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638U - Umbrella Stand - Google Patents

Umbrella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638U
KR20120001638U KR2020100009027U KR20100009027U KR20120001638U KR 20120001638 U KR20120001638 U KR 20120001638U KR 2020100009027 U KR2020100009027 U KR 2020100009027U KR 20100009027 U KR20100009027 U KR 20100009027U KR 20120001638 U KR20120001638 U KR 201200016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ower portion
umbrella stand
coupl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0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용
Original Assignee
오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용 filed Critical 오세용
Priority to KR2020100009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638U/en
Publication of KR20120001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3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외에서의 거치가 간편하고 이동시에 휴대가 용이한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는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중간 위치에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와 암수 형태로 결합가능하게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일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양 끝단이 각각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홈 및 하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2 몸체의 내측으로 결합되되 상부에 링 형상의 지지링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링의 하부에서 이어져 방사 형상으로 수직으로 이어져 내려온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와 이어지되 내측에 공간을 갖는 고깔 형상의 안착대로 이루어진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수재로 이루어진 흡수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2 몸체의 하부와 결합되되 하부에는 판 형상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서 이어지되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기둥 및 상기 돌출기둥의 상부면에서 이어지되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1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억지끼움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된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의 일측에서 이어져 돌출형성된 끼움공 및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는 흡착판으로 이루어진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stand that is easy to mount indoors and outdoors and easy to carry when moving.
To this end,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ubular shape of the upper / lower portion is open, but the inner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low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first body is made of a tubular shape, the upper part of which is open. A body part comprising a second body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A support rin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of the body portion and a ring-shaped support ring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absorbing portion including a seating member formed of a seating table having a shape and an absorbent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se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plate-shaped support plate is continu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protruding pillar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and continu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illa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s A support portion formed of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with a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body of the body portion is made of a tubular shape of the upper / lower portion is opened, but the attachment member is formed in the incision groove on one side, the insertion hol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fitti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ttachment portion consisting of a suction plate to be coupled.

Description

우산꽂이{Umbrella Stand}Umbrella Stand {Umbrella Stand}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우산꽂이를 이용하여 실내/외의 바닥에 거치 가능함은 물론, 이동시에도 휴대 가능한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stand that can be mounted on the floor of an indoor / outdoor using a single umbrella stand, and also portable when moving.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사용되는 우산은 실내/외 또는 차량에 탑승시에는 젖은 우산을 접어 건물 내부에 비치된 우산거치함에 거치하거나 차량 내부의 바닥면에 방치되어 보관이 대부분으로 실내의 바닥면을 오염시키거나 차량 내부의 시트는 물론, 차량의 바닥을 오염시켜 사용자의 불편함 및 건물의 바닥면을 자주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많은 우산꽂이에 관한 발명 및 고안품들이 많이 안출되고 있다.In general, umbrellas used in rainy weather can be contaminated with indoor umbrellas or wet floors by folding wet umbrellas and mounted on an umbrella stand provided inside a building, or left on the floor of a vehicle.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floor of the vehicle to contaminate the user's discomfort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lean the floor of the building frequently, many inventions and devises related to the umbrella stand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일 예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78664호의 종래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인 다단식 우산꽂이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을 순차적으로 내부에 삽입 및 연결시켜 다단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꽂이관, 상기 복수의 관 중에서 최내측관의 상단과 최외측관의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체결시 꽂이관의 길이가 임의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시키는 스냅퍼, 상기 꽂이관의 하단에 조립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이 조립된 꽂이관의 하부에 연결 및 조립되는 물받이통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As an exampl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178664, the multi-stage umbrella stand of the prior art is a shelf tub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inserting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tubes of different diameters in sequence, the plurality of Of the pipe of the innermost tube and the uppermost of the outermost pip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napper to prevent the length of the tube to be arbitrarily increased when fastened, the cap is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tube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t consists of a drip tray that is connected and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ipe tube assembled with the cap.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단식 우산꽂이는 다단으로 결합되어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꽂을 수 있고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물받이통에 수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휴대시에 물받이통을 항시 부착시켜서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수집되는 물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는 물받이통의 크기가 비례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ulti-stage umbrella stand is combined in multiple stages can hold umbrellas of various length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llect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mbrella to the drip tray without flowing to the outside, at all times when carrying the drip tray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collected and to be used by attaching the problem, the size of the drip container has to be proportional to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 및 거치가 가능한 우산꽂이를 제공함은 물론, 별도의 물받이통 대신에 내부에 흡수재를 사용하여 젖은 우산의 물을 수집할 수 있기에 별도의 물받이통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providing a portable and stand umbrella stand, as well as a separate drip tray because it can collect the water of the wet umbrella using an absorber inside instead of a separate trough It is possible to use it without the barrel.

또한, 많은 양의 물을 수집시에도 외관의 부피 변화가 없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water there is no change in the volume of the appear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중간 위치에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구비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와 암수 형태로 결합가능하게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일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양 끝단이 각각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가이드홈 및 하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몸체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2 몸체의 내측으로 결합되되 상부에 링 형상의 지지링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링의 하부에서 이어져 방사 형상으로 수직으로 이어져 내려온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와 이어지되 내측에 공간을 갖는 고깔 형상의 안착대로 이루어진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수재로 이루어진 흡수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2 몸체의 하부와 결합되되 하부에는 판 형상의 받침판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서 이어지되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기둥 및 상기 돌출기둥의 상부면에서 이어지되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의 제1 몸체에 형성된 안착홈에 억지끼움되되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된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의 일측에서 이어져 돌출형성된 끼움공 및 상기 끼움공에 결합되는 흡착판으로 이루어진 부착부;를 포함한다.The upper body and the lower part are formed in a tubular shape, but the inner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and the lower and male and female The second body is formed in the tubular shape of the upper part is openly coupled to form a guide groove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ach end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a coupling hole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bottom Body portion consisting of; A support rin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of the body portion and a ring-shaped support ring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ring,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ing to extend vertically in a radial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ut has a space therein. An absorbing portion including a seating member formed of a seating table having a shape and an absorbent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se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plate-shaped support plate is continu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protruding pillar formed in the form of a column and continu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illar is formed to protrude upwards A support portion formed of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with a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body of the body portion is made of a tubular shape of the upper / lower portion is opened, but the attachment member is formed in the incision groove on one side, the insertion hol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the fitting hole It comprises an attachment portion consisting of the adsorption plate is coupled.

이때, 상기 부착부를 대신하여 제1,제2 고리 및 걸이끈으로 이루어진 걸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고리는 제1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고리는 돌출기둥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걸이끈은 일단이 제1 고리에 체결되고 타단이 제2 고리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pl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consisting of a first, a second ring and a hook string, wherein the first rin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ring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pillar and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is fastened to the first ring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second ring.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내측에 젖은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수집할 수 있는 별도의 흡수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동시에도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absorbing portion that can collect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et umbrella inside the body portion consisting of a multi-stag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when moving.

또한, 필요에 따라 흡수부의 용량을 변화하여 젖은 우산을 통하여 제공되는 물의 양을 필요에 따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외관의 변화가 없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apacity of the absorbing part is changed as necessary, the amount of water provided through the wet umbrella can be absorbed as needed, so that there is no change in appear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it.

또한, 별도의 걸이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깨에 메고 이동이 가능하여 휴대가 더욱 간편하게 된다.
In addition, a separate hook portion can be selectively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on his shoulder and carry it more easily.

도 1은 종래의 다단식 우산꽂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지면에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벽면에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ulti-stage umbrella st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Figure 5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ll.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지면에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벽면에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Figure 5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ll.

먼저,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200)는 크게 젖은 우산(U)을 수납하기 위한 상/하부가 개방된 제1 몸체(211) 및 제2 몸체(212)로 이루어진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에 수납되어 젖은 우산(U)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흡수부(220),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지지되기 위한 받침부(23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면에 체결되어 벽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부착부(240)를 포함한다.First, as can be seen through FIG. 2, the umbrella st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body 211 and a second body 212 whose upper and lower parts are opened to accommodate a largely wet umbrella U. Body portion 210 made of a), the absorbing portion for collecting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et umbrella (U)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portion 21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 support portion 230 for supporting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attachment portion 240 for fasten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0 is fixed to the wall.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다단식 우산꽂이와는 차별적으로 별도의 물받이통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동시에도 용이하게 이동 및 휴대가 간편 함은 물론, 종래의 다단식 우산꽂이를 사용시에 많은 양의 물을 수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물받이통의 부피가 커져 사용자가 휴대시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200)의 몸체부(210)의 내측에 수납되는 흡수부(220)가 종래의 물받이통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외관상으로 부피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이동 및 휴대시에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multi-stage umbrella stand shown in Figure 1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drip tray is easy to move and carry easily when the user moves, as well as a large amount of when using a conventional multi-stage umbrella stand The absorption part 220 is housed i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10 of the umbrella st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volume of the drip container is relatively large to store water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hen carrying. Since it plays the same role as the drip tray, the volume does not change in appear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it when moving and carrying.

좀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200)를 설명하면, 몸체부(210)는 젖은 우산(U)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우산(U)의 크기에 맞게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제1 몸체(211)와 제2 몸체(212)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describing the umbrella st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210 is to accommodate the wet umbrella (U), each length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up and down to fit the size of the umbrella (U)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body 211 and the second body (212).

여기서, 제1 몸체(211)는 길이가 긴 우산(U)을 사용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에 결합돌기(213)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first body 211 is used when using a long umbrella (U), the upper / lower portion is made of an open tubular shap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3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또한, 제2 몸체(212)는 후술하는 흡수부(220)가 수납되고 길이가 짧은 우산(U)을 수납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몸체(211)의 하부와 암수 형태로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상기 결합돌기(213)와 결합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양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부(214a) 형성된 가이드홈(214)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212 is for storing an umbrella U,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having a short length umbrella U,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body of the first body 211 in a male and female form. The guide groove 214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but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213, and both ends are bent at right angles. Will be formed.

이때, 제2 몸체(212)의 외주면의 지름은 제1 몸체(211)의 내측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몸체(211)의 내주면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다.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irst body 211.

즉, 제2 몸체(212)는 제1 몸체(211)의 내측으로 수납되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21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의 지름을 갖게 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몸체(211)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213)를 제2 몸체(2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4)에 안착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조절된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214)의 양 끝단을 직각으로 각각 절곡시킨 절곡부(214a)를 통하여 조절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body 212 has a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ody 211 so that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up and down.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adjust the height and fix the adjusted height by se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21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211 to the guide groove 21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The height adjusted through the bent portion 214a, which is bent at right angles to each end of the guide groove 214, is to be fixed.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우산이 길이가 긴 우산(U)일 경우에는 제1 몸체(211)를 제2 몸체(212)의 상부로 높이를 연장시켜 사용하고 길이가 짧은 우산(U)일 경우에는 제1 몸체(211)를 제2 몸체(212)가 감싸도록 하부로 높이 조절을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우산(U)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mbrella used by the user is a long umbrella U, the height of the first body 211 is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and used when the umbrella U is shor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body 211 to the bottom to surround the second body 212, it is possible to use an umbrella (U) of various lengths.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14)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214a)를 하향되게 한번 더 절곡시킨 2차 절곡부(214b)를 통하여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bent portions 214a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214 may be more easily fixed through the secondary bent portion 214b which is bent downward once again.

또한, 제1 몸체(211)의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부착부(240)가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으로 홈을 갖는 안착홈(215)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attachment portion 240 to be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groove 215 having a groove inward is formed.

아울러, 제2 몸체(212)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받침부(230)과 결합되기 위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216)이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upling hole 216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나아가, 제1 및 제2 몸체(211,212)는 각각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는 상광하협(上廣下峽)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1 and 212 each have a shape of a light-lower narrower having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그리고, 흡수부(220)는 몸체부(210)를 통하여 수납되는 젖은 우산(U)의 물기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우산(U)의 끝단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재(221)와 상기 안착부재(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물기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222)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absorber 220 is for collecting the moisture of the wet umbrella (U) accommodated through the body portion 210, the seating member 221 and the seating member for mounting the end of the umbrella (U) 221 is provided inside the absorber 222 for absorbing water.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안착부재(221)는 몸체부(21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우산(U)의 끝단이 안착되어 상기 몸체부(210)와 같이 우산(U)을 지지하며 물기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 몸체(212)의 내측 중간위치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 지름을 갖는 지지링(221a)과 상기 지지링(221a)의 하부에서 이어지되 방사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대(221b) 및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221b)의 끝단과 이어지되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공간(221d)이 형성되되 하부가 좁아지도록 막힌 고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대(221c)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In more detail, the seating member 221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umbrella (U)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portion 210 to support the umbrella (U), such as the body portion 210 for storing moisture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221a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middle position of the second body 212 and a plurality of radially continued portions of the support ring 221a The support 221b and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221b, the upper portion is open and the space is formed in the interior 221d is formed of a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bracket 221c closed to narrow the lower portion .

또한, 흡수재(222)는 젖은 우산(U)의 물기를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대(221c)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221d)에 구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bsorber 222 is to absorb the moisture of the wet umbrella (U), it is provided in the space (221d) formed inside the seating table (221c).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재(222)의 상부에는 우산(U)의 끝단이 용이하게 안착되게 하기 위하여 흡수재홈(222a)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 the absorbent groove 22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bsorbent member 222 so that the end of the umbrella (U) easily seated.

즉, 제1 몸체(211)의 상부를 통하여 인입되는 젖은 우산(U)의 끝단은 제2 몸체(2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안착부재(221)로 수납되게 되며 수납된 우산(U)의 끝단은 다시 안착대(221c)의 내측에 구비된 흡수재(222)에 안착되어 상기 우산(U)을 통하여 제공되는 물기를 흡수재(222)가 흡수하여 사용자가 이동시에도 찰랑거림이 없이 이동이 가능하며 흡수재(222)의 크기를 변화하여 흡수되는 물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end of the wet umbrella U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211 is accommodated by the seating member 221 provided inside the second body 212 and the end of the received umbrella U The back is seated on the absorbent material 222 provided inside the seating plate 221c, the absorbent material 222 absorbs the moisture provided through the umbrella U, so that the user can move without any flicker even when the user moves. By changing the size of the (22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그러므로, 사용자는 본 고안인 우산꽂이(200)를 장시간 사용 후에 흡수재(222)만 외부로 꺼내어 물기를 제거하면 용이하게 다시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user can be easily used again by removing the moisture by taking out the absorbent material 222 to the outside after using the umbrella st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long time.

그리고, 받침부(2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우산꽂이(200)를 지면에 지지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판 형상의 받침판(231), 상기 받침판(231)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기둥(232) 및 상기 돌출기둥(232)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33)로 이루어져 제2 몸체(21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216)과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support portion 230 is used to support the umbrella st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round, the plate-shaped support plate 231,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31 Composed pillar 232 formed and a coupling protrusion 233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pillar 232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by screwing.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받침판(231)는 사용자가 우산꽂이(200)를 실내에서 사용시에 지면에 지지하여 세우기 위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more detail, the support plate 231 is to support the user to stand on the ground when the user uses the umbrella stand 200 indoors, it is made of a plate shape.

또한, 돌출기둥(232)은 후술되는 걸이부(250)에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판(231)의 상부면에서 이어져 상부로 돌출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pillar 232 is to be used in the hook portion 25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31.

아울러, 결합기둥(233)은 받침부(230)와 몸체부(21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돌출기둥(232)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술한 제2 몸체(212)의 결합공(216)과 결합되어 몸체부(210)를 지면에 지지하여 세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column 233 is for coupling the base portion 230 and the body portion 210,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pillar 232 to the top, but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upled with the coupling hole 216 of the second body 212 is to support the body portion 210 to the ground to stand.

이때, 상기 결합기둥(233)은 돌출기둥(232)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받침판(231)의 상부에 형성되어 곧바로 제2 몸체(21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216)과 나사 결합되어 사용도 가능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column 233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illar 232, bu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31 and is direct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It becomes possible to use it, too.

그리고, 부착부(2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우산꽂이(200)를 지면이 아닌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몸체(21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착부재(241)와 상기 부착부재(241)의 측면에 구비되는 흡착판(242)으로 이루어져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5, as shown in Figure 5, to attach the umbrella st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wall surface, not the ground, the attachment member 241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 And a suction plate 24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ttachment member 241.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부착부재(241)는 부착부(240)를 몸체부(210)와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 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215)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안착홈(21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절개된 절개홈(241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끼움공(241b)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attachment member 241 is for coupling the attachment portion 240 to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coupling member 241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21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It is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215, one side is cut incision groove 241a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fitted with a fitting hole (241b).

또한, 흡착판(242)은 벽면에 부착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끼움공(241b)에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이 돌출된 통상적인 흡착판(242)이 사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plate 242 is to be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ne side is to be used for the conventional adsorption plate 242 protruding one side to be coupled to the fitting hole (241b).

즉, 본 고안인 우산꽂이(200)를 휴대 후에 대중교통이나 자가용을 이용시에는 지면에 세워 이동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부착부(240)가 구비되어 차량을 이용한 이용시에 실내 벽면에 부착하면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시에도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carrying the umbrella st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arrying the public transport or private car is not easy to move to stand on the ground, a separate attachment portion 240 is provided to attach to the interior wall when using the vehicle If so,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vehicle even when using the vehicle.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o describe the assembly and use of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지면에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벽면에 사용했을 때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4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Figure 5 is a state diagram when using the umbrell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ll.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200)의 조립을 위해, 제1 및 제2 몸체(211,212)로 이루어진 몸체부(210)와 안착부재(221), 흡수재(222)로 이루어진 흡수부(220)를 각각 준비한다.First, for assembling the umbrella st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seating member 221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11 and 212, the absorbing portion 220 made of the absorbent material 222. Prepare each.

그 다음, 제1 몸체(211)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213)를 제2 몸체(212)의 가이드홈(214)에 결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Then, the coupling protrusion 21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211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14 of the second body 212 to allow height adjustment.

그 다음, 안착부재(221)의 안착대(221c)에 형성된 공간(221d)에 흡수재(222)를 삽입하고 제2 몸체(212)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안착부재(221)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링(221a)이 상기 제2 몸체(212)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억지끼움하여 흡수부(220)를 결합하게 된다.Then, the support ring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221 by inserting the absorbent material 222 into the space (221d) formed in the seating table (221c) of the seating member 221 and introduced into the second body (212). 221a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212 to couple the absorber 220.

이와 같은 구성의 결합만으로도 우천시에 사용자는 손으로 파지하여 젖은 우산(U)의 수납 가능하게 되며 짧은 우산(U)의 경우에는 제1 몸체(211)를 가이드홈(214)의 길이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길이를 조절하고 긴 우산(U)의 경우에는 상기 제1 몸체(211)를 가이드홈(214)에 따라 상부로 이동시켜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긴 우산(U)의 수납도 가능하게 된다.Even in combina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hold the wet umbrella U by holding it in the rain in the rain, and in the case of the short umbrella U, the first body 211 is lowered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groove 214. By adjusting the length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ong umbrella (U) it is also possible to accommodate the long umbrella (U) by extending the length by moving the first body 211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214.

이때, 우산(U)의 끝단이 흡수재(222)에 안착하게 함으로써, 물기를 곧바로 상기 흡수재(222)로 이동시켜 물기를 흡수하게 된다.At this time, by allowing the end of the umbrella (U) to be seated on the absorbent material 222, the water immediately moves to the absorbent material 222 to absorb the water.

또한, 실내에 진입시에는 제2 몸체(21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216)과 받침부(23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기둥(233) 외주면의 나사산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하부에 구비된 받침판(231)을 지면에 접촉시켜 우산꽂이(200)를 세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entering the room, the coupling plate 21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and the coupling column 233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30 are coupled using a screw threa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provided in the lower support plate ( 231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can be mounted to mount the umbrella stand (200).

아울러, 대중교통이나 차량의 실내로 진입시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부착부(240)를 이용하게 되는데 먼저, 부착부재(241)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홈(241a)을 벌려 제1 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착홈(215)에 결합하고 상기 부착부재(241)의 타측 끼움공(241b)에 결합된 부착판(242)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or vehicle is used to attach the detachable portion 240, first, open the incision groove 241a formed on one side of the attachment member 241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By using the attachment plate 242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215 form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fitting hole 241b of the attachment member 241 is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200)는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시에 어깨에 메고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제1 고리 및 제2 고리(251,252)와 걸이끈(253)으로 이루어진 걸이부(250)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mbrella st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6,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ooks (251, 252) and the strap so that the user can carry on the shoulder when carrying The hook portion 250 made of 253 can be attached.

이때, 제1 고리(251)는 각각 제1 몸체(211)의 외주면 상부에 구비시키고 제2 고리(252)는 받침부(230)의 돌출기둥(232) 외주면에 구비시켜 걸이끈(253)의 양 끝단을 복수개의 고리(251,252)에 체결하게 되면 사용자는 어깨에 메고 이동 가능하게 되어 더욱 용이하게 휴대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ring 251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ring 25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illar 232 of the support portion 230 of the hanger 253 When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rings 251 and 252, the user can be carried on the shoulder and thus can be more easily carri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specific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00: 우산꽂이 210: 몸체부
211: 제1 몸체 212: 제2 몸체
213: 결합돌기 214: 가이드홈
215: 안착홈 216: 결합공
220: 흡수부 221: 안착부재
222: 흡수재 230: 받침부
231: 받침판 232: 돌출기둥
233: 결합돌기 240: 부착부
241: 부착부재 242: 흡착판
250: 걸이부 251: 제1 고리
252: 제2 고리 253: 걸이끈
U: 우산
200: umbrella stand 210: body
211: first body 212: second body
213: engaging protrusion 214: guide groove
215: mounting groove 216: coupling hole
220: absorbing portion 221: seating member
222: absorbent material 230: support portion
231: support plate 232: protrusion pillar
233: coupling protrusion 240: attachment portion
241: attachment member 242: suction plate
250: hook portion 251: first ring
252: second ring 253: string
U: umbrella

Claims (2)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중간 위치에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안착홈(215)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13)가 구비된 제1 몸체(211)와 상기 제1 몸체(211)의 하부와 암수 형태로 결합가능하게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일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양 끝단이 각각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214a)를 갖는 가이드홈(214) 및 하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216)이 형성된 제2 몸체(212)로 이루어진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제2 몸체(212)의 내측으로 결합되되 상부에 링 형상의 지지링(221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링(221a)의 하부에서 이어져 방사 형상으로 수직으로 이어져 내려온 지지대(221b), 상기 지지대(221b)의 하부와 이어지되 내측에 공간(221d)을 갖는 고깔 형상의 안착대(221c)로 이루어진 안착부재(221) 및 상기 안착부재(221)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수재(222)로 이루어진 흡수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제2 몸체(212)의 하부와 결합되되 하부에는 판 형상의 받침판(231)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231)의 상부면에서 이어지되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기둥(232) 및 상기 돌출기둥(232)의 상부면에서 이어지되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돌기(233)로 이루어진 받침부(230)와;
상기 몸체부(210)의 제1 몸체(211)에 형성된 안착홈(215)에 억지끼움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절개홈(241a)이 형성된 부착부재(241), 상기 부착부재(241)의 일측에서 이어져 돌출형성된 끼움공(241b) 및 상기 끼움공(241b)에 결합되는 흡착판(242)으로 이루어진 부착부(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The first body 211 is provided with a tubular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ut has a seating groove 215 formed with an inner groove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protrusion 213 protruding in an inner direction at an inner lower portion thereof. And a tubular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211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211, and has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each end portion has a bent portion 214a formed at right angles. A body portion 210 formed of a guide body 214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having a coupling hole 216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upport bod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212 of the body portion 210 is formed in the upper ring-shaped support ring (221a) and continu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ring (221a) vertically downward ( 221b), a seating member 221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21b but has a solid seat 221c having a space 221d therein and an absorbent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seating member 221 ( An absorber 220 formed of 22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12 of the body portion 210 is a plate-shaped support plate 23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pillar 232 is continu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31 is formed in a pillar shape And a support portion 230 which extend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illar 232 and protrudes upward and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233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attachment member 241 formed of a tubular shape in which an upper / lower part is opened and fitted into a seating groove 215 formed in the first body 211 of the body part 210, and having an incision groove 241a formed at one side thereof. Umbrella stan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tachment portion 240 consisting of a suction hole 242 coupled to the fitting hole (241b) and the fitting hole (241b)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attachment member (24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240)를 대신하여 제1,제2 고리(251,252) 및 걸이끈(253)으로 이루어진 걸이부(250)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고리(251)는 제1 몸체(21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고리(252)는 돌출기둥(232)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걸이끈(253)은 일단이 제1 고리(251)에 체결되고 타단이 제2 고리(25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pl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240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250 consisting of the first, second rings (251, 252) and the strap 253, the first ring 251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11 Is formed in the second ring 25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pillar 232 and the hanger 253 is one end is fastened to the first ring 251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second ring 252 Umbrella stand, characterized in that.
KR2020100009027U 2010-08-30 2010-08-30 Umbrella Stand KR2012000163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27U KR20120001638U (en) 2010-08-30 2010-08-30 Umbrella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27U KR20120001638U (en) 2010-08-30 2010-08-30 Umbrella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38U true KR20120001638U (en) 2012-03-08

Family

ID=4660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027U KR20120001638U (en) 2010-08-30 2010-08-30 Umbrella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63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17Y1 (en) 2015-09-01 2016-01-14 홍성민 A umbrella hanger
JP6406783B1 (en) * 2018-05-24 2018-10-17 鈴木 正美 Umbrella drying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17Y1 (en) 2015-09-01 2016-01-14 홍성민 A umbrella hanger
JP6406783B1 (en) * 2018-05-24 2018-10-17 鈴木 正美 Umbrella dry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144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and basket
US8381749B1 (en) Adjustable hunting blind
US20150282626A1 (en) Portable seat awning
KR20120001638U (en) Umbrella Stand
KR200442707Y1 (en) A outdoor table
KR101334809B1 (en) A hub device for supporting tent support poles
KR101876083B1 (en) Prefabricated standing hammock apparatus
JP2009189407A (en) Umbrella
US20050269474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CN209540822U (en) A kind of lamp bracket
CN206942313U (en) A kind of sun-proof tentage
US20050284510A1 (en) [solomon rucksack]
CN201806457U (en) Multifunctional water collecting barrel of umbrella
KR101699306B1 (en) Umbrella holder
US6234443B1 (en) Base for Christmas tree
US7010819B2 (en) Universal hammock support
US6793367B1 (en) Lantern support post
CN218001424U (en) Support base and multifunctional support
CN113007635A (en) Multi-functional landscape lamp
KR20170017061A (en) Parasol holding fixture
CN205812913U (en) Automatic water-supply flowerpot
CN109363527A (en) A kind of portable barbecue rack
KR101149085B1 (en) The fishing bag which has the column prop parasol
KR101776488B1 (en) A simple tent using a mountain climbing stick
KR200318035Y1 (en) net apparatus for golf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