

도 1은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에서 연장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andy vacuum clean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ipe is separated from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tension tub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tension tub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에서 연장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tube is separated from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100)는 크게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0)가 형성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흡입구(120)에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20)로부터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관(2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andy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the suction port 120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ction port 120 is formed to suck the dust and foreign matter largely; It consists of an extension pipe 200 extending from the suction port 120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상기 본체(110)는 그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압 발생기(미도시)가 내설되는데, 상기 진공압 발생기는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축으로 연결된 임펠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has a vacuum pressure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vacuum pressure therein, the vacuum pressure generator, for example, a motor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the motor and the shaft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nnected impeller.

이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임펠러가 고속회전하여 임펠러의 전방으로 진공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공압은 임펠러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구(120)를 통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입력으로 발휘된다.Accordingly, the impeller rotates at a high spe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in front of the impeller, and the vacuum pressure is used to collec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suction port 120 formed in front of the impeller. It is exerted by the suction power to be able to suck into the inside.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하는 먼지통(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먼지통의 일측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먼지통은 본체(11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먼지통을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먼지통에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뒤에 먼지통을 본체(11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some cases, a dust container (not shown) for collecting dust and foreign matt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uction port 120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ust container. In this case, the dust container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110 to separate the dust container from the main body 110 and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container as necessary, and then combine the dust container with the main body 110.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압 발생기의 후방으로 흡입구(120)를 통해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그릴(150)이 본체(110)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160)가 본체(1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an exhaust grill 150 for exhaus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20 to the rear of the vacuum pressure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he user has one hand The handle 160 which can be wrapped as is extend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그리고, 상기 손잡이(160)를 감싸 쥔 사용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범위 내의 본체(110)에 상기 진공압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40)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한 곳으로 쓸어 모을 수 있는 브러시(1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peration button 140 for operating the vacuum pressure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within a range where a thumb of the user's fingers holding the handle 160 may be provided,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20 may be provided. A brush 130 may be formed to collec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into one location along the same.

특히,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기 흡입구(120)에는 연장관(200)이 마련되는 바, 상기 연장관(200)은 흡입구(120)로부터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흡입구(120)에 마련된 연장관(200)의 끝단이 청소 영역의 지면과 가까워져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n extension pipe 200 is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120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extension pipe 200 extends from the suction port 120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s a result, an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120 is closer to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thus, it is possible to suck and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without further improvement with suction force.

이와 같은, 상기 연장관(200)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20)와 연통되는 관통공(220)으로 구성된다.As such, the extension pipe 200 is formed in the body 210 and the body 21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120 formed in the main body 11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120. Ball 220.

또한, 상기 연장관(200)은 고무와 같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그 외형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소산시키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연장관(200)이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부딪쳐도 연장관(200)의 외형이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ipe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to absorb and dissipate the shock while the outer shape is deformed to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such as rubber and the extension pipe 200 and the article located on the ground or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Even if it hits, since the outer shape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deform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re is no fear of causing scratches on the ground or an article placed on the ground.

또한, 상기 본체(110)의 흡입구(120)와 상기 연장관(200)에는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연장관(200)을 흡입구(120)에 탈부착할 수 있는 패스너(180)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120 and the extension pipe 200 of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astener 180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extension pipe 200 to the suction port 120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of the cleaning area. .

상기 패스너(180)는 상기 흡입구(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턱(122)과 제 2 걸림턱(124) 및 상기 제 1 걸림턱(122)과 제 2 걸림턱(124)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연장관(200)의 상단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212)와 제 2 걸림돌기(214)로 이루어진다.The fastener 180 has a first catching jaw 122, a second catching jaw 124, and the first catching jaw 122 and a second catching jaw,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2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14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124 and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이때, 상기 연장관(200)의 상단 타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214)는, 상하로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흡입구(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24)이 제 2 걸림돌기(214)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제 2 걸림돌기(214)가 제 2 걸림턱(124)을 상하에서 밀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21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made of a pair formed up and down,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12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is the second locking stone. When interposed between the groups 214,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14 tightly fixes the second locking jaw 124 up and down.

이에 따라서, 상기 연장관(200)을 상기 흡입구(120)에 부착시킬 때 도 3의 확대된 요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200)의 타측을 상향시켜 기울인 상태로 흡입구(120)의 타측에 밀어 넣어 연장관(200)의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 2 걸림돌기(214) 사이에 흡입구(120)의 제 2 걸림턱(124)을 개재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extension pipe 200 is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as shown in the enlarged main portion of FIG. 3,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pushed upward to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in an inclined state. Put the second locking step 124 of the suction port 120 between the pair of second locking projections 21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이렇게, 상기 연장관(200)의 타측이 흡입구(120)의 타측에 밀착되면 연장관(200)의 일측을 흡입구(120)의 일측으로 밀어 넣어 상기 연장관(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212)를 흡입구(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22)에 끼워 고정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연장관(200)을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20)에 쉽게 부착할 수 있다.Thus, when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12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by pushing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to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 Is fixed to the first locking step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extension tube 200 to the suction port 120 formed in the main body 110.

이와는 반대로, 상기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을 분리시킬 때에는 연장관(200)의 일측을 사용자가 잡아당겨 흡입구(120)의 제 1 걸림턱(122)에 끼워진 연장관(200)의 제 1 걸림돌기(212)를 이탈시켜 연장관(200)의 일측을 하향된 상태로 기울인다.On the contrary, when the extension pipe 200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is separated, the user pulls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and the extension tube 200 fitted to the first locking step 122 of the suction port 120 is removed. 1 Depart the locking protrusion 212 and tilts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in a downward stat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200)의 타측을 사용자가 잡아당겨 상기 흡입구(120)의 제 2 걸림턱(124)을 연장관(200)의 제 2 걸림돌기(214)에서 이탈시켜 연장관(200)을 흡입구(120)에서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본체(110)의 흡입구(120)에서 연장관(2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pulls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to separate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124 of the suction port 120 from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214 of the extension pipe 200 to extend the extension pipe 200.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inlet 120,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extension pipe 200 from the inlet 120 of the main body 110.

여기서, 상기 연장관(20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212)는 후크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구(120)의 일측으로 연장관(200)의 일측을 끼워 넣을 때 상기 후크 형상을 갖는 제 1 걸림돌기(212)가 흡입구(120)의 제 1 걸림턱(122)에 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연장관(200)의 일측이 흡입구(120)의 일측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12 formed in the extension pipe 200 is formed to have a shape such as a hook, the first having the hook shape when inserting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to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Whil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2 may be easily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locking jaw 122 of the suction port 120,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may not be arbitrarily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120. have.

한편, 상기와 같이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연장관(200)이 부착된 흡입구(120)의 둘레에는 방벽(170)이 마련되어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방벽(170)은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러시(130)와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rrier 170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120 to which the extension pipe 200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improve suction power. In other words, the barrier 170 is provided between the brush 13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20 and the extension pipe 200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또한, 상기 방벽(170)의 높이는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연장관(200)의 높이보다 지면과 가깝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방벽(170)은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처럼 고무와 같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그 외형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소산시키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barrier 170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ipe 200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or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ipe 200, and also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20 The formed barrier 17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that absorbs and dissipates the shock while the external shape thereof is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such as rubber, such as the extension pipe 200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이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과 동일한 높이를 갖거나 또는 상기 연장관(200)의 높이보다 다소 지면과 가깝게 형성되고 고무와 같은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벽(170)이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이중 차폐구조를 갖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100)의 흡입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material has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extension pipe 200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of the main body 110 or is formed to be somewhat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ipe 200,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such as rubber. Since the barrier 17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20, the barrier 170 has a double shielding structure,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uction power of the handy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부연하자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이기 위해 상기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의 끝단을 지면과 최대한 가깝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2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연장관(200)의 높이보다 지면과 가깝도록 형성된 방벽(170)이 연장관(200)의 둘레에서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을 차폐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the end of the extension pipe 200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120 is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ground in order to suck in the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into the body. At this time, the barrier 170 formed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ipe 200 or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periphery of the extension pipe 200 and is located in the barrier 170. It will shield the ground.

이렇게,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흡입구(120)에 흡입력이 발휘되면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200)을 통해 방벽(17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Thus, when the suction force is exerted on the suction port 120 while the ground located inside the barrier 170 is shielded, the air inside the barrier 170 is sucked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extending close to the ground.

이때, 상기 방벽(17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고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과 가깝게 위치하는 연장관(200)으로 흡입력이 집중되어 강력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barrier 170 is a vacuum state and the suction force is concentrated to the extension pipe 200 which is located close to the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ground and the dust and foreign matter with a strong suction force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It can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area, so tha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can be sucked out and removed.

한편, 상기 청소 영역의 지면과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구(1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관(200)이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일 때 회전류를 발생시켜 보다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when the extension pipe 200 extending from the suction port 120 so as to be positioned close to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sucks dust and foreign matters, it may generate a rotational flow to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s with an improved suction for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200)에 형성된 관통공(220)은 그 내경이 본체(110)의 흡입구(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관통공(220) 내경이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22)와, 상기 경사부(2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0)와 연통되는 직선부(224)를 포함한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tension tub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hrough-hole 220 formed in the extension pipe 200 has a length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220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inner diameter is farther from the inlet 120 of the main body 110. And an inclined portion 222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and a straight portion 224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222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 120.

즉, 상기 관통공(220)의 내경 중 경사부(222)는 본체의 흡입구로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다 직선부(224)에 이르게 되면 그 단면적이 일정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경사부(222)에서 가압되고, 상기 직선부(224)를 통과하며 가압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inclined portion 222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220 becomes smaller as the cross-sectional area is closer to the inlet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straight portion 224 is reached, the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to be constant, the extension pipe 200 Air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220 from the outside of the) is pressed in the inclined portion 222, and passes through the straight portion 224 to maintain a constant state.

특히, 상기 경사부(222)는 비대칭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부(222)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그 내경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되, 그 기울기는 내경의 내주연을 따라 변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inclined portion 222 is formed asymmetrically, the inner diameter has a predetermined slop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22, the slop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diameter To change accordingly.

즉, 상기 경사부(222)는 길이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내경의 내주연의 부분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기울기가 다른 경사부(222)를 형성하게 된다.That is, the inclined portion 22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not constant along the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diameter to form the inclined portion 222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on both sides as shown in the figure.

부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연장관(200)의 관통공(220)에 형성된 직선부(224)는 어느 위치를 평단면으로 절개하여 살펴보더라도 대칭의 형상을 갖는 원형 단면이 형성되는 반면, 상기 경사부(222)는 어느 위치를 평단면으로 절개하여 살펴보더라도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타원형 단면이 형성된다.In detail, the straight portion 224 formed in the through hole 220 of the extension pip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having a symmetrical shape even when the cut portion is cut into a flat sec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222, an elliptical cross section having an asymmetrical shape is formed even when the cut section is cut into a flat section.

즉, 상기 경사부(2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절개하여 살펴보면 직선부(224)의 중심선 상을 기준으로 양측 경사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급한 경사면과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한 경사면과 직선부(224)가 만나는 절곡지점(A)과 완만한 경사면과 직선부(224)가 만나는 절곡지점(B)이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inclined portion 222 is cut in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clined portions 222 form a steep inclined surface and a gentle inclined surface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surface on the center line of the straight portion 224. The bending point A where the steep inclined surface and the straight portion 224 meet and the bending point B where the gentle inclined surface and the straight portion 224 meet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penetrating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A difference occurs in the flow of air sucked into 220.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관통공(22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관통공(220)의 하부에 비대칭형의 경사부(222)를 형성함으로써,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차이가 발생하여 자연적인 회전류(swirling flow)를 생성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rough-hole 220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n asymmetric inclined portion 222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hole 220, through-hole 220 outside the extension pipe 200 Differences in the flow of air sucked into) create a natural swirling flow.

즉, 상기 관통공(220) 하부의 경사부(222)에서 직선부(224)로 공기가 이동할 때, 상기 경사부(222)의 서로 다른 기울기에 따라 공기 흐름의 속도에 차이가 생기므로 자연스럽게 회전류가 생성하면서 가압되고, 이렇게 가압된 공기는 직선부(224)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본체(110)의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That is, when the air moves from the inclined portion 222 below the through hole 220 to the straight portion 224, the speed of the air flow occu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clination of the inclined portion 222, so naturally The current is pressurized while generating, and the pressurized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while being kept constant in the straight portion 224.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관통공(220)에 회전류가 생성되면, 상기 관통공(220)의 회전류 중심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보다 향상된 흡입력으로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빨아들여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low is generated in the through-hole 220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flow of the through-hole 220 to extend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with improved suction force. By sucking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10 through th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can be removed by suction.

이와 함께, 상기 관통공(220)의 경사부(222)에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a spiral groove or a step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222 of the through hole 220.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회전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222)의 내경에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226)이 형성된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tension tub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roove or the staircase 226 of the spiral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clined portion 222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the rotational flow of air sucked into the through-hole 220 from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Is formed.

상기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226)은, 상기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20) 하부의 경사부(222)에서 좀더 강한 회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The spiral groove or staircase 226 is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air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220 from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ipe 200 and is below the through hole 220. In the inclined portion 222 may generate a stronger rotational flow.

여기서, 상기 경사부(222)의 내경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22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형 경사부(222)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칭형 경사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spiral groove or staircase 226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clined portion 222 is formed in the asymmetric inclined portion 222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the symmetrical inclined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100)의 사용을 설명하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100)로 청소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110)의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160)를 감싸 쥔 상태에서 작동버튼(140)을 조작하여 진공압 발생기를 작동시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handy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cleaning with the handy vacuum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140 while holding the handle 160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to operate the vacuum pressure generator.

상기 진공압 발생기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10) 내부 특히, 진공압 발생기의 전방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20)와 상기 흡입구(120)에 마련된 연장관(200)에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발휘된다.When the vacuum pressure generator is operated,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0, in particular, in front of the vacuum pressure generator, and the suction port 120 formed in the main body 110 and the extension pipe 200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120 are provided. The suction power to exhale outside air is exert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디형 진공청소기(100)를 청소 영역의 지면에 가깝게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러시(130)로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빗질하듯이 쓸어 한 곳으로 모으게 된다.In this state, the handy vacuum cleaner 100 is positioned close to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wherein the brush 13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20 combs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Sweep and collect them in one place.

이와 같이, 한 곳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모이게 되면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방벽(170)의 내부에 먼지와 이물질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방벽(170)을 지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킨다.As such, when the dust and foreign matter gathers in one place, the barrier 170 is positioned as close to the ground as possible so that the dust and foreign matter may be located inside the barrier 170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20.

이렇게, 상기 방벽(170)이 지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면,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과 방벽(170)이 밀착되면서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이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갖게 되고, 상기 흡입구(120)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200)을 통해 방벽(170) 내부의 지면에 모인 먼지와 이물질이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빨려들어가 청소 영역의 지면에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제거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barrier 170 is loca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ground, the ground where the dust and foreign matter gathers and the barrier 17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ground located inside the barrier 170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Dust and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ground inside the barrier 170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extending from the suction port 120 to the ground are suck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to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It can be removed without leaving anything behind.

이때,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은 흡입구(120)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200)과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을 외부와 차폐하는 방벽(170)에 의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본체(110)의 내부로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und where the dust and foreign matters is collected by the extension pipe 200 extending close to the ground at the suction port 120 and the barrier 170 that shields the ground where the dust and foreign matters is collected from the outside without leaving dust and foreign matters. It may be sucked into the body 110 and removed.

특히, 상기 연장관(200)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빨려들어갈 때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가 회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관(200)과 방벽(170)이 고무와 같은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청소 중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연장관(200) 또는 방벽(170)이 부딪쳐도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In particular, when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extension pipe 200, the air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220 generates a rotational flow, so as to suck and remove the dust and foreign matter with a further improved suction force, the extension pipe ( 200 and the barrier 17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orce such as rubber, so that the articles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extension pipe 200 or the barrier 170 collide with the articles placed on the ground or the ground during the cleaning. Does not cause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흡입구(120)와 연장관(200)을 탈부착하는 패스너(180)가 흡입구(120)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22) 및 제 2 걸림턱(124)과 연장관(20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212)와 제 2 걸림돌기(214)로 한정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흡입구(120)와 연장관(200)에 제각기 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자석에서 발휘되는 인력에 의해 흡입구(120)와 연장관(200)을 탈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first locking jaw 122 and the second locking jaw 124 and the extension pipe 200 having the fastener 18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uction port 120 and the extension pipe 200 are formed in the suction port 120. Although limited to the first locking projections 212 a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s 214 formed in the case, in some cases, each of the suction port 120 and the extension tube 200 is provided with a magnet, the suction port by the attraction force exerted by the magnet 120 and the extension tube 200 will be removable.

또한,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 연장관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a suction port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is formed in the lead-out portion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n extension tube may be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에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인출부(190)가 설치되며, 상기 인출부(190)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92)에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연장관(200)이 마련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handy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withdrawal portion 190 that is drawn out or drawn from the main body 110, the suction port 192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is provided in the withdrawal portion 190 Is formed, the inlet 192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ipe 200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 force extending toward the ground.

상기 인출부(1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110)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상기 인출부(190)를 본체(110)에서 인출시켜 틈새나 구석 등과 같은 본체(110)가 접근하기 힘든 부분으로 진입시켜 흡입구(192)에 마련된 연장관(200)을 통해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인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withdrawal unit 190 is normally located in the state buried in the main body 110, and withdraws the withdrawal unit 190 from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of the cleaning area. The main body 110, such as a corner, enters a part that is difficult to access and sucks dust and foreign matter through the extension pipe 200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192.

이를 위해, 상기 인출부(19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그 내부에 관로(194)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92)와 연통되며, 상기 흡입구(192)에는 앞서 설명한 연장관(200)이 마련된다.To this end, the lead portion 19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nduit 194 is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92, the inlet 192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pipe 200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인출부(190)에 형성된 흡입구(192)의 둘레로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한 곳으로 쓸어 모을 수 있는 브러시(130)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130)와 상기 연장관(200) 사이에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벽(17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brush 130 may be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192 formed in the lead-out unit 190 to collec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into one place, and the brush 130 and the A barrier 170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orce is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pipes 200.

또한, 상기 인출부(190)가 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상기 몸체(110)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 외측면과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 외측면에 대응하는 몸체(110)에 제각기 스토퍼(196)가 마련된다.In addition, when the withdrawal unit 190 is withdrawn from or withdrawn from the body 110, the proximal outer surface of the withdrawal unit 190 and the proximal outer surface of the withdrawal unit 190 are not separated from the body 110. Each stopper 196 i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body 110.

또한, 상기 인출부(190)와 몸체(110)가 기밀하게 접촉한 상태로 미끄러져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에 삽입 슬릿(197)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이 양갈래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삽입 슬릿(197)에 상기 몸체(110)의 외벽(112)이 삽입되는 이중 차폐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an insertion slit 197 is formed at a proximal end of the lead-out portion 190 so that the lead-out portion 190 and the body 110 slide out in a state of being in airtight contact. The proximal end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has a double shielding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wall 112 of the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97.

이때, 상기 몸체(110)의 외벽(112)과 삽입 슬릿(197)에 제각기 반구 형상을 갖는 홈(114)과 돌기(19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외벽에 형성된 홈(114)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19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grooves 114 and protrusions 198 each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re formed in the outer wall 112 and the insertion slit 197 of the body 110, and the grooves 114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ody 110. Is formed by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thdrawal portion 190 withdrawn from the body 110.

상기와 같이 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인출부(190)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92)에 연장관(200)이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구석 등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상기 몸체(110)로부터 인출된 인출부(190)의 브러시(130)로 쓸어 한 곳으로 모으고, 이렇게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에 상기 인출부(190)의 연장관(200)을 가깝게 위치시키게 된다.A suction port 192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is formed in the withdrawal unit 190 drawn out or drawn out from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tension pipe 200 is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192, thereby providing a gap or corner.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back and sweep with a brush 130 of the withdrawal unit 190 drawn out from the body 110, and gathered in one place, the extension pipe 200 of the withdrawal unit 190 on the ground where the dust and foreign matter collected ) Is located closely.

상기와 같이,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과 상기 인출부(190)의 연장관(200)이 가깝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방벽(170)이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을 차폐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먼지와 이물질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연장관(200)으로 흡입력이 집중되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round where dust and foreign matter gathers and the extension pipe 200 of the lead portion 190 are located close, the barrier 1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to shield the ground located inside the barrier 170. In this state, the suction force is concentrated to the extension pipe 200 which is located closest to the dust and foreign matter, and thus, the dust and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can be sucked and removed.

이와 함께, 상기 인출부(190)의 연장관(200)에 앞서 설명한 패스너(180)와 벨 마우스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장관(200)이 인출부(190)에 형성된 흡입구(192)와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관(200)에 회전류가 생성되어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bell mouth and the fastener 180 described above in the extension pipe 200 of the lead-out portion 190, the extension pipe 2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 the suction port 192 formed in the lead-out portion 190. In addition, the rotational flow is generated in the extension pipe 200 to suck and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with a further improved suction force.

110 : 본체 120 : 흡입구
122 : 제 1 걸림턱 124 : 제 2 걸림턱
130 : 브러시 140 : 작동버튼
150 : 배기그릴 160 : 손잡이
170 : 방벽 180 : 패스너
190 : 인출부 194 : 관로
196 : 스토퍼 197 : 삽입 슬릿
200 : 연장관 210 : 몸체
220 : 관통공 212 : 제 1 걸림돌기
214 : 제 2 걸림돌기 222 : 경사부
224 : 직선부 A, B : 절곡지점
226 :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
110: body 120: inlet
122: first jammed jaw 124: second jammed jaw
130: brush 140: operation button
150: exhaust grill 160: handle
170: barrier 180: fastener
190: withdrawal unit 194: pipeline
196: Stopper 197: Insertion Slit
200: extension tube 210: body
220: through hole 212: first locking projection
214: second protrusion 222: inclined portion
224: straight portion A, B: bending point
226: spiral groove or staircase

Claims (6)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matter;
An extension tube having a bod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provided at an inlet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And a fastener formed on each of the extension pipe and the suction port to detachably attach the extension pipe to the suction port.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A main body for generating a vacuum pressure;
An outlet portion formed from the main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n extension tube having a bod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ffering force provided at an inlet of the outlet and extending toward the ground of the cleaning area,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And a fastener formed on each of the extension pipe and the suction port to detachably attach the extension pipe to the suction por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흡입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 및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연장관의 상단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와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astener,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And a first catching protrusion and a second catching protrusion eac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tching jaw and the second catching jaw,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tub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내경이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단면적이 일정해지는 내경이 형성된 직선부를 갖는 벨 마우스;를 더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hrough hole may further include a bell mouse having an inclined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is increased, and a straight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having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at a position where the inclined portion ends.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그 형상이 비대칭되도록 급한 경사면과 완만한 경사면의 단면적을 갖고, 상기 완만한 경사면과 직선부가 만나는 절곡지점이 상기 급한 경사면과 직선부가 만나는 절곡지점보다 흡입구와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inclined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a steep slope and a gentle slope so that its shape is asymmetrical, and a bending point where the gentle slope and the straight portion meet is formed closer to the suction port than a bending point where the steep slope and the straight portion meet. vacuum clean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andheld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barrier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KR1020100063679A 2010-07-02 2010-07-02 Handy type vacuum cleaner KR101193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79A KR101193779B1 (en) 2010-07-02 2010-07-02 Handy type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79A KR101193779B1 (en) 2010-07-02 2010-07-02 Handy type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54A true KR20120003054A (en) 2012-01-10
KR101193779B1 KR101193779B1 (en) 2012-10-23

Family

ID=4561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679A KR101193779B1 (en) 2010-07-02 2010-07-02 Handy type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7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56A (en) * 2017-09-22 2020-06-05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DE102019126020A1 (en) * 2019-09-26 2021-04-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nd attachment for connection to a suction channel end area, system consisting of a suction channel of a suction cleaning device and an end attachment as well as a suction cleaning device
US11687092B2 (en) 2018-04-23 2023-06-27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42B1 (en) 2017-01-03 2022-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y and stick type vacuum cleaner
KR102385783B1 (en) 2017-08-09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Handy and stick type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237A (en) 1984-04-10 1986-03-04 The Scott & Fetzer Company Hand vacuum with tilting intake
JPS63175554U (en) * 1987-04-30 1988-11-15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56A (en) * 2017-09-22 2020-06-05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CN111466820A (en) * 2017-09-22 2020-07-31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11213177B2 (en) 2017-09-22 2022-01-04 Sharkninja Operating Llc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11672388B2 (en) 2017-09-22 2023-06-13 Sharkninja Operating Llc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11864714B2 (en) 2017-09-22 2024-01-09 Sharkninja Operating Llc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11930988B2 (en) 2017-09-22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11687092B2 (en) 2018-04-23 2023-06-27 Sharkninja Operating Llc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DE102019126020A1 (en) * 2019-09-26 2021-04-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nd attachment for connection to a suction channel end area, system consisting of a suction channel of a suction cleaning device and an end attachment as well as a suction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779B1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453B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193779B1 (en) Handy type vacuum cleaner
EP2522266A3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EP1836942A3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WO2016065148A2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EP2085011A3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ES2622191T3 (en) Suctio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or similar with dust lifting device
RU2003132292A (en) VACUUM CLEANER TYPE AND PIPE FOR MANIPULATION FOR SUCH A VACUUM CLEANER
JP6349557B2 (en) Dust collector
TWI629040B (en) Hard floor nozzle for absorbing coarse particles and fine dust
KR20180010725A (en) Cleaner
AU2006201518B2 (en)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employing the same
JP5636763B2 (en) Vertical vacuum cleaner
KR101090118B1 (en) Vacuum cleaner for handy type cleaner
JP2012235867A (en)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KR20160045622A (en) Dust collection device
CN109770788B (en) Dust collecting device
JP7013038B2 (en) Vacuum cleaner with bag
CN103961032A (en) Upright vacuum cleaner nozzle handle
CN110248582A (en) Cyclone separator
CN110234259A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20222223A1 (en) Auxiliary cleaning tool assembly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228561Y1 (en) Apparatus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in dust container of a cyclon type vacuum cleaner
CN207707852U (en) Vacuum cleaner
KR100783144B1 (en) Dust container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