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22A - Llc 공진 컨버터 - Google Patents

Llc 공진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22A
KR20120001522A KR1020100062349A KR20100062349A KR20120001522A KR 20120001522 A KR20120001522 A KR 20120001522A KR 1020100062349 A KR1020100062349 A KR 1020100062349A KR 20100062349 A KR20100062349 A KR 20100062349A KR 20120001522 A KR20120001522 A KR 2012000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former
resonant
switch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111B1 (ko
Inventor
박종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1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03H2003/0414Resonanc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전원의 두 전극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칭부,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진 인덕터 및 공진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을 수행하는 공진부, 공진부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및 공진부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LLC 공진 컨버터로 한 개의 공진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LLC 공진 컨버터{Inductor-inductor-capacitor resonant converter}
본 발명은 LLC 공진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 등의 전원 장치에 적용되는 LLC 공진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 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는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므로 백라이트(backlight)라고 불리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백라이트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라고 함),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같은 전원 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여기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란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후, 필터를 통해 제어된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때,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같은 전원 장치는 LLC 공진 컨버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한편, 전원 장치에서는 백라이트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 유닛으로 서로 다른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LLC 공진 컨버터를 복수 개 설치하여 각각의 LLC 공진 컨버터에서 서로 다른 전압을 출력하게 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LLC 공진 컨버터를 복수 개 설치하는 종래의 구성은 전원 장치의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전원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은 한 개의 공진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LLC 공진 컨버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LC 공진 컨버터는 직류 전원의 두 전극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진 인덕터 및 공진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을 수행하는 공진부; 상기 공진부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및 상기 공진부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 권선 비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공진 인덕터 및 상기 공진 커패시터는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양측에는 상기 공진 인덕터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공통 접점 및 상기 공진 커패시터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공통 점점이 각각 접속된다.
게다가,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 정류 평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2 정류 평활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LC 공진 컨버터에 따르면, 한 개의 공진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LLC 공진 컨버터가 적용된 전원 장치의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 장치의 회로를 간소화함에 따라 전원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LC 공진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전압을 보여주는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2 전압을 보여주는 결과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LC 공진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1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전압을 보여주는 결과 그래프 및 도 3은 도 1의 제2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2 전압을 보여주는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C 공진 컨버터(100)는 제1 스위칭부(110), 제2 스위칭부(120), 공진부(130), 제1 출력부(140) 및 제2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스위칭부(110)(120)는 직류 전원(10)의 두 전극인 (+) 전극 및 (-) 전극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스위칭부(110)(120)는 게이트(Gate)단과 각각 접속된 교류 전원(20)(30)으로부터 위상이 서로 다른 2개의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아 교대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 스위칭부(110)가 온 동작하면, 제2 스위칭부(120)는 오프 동작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부(110)(120)의 온 동작하는 기간이 중복되지 않게 한다.
공진부(130)는 제1 및 제2 스위칭부(110)(1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진 인덕터(132) 및 공진 커패시터(134 : 134a, 134b)를 이용하여 LLC 공진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스위칭부(110)가 온 동작하고, 제2 스위칭부(120)가 오프 동작하면, 공진부(130)로 전원이 인가되어 공진 인덕터(132) 및 공진 커패시터(134: 134a, 134b)는 공진 동작을 수행하고, 공진 인덕터(132)에 전압(에너지)이 충전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칭부(110)가 오프 동작하면, 공진 인덕터(132)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켜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142 : 142a, 142b)의 1차 권선으로 인가하고,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한다.
이때, 제2 스위칭부(120)가 온 동작하면, 공진 인덕터(132) 및 공진 커패시터(134: 134a, 134b)에 의해 LLC 공진이 수행되어 전압이 다시 충전되게 된다.
제1 출력부(140)는 공진부(130)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1 트랜스포머(142)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1 출력부(140)는 제1 정류 평활부(144)를 포함하여 제1 트랜스포머(142)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압인 제1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제1 트랜스포머(142)의 1차 권선 양측에는 공진 인덕터(132) 및 공진 커패시터(134)가 연결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출력부(140)는 공진 인덕터(132)에서 방전된 전압을 제1 트랜스포머(142)의 1차 권선에서 인가받고, 제1 트랜스포머(142)의 1차 및 2차 권선비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면, 도 2에서와 같이 대략 100V의 교류 형태인 제1 전압을 출력하고, 제1 정류 평활부(144)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제1 전압을 출력한다.
제2 출력부(150)는 공진부(130)의 공진 동작 에 따라 제2 트랜스포머(152)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기하여 제2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출력부(150)는 제2 정류 평활부(154)를 포함하여 제2 트랜스포머(152)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압인 제2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제2 트랜스포머(152)의 1차 권선 양측에는 공진 인덕터(132)와 제1 트랜스포머(142)의 공통 접점 및 공진 커패시터(134)와 제1 트랜스포머(142)의 공통 점점이 각각 접속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출력부(150)는 공진 인덕터(132)에서 방전된 전압을 제2 트랜스포머(152)의 1차 권선에서 인가받고, 제2 트랜스포머(152)의 1차 및 2차 권선비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24V의 교류 형태인 제2 전압을 출력하고, 제2 정류 평활부(154)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제2 전압을 출력한다.
상술한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은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142)(152)의 1차 및 2차 권선비에 따라 각각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142)(152)의 1차 권선 코일의 턴 수가 동일하다면, 제1 트랜스포머(142)의 2차 권선 코일은 제2 트랜스포머(152)의 2차 권선 코일의 턴 수와는 다른 턴 수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LLC 공진 컨버터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스위칭부(110)가 온 동작하고, 제2 스위칭부(120)가 오프 동작하면, 공진부(130)로 직류 전원이 인가되어 공진 인덕터(132) 및 공진 커패시터(134)에 의해 LLC 공진 동작이 수행되고, 공진 인덕터(132)에 전압이 충전된다.
그런 다음, 제1 스위칭부(110)가 오프 동작하는 데드 타임(Dead time) 동안에는, 공진 인덕터(132)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켜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142)(152)의 1차 권선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제1 출력부(140)는 제1 트랜스포머(142)의 1차 및 2차 권선비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1 전압(예를 들면, 대략 100V)을 출력하고, 제2 출력부(150)는 제2 트랜스포머(152)의 1차 및 2차 권선비에 따라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2 전압(예를 들면, 대략 24V)을 출력한다.
결론적으로, 하나의 공진부(130)를 이용하여 공진 동작을 수행하고, 공진 인덕터(132)에 충전된 전압을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142)(152)의 1차 권선으로 각각 인가하여 인가된 전압을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142)(152)의 2차 권선으로 유도함으로써 복수의 전압인 제1 및 제2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LLC 공진 컨버터(100)의 회로가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LLC 공진 컨버터 110...제1 스위칭부
120...제2 스위칭부 130...공진부
140...제1 출력부 150...제2 출력부

Claims (4)

  1. 직류 전원의 두 전극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공진 인덕터 및 공진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공진을 수행하는 공진부;
    상기 공진부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공진부의 공진 동작에 따라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에 인가된 전압을 2차 권선으로 유도하여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LLC 공진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및 2차 권선 비에 따라 달라지는 LLC 공진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인덕터 및 상기 공진 커패시터는,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 양측에는 상기 공진 인덕터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공통 접점 및 상기 공진 커패시터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공통 점점이 각각 접속되는 LLC 공진 컨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 정류 평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2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에 유도된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2 정류 평활부를 포함하는 LLC 공진 컨버터.






KR1020100062349A 2010-06-29 2010-06-29 Llc 공진 컨버터 KR10173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49A KR101731111B1 (ko) 2010-06-29 2010-06-29 Llc 공진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49A KR101731111B1 (ko) 2010-06-29 2010-06-29 Llc 공진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22A true KR20120001522A (ko) 2012-01-04
KR101731111B1 KR101731111B1 (ko) 2017-04-27

Family

ID=4560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349A KR101731111B1 (ko) 2010-06-29 2010-06-29 Llc 공진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08A (ko) 2020-12-08 202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브릿지리스 pfc 컨버터와 공진형 dc-dc 컨버터가 통합된 ac-dc 컨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44B1 (ko) * 2020-07-14 2020-12-1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Llc 공진 컨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08A (ko) 2020-12-08 202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브릿지리스 pfc 컨버터와 공진형 dc-dc 컨버터가 통합된 ac-dc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111B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310B2 (en) Method of supplying power, power suppl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apparatus
US9825547B2 (en) Unidirectional isolated multi-level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EP2355327A2 (en) Switching power-supply apparatus
JP2006351544A (ja) 電源供給装置
KR20100105981A (ko) Led 구동 회로
US9312778B2 (en) Power supply device
US20120039092A1 (en) Current-input-type parallel resonant dc/dc converter and method thereof
JP2010218949A (ja) 電流均衡化装置及びその方法、led照明器具、lcdb/lモジュール、lcd表示機器
US11063526B2 (en) Power conversion equipment
KR20100097600A (ko) 전류 균형화 장치 및 그 방법, 엘이디 조명기구, 엘씨디 비/엘 모듈, 엘씨디 표시기기
US20100295471A1 (en) Current balancing apparatus
US7583520B2 (en) Direct-current converter
KR101463388B1 (ko) 배압 회로 구조를 이용한 양방향 반도체 변압기
US7282867B2 (en) Lighting device for discharge lamp
EP2475087B1 (en)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for light sources
KR20120001522A (ko) Llc 공진 컨버터
US20140035477A1 (en) Single stage forward-flyback convert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20120281435A1 (en) Dc-dc converter
TW202125956A (zh) 電源轉換裝置
TWI543513B (zh) 諧振轉換器
KR20160134538A (ko) 전력 증폭을 댐핑할 수 있는 자전기 디바이스
JP2008258166A (ja) 蛍光灯駆動電源
KR20110131912A (ko) 넓은 범위의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충전기
CN110690824A (zh) 一种反激变换器及电子设备
JP2008005575A (ja) Dc/acイ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