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613A -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613A
KR20120000613A KR1020100060949A KR20100060949A KR20120000613A KR 20120000613 A KR20120000613 A KR 20120000613A KR 1020100060949 A KR1020100060949 A KR 1020100060949A KR 20100060949 A KR20100060949 A KR 20100060949A KR 20120000613 A KR20120000613 A KR 20120000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rthodontic
connector
tee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29136B1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136B1/en
Priority to PCT/KR2011/004706 priority patent/WO2012002700A2/en
Publication of KR2012000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n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alalignment. CONSTITUTION: A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es: a first wire(10) for orthodontics; a second wire(20)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a connector(30) which connects the second wire to the first wire. The first wire has an arch shape. The second wire includes a wire body equipped in the connector, and one hanging loop equipped in the body.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Orthodontic wir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열교정시술에 적용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치열 또는 치아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wire applied to orthodontic procedu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wire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orthodontics.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치아와 치열은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치과교정술이 성행하고 있다.For modern people, appearance, especially impression, serves as a criterion for judging people during job interviews and admiss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cial life. It is a factor that influences overall. Accordingly, orthodontics for the improvement of teeth, dental dentition, or facial skeleton along with plastic surgery are prevalent.

상기 치과교정술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 즉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을 포함해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 및 아름다운 얼굴 모습을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한다.The orthodontics corrects various skeletal inconsistencies that may occur during the growth process, including straightening the teeth, that is, simply arranging the teeth. It means making a look.

상기 치열교정술은 일반적으로 메탈이나 세라믹 재질의 브라켓들을 치아에 부착시키는 과정과, 상기 브라켓들을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과정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The orthodontics is generally performed by attaching metal or ceramic brackets to a tooth, and connecting the brackets using an orthodontic wire.

그러나 상기 치열 교정용 와이어는 교정환자의 구강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 다시 말해서 교정환자의 치열이나 치아 또는 구강의 형상에 적합하게 교정환자마다 각각 다른 형태로 제작하여야 하며, 치열교정과정에서 지속적 사용이 어렵고 교체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orthodontic wire has to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form for each orthodontic patient to be suitable for the oral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patient, that is, the orthodontic tooth or the oral cavity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is continuously used in the orthodontic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and replacement is to be performed.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교정환자의 치열의 길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다양한 환자에게 적용이 가능하고 교정치료의 기간 동안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악골에 정착되는 고정원(Anchorage)에 연결되어 교정력을 부가 받을 수 있는 구조의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are applicable to various patients regardless of the length or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patient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can be continuously used during the period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furthermore, connected to an anchorage settled in the jaw bone to improve orthodontic force. We have developed an orthodontic wire with an additional structure.

본 발명은, 치열교정시술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부정치열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형 구조의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wire having a variable structur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irregular teeth for orthodontic surgery.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한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와이어;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제1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wire for orthodontics; A second wire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it provides a orthodontic wire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comprising a connector (Connector) for movably connecting the second wire to the first wire.

상기 제1와이어는 호(Arch)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의 양측에 각각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wire has an arc shape; The second wire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wire by the connector.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와이어 몸체와 상기 와이어 몸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상에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하다.The second wire may include a wire body provided in the connector and at least one hook ring provided in the wire body; The second wire may be selectively fix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is adjusted on the first wire.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be fixed to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other wire.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중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를 감은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상에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압착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 fixed to the connector amo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is fixed to the connector by welding while the connector is wound; The connector may be selectively fixed by a compressive force in a state where a position is adjusted on a wire slid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는 와이어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nector;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wire slidably.

한편, 상기 제1와이어는, 형상기억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호(Arch)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first wire may be made of a shape memory material and has an arc shape.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orthodontic wire and the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치열교정을 위한 제1와이어에 제2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교정치료 환자의 치열구간에 맞는 사이즈(Size)로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wire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the length of the orthodontic wire can be freely adjusted to a size suitable for the orthodontic section of the orthodontic patient.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치열교정을 위한 제1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와이어에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고, 치열 교정과정에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치열교정시술에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동시에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교체로 인한 환자의 부담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ction to the first wire through the second wire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wire for orthodontics, and can be used continuously in the orthodontic process, orthodontic surgery The burden on the patient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orthodontic wire can be minimized while being convenient and cost-effective.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호 형상을 갖는 제1와이어가 형상기억소재로 제조되어 부정치열의 개선에 효과적이며, 치열밀집을 보이는 돌출된 치열의 교정이 가능하고, 치아의 발치후에 치열을 후방으로 견인하면서 발치공간의 폐쇄에 소요되는 기간 동안 제2와이어가 치열의 수직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wire having an arc shape is made of a shape memory material, it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false teeth, and the correction of the protruding teeth showing densities is possible, and after the extraction of the teeth, the teeth are rearward. While pulling, the second wire can mainta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eeth for the period of time required to close the extraction space.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와이어에 제2와이어를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가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에 감긴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므로, 상기 커넥터와 이에 고정되는 와이어간의 고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for movably connecting the second wire to the first wire is fixed to the connector by welding in the state wound around the first wire or the second wire, it is fixed to the connector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wires can be kept stable.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와이어에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 견인부재가 연결되는 복수개의 걸림고리들이 구비되므로, 환자의 구강 내부 상태나 견인부재의 연결위치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걸림고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Fif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wi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s to which elastic traction members, such as rubber bands or springs, are connected, appropriate hooks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patient's oral cavity or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raction member are provided. Optionally availa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제1와이어에 대한 제2와이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가 치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rthodontic wire of FIG. 1.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wire shown i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of a second wire with respect to a first wire of the orthodontic wire shown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orthodontic wire of FIG.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first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제1와이어에 대한 제2와이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rthodontic wire of Figure 1, Figure 3 is an orthodontic wire shown in Figure 1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wire with respect to the first wire of the orthodontic wir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Wire)는, 치열교정용 와이어의 일부를 이루는 제1와이어(10)와, 상기 제1와이어(1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20),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0)와 상기 제2와이어(20)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30; Connec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ire 10 constituting a part of the orthodontic wire and a first wire 1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0. It comprises a two wire 20, and a connector 30 for connecting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

상기 제1와이어(10)는 치열 교정을 위해 치열을 따라 구비되어 부정치열을 교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10)는 치열이 가지런하게 교정되도록 호(Arch)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좌우측 전치부의 치아들을 따라 구비된다.The first wire 10 is provided along the teeth for orthodontic correction to correct the invalid teeth. Here, the first wire 10 is manufactured to have an arc shape so that the orthodontic teeth are neatly corrected, and are provided along the teeth of the left and right anterior teeth.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10)는 좌우대칭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치열교정과정에서 상기 제1와이어(10)가 장착되는 치아들에 지속적이 교정력이 가해지도록 형성기억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ire 1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form, and formed as a storage material so that the orthodontic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teeth on which the first wire 10 is mounted in the orthodontic process. Preferably,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제1와이어(10)가 이상적인 치열에 대응되는 곡선을 따라 호 형상으로 제조된 상태에서 부정치열을 갖는 환자의 치아들을 따라 구비되면, 상기 제1와이어(10)가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치아들이 상기 제1와이어(10)의 곡선을 따라 점진적으로 교정된다.When the first wire 10 is provided along the teeth of a patient having an inaccurate teeth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re 10 is manufactured in an arc shape along a curve corresponding to the ideal teeth, the first wire 10 may be restored by a force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e teeth are gradually corrected along the curve of the first wire 10.

상기 형상기억소재로는 니켈-티타늄(Ni-Ti) 합금, 니켈-코발트 합금 등이 있으며, 상기 형상기억소재로 적용되는 형상기억합금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이므로, 공지된 다양한 형상기억합금이 상기 형상기억소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기 형상기억소재 그 자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The shape memory material includes a nickel-titanium (Ni-Ti) alloy, a nickel-cobalt alloy, and the like, and the shape memory alloy itself applied to the shape memory material is known, and various shape memory alloys are known. It can be applied as a storage material, and further description of the shape memory material itself is omitted below.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20)는 상기 제1와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와이어(10)상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넥터(30)를 매개로 상기 제1와이어(10)에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2와이어(20)를 상기 제1와이어(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The second wire 20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wire 10 and can be selectively fixed on the first wire 10, more specifically, via the connector 30. The first wire 10 is connected, and the connector 30 connects the second wire 20 to the first wire 10 to be movable.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1와이어(10) 또는 상기 제2와이어(20)에 용접 등의 고정방식으로 고정되나, 고정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용 수지 등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용접방식의 일 예로서 납땜은 인체에 유해한 이유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30 may be fixed to one of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 and slidably connected to the other wire. The connector 30 is fixed to the first wire 10 or the second wire 20 by a fixing method such as welding, but the fix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ixed by other methods such as an adhesive resin. have. However, as an example of the weld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avoid soldering for reasons harmful to the human bod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2와이어(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와이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와이어(20)가 상기 커넥터(30)를 매개로 상기 제1와이어(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or 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wire 10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30 is fixed to the second wire 20, so that the second wire 20 connects the connector 30. It is possible to slide along the first wire 10 as a medium.

그리고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1와이어(10)상에 압착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1와이어(10)상의 시술자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교정치료 시술자가 상기 커넥터(30)를 집게 타입의 집어서 상기 커넥터(30)를 상기 제1와이어(10)상에 압착시키면 상기 제2와이어(20)가 특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2와이어(20)의 이동이 제한된다.The connector 30 may be selectively fixed to the first wire 10 by a pressing force. In other words,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or 30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operator on the first wire 10 is desired,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son picks up the connector 30 and pinches the connector 30 to the first position. When pressed on the wire 10, the second wire 20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wire 20 is limited.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1와이어(1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삽입공(31)를 가지며, 스테인레스 스틸 등 인체에 무해한 금속 재질로 튜브(tube)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10)는 상기 삽입공(31)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1와이어(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or 30 has an insertion hole 31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10 is inserted,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tu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have. Here, the first wire 1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31 so that the connector 3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first wire 10.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0)가 상기 커넥터(30)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와이어(10)의 단부가 상기 커넥터(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10)를 이루는 제1와이어 몸체(11)의 단부, 즉 와이어 라인(Wire Line)의 단부를 구부리거나 눌러서 소성변형시켜 스토퍼(1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1와이어(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wire 1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or 30 and the end of the first wir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30. By bending or pressing the end of the first wire body 11, that is, the end of the wire line, to form a stopper 12 by plastic deformation, the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0. Departure from can be prevented.

물론 상기 제1와이어(10)가 상기 커넥터(30)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와이어(10)의 단부에 링(Ring) 등의 별도의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2)가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topper 12 may be formed by coupling a separate member such as a ring to an end of the first wire 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wire 10 is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or 30. It may be.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와이어(20)가 상기 제1와이어(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나, 상기 삽입공(31)에 상기 제2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와이어(10)가 상기 커넥터(30)에 고정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wire 2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first wire 10, but the second wire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 and the first wire is slidably inserted. 10 may be fixed to the connector 30.

상기와 달리, 상기 커넥터에 두 개의 삽입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가 상기 삽입공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10)상에 위치가 조절된 상태, 즉 상기 제1와이어(10)에 대한 상기 제2와이어(2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에 압착력을 가해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가 구속되면, 상기 제1와이어(10)에 대한 제2와이어(20)의 이동이 방지된다.Unlike the above, two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or,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wire 10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are applied by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nnector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phase is adjusted, that i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wire 20 with respect to the first wire 10 is determined. When 20 is constrained, movement of the second wire 20 relative to the first wire 10 is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와이어(10)의 양측에 각각 상기 커넥터(30)를 매개로 상기 제2와이어(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제2와이어(20)는 상기 커넥터(30)와 연결되는 와이어 몸체(21)와 상기 와이어 몸체(21)에 구비되는 걸림고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wire 2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wire 10 via the connector 3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wire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 It comprises a wire body 21 and the hook ring 22 provided in the wire body 2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걸림고리(22)는 상기 와이어 몸체(21)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몸체(21)는 상기 걸림고리(22)가 구비되는 고리 암(23; Arm)을 갖는다. In more detail, the catching ring 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ire body 21, and the wire body 21 has a ring arm 23 provided with the catching ring 2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리 암(23)은 상기 와이어 몸체(21)의 일부가 절곡된 형상으로서, 상기 치열 교정용 와이어가 치아에 설치된 상태에서 치경부(잇몸)를 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리 암(23)의 단부를 후크 형태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걸림고리(2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ng arm 23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wire body 21 is bent, and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ace the cervical portion (gum) in the state where the orthodontic wire is installed in the tooth. The hook 22 may be formed by bending an end portion of the ring arm 23 in a hook shap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에 의하면, 교정환자의 치열에 맞게 상기 제2와이어(20)의 위치를 조절하고, 해당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30)에 압착력을 가하면 상기 제2와이어(20)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와이어(10)에 대한 상기 제2와이어(20)의 상대적 위치는 교정환자의 구강 구조, 예를 들면 치열의 길이 악골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f the position of the second wire 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rthodontics of the orthodontic patient, and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connector 3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second The movement of the wire 20 is constrained. Referring to FIG. 4,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wire 20 with respect to the first wire 10 may be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patient,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dental jaw, and the like.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고리(22)에는 상기 제1와이어(10)가 결합되는 치아들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재(6)가 연결되며, 상기 제2와이어(20)의 와이어 몸체(21)는 상기 치아들의 수직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5, the hook ring 22 is connected to a traction member 6 for pulling the teeth to which the first wire 10 is coupled, and the wire body 21 of the second wire 20. Is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to mainta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eeth.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어 몸체(21)가 상기 견인부재(6)를 지지하는 고정원(5)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치아들의 수평이동을 구현하며 상기 치아들의 수직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치아들의 수직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와이어의 와이어 몸체(21)를 안내하는 별도의 가이드 부재가 구강 내부, 특히 구치부의 치아들(1e, 1f, 1g, 2e, 2f, 2g)에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body 21 is guided by the fixing member 5 supporting the traction member 6 to implemen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eeth and mainta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eeth. Accordingly, a separat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ire body 21 of the second wire to mainta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eeth is placed inside the oral cavity, especially the teeth 1e, 1f, 1g, 2e, 2f, 2g. It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5)은 악골에 식립되어 상기 제1와이어(10)를 견인하기 위한 앵커로서 작용하는 나사못 형태로서, 상기 잇몸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원(5)의 헤드(Head)에는 상기 제2와이어의 와이어 몸체(21)가 끼워지는 가이드홀(미도시)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circle 5 is a screw type that is implanted in the jaw bone and acts as an anchor for pulling the first wire 10, and the head of the fixing circle 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The head is formed with a guide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wire body 21 of the second wire is fitted.

이때, 상기 고정원(5)은 상기 가이드홀이 치열과 나란하게 되도록 악골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몸체(21)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끝단으로부터 일정 구간이 상기 치열과 나란한 형상이 되도록 벤딩(Bending)된다.At this time, the fixed circle 5 is installed in the jaw so that the guide hole is parallel to the teeth, the wire body 21 is bent so that a predetermined section is parallel to the teeth from the e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 Bending).

그리고 상기 견인부재(6)는 일측이 상기 고정원(5)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걸림고리(22)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고리(22)에 견인력을 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와이어(20)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상기 제1와이어(10)에 전달되고 상기 제1와이어(10)가 설치되는 치아들이 상기 견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traction member 6 has one side supported by the fixing circle 5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locking ring 22 to apply a traction force to the locking ring 22, thereby providing the second wire 20. Tra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wire 10 and the teeth on which the first wire 10 is installed are gradually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ction force is applied.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견인부재(6)가 고무줄인 경우에, 상기 고무줄의 일측이 상기 고정원(5)의 둘레에 형성되는 걸이홈(미도시)에 걸어 감기고 상기 고무줄의 타측이 상기 걸림고리(22)에 연결된다.When the traction member 6 is a rubber band as shown in FIG. 5, one side of the rubber band is wound on a hook groove (not shown) formed around the fixing circle 5, and the other side of the rubber band is hooked. Is connected to (22).

도 5는 상악과 하악의 제1소구치를 각각 발치한 후에 상기 제1소구치가 발치된 발치공간의 폐쇄를 위하여 상악과 하악 전치부의 치아들(1a, 1b, 1c, 2a, 2b, 2c)을 후방으로 견인하는 동시에, 상기 전치부의 치열이 가지런히 교정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 와이어가 구강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FIG. 5 shows the teeth 1a, 1b, 1c, 2a, 2b, and 2c of the maxilla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for closing the extraction space in which the first premolar is extracted after the first premolar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respectively extracted. At the same time,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oral cavity so that the teeth of the anterior teeth are straightened.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10)는 전치부의 치아들(1a, 1b, 1c, 2a, 2b, 2c)에 각각 고정되는 브라켓(3)에 장착되어 상기 브라켓(3)들을 이어준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브라켓(3)에는 상기 제1와이어(10)가 끼워지는 와이어홈이 구비된다.Here, the first wire 10 is attached to the brackets 3 fixed to the teeth 1a, 1b, 1c, 2a, 2b, and 2c of the anterior part, respectively, to connect the brackets 3. Although not shown, the bracket 3 is provided with a wire groove into which the first wire 10 is fitted.

상기와 같이 상기 브라켓(3)들과 상기 치열 교정용 와이어와 상기 고정원(5)과 상기 견인부재(6)를 갖는 치열교정장치가 구강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견인부재(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이 후방으로 견인된다.When the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the brackets 3, the orthodontic wire, the fixing circle 5, and the traction member 6 is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the elastic force of the traction member 6 is applied. By this the teeth of the anterior part are towed to the rear.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제2와이어(20)는 상기 고정원(5)의 가이드홀을 따라 후방으로 점진적인 수평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10)도 수평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이 수직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발치공간을 점진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와이어(20)가 후방으로 견인됨에 따라 상기 고정원(5)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제2와이어(20)의 끝단은, 필요에 따라 절단되어 구강 내부의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second wire 20 gradually moves horizontally to the rear along the guide hole of the fixing circle 5, and accordingly, the first wire 10 also moves horizontally. They gradually close the extraction space while maintaining the vertical position. Here, as the second wire 20 is pulled backward, an end of the second wire 20 exposed to the rear of the fixed circle 5 may be cut as necessary to minimize foreign body feeling in the oral cavity.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0)는 부정치열 상태인 전치부의 치아들(1a, 1b, 1c, 2a, 2b, 2c)에 교정력을 가하여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1a, 1b, 1c, 2a, 2b, 2c)을 가지런하게 교정한다.The first wire 10 applies orthodontic force to the teeth 1a, 1b, 1c, 2a, 2b, and 2c of the anterior teeth that are in an inaccurate state, and thus the teeth 1a, 1b, 1c, 2a, 2b, Calibrate 2c) neat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10)와 상기 제2와이어(20)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교정환자의 치열 또는 치아에 대응되도록 상기 치열 교정용 와이어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치열교정 기간 동안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ely size the overall size of the orthodontic wire so as to correspond to the teeth or teeth of the orthodontic patient through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 It is adjustable and can be used continuously during orthodontic period.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a) 및 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a) 및 커넥터(30)의 기본적 기능 및 구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된다.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ire 10, a second wire 20a and a connector 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wire 10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basic functions and structures of the second wire 20a and the connector 30,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configuration.

즉,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a)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That is, the connector 30 is fixed to any one wire of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a and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other wire.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제2와이어(20a)에 고정되고 상기 제1와이어(1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가 설명되는데, 상기 제2와이어(20a)가 상기 커넥터(30)의 둘레를 감은 상태, 즉 상기 제2와이어(20a)가 상기 커넥터(30)에 권취된 상태에서 용접이나 접착 등의 고정방식으로 상기 커넥터(30)와 상호 고정된다.Hereinafter,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30 is fixed to the second wire 20a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wire 10.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wire 20a is wound around the connector 30, that is, the second wire 20a is wound around the connector 30, the connector 30 may be fixed by welding or bonding. ) Is mutually fixed.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와이어(20a)와 상기 커넥터(30)를 고정하는 이유는, 상기 제2와이어(20a)를 상기 제1와이어(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30)에 압착력을 가할 때 용접부위나 접착부위가 파단되어 상기 커넥터(30)와 제2와이어(20a)가 분리될 위험이 있기 때문인데, 상기 제2와이어(20a)가 상기 커넥터(30)를 감은 상태에서 상술한 용접이나 접착방식으로 고정되면 접합부위가 넓게 할 수 있으므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The reason for fixing the second wire 20a and the connector 30 as described above is to apply a pressing force to the connector 30 to fix the second wire 20a to the first wire 10.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the welding part or the adhesive part is broken and the connector 30 and the second wire 20a are separated, and the above-described welding or the like is performed while the second wire 20a is wound around the connector 30. When the adhesive method is fixed, the bonding portion can be widened, and thus the fixing force can be improved.

상기 제2와이어(20a)는 와이어 몸체(21a)와 상기 와이어 몸체(21a)에 구비되는 걸림고리(22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림고리(22a)는 상기 와이어 몸체의 고리 암(23a)에 구비된다.The second wire 20a includes a wire body 21a and a catching ring 22a provided in the wire body 21a, and the catching ring 22a is a ring arm 23a of the wire body. Is provided.

상술한 제2와이어(20a)와 커넥터(30)의 결합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wire 20a and the connector 30 described above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와이어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b) 및 커넥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b) 및 커넥터(30)의 기본적 기능 및 구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가 적용된다..The orthodontic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ire 10, a second wire 20b, and a connector 30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asic functions and structures of the first wire 10, the second wire 20b, and the connector 30 may be applied in the same way,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configuration. .

즉,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1와이어(10)와 제2와이어(20b)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That is, the connector 30 is fixed to one wire of the first wire 10 and the second wire 20b and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other wir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와이어(20b)는, 와이어 몸체(21b)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고리들(22b)을 갖는데, 상기 걸림고리들(22b)은 직렬로 제공된다. 상기 걸림고리들(22b)은 상기 제2와이어(20b)를 세로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되는 고리 암(2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교정환자의 구강 구조나 구강 내부 공간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들(22b)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고리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견인부재(6)가 연결되며, 필요없는 걸림고리는 절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wire 20b has a plurality of hooks 22b provided in the wire body 21b, and the hooks 22b are provided in series. The hooks 22b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ing arm 23b formed by bending the second wire 2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oks 22b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structure or intraoral space of the orthodontic patient. The towing member 6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locking ring of any one of the rings 22b, and the unnecessary locking ring can be cut.

상술한 제2와이어(20b)의 걸림고리들(22b)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hooks 22b of the second wire 20b described above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Having looked at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제1와이어 20, 20a, 20b: 제2와이어
21, 21a, 21b: 와이어 몸체 22, 22a, 22b: 걸림고리
23, 23a, 23b: 고리 암 30: 커넥터
10: first wire 20, 20a, 20b: second wire
21, 21a, 21b: wire body 22, 22a, 22b: hook
23, 23a, 23b: ring arm 30: connector

Claims (7)

치열교정을 위한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와이어;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를 상기 제1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A first wire for orthodontics;
A second wire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Orthodontic wire comprising a connector for movably connecting the second wire to the first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호(Arch)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의 양측에 각각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ire has an arc shape; The second wire is orthodon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wire by the connector,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와이어 몸체와 상기 와이어 몸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상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cond wi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body provided in the connector and at least one hook ring provided in the wire body; The second wire is orthodon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can be selectively fixed in the state where the position on the first wire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s fixed to any on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orthodon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slidably connected to the other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중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를 감은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상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압착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wire fixed to the connector among the first and second wires is fixed to the connector by welding while the connector is wound; The connector is orthodon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selectively fixed by the pressing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n the wire slid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is adjusted.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는 와이어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connector; Orthodon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ny one wire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slida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형상기억소재로 제조되며 호(Arch)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용 와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ire is made of a shape memory material and the orthodontic wi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rc (Arch) shape.
KR1020100060949A 2010-06-28 2010-06-28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29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49A KR101129136B1 (en) 2010-06-28 2010-06-28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PCT/KR2011/004706 WO2012002700A2 (en) 2010-06-28 2011-06-28 Orthodontic wire and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49A KR101129136B1 (en) 2010-06-28 2010-06-28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13A true KR20120000613A (en) 2012-01-04
KR101129136B1 KR101129136B1 (en) 2012-03-23

Family

ID=4540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49A KR101129136B1 (en) 2010-06-28 2010-06-28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9136B1 (en)
WO (1) WO2012002700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5B1 (en) * 2010-11-25 2012-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50B1 (en) * 2014-10-15 2016-07-20 양동민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8754A (en) * 1976-02-27 1977-08-02 Northwest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appliance guard
US4255139A (en) 1977-09-17 1981-03-10 Csaba Ladanyi Orthodontic appliance
KR970006379Y1 (en) * 1994-06-01 1997-06-24 황정빈 Arch wire
JP3486814B2 (en) 2001-10-12 2004-01-13 三郎 山本 Orthodontic wire member and wire cutting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5B1 (en) * 2010-11-25 2012-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700A2 (en) 2012-01-05
KR101129136B1 (en) 2012-03-23
WO2012002700A3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966B1 (en) Orthodontic device
CN105982743B (en) Dental wire hold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liance
US10004574B2 (en) Dental arch and airway expander device and method
US10568718B2 (en) Force module for orthodontic correction
RU2569715C2 (en) Orthodontic separating wire for bimaxillary protrusion correction, and orthodontic system comprising this separating wire
US11123158B2 (en) Dental arch and airway expander device and method
US20100285422A1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CN211633664U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11587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for Lingual Retra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122444A1 (en)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With Labial Bow
EP2957253A1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US6168430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overjet
KR101592421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202217B1 (en)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87727B1 (en) A lingual orthodontic device
KR101129136B1 (en)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082046A (en) Method and device for dental arch expansion using magnetic
US20140272755A1 (en) Pin connector for orthodontic force module
CN111110375A (en) Combined corrector for lingual side
CN107456287B (en) Orthodontic device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EP2205178A1 (en) Connection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of straightening irregular teeth
CN112075999B (en) Device for assisting in stealth correction of mesial moving molar and correction method
KR101108104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