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239A -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239A
KR20120002239A KR1020100063020A KR20100063020A KR20120002239A KR 20120002239 A KR20120002239 A KR 20120002239A KR 1020100063020 A KR1020100063020 A KR 1020100063020A KR 20100063020 A KR20100063020 A KR 20100063020A KR 20120002239 A KR20120002239 A KR 2012000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alled
terminal
information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894B1 (ko
Inventor
박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6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발신단말로부터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을 수신하고, 착신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수신하고, 착신단말이 제2 착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erminating network}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착신단말이 접속된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서비스가 유무선 컨버전스 환경으로 진화됨에 따른 FMC(Fixed Mobile Convergence) 단말 또는 인터넷 기반의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하나의 단말을 통하여 다양한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망들에 적용 가능한 하나의 착신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의 과금 정책에 있어서, 착신단말이 접속된 착신망에 따라 발신자에게 과금이 부과됨에도, 발신자는 착신단말이 접속된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신단말 사용자가 착신단말이 접속된 착신망을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착신망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착신망들과 접속 가능한 착신단말의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발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망들 중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 요청된 착신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착신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착신망들 중 제2 착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발신단말의 사용자는 착신단말이 접속된 착신망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단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이 CS 망에 접속된 경우, 착신 호 처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단말과 착신단말 간의 망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 교환부(310),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320) 및 호 처리부(33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발신단말(100) 및 착신단말(200)은 통신 시스템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단말(100) 및 착신단말(200)은 착,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200)은 FMC(Fixed Mobile Convergence) 및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20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망에 접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신단말(200)은 각각의 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번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착신단말(200)은 PS(Packet Switched) 망 또는 CS(Circuit Switched) 망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착신단말(200)은 유선 망 또는 무선 망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선 망은 SoIP(Service on IP),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망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IMS(IP Multimedia Subsystem), LTE(Long Term Evolu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착신단말(200)이 FMC 단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착신단말(200)은 WCDMA 망 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WCDMA 망은 CS 망 및 무선 망에 해당하고, 인터넷 망은 PS 망 및 유선 망에 해당한다.
또한, 착신단말(200)에 착신 호를 요청하기 위한 착신번호에 있어서, CS 망은 식별번호 010(다만, 본 실시예에서 식별번호 010은 통합식별번호 010 이전에 사용되던 식별번호 011, 016, 017 및 019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을 포함하고, PS 망은 식별번호 070을 포함함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100)의 사용자는 착신번호에 식별번호 010이 포함될 경우, 착신단말(200)이 CS 망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할 것이고, 또한, 발신단말(100)의 사용자는 착신번호에 식별번호 070이 포함될 경우, 착신단말(200)이 PS 망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20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착신망들과 접속 가능하고, 착신망들 각각에 대한 착신번호가 존재할 수도 있고,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착신단말(200)이 제1 착신망 및 제2 착신망에 접속 가능한 경우,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 및 제2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2 착신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200)이 제1 착신망에 접속된 경우, 발신단말(100)로부터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이 수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제2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발신단말(100)과 착신단말(200)의 호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착신단말(200)이 제1 착신망 및 제2 착신망에 접속가능한 경우, 제1 착신망 및 제2 착신망 모두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발신단말(100)로부터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이 수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200)이 제1 착신망에 접속된 경우뿐만 아니라, 착신단말(200)이 제2 착신망에 접속된 경우에도 발신단말(100)과 착신단말(200)의 호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제1 착신번호로 착신단말(200)에 착신 호를 요청하는 경우, 발신단말(100)의 사용자는 제1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제1 착신망에 착신단말(200)이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제1 착신망에 따른 과금이 부과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착신단말(200)이 제2 착신망에 접속된 경우에도,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가 설정될 수 있고, 발신단말(100)의 사용자에게는 제1 착신망이 아닌 제2 착신망에 따른 과금이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 망 정보를 발신단말(100)에 제공하여, 발신단말(100) 사용자로 하여금 과금에 대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착신 교환부(310), 어플리케이션 서버(320) 및 호 처리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착신 교환부(310)는 발신단말(100)로부터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라 함은 제1 착신망에 대하여 정책적으로 결정된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번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교환부(310)는 이동전화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또는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망에 따른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20)는 착신 호 요청된 착신단말(200)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32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320)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320)는 VCC(Voice Call Continuity)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SCC(Service Centralized and Continuity)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20)가 VCC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VCC 어플리케이션 서버(320)는 앵커링(anchoring)을 수행하면서 착신단말(200)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20)가 SCC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SCC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위치등록을 수행하면서 착신단말(200)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호 처리부(330)는 수신된 착신 망 정보를 참조하여, 착신단말(200)이 제2 착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100)로 제공한다.
IMS 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부(330)는 IMS 기반의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이 될 수 있다. 즉, CSCF에서 제공되는 음성 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를 발신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추가되는 하드웨어 구성 없이 기존재하던 기능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성 메시지라 함은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음원을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부(330)는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음원을 송출하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신단말(100) 사용자는 상기 음성 메시지를 제공받을지 여부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부(330)는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100)로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는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에 따른 과금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과금 정보라 함은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에서 통상적으로 부과되는 요금에 대한 정보, 발신단말(100)이 가입한 요금제에 따라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에서 부과되는 요금에 대한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발신단말(100)이 PS 망에 대응하는 식별번호 070을 포함하는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를 요청하였으나 착신단말(200)이 CS 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호 처리부(330)은 착신단말(200)이 CS 망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른, 과금이 부과될 것이라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는 "착신단말 고객님은 현재 이동통신망에 접속 중입니다. 이동전화요금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동전화요금은 10초에 18원입니다"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성 메시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예에 해당할 뿐이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음성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따라서, 발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 정보를 인지함에 따라,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과금 정보를 인지할 수 있기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호 처리부(330)는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착신 호를 요청한 착신번호가 나타내는 착신망과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이 다른 경우에만 상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100)로 제공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발신단말(100)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기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200)이 CS 망에 접속된 경우, 착신 호 처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과정은 PS 망이 IMS 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MSC(Mobile Switching Center)(21), HLR(Home Location Register)(22),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23),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24) 및 VCC AS(Voice Call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25)가 도시되어 있다.
MSC(21)는 착신단말(200)이 CS 망에 접속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착신 교환부(310)의 일 예이다. 이때, MSC(21)는 각 이동전화기지국에서 발,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MSC(21)는 G-MSC(Gateway-Mobile Switching Center)가 될 수 있다. 또한, VCC AS(25)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320)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CSCF(24)는 도 1에 도시된 호 처리부(33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S201에서 MSC(21)는 발신단말(100)로부터 소정의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MSC(21)는 IAM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S202에서 MSC(21)는 HLR(22)로 SRI(Send Routing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하고, S203에서 HLR(22)은 MSC(21)로 sri(send routing information)을 S202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한다. 이때, S203에서의 sri는 착신단말(200)이 가입한 착신 서비스에 따른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정보는 착신 호 요청을 어디로 트리거링 시켜야 할 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204에서 MSC(21)는 지능망 트리거링(IN Trigg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착신 호 요청을 VCC AS(25)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MSC(21)는 S203에서 수신된 트리거링 정보를 이용한 IN 트리거인 IDP(Initial Detection Point)를 통하여 VCC AS(25)로 착신 호가 전달되기 위한 처리를 진행한다.
S205에서 VCC AS(25)는 착신단말(200)의 IMRN(IMS Routing Number)을 할당하고, 할당된 IMRN 정보를 MSC(21)로 전송한다.
S206에서 MSC(21)는 S205에서 수신한 IMRN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IAM 메시지를 MGCF(23)로 전송한다.
S207에서 MGCF(23)는 호 요청된 착신단말(200)과 관련된 CSCF(24)를 선택하고, 선택된 CSCF(24)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S208에서 CSCF(24)는 VCC AS(25)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VCC AS(25)는 호 세션 처리(CS Process), 앵커링(anchoring), 도메인 선택(Domain Selection) 등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VCC AS(25)는 앵커링을 수행함에 있어 착신단말(200)이 접속되어 있는 착신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9에서 VCC AS(25)는 CSCF(24)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호 설정을 요청한다.
S210에서 CSCF(24)는 착신 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S210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CSCF(24)는 S208에서 수신된 착신망 정보에 따른 착신망과 S201에서 수신된 착신 호 요청에 따른 착신번호에 대응하는 착신망이 서로 다를 경우, S208에서의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100)로 제공한다.
이후 착신 호 처리 과정은 통상적인 착신 호 처리 과정에 해당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청취한 후에도 호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통상적인 착신 호 처리 과정에 따라 발신단말(100) 및 착신단말(200) 간의 호 처리가 수행된다. 다만,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청취한 후 호 연결 상태를 해제(예를 들어, 발신단말(100) 사용자가 전화를 끊는 경우)하는 경우, 발신단말(100) 및 착신단말(200) 간의 호 연결 절차가 종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VCC AS(25)를 통하여 유무선 망 간의 끊김 없는(seamless) 핸드오버를 보장하고, 착신망 선택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FMC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번호정책이 변경되어, 복수의 망들에 대응하는 원넘버 서비스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가입자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발신단말(100)과 착신단말(200) 간의 망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단말(100)은 SoIP(Service on IP) 망(301)에 접속되어 있고, 착신단말(200)은 와이파이(Wi-Fi) 망(303) 또는 WCDMA 망(304)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망(300)과 WCDMA 망(304)은 IMS 망(302)의 VCC AS(3023)에 의하여 전환(transfer)될 수 있다.
SoIP 망(301)은 AP(Access Point)(3011) 및 SSW(Softswitch)(3012)로 구성될 수 있다.
IMS 망(302)은 CSCF(3021), HSS(Home Subscriber Server)(3022), VCC AS(3023), MGCF(3024) 및 MGW(Media Gateway)(3025)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파이 망(303)은 AP(3031) 및 PDG(Packet Data Gateway)(303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망(303)은 무선랜(Wireless LAN) 망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WCDMA 망(304)은 Node B(3041), RNC(Radio Network Controller)(3042), MSC(3043) 및 HLR(304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에 도시된 망 구성도에 관하여 알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기재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착신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착신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기재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S401 단계에서 착신 교환부(310)는 발신단말(100)로부터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을 수신한다.
S402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320)는 착신 호 요청된 착신단말(200)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320)는 IMS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320)가 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호 처리부(330)는 402 단계에서 수신된 착신망 정보를 참조하여, 착신단말(200)이 제2 착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단말(100)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는 제2 착신망에 따른 과금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망 정보 제공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발신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 정보를 인지시킬 수 있고, 또한, 발신단말(100) 사용자는 착신단말(200)이 접속된 착신망 정보에 따른 과금 정보를 인지함에 따라 발신단말(100)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발신단말
200 ... 착신단말
300 ... 착신망 정보 제공 시스템
310 ... 착신 교환부
320 ... 어플리케이션 서버
330 ... 호 처리부

Claims (11)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착신망들과 접속 가능한 착신단말의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단말로부터 상기 착신망들 중 제1 착신망에 대응하는 제1 착신번호에 따른 착신 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 요청된 착신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착신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단말이 상기 착신망들 중 제2 착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착신망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는 상기 제2 착신망에 따른 과금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제2 착신망에서 통상적으로 부과되는 요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착신 호를 요청하는 발신단말에 따라 상기 제2 착신망에서 부과되는 요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단말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음원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 사용자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제공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망 정보의 수신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의 상기 발신단말로의 제공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신망 및 상기 제2 착신망은 각각 CS(Circuit Switched) 망 또는 PS(Packet Switched) 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신망 및 상기 제2 착신망은 각각 유선 망 또는 무선 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단말은 FMC(Fixed Mobile Convergence) 및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망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063020A 2010-06-30 2010-06-30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64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020A KR101648894B1 (ko) 2010-06-30 2010-06-30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020A KR101648894B1 (ko) 2010-06-30 2010-06-30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39A true KR20120002239A (ko) 2012-01-05
KR101648894B1 KR101648894B1 (ko) 2016-08-17

Family

ID=4560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020A KR101648894B1 (ko) 2010-06-30 2010-06-30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38B1 (ko) * 2012-01-27 2013-06-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3154277A1 (ko) * 2012-04-09 2013-10-17 (주) 뉴온시스 mVoIP단말 배터리 절약 시스템 및 배터리 절약 방법
KR101440687B1 (ko) * 2012-11-05 2014-09-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호 연결 처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227A (ja) * 1995-03-17 1996-10-01 Nec Corp 通話料金予告システムおよび通話料金予告装置
KR20010011057A (ko) * 1999-07-24 2001-02-15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에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20060004137A (ko) * 2004-07-08 2006-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의 착신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51813A (ko) * 2006-12-07 2008-06-11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ims망간 글로벌번호 적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227A (ja) * 1995-03-17 1996-10-01 Nec Corp 通話料金予告システムおよび通話料金予告装置
KR20010011057A (ko) * 1999-07-24 2001-02-15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에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20060004137A (ko) * 2004-07-08 2006-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의 착신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51813A (ko) * 2006-12-07 2008-06-11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ims망간 글로벌번호 적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38B1 (ko) * 2012-01-27 2013-06-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3154277A1 (ko) * 2012-04-09 2013-10-17 (주) 뉴온시스 mVoIP단말 배터리 절약 시스템 및 배터리 절약 방법
KR101440687B1 (ko) * 2012-11-05 2014-09-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호 연결 처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894B1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326B2 (en) Cell tower functionality with satellite access to allow a cell device to roam on a satellite network or call forward on a satellite network
US10382906B2 (en) Location identifiers in mobile messaging
US10595250B2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JP564664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で用いる方法および装置
US10827392B2 (en) Handover delay optimization
KR101565626B1 (ko)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JP6034994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位置更新と並行してモバイル着信呼を扱うことに起因する呼ループの形成の回避
JP2012039219A (ja) 移動通信方法及び優先度制御ノード
JP5666577B2 (ja) セッションの継続性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20120002244A (ko) 착신 호를 설정하는 방법
US10397965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real-time location and status of voice-over Wi-Fi (VoWiFi) users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KR101648894B1 (ko)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5134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재등록을 유도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0125904A1 (ja)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加入者情報管理サーバ及びセッション管理サーバ
CN106937264B (zh) VoLTE用户呼叫寻址的方法、系统以及HSS
US94739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earer quality
US8620378B2 (en) Communication system, Femto Access Point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40010160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service control network apparatus and mobility management node
CN107371140B (zh) 一种呼叫前转的处理方法及设备
Kim et al. Tra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volte phones
US947992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call routing when connection to a core network is lost
KR101574317B1 (ko) 효율적인 착신 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RU2580061C2 (ru) Сетевой объект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с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объектом через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ую сеть
US917318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nd method thereof
KR101638731B1 (ko) VoLTE 발신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