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562U - 용기 캡 - Google Patents

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562U
KR20120002562U KR2020100010247U KR20100010247U KR20120002562U KR 20120002562 U KR20120002562 U KR 20120002562U KR 2020100010247 U KR2020100010247 U KR 2020100010247U KR 20100010247 U KR20100010247 U KR 20100010247U KR 20120002562 U KR20120002562 U KR 201200025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bridge
outer cap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서울우유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우유협동조합 filed Critical 서울우유협동조합
Priority to KR2020100010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562U/ko
Publication of KR201200025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 B65D41/3409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캡을 열 수 있고, 사용자가 캡을 열 때 미끄럼이 방지되며, 캡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유아의 구강 흡입 시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용기 캡은, 제 1 직경을 가지는 외부 캡; 상기 제 1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외부 캡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부 캡; 및 상기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캡{CAP OF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구에 열고 닫힐 수 있도록 설치되는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유, 과일쥬스, 탄산음료, 건강 음료, 스포츠 음료, 주류(酒類) 등 수많은 종류의 음료가 개발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음료를 담아 수용하는 음료 용기 또한 마개를 구비한 전통적인 병의 형태나 캔(Can)의 형태 또는 팩(Pack)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용기 캡은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밀폐를 위하여 용기의 개구부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캡을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회전시킬 때 비교적 많은 힘이 소요된다. 보통의 성인이 용기 캡을 회전시켜 여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더라도, 어린이들이 음료수를 섭취할 경우 용기 캡을 자신의 손힘만으로 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용기 캡은 주로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 캡을 파지할 경우 용기 캡이 손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등 용기 캡이 잘 열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이는 손으로 돌려서 여는 맥주의 캡에서 자주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용기 캡은 얇은 한 겹의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가 용기 캡을 구강으로 흡입할 경우 질식으로 사망할 수 있는 위험도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캡과 외부 캡 및 그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캡을 열 수 있고, 외부 캡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캡을 열 때 미끄럼이 방지되며, 캡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유아의 구강 흡입 시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제 1 직경을 가지는 외부 캡; 상기 제 1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외부 캡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부 캡; 및 상기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여, 내부 캡과 외부 캡 및 그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캡을 열 수 있고, 캡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유아의 구강 흡입 시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외부 캡의 외주면은, 상기 외주 캡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 및 상기 외주 캡의 중심 방향으로 함돌된 오목부를 포함하여, 외부 캡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캡을 열 때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네 개 포함되어, 사용자 손과의 밀착감 및 착용감이 최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을 연결시켜 고정하는 캡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캡 브릿지에 의해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캡 브릿지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 캡과 내부 캡의 형상과 캡 브릿지의 형상이 조화를 이룰 수 있고, 캡 브릿지의 길이 및 부피도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에 의해 캡 브릿지가 파손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 브릿지는 네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내부 캡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여, 용기와 결합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캡의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고 용기의 개구와 접촉하는 이너링을 더 포함하여, 용기의 개구부를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너링은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 캡 및 상기 내부 캡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 캡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캡과 동일한 원주를 갖는 반원통 형상의 템퍼 에비던스 밴드; 및 상기 템퍼 에비던스 밴드를 서로 연결하는 밴드 연결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판매되고 있는 용기가 개봉되지 않은 제품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연결 브릿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용기 캡이 용기로부터 열린 후에도 절단되지 않아, 캡이 용기로부터 열린 후에도 절단되지 않은 용기 연결 브릿지에 의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용기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용기 캡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캡을 열 수 있고, 사용자가 캡을 열 때 미끄럼이 방지되며, 캡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유아의 구강 흡입 시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및 정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캡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은 대략 원통 형상이며 직경이 큰 외부 캡(10)과 직경이 작은 내부 캡(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 캡(20)과 외부 캡(10)을 연결하는 캡 브릿지(32)가 형성되면서 외부 캡(10)과 내부 캡(20)은 서로 고정되어, 두 캡(10, 20)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두 캡(10, 20)의 사이에서 캡 브릿지(3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빈 공간(34)이 형성되어 이 공간(34)을 통해 공기가 통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캡(10)과 내부 캡(20) 및 캡 브릿지(32)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나 금속 등 단단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것이 제작 비용이 적고 무게가 적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될 경우 외부 캡(10)과 내부 캡(20) 및 캡 브릿지(32)는 모두 하나의 금형에서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캡(10)과 내부 캡(20)을 별개의 사출물로 제조한 뒤, 캡 브릿지(32)를 두 캡 사이에 접착시킴으로써 두 캡(10, 20)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용기 캡을 두 개의 캡(10, 20)이 결합된 구조로 형성할 경우, 캡 중에서 용기의 개구(미도시)와 접촉하는 작용점과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는 작용점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기 캡을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어린이들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용기 캡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캡(10)은 상측 면에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16)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결과 내부 캡(20)의 상부면(22)과의 사이에 공간(34)을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캡(10)의 측면 형상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12)와 원주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오목부(14)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캡을 회전시킬 경우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록부(12)와 오목부(14)가 외부 캡(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특히 볼록부(12)와 오목부(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씩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 손과의 밀착감 및 착용감이 최대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내부 캡(20)의 내주면에는 용기(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10, 20)의 하부 측에도 공간(34)은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외부 캡(10)과 내부 캡(20)이 연결되는 캡 브릿지(32)는, 외부 캡(10)의 오목부(14)에 대응되는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외부 캡(10)과 내부 캡(20)의 형상과 캡 브릿지(32)의 형상이 조화를 이룰 수 있고, 캡 브릿지(32)의 길이 및 부피도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에 의해 캡 브릿지(32)가 파손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캡 브릿지(32)의 개수 또한 오목부(14)의 개수와 일치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캡 브릿지(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캡(10)과 외부 캡(20) 사이에 공간(34)이 충분하게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캡(10)의 개구부(16)와 내부 캡(20)의 상부면(22)은 소정의 높이 차이를 가짐으로써, 공간(34)을 충분히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캡(20)의 내측면 상부에는 이너링(26; inner ring)이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 이너링(26)은 용기(미도시)의 개구(opening)와 접촉하면서 개구를 밀봉시키는 구성이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의 정면도이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캡(20)의 하부에는 템퍼 에비던스 밴드(27; temper evidence band)와 밴드 연결 브릿지(28)라는 구성이 더 포함된다. 템퍼 에비던스 밴드(27)는 내부 캡(20)과 동일한 원주를 갖는 반원통 형상으로 용기 측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밴드 연결 브릿지(28)는 두 템퍼 에비던스 밴드(27)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구성이다. 반원형의 템퍼 에비던스 밴드(27)에서 양측 내주면에는 고리 형상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된 플랩(27a; flap)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최초로 용기의 캡(10, 20)을 돌려서 열 경우, 캡(10, 20)을 돌리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템버 에비던스 밴드(27) 간의 연결부인 밴드 연결 브릿지(28)가 절단되거나, 템버 에비던스 밴드(27)의 플랩(27a) 부분이 파손되면서 캡(10, 20)이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결과 판매되고 있는 용기가 개봉되지 않은 제품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설계에 따라 다수의 밴드 연결 브릿지(28)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 캡(10, 20)이 열린 후에도 캡 브릿지(3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캡 브릿지(32)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르는 용기 캡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캡을 열 수 있고, 사용자가 캡을 열 때 미끄럼이 방지되며, 캡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유아의 구강 흡입 시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외부캡 12 : 볼록부
14 : 오목부 16 : 개구부
20 : 내부캡 22 : 상부면
24 : 나사산 26 : 이너 링(inner ring)
27 : 템퍼 에비던스 밴드 28 : 밴드연결 브릿지
32 : 캡 브릿지 34 : 공간

Claims (12)

  1. 제 1 직경을 가지는 외부 캡;
    상기 제 1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외부 캡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부 캡; 및
    상기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캡의 외주면은,
    상기 외주 캡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 및
    상기 외주 캡의 중심 방향으로 함돌된 오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네 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캡과 상기 내부 캡을 연결시켜 고정하는 캡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 브릿지는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는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브릿지는 네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의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고 용기의 개구와 접촉하는 이너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링은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캡 및 상기 내부 캡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캡과 동일한 원주를 갖는 반원통 형상의 템퍼 에비던스 밴드; 및
    상기 템퍼 에비던스 밴드를 서로 연결하는 밴드 연결 브릿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밴드 연결 브릿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용기 캡이 용기로부터 열린 후에도 절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KR2020100010247U 2010-10-05 2010-10-05 용기 캡 KR201200025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47U KR20120002562U (ko) 2010-10-05 2010-10-05 용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47U KR20120002562U (ko) 2010-10-05 2010-10-05 용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62U true KR20120002562U (ko) 2012-04-16

Family

ID=4660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47U KR20120002562U (ko) 2010-10-05 2010-10-05 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5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43B1 (ko) * 2012-12-11 2014-07-08 김상순 어린이 음료 용기용 보호캡
WO2018117563A1 (ko) * 2016-12-19 2018-06-28 중앙플라텍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안전캡 스파우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43B1 (ko) * 2012-12-11 2014-07-08 김상순 어린이 음료 용기용 보호캡
WO2018117563A1 (ko) * 2016-12-19 2018-06-28 중앙플라텍 개봉의 정확성과 확인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안전캡 스파우트
CN110088008A (zh) * 2016-12-19 2019-08-02 中央塑胶技术有限公司 一种提供开封时的准确性及检查的方便性的安全盖喷口
CN110088008B (zh) * 2016-12-19 2021-01-12 中央塑胶技术有限公司 一种提供开封时的准确性及检查的方便性的安全盖喷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452B2 (en) Bottle with dispensing device
US20160090222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CA3059507C (en) Cap for drink bottle or similar recipient
CN106986082A (zh) 可重新密封的饮料容器及其制作方法
CN102700822A (zh) 瓶盖
PL1812298T3 (pl) Płaskie, samootwierające się zamknięcie do opakowań zespolonych lub do zamykanych folią króćców pojemników albo butelek
US10793345B2 (en) Pre-filled wine glass product
KR20120002562U (ko) 용기 캡
CN208360879U (zh) 一种内置配料的瓶盖组件及带有该瓶盖组件的瓶子
KR20100049137A (ko) 티백용 병뚜껑
CN201670449U (zh) 瓶盖改良结构
CN201334170Y (zh) 一种瓶盖
CN208813810U (zh) 一种瓶盖
CN202279334U (zh) 包装瓶及其瓶盖
EP4132864B1 (en) Spout-cap unit, pouch comprising such a spout-cap unit
CN213621219U (zh) 一种瓶盖结构及塑料瓶
CN201089598Y (zh) 一种带有吸管的新型饮液瓶
CN103086066B (zh) 具有内芯结构的饮料瓶盖
KR20140000458U (ko) 스크류식 합성수지 병뚜껑
WO2006079351A1 (fr) Dispositif a boucher pour bouteille
CN213503792U (zh) 一种新型饮料瓶
CN201932485U (zh) 全密封防伪瓶盖
CN208602986U (zh) 一种新型儿童饮料瓶
KR200422322Y1 (ko) 손잡이가 형성된 병마개용 고정캡
KR200478362Y1 (ko) 포장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29

Effective date: 201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