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760U -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760U
KR20120000760U KR2020100007658U KR20100007658U KR20120000760U KR 20120000760 U KR20120000760 U KR 20120000760U KR 2020100007658 U KR2020100007658 U KR 2020100007658U KR 20100007658 U KR20100007658 U KR 20100007658U KR 20120000760 U KR20120000760 U KR 201200007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waste battery
main body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라
Original Assignee
임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라 filed Critical 임미라
Priority to KR2020100007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760U/ko
Publication of KR20120000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사이즈가 상이한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100)는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111)이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110); 상기 충전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바(140); 상기 충전기 본체(1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바(1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150); 상기 안착 홈(1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161) 결합하는 커버(16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17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110) 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180); 및 상기 엘이디 램프(18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19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MULTI-CHARGER OF UNUSED BATTERY}
본 고안은 멀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즈가 상이한 각종 폐 배터리를 모두 충전할 수 있으며, 그 폐 배터리를 전원(電源)으로 하여 랜턴으로 사용 가능한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9년 국내 핸드폰 시장규모는 약 2,350만대로 경제활동인구 2,400만 명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 핸드폰 수요는 스마트폰 시장의 급성장, 선진시장 소비심리 회복, 신흥시장 성장세 지속 등의 영향으로 2010년도에는 회복세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핸드폰시장의 대표브랜드인 삼성, 엘지, 모토롤라, 소니에릭슨, 노키아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핸드폰을 선보이며, 일반인들의 핸드폰 구매의욕을 높이기 위해 기술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핸드폰 배터리의 종류는 320 여종이나 된다. 배터리가 핸드폰 숫자만큼이나 다양해 상대방 핸드폰의 배터리를 빌려 사용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핸드폰이 다르면 거기에 장착된 배터리 규격도 다르기 때문이다.
종래 배터리 충전장치는 특정 회사의 특정 핸드폰 배터리 규격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타회사 또는 다른 핸드폰 배터리 모두를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회사에 따라 또는 용량에 따라 폐 배터리의 크기는 물론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모두 충전 가능하고, 폐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랜턴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는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이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충전기 본체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 홈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 상기 안착 홈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바; 상기 충전기 본체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바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 상기 안착 홈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커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 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및 상기 엘이디 램프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 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의 끝단에는 로킹용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용 후크와 상응하여 상기 충전기 본체 전면에는 로킹용 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에는 마그네트(Magnet)가 고정되어, 본 고안의 멀티 충전장치를 금속 벽체, 예를 들어 책상이나 냉장고 등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조회사 또는 용량에 따라 폐 배터리의 크기는 물론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모두 충전 가능하고, 폐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랜턴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재활용 및 환경 보호차원에서 매우 유익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바닥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외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내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를 금속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바닥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외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내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내부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바닥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외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내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내부를 보인 평면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를 금속벽체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100)는 상면에 폐 배터리(미도시)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111)이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110); 상기 충전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바(140); 상기 충전기 본체(1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바(1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S); 상기 안착 홈(1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161) 결합하는 커버(16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17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110) 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180); 및 상기 엘이디 램프(18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19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1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전기 본체(1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111)이 형성된다. 충전기 본체(110) 전면에는 충전용 커넥터 부(110a)가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은 그 상면에 각종 전기회로소자가 장착되는바,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는 상기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 충전상태 알림 램프(170), 엘이디 램프(180),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1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가이드 홈(121)에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은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 바(140)는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 바(140)는 충전기 본체(110)의 슬릿(110b)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 바(140)의 내측 면에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밀착하여 폐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슬립방지용 러버 혹은 시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인장 스프링(S)은 상기 충전기 본체(1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바(1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 홈(1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에는 커버(160)가 힌지(161)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161)에는 댐퍼 부(161a)가 형성되어,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커버(160)는 적당한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엘이디 램프(180)는 적절한 각도로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0)의 끝단에는 로킹용 후크(162)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용 후크(162)와 상응하여 상기 충전기 본체(110)에는 로킹용 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60)에는 마그네트(M)가 고정되어 멀티 충전기(100) 전체를 금속 벽체(W) 등에 부착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170)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기 본체(110) 저면에는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180)가 설치된다.
최근 신종플루 및 각종 질병 예방을 위하여 손 세정 및 살균에 대한 인식이 강하게 확산되고 있는바, LED(발광다이오드)와 광 촉매(빛을 받으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는 물질)를 활용해 살균기능을 첨가한 LED 램프로 교체하여 손 세척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엘이디 램프(18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측면에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190)가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충전기 본체(110)에 집광판을 설치하여 햇빛을 흡수해 폐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의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자연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집광판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1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충전기 본체(110)의 안착 홈(111) 안에 폐 배터리(미도시)를 넣는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가압 바(140)가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밀착하여 폐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 바(140)의 내측 면에 설치된 슬립방지용 러버 혹은 시트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좀더 밀착하여 폐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폐 배터리의 크기나 제조 회사에 따라 접속 단자의 크기나 위치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폐 배터리의 위치가 고정되고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과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 완료되면, 상기 커버(160)를 닫는다. 그 다음, 충전용 커넥터 부(110a)에 전원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바(140)와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제조회사에 따라 폐 배터리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접속 단자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모두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 초기 충전상태 알림 램프(170)는 빨간색으로 충전중임을 알려주고 충전 완료후에는 녹색으로 충전 완료를 알려준다.
본 고안의 멀티 충전장치(100)를 랜턴이나 후레쉬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190)를 온 시키면, 다수의 엘이디 램프(180)가 점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마그네트(M)를 이용하여, 멀티 충전장치(100)를 금속 벽체(W), 예를 들어 책상이나 냉장고 등에 부착하고 각도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충전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바닥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외 측면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내 측면을 보인 평면도,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 본체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200)는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211)이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210); 상기 충전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2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2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 홈(211)에 안착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2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 상기 안착 홈(2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2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압 바(240); 상기 충전기 본체(2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 바(2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S); 상기 제1 가압 바(2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측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바(250); 상기 안착 홈(2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261) 결합하는 커버(26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27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210) 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280); 및 상기 엘이디 램프(28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290);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2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전기 본체(2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211)이 형성된다. 충전기 본체(210) 전면에는 충전용 커넥터 부(210a)가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은 그 상면에 각종 전기회로소자가 장착되는바, 상기 인쇄회로기판(P)에는 상기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 충전상태 알림 램프(270), 엘이디 램프(280),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2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2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20)의 가이드 홈(221)에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은 상기 안착 홈(2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2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압 바(240)는 상기 안착 홈(2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2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가압 바(240)는 충전기 본체(210)의 슬릿(110b)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가압 바(250)는 제1 가압 바(2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측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가압 바(240)의 내측 면에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밀착하여 폐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슬립방지용 러버 혹은 시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 인장 스프링(S)은 상기 충전기 본체(1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 바(2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 홈(2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에는 커버(260)가 힌지(261)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261)에는 댐퍼 부(261a)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260)는 적당한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엘이디 램프(280)는 적절한 각도로 조명할 수 있다.
상기 커버(260)의 끝단에는 로킹용 후크(262)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용 후크(262)와 상응하여 상기 충전기 본체(210) 전면에는 로킹용 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60)에는 마그네트(M)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200)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충전기 본체(210)의 안착 홈(211) 안에 폐 배터리(미도시)를 넣는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 가압 바(240)가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밀착하여 폐 배터리의 후방 유동을 방지한다. 그 다음, 제2 가압 바(250)를 슬라이드 시켜서 상기 폐 배터리의 측면을 가압하여 폐 배터리의 측면 유동을 방지한다.
폐 배터리의 크기나 제조 회사에 따라 접속 단자의 크기나 위치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 레일(220)을 따라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폐 배터리의 후면 및 측면 위치가 고정되고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과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 완료되면, 상기 커버(260)를 닫는다. 그 다음, 충전용 커넥터 부(210a)에 전원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압 바(140) 및 제2 가압바(250), 그리고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제조회사에 따라 폐 배터리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접속 단자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모두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 초기 충전상태 알림 램프(270)는 빨간색으로 충전중임을 알려주고 충전 완료후에는 녹색으로 충전 완료를 알려준다. 본 고안의 멀티 충전장치(200)를 랜턴이나 후레쉬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290)를 온 시키면, 다수의 엘이디 램프(280)가 점등된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핸드폰의 교체주기는 약 1.44년이며, 국내에서만 연간 교체되는 핸드폰은 약 1,300만대로 이중 상당수가 쓰레기로 폐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버려지는 핸드폰 배터리도 납 등 독성 물질 유출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회수율을 높여야한다는 인식이 대두하고 있는바, 본 고안은 폐기되는 배터리를 활용하여 LED 램프의 전원으로 활용하여 버려지는 핸드폰 배터리의 수를 대폭 감소시켜서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10: 충전기 본체
111: 안착 홈
113: 로킹용 홈
120: 가이드 레일
130: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
140: 가압 바
160: 커버
161: 힌지
162: 로킹용 후크
170: 충전상태 알림 램프
180: 엘이디 램프
190: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
M: 마그네트
P: 인쇄회로기판
S: 인장 스프링

Claims (5)

  1.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111)이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110);
    상기 충전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2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130);
    상기 안착 홈(1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1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 바(140);
    상기 충전기 본체(1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바(1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150);
    상기 안착 홈(1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161) 결합하는 커버(16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17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110) 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180); 및
    상기 엘이디 램프(18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110) 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190);를 포함하는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60)의 끝단에는 로킹용 후크(162)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용 후크(162)와 상응하여 상기 충전기 본체(110) 전면에는 로킹용 홈(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60)에는 마그네트(M)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4. 상면에 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홈(211)이 형성되는 충전기 본체(210);
    상기 충전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일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2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2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안착 홈(211)에 안착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220)을 슬라이드 하면서 적당한 위치에서 상기 폐 배터리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가동 충전 접속단자 유닛(230);
    상기 안착 홈(211)에 안착하는 상기 폐 배터리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타 측에 상기 충전기 본체(210)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압 바(240);
    상기 충전기 본체(210 사이드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압 바(240)를 상기 폐 배터리 쪽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폐 배터리의 위치를 고정하는 인장 스프링(S);
    상기 제1 가압 바(2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측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바(250);
    상기 안착 홈(211)을 커버링하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261) 결합하는 커버(26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폐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려주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상면 일 측에 설치되는 충전상태 알림 램프(270);
    상기 인쇄회로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기 본체(210) 저면에 다수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280); 및
    상기 엘이디 램프(280)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충전기 본체(210) 측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램프 온/오프 스위치(290);를 포함하는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60)의 끝단에는 로킹용 후크(262)가 형성되고, 상기 로킹용 후크(262)와 상응하여 상기 충전기 본체(210) 전면에는 로킹용 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60)에는 마그네트(M)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KR2020100007658U 2010-07-21 2010-07-21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KR201200007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58U KR20120000760U (ko) 2010-07-21 2010-07-21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58U KR20120000760U (ko) 2010-07-21 2010-07-21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60U true KR20120000760U (ko) 2012-02-02

Family

ID=4584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658U KR20120000760U (ko) 2010-07-21 2010-07-21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7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52A (ko) * 2016-02-16 2017-08-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가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52A (ko) * 2016-02-16 2017-08-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가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1896B (zh) 一种锂电池及充电宝
PL1810548T3 (pl) Zespół złącza do połączenia muszli słuchawkowej aparatu słuchawkowego z zausznikiem okularów
CN102856945A (zh) 便携电话的电池充电装置
WO2015127790A1 (zh) 一种具有移动电源功能的充电座
CN103872718A (zh) 名片盒式移动电源
CN101820083A (zh) 万能充电器
KR20120000760U (ko) 폐 배터리의 멀티 충전장치
KR20150094974A (ko) 배터리 충전거치대에 장착되어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기능과 멀티 아답타기능을 제공하는 배터리장치
CN209626988U (zh) 一种电子通信设备无线充电装置
CN201893602U (zh) 用于手持电子设备的卡式备用电源
CN104954517B (zh) 接触式无线充电器用的手机套
CN203549430U (zh) 多功能手电筒
CN101990015A (zh) 便携式电子装置
CN201374367Y (zh) 绿色移动电源充电器
JP2004159409A (ja) 携帯電話機用の充電器
CN111030252B (zh) 一种用于可充电电池的节能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CN205670695U (zh) 无线充电基座
CN219960634U (zh) 一种组装式充电宝手机壳
CN203839994U (zh) 一种移动电源
CN201332123Y (zh) 一种多规格手机适配充电器
CN218276781U (zh) 一种双电源的手机
CN202493908U (zh) 一种手机电池供电的可充电手电筒
CN212935532U (zh) 一种具有充电转换器的消毒器
CN217009815U (zh) 一种导电连接结构
CN209767179U (zh) 一种可分离式手机无线充电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