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687A -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 - Google Patents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687A
KR20120001687A KR1020110063678A KR20110063678A KR20120001687A KR 20120001687 A KR20120001687 A KR 20120001687A KR 1020110063678 A KR1020110063678 A KR 1020110063678A KR 20110063678 A KR20110063678 A KR 20110063678A KR 20120001687 A KR20120001687 A KR 2012000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ode
information
optimal
senso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74771B1 (en
Inventor
남상관
류승기
최현상
나준엽
김태훈
강진아
오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2000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optimum sensor node arranging method, optimum sensor node system, and storing medium for storing an optimum sensor node arranging program are provided to efficiently cover a target zone through the minimum number of sensors. CONSTITUTION: A storing unit(100) includes geographic information, topographical information, sensor node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A central processing unit(200) makes a transmission feature map through the information in the storing un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rranges a sensor node on an optimum distance of a road. A user input unit(300) inputs information of the storing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 output unit(400) outputs a result which is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과 최적 센서노드 시스템 및 최적 센서노드 배치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Media for Optimal Sensor Node System and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Progra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하여 도시의 대블럭 또는 도시 전체 레벨에서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센서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mal method for arranging sensor node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is about how it can be arranged.

최근 도시의 방재 및 시설물 관리를 위해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즉, 도시 관리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how to attach and manage various sensors based on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for disaster prevention and facility management in cities. That is, a lot of researches are applied to apply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management technology.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온도, 습도, 압력 등의 물리적 또는 환경적 조건을 감지하는 센서노드들로 구성되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환경감시, 목표물 추적, 교통 관리, 건물 감시 등의 다양한 응용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센서를 도시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s composed of sensor nodes that detect physical or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sure to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and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environmental monitoring, target tracking, traffic management, and building monitoring. Is being applied to. Currently, research on wireless sensor networks is constantly being conducted, a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efficiently deploy sensors in cities.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교량이나 터널 등 일부 대형 시설물에 센서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분야이며 넓은 범위의 도시 전체 시설물 관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is a real-time monitoring field in which sensors are installed in some large facilities such as bridges and tunnels,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a wide range of urban facilities.

이러한 개별 시설물에 대한 센서노드 배치 방법과 더불어 도시 규모가 넓은 면적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는 저비용 고효율의 센서노드 배치에 관한 방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Although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arranging sensor nodes for individual facilities as well as a method for arranging low-cost and high-efficiency sensor nodes for the management of a large urban area, there are no concrete solutions.

그리고,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실제적인 지리정보 개념이 포함되지 않은 논리상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리정보 및 지형 정보를 별도로 고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sensor network is being conducted only for the logical arrangement method that does not include the actual geographic information concep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terrain information must be considered separately in order to apply the same.

또한,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는 1 ~ 2 개의 국한된 센서에 대한 연구만이 있을 뿐, 다양한 센서를 적용시킬 수 있는 광범위의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적용 시스템이 전무한 것이 현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existing sensor network has only research on one or two localized sensors, and there is no application system for a wide range of sensor networks to which various sensors can be appli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개수의 센서로 목표 지역을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센서노드 배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that can efficiently cover the target area with a minimum number of senso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질적인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센서노드 배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actic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capable of arranging various types of sensors using substantial geographic information and topographic inform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은 지리정보, 지형정보, 지물정보, 센서노드 정보, 항공사진 정보 및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는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저장부, 사용자 입력부, 출력부 또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지표상에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센서노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센서 배치 영역 내의 각종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하는 전파특성지도 작성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파특성지도를 이용하여 도로의 최적거리 상에 상기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센서노드 배치단계;및 상기 출력부에 의해 상기 센서노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ographic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feature information, sensor node information, aerial photo information and A method of arranging a sensor node on an indicator by a system including a storage unit, a user input unit, an output unit,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including facility information,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sensor node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A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preparation step of creating a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using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 sensor arrangement area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of placing the sensor node on the optimum distance of the road by using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step indicat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nsor node by the output unit Do.

본 발명의 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센서노드가 배치되는 배치 지역 정보 및 센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put the information on the arrangement area and the type of sensor on which the sensor node is disposed.

본 발명의 전파특성지도 작성단계는 상기 지리정보에서 도로에 대한 폴리라인 레이어를 추출하여 지형정보 고도값 또는 지물정보 고도값을 적용하여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prepar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extract the polyline layer of the road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to create a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by applying the terrain information altitude value or the feature information altitude value.

본 발명의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도로 중심선에 센서노드를 가배치하고, 기준노드로부터 센싱범위 내에 센서노드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로 중심선에 가배치된 센서노드를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node is arranged on the road center line, and the sensor node placed on the road center line is moved on the road outline so that the sensor node is disposed within the sensing range from the reference node.

본 발명의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도로상의 교차로를 추출하고, 상기 도로 중심선에 가배치된 센서노드를 추출된 교차로의 이동가능범위 내의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extract the intersection on the road and to move the sensor node temporarily disposed on the road centerline on the road outline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extracted intersection.

본 발명의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상기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센서노드의 고도차가 2m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센서노드를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sensor node on the road outline so that the altitude difference between adjacent sensor nodes does not exceed 2m using the terrain information.

본 발명의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상기 지물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센서노드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지형물이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센서노드를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sensor node on the road outline so that the terrain is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djacent sensor nodes using the feature information.

본 발명의 출력단계는 상기 센서노드의 배치 상태를 항공사진에 중첩시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utpu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nsor node is superimposed on the aerial photograph and output.

본 발명의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시스템은 상기 센서노드 배치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리정보, 지형정보, 지물정보, 센서노드 정보, 항공사진 정보 및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는 배치정보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하고, 상기 전파특성지도에 근거하여 도로의 최적거리 상에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나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system for urban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is performed, geographic inform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feature information, sensor node information, aerial photo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A storage unit including batch information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a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age unit and arranging a sensor node on an optimum distance of a road based on the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And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to the storage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or outputting a result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센서노드 배치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는 상기 센서노드 배치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dium on which the program on which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is recorded may preferably include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에 의하면, 도시 단위에서 USN 도입의 적정 예산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 계획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배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센서노드를 설치할 경우 시간 및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으며, 센서노드의 중복배치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budget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USN at the city level, thereby helping the decision making of the urban plan. Can be. In addition, if the actual sensor node is installed based on the basic layout result, it can save time and cost,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avoiding problems such as overlapping of the sensor nod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해 배치 구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한 클리핑 과정을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해 폴리라인 레이어가 추출되는 과정을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5는 도 4에 의해 추출된 폴리라인 레이어를 항공사진에 중첩시킨 상태를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사용되는 지물정보에 대한 라이다 자료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해 작성된 전파특성지도를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해 센서노드가 가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9는 도 8에 의해 가배치된 센서노드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의 지물정보를 고려하여 센서노드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의 지형정보를 고려하여 센서노드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해 센서노드가 이동되어 최종 배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13은 도 12에 의한 배치상태를 항공사진에 중첩시킨 결과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 전의 센서배치 상태를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14b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에 의한 센서배치 상태를 보인 디스플레이 화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방법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splay screen showing a process of setting an arrangement zone by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splay screen illustrating a clipping process by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splay screen illustrat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polyline layer by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splay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line layer extracted by FIG. 4 is superimposed on an aerial photo;
FIG. 6 is a Lira data screen for feature information used in a method for arranging an optimal sensor node for managing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splay screen showing a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prepared by a method for arranging optimal sensor nodes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ensor nodes are provisionally arranged by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node temporarily deployed by FIG. 8 is moved.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node is moved in consideration of feature information of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node is moved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node is finally arranged by the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splay screen showing a result of superimposing the arrangement state shown in FIG. 12 on an aerial photograph; FIG.
Figure 14a is a display screen showing the sensor arrangement state before the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B is a display screen showing a sensor arrangement by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for arranging an optimal sensor node for managing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및 최적 센서노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nd an optimal sensor node system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최적 센서노드 배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 to 15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nd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system for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시스템은 센서노드 배치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정보에 의해 센서노드에 필요한 자료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중앙처리부; 사용자 입력부;및 출력부를 포함한다.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variety of data related to the sensor node arrangement; A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extracts data necessary for the sensor nod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and arranges the sensor node using the data; A user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본 발명은 정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도시시설물을 구분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센서를 특정한다. 그리고, 다양한 센서 종류 중에 주로 사용되는 몇 가지 센서에 대해 논리적인 배치 규칙을 만들고, 이 규칙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센서를 배치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city facility that needs to be managed regularly, and specifies a sensor that can manage it. In addition, a logical placement rule is created for several sensors mainly used among various sensor types, and the rules are configured to place the sensors at regular intervals.

그러나 배치 지역을 완벽하게 커버하기 위해 센서 배치 규칙들이 다양화될수록 중복되는 지점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복 지점을 없애기 위해 지리정보 및 지형정보라는 범주에 맞추어 정량화할 수 있는 영향 요소들을 고려한다.However, as sensor placement rules are diversified to fully cover the placement area, there are many overlapping points.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the overlapping points, the influence factors that can be quant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topographic information are considered.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센서는 물리적인 현상을 정량화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센서노드는 이러한 센서를 포함하여 정량화된 수치를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패키지화된 장치를 의미한다.The senso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for quantifying a physical phenomenon, and the sensor node refers to a package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quantified value including the sensor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배치방법에 의해 배치되는 센서노드는 도시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센서노드로 구성된다. 도시 시설물은 지상과 지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지하 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전기선, 통신선, 송유관, 가스관 등 7개 시설물로 한정되는 반면, 지상 시설물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각종 법규, 고시 및 지침에 근거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지상 시설물을 선정한다.First, the sensor node arranged by th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nsor node for managing urban facilities. Urban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ground and underground. Underground facilities are limited to seven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sewerage, electric lines, communication lines, oil pipelines, and gas pipelines, while the ground facilities are very diverse. Therefore, ground facilities are selected as shown in Table 1 below based on various laws, notices and guideline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의해 배치되는 센서노드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지상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센서노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00) 내에 저장된다.The sensor node dis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node for managing the ground facilities and underground facilities as described in Table 1,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그리고, 위와 같은 지상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센서노드의 센서는 역학 센서, 자기 센서, 광센서, 방사선센서, 음향센서, 역학(온도)센서, 화학센서 및 바이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노드의 센서는 아래의 표 2와 같다.And, the sensor of the sensor node for managing the above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may include a dynamic sensor, magnetic sensor, light sensor, radiation sensor, acoustic sensor, dynamic (temperature) sensor, chemical sensor and biosensor. The sensor of the sensor node i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센서노드의 센서는 센서 종류마다 각기 다른 센싱범위를 가지는데 각 센싱범위는 주변 지형 및 기상환경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센싱범위가 일점 범위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센서의 센싱범위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저장부(100) 내에 저장된다.The sensor of the sensor nod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different sensing range for each sensor type, and each sensing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topography and the weather environment. Therefore, the sensing range may have a point value. In addition,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sensing range of the senso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그리고, 상기 저장부(100)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지리정보시스템 정보는 이후에 설명될 전파특성지도나 폴리라인 레이어 추출과 같은 작업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00)는 배치 지역에 대한 항공사진 DB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0 includ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formati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may be used in operations such as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or polyline layer extra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0 may also include an aerial photo DB for the placement area.

상기 저장부는 지형정보(DEM) 및 지물정보(DSM)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형정보(DEM)는 등고선과 같이 현위치의 해발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센서노드가 설치되는 지형의 높이 차이가 2m 이상이 되는 경우 설치위치를 조정하게 된다.The storage unit may also include terrain information (DEM) and feature information (DSM). The terrain information (DEM) indicates the elev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such as contour lines, and adjusts the installation location when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terrain where the sensor node is installed becomes 2 m or more.

그리고, 상기 지물정보(DSM)는 대지위의 건물, 수목 및 가로수와 같은 기타 지형물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지물정보(DSM)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고 그 반사와 흡수를 이용함으로써 지형물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라이다(lidar)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The feature information (DSM) is information about other features such as buildings, trees and trees on the ground. The feature information DSM may be composed of lidar information representing information about the terrain by emitting a laser beam and using the reflection and absorption as shown in FIG. 6.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부(200)는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맵을 작성하고, 작성된 맵에 근거하여 센서를 배치시키거나 조정한다.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추출부(210)를 포함하는데, 상기 추출부(210)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폴리라인 레이어를 추출하거나, 해당 지역을 클리핑(clipping)하거나, 교차로를 추출한다.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extracts necessary information to create a map, and arranges or adjusts a sensor based on the created map.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n extraction unit 210. The extraction unit 210 extracts a polyline layer by us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or clipping a corresponding region. Extract the intersection.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맵 작성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맵 작성부(220)는 상기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파특성지도, 센서배치지도 및 항공사진 중첩지도를 작성한다. 상기 맵 작성부(220)는 PostGIS와 Geoserver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는 APHACHE TOMCAT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200)는 배치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부(230)는 센서노드를 배치하거나 배치된 센서 노드의 위치를 조정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 map preparation unit 220, and the map preparation unit 220 superimposes a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a sensor arrangement map, and an aerial photograph using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210. Create a map. The map generator 220 may be implemented using PostGIS and Geoserver, and the web application server may use APHACHE TOMCA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n arranging unit 230, and the arranging unit 230 arranges sensor nodes or adjusts positions of the arranged sensor nodes.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정보 및 상기 중앙처리부(200)에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300)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중앙처리부(200)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된다.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are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300, and the result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results in the output unit 400. Is output via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timal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for managing a city facility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센서가 설치되고자 하는 대단위 지역에 대한 배치 지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표 2에 기재된 센서 중 배치하고자 하는 센서를 하나 이상 선택한다. 이때, 선택되는 센서는 종류에 따라 센싱범위가 각각 상이하다.First, as shown in FIG. 2, a placement area for a large area where a sensor is to be installed by a user is selected. Then, one or more sensors to be arranged are selected from the sensors described in Table 2. In this case, the sensing rang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ensor selected.

사용자에 의해 배치 지역 및 센서가 선택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지역 중 도로레이어와 필요한 지리정보만을 추출하는 클리핑(clipping)을 실시한다. 상기 클리핑은 추출부(210)에 실시되는데 상기 추출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지역에 대한 폴리라인 레이어를 추출한다. When the placement area and the sensor are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3, clipping is performed to extract only the road layer and necessary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placement areas. The clipping is performed in the extractor 210. The extractor 210 extracts a polyline layer for a corresponding region as shown in FIG.

상기 폴리라인 레이어란 GIS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지역의 도로 라인만을 추출해낸 도형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라인 레이어는 차후에 센서노드 배치를 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된다.The polyline layer refers to figure information obtained by extracting only road lines of a selected region using GIS information. The polyline layer is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later sensor node placement.

그리고, 상기 맵 작성부(220)는 상기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된 폴리라인 레이어를 항공사진 데이터에 적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사진이 결합된 폴리라인 레이어를 작성한다.The map preparation unit 220 applies the polyline layer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210 to the aerial photo data to create a polyline layer combined with the aerial photo as shown in FIG. 5.

상기 판단부(230) 및 상기 맵 작성부(22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지형정보 및 지물정보에 대한 사항을 항공사진이 결합된 폴리라인 레이어에 적용함으로써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230 and the map preparation unit 220 create a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by applying the details of the terrain information and the fe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to the polyline layer to which the aerial photograph is coupl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파특성지도는 지형정보, 지물정보 및 도로에 대한 폴리라인 레이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센서노드 상에 송수신되는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판별하도록 작성된 지도를 의미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includes terrain information, feature information,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polyline layer of a road, thereby determining a factor influencing radio waves transmitted and received on a sensor node. Means.

상기 전파특성지도가 작성되면, 상기 판단부(230)는 최적거리에 기준하여 센서노드를 배치한다. 먼저, 상기 판단부(230)는 센서노드를 배치하기 위한 기준노드를 설정한다.Whe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is generated, the determination unit 230 arranges the sensor node based on the optimum distance. First, the determination unit 230 sets a reference node for disposing a sensor nod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노드로부터 전파특성지도의 폴리라인 레이어에 의해 판단되는 도로의 중앙부에 일정간격, 즉 센싱범위를 고려한 간격으로 센서노드를 배치한다. 이때,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를 추출하여 전파특성지도에 표시한다.As illustrated in FIG. 8, sensor nod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an interval considering a sensing range, in a central portion of the road determined by the polyline layer of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from the reference node. At this time, the intersection where the road meets is extracted and displayed on the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센서노드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없고, 도로의 양 측면, 즉 도로 주변의 인도나 보도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로의 중앙부에 가배치된 센서노드를 도로 주변으로 재배치해야 한다.Since sensor nodes are generally no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oad and ar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road, ie sidewalks or sidewalks around the road, sensor node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oad must be relocated around the road.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노드(n)에서부터 확장되는 센싱범위가 최초 도로의 외곽선과 접하는 지점(SD)으로부터 최대 센싱범위가 도로의 외곽선과 접하는 지점(LD)까지가 센서노드가 이동배치될 수 있는 이동가능범위(H)가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sensor node moves from the point SD where the sensing range extending from the sensor node n contacts the outline of the first road to the point LD where the maximum sensing range contacts the outline of the road. It becomes the movable range H whi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즉, 최초의 기준 노드로부터 센싱범위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센서노드가 배치되는데, 기설정된 센서노드 주변에 설치되는 센서노드는 센싱범위 내인 이동가능범위(H) 내에서 이동하면서 배치되고, 이동가능범위(H) 중 최적거리, 즉 센싱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최대 이격거리 내에서 센서노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ensor nodes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sensing range from the first reference node, and the sensor nodes installed around the preset sensor nodes are disposed while moving in the movable range H within the sensing range, and the movable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node is disposed within the optimum distance (H), that is,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within the sensing range.

도 10에는 센서노드가 최적거리 내에서 배치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중앙에 배치된 센서노드는 이동가능범위(H) 내에서 도로 외곽선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최적거리를 고려하여 센서노드가 배치된다.10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sensor node is disposed within the optimum distance. As shown, the sensor nod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oad moves to the road outline within the movable range (H), wherein the sensor node is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optimum distance.

상기 센서노드가 도로 주변에 배치될 때, 지형 정보 및 지물 정보에 근거하여 센서노드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작성된 전파특성지도 내의 지형 정보 및 지물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노드 간의 센싱이 방해되지 않도록 센서노드가 도로의 외곽선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When the sensor node is disposed around the road, the sensor node may move based on the terrain information and the feature information. That is, the sensor node moves to the outline of the road so that sensing between the sensor nodes is not disturbed by using the terrain information and feature information i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prepared above.

지형 정보를 이용한 센서노드의 이동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노드가 설치되는 각 위치 상의 고도 차가 2m를 초과하는 경우, 2m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로 센서노드를 이동시키는 것이다.The movement of the sensor node using the terrain information is to move the sensor node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2m when the altitude difference on each location where the sensor node is installed is greater than 2m, as shown in FIG. 11.

그리고, 지물 정보를 이용한 센서노드의 이동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다 자료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노드 간의 통신이 방해되지 않도록 센서노드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지물 정보를 이용한 센서노드의 이동은 각 센서노드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직선 상에 지물 정보에 의한 지형물이 걸리는 경우, 센서노드를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형물이 걸리지 않는 범위를 탐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sensor node using the feature information is to move the sensor node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odes is not disturbed using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LiDAR data as shown in FIG. 12. The movement of sensor nodes using feature information is to connect each sensor node in a straight line, and if the feature is caught by the feature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straight line, move the sensor nod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search for a range where the feature is not caught. .

이와 같이, 센서노드가 배치되면, 기존의 항공사진 DB를 이용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센서노드의 배치상태를 항공사진에 중첩시킴으로써 최종 센서 배치 상태도를 완성한다.As such, when the sensor node is arranged, the final sensor arrangement state diagram is completed by superimpos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nsor nodes arranged as shown in FIG. 13 on the aerial photograph using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 DB.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노드 배치방법 전에 배치된 센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b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노드 배치방법에 의해 배치된 센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노드 배치방법을 이용하면 센서의 배치 갯수가 약 50% 정도 절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14A illustrates an arrangement state of sensors disposed before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llustrates an arrangement state of sensors disposed by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using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arrangement of the sensor is reduced by about 5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laim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입력부 200 : 중앙처리부
300 : 사용자 입력부 400 : 출력부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input unit 200 central processing unit
300: user input unit 400: output unit

Claims (10)

지리정보, 지형정보, 지물정보, 센서노드 정보, 항공사진 정보 및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는 배치정보에 근거하여 저장부, 사용자 입력부, 출력부 또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지표상에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센서노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센서 배치 영역 내의 각종 지리 정보를 이용하여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하는 전파특성지도 작성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파특성지도를 이용하여 도로의 최적거리 상에 상기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센서노드 배치단계;및
상기 출력부에 의해 상기 센서노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sensor node is displayed on the surface by a system including a storage unit, a user input unit, an output unit,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layout information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feature information, sensor node information, aerial photograph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In the method of placing,
An information input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on a sensor node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preparation step of creating a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using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 sensor arrangement area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the sensor node on an optimum distance of a road by using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step of indic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sensor node by the output unit;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센서노드가 배치되는 배치 지역 정보 및 센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input step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ensor and the placement area where the sensor node is disposed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특성지도 작성단계는
상기 지리정보에서 도로에 대한 폴리라인 레이어를 추출하여 지형정보 고도값 또는 지물정보 고도값을 적용하여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하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mapping step
Extracting the polyline layer of the road from the geographic information to create a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by applying the terrain information altitude value or feature information altitude value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도로 중심선에 센서노드를 가배치하고, 기준노드로부터 센싱범위 내에 센서노드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로 중심선에 가배치된 센서노드를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The sensor node is placed on the road center line, and the sensor node placed on the road center line is moved on the road outline so that the sensor node is disposed within the sensing range from the reference node.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도로상의 교차로를 추출하고, 상기 도로 중심선에 가배치된 센서노드를 추출된 교차로의 이동가능범위 내의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Extracting the intersection on the road and moving the sensor node provisionally placed on the road center line on the road outline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extracted intersection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상기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센서노드의 고도차가 2m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센서노드를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By using the terrain information to move the sensor node on the road outline so that the altitude difference of the adjacent sensor node does not exceed 2m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 배치단계는
상기 지물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센서노드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지형물이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센서노드를 도로 외곽선 상으로 이동시키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node arrangement step
The sensor node is moved on a road outline so that the feature is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adjacent sensor nodes using the feature information.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센서노드의 배치 상태를 항공사진에 중첩시켜 출력하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step is
Outputt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ensor node superimposed on the aerial photo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센서노드 배치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리정보, 지형정보, 지물정보, 센서노드 정보, 항공사진 정보 및 시설물 정보를 포함하는 배치정보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파특성지도를 작성하고, 상기 전파특성지도에 근거하여 도로의 최적거리 상에 센서노드를 배치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결과나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 시스템.
In the system in which the sensor node arrange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performed,
A storage unit including layout information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terrain information, feature information, sensor node information, aerial photograph information, and facility information;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reating a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storage unit and arranging a sensor node on an optimum distance of a road based on the radio wave characteristic map;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into the storage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ptimal Sensor Node Placement System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Urban Facility Managemen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센서노드 배치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A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on, wherein the method for arranging a sensor no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s performed.
KR1020110063678A 2010-06-29 2011-06-29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 KR1012747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892 2010-06-29
KR20100061892 2010-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87A true KR20120001687A (en) 2012-01-04
KR101274771B1 KR101274771B1 (en) 2013-06-17

Family

ID=4560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678A KR101274771B1 (en) 2010-06-29 2011-06-29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77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882B1 (en) * 2012-03-07 2014-02-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or node deployment method for event detection performance guarantee of larger scale sensor networks
WO2017138708A1 (en) *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KR102365479B1 (en) 2021-08-11 2022-02-23 주식회사 코아콤 Method for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facillit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5195B2 (en) * 2004-12-27 2008-07-01 Sap Aktiengesellschaft Sensor network modeling and deployment
KR20090022247A (en) * 2007-08-30 2009-03-04 (주)피코스넷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ally defining a sensor network
KR20110110919A (en) * 2010-04-02 2011-10-1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or initial deployment method based gis,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ensor deployment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882B1 (en) * 2012-03-07 2014-02-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ensor node deployment method for event detection performance guarantee of larger scale sensor networks
WO2017138708A1 (en) *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US10051481B2 (en) 2016-02-11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KR102365479B1 (en) 2021-08-11 2022-02-23 주식회사 코아콤 Method for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of facillit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771B1 (en)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2136B (en) Navigator and method
CN203786891U (en) Mobile monitoring convergence platform based on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1909365B1 (en) Route planning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3942941A (en) Mobile monitoring fusion platfor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N110992653A (en) Urban waterlogging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KR20160116342A (en) Energy-efficient location determination
JP7020652B2 (en) Abnormal water level notification system
CN104977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navigation
CN108230482B (en) Underground space patrol inspection point set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software definition
KR101274771B1 (en) A optimal method of sensor node deployment for the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optimal system of sensor node deployment, and medium having the optimal method program of sensor node deployment
KR101792671B1 (en) A manhole type groundwater and geological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20220397449A1 (en) Optical fiber sensing system, optical fiber sensing method, and optical fiber sensing apparatus
KR101190278B1 (en) Syatem and method for warning disaster using smart-phone
Chen et al. Three-dimensional simulation of regional urban waterlogging based on high-precision DEM model
KR20130101804A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disaster using smart-phone app and mobile webgis
Bharadwaj et al.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for setting up cell phone tower in city environment using lidar data
CN106197447B (en) A kind of air navigation aid and device based on real-time waterlogging data
KR101742373B1 (en) Landslide gis database and method for management
Kumari et al. A machine learning centered approach for uncovering excavators’ last known location using bluetooth and underground WSN
CN108509720B (en)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ethod for power pipeline with geological condition switching
CN201622567U (en) Geological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jid et al. Sprawling of a Malaysian city: what type and what solutions
JP63578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321596B1 (en) Operating method of information managing system on undergrounded facility object with tablet pc
JP2009049492A (en) Station installation design apparatus of base st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