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428A -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 Google Patents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428A
KR20120000428A KR1020100060784A KR20100060784A KR20120000428A KR 20120000428 A KR20120000428 A KR 20120000428A KR 1020100060784 A KR1020100060784 A KR 1020100060784A KR 20100060784 A KR20100060784 A KR 20100060784A KR 20120000428 A KR20120000428 A KR 20120000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ft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844B1 (ko
Inventor
채동국
Original Assignee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8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냉동장치의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냉동장치 도난방지장치는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와 냉동장치의 제품정보, 설치정보, 임대인정보, 정보응답 내역 등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외부 무선 단말기의 정보요구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정보 응답부와 일정 기간 동안 정보요구를 수신하지 못하면, 차단 스위치를 조작하여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함으로써, 냉방장비가 무선 접근이 용이치 않은 장소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REFRIGERATOR ANTI-THEFT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TERMINAL THEREOF}
냉동장치의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 대여 냉동장치에 장착되어 일정 기간 관리자의 무선 단말기의 신호를 받지 못하면 자동적으로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 슈퍼나 대형 할인 마트에서는 아이스 크림이나 음료수를 일정 온도 하에서 보관하기 위해 냉동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냉동장치는 고가이며,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에서 이를 보관하는데 필요한 냉동장치를 판매자에게 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판매자는 공급업체와 계약을 맺고, 계약기간 동안 냉동장치를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전국에는 수십만 대의 냉동장치가 판매자에게 임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부 판매자는 임대된 냉동장치를 허락없이 매도하거나 사업을 포기하면서 반납을 하지 않는 등 냉동장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냉동장치를 임대해준 업체도 관리담당 직원이 교체되는 등의 사정변경으로 냉동장치가 없어져도 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상당수의 냉동장치가 소재 파악이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냉동장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냉동장치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을 연구하게 되었다.
일정기간 동안 인증 단말기의 정보요구 신호를 받지 못하면, 냉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냉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관리자의 인증을 통해 전원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 도난방지장치는 인증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냉동장치의 제품정보, 설치정보, 임대인정보, 정보응답 내역 등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인증 단말기의 정보요구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정보 응답부와 일정 기간동안 정보요구를 수신하지 못하면,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 도난방지장치는 외부 무선 단말기의 정보요구 신호가 감지되면, 무선 단말기와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전원 차단부는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무선 단말기의 전원 재공급 신호에 응답하여 냉동장치의 전원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 도난방지장치의 인증 단말기는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냉동장비에 설치된 도난방지장치를 호출하는 호출부와 호출된 도난방지장치의 응답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도난방지장치와 인증을 처리하되, 냉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증이 성공하면 냉동장치의 전원 재공급을 지시하는 인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기간 동안 인증 단말기의 정보요구 신호를 받지 못하면, 냉동장치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됨으로써 냉방장비가 도난당하여 인증 단말기와 일정 기간 동안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인증 단말기로 도난방지장치와 인증을 통해서만 냉동장치의 전원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냉동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의 인증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와 인증 단말기 간의 통신 예시도,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단말기의 도난방지장치 인식을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단말기가 도난방지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도,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단말기가 도난방지장치의 설치위치가 변경됨을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난방지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메모리(130), 정보 응답부(150), 전원 차단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인증 단말기(300)와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reless LAN)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인증 단말기(3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300)를 통해 주변의 냉동장치(200)를 인식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도난방지장치(100)가 냉동장치(200)에 장착될 때, 고유의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저장될 수 있다. 고유의 식별정보로는 냉동장치(200)의 고유번호, 냉동장치(200)의 설치위치, 냉동장치(200)의 임대인 정보, 냉동장치(200)의 동작 여부, 인증 단말기(300)와의 최근 통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에 기록된 내용은 인증 단말기(300)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정보 응답부(150)와 연결되고, 정보 응답부(15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내용을 독출할 수 있다.
정보 응답부(1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응답부(150)는 무선 통신부(110)와 메모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응답부(150)는 인증 단말기(300)로부터 냉동장치(200)의 식별정보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독출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의 관리자는 인증 단말기(300)를 통해 냉동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응답부(150)는 인증 단말기(300)로 응답을 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인증 단말기(300)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인증 단말기(300)는 주위의 냉동장비에 장착된 도난방지장치(100)를 동일한 채널을 통해 동시에 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대의 장치에서 동시에 응답신호를 보내게 되면, 인증 단말기(300)가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일정 기간 동안 수신확인 신호가 없으면 다시 지연된 응답을 보내게 된다. 랜덤적인 지연 응답을 보낼 경우, 여러 신호가 중첩되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응답부(150)는 전원 차단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응답부(150)는 인증 단말기(30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전원 차단부(170)로 호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전원 차단부(170)가 냉동 장비의 전원을 차단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전원 차단부(17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원 차단부(170)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전력 스위치 소자와 타이머를 구현하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70)는 정보 응답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70)는 정보 응답부(150)로부터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 유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한다. 전원 차단부(170)는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을 감지하는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주일, 2주일, 4주일 등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적일 수 있다. 설정된 기간 내에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이 감지되면, 전원 차단부(170)는 다시 기간을 셋팅시키고 설정된 시간동안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전원 차단부(170)는 냉동장치(200)의 전원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 냉동장치(200)의 전원 공급부는 냉동장치(200)의 주요 전원이다. 전원 차단부(170)는 설정된 기간 내에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이 없으면, 전원 차단 스위치를 조작하여 냉동장치(20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후에 냉동장치(200) 관리자의 인증을 통해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재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자의 조작 없이도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100)는 인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190)는 인증 단말기(300)와 통신하기 위해 인증 단말기(300)와 암호키를 공유할 수 있다. 인증 단말기(300)에 냉동장치(200)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난방지장치(100)는 오직 인증 처리가 완료된 인증 단말기(300)만 통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동장비의 식별정보가 암호화된 상태로 인증 단말기(300)로 전송되므로, 타인이 무단으로 이러한 정보를 요구하거나 해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90)는 냉동장치(200)의 전원을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인증 단말기(300)와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부(190)는 인증 단말기(300)로부터 전원 재공급 신호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는 전원 차단부(170)에 신호를 전달한다. 전원 차단부(170)는 인증부(190)의 신호에 응답하여 냉동장비의 전원차단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의 관리권한이 있는 자에 의해 냉동장치(200)가 재가동될 수 있다.
또한, 인증부(190)는 냉동장치(200)에 설치된 카드 리더기 또는 키버튼 입력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동장치(200)에 자신의 고유 마그네틱 카드를 인식시킴으로써 해당 냉동장치(200)와의 인증을 처리할 수 있으며, 키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인증이 처리되면, 전원이 차단된 냉동장치(200)에 다시 전원이 재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는 알람부(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는 제어회로와 음향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알람부는 전원 차단부(170)와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알람부는 전원 차단부(170)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음향소자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의 사용자는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됨을 미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발광소자를 통해 전원 차단부(17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경고할 수 있다. 알람부는 발광소자에 점멸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알람부와 연결된 발광소자가 빛을 내거나 일정시간 주기로 점등과 점멸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곧 차단될 것임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알람부는 냉동장치(200)의 전원 공급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냉동장치(200)에 인증 없이 전원이 재공급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다시 전원 차단이 해제되려면 인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를 무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자는 경고음으로 인해 냉동장치(200)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는 보조 전원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전원부(220)는 일반적인 충전용 건전지의 형태일 수 있다. 평상시에는 도난방지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나, 전원이 차단된 순간부터는 도난방지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의 전원이 차단된 이후에도 도난방지장치(100)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고, 인증 단말기(300)의 호출 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의 인증 단말기(3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310), 호출부(330), 인증부(350), 메모리(13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310)는 도난방지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reless LAN)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도난방지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치(200)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인증 단말기(300)를 통해 주변의 냉동장치(200)를 인식할 수 있다.
인증 단말기(300)의 메모리(130)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130) 카드일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냉동장비에 장착된 도난방지장치(1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각 도난방지장치(100)와 인증을 할 수 있는 암호키도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호출부(330)와 인증부(350)에 연결되어, 냉동장비용 도난방지장치(100)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메모리(130)에 저장된 고유번호를 독출하여 호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인증부(350)는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와의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 단말기(300)는 도난방지장치(100)를 호출하여 주변의 냉동장치(200)를 인식할 수 있다. 인증된 도난방지장치(100)의 상태를 분석하여 전원이 차단된 냉동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여 전원 차단을 해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난방지장치(100)와 인증 단말기(300) 간에 암호화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어, 타인이 무단으로 이러한 정보를 요구하거나 해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호출부(33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냉동장비용 도난방지장치(100)를 호출한다. 호출하는 방식으로는 고유번호 지정호출 방식과 동시호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고유번호 지정호출은 사용자가 냉동장치(200)가 설치된 마켓 등에 물건을 공급하면서 해당 마켓에 설치된 냉동장비용 도난방지장치(100)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해당 냉동장비도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시호출 방식은 냉동장비 관리자가 특정 지역을 지나면서 냉동장비용 도난방지장치(100)의 고유번호를 모르는 경우, 임의로 해당 지역의 도난방지장치(100)를 검색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3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위치별 냉동장비 데이터를 기초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증 단말기(300)의 인접한 범위에 설치된 냉동장비의 도난방지장치(100)가 응답을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와 인증 단말기(300) 간의 통신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 단말기(300)가 임의로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를 호출하게 되면 근접한 도난방지장치(100)가 응답을 하게 된다. 동일한 채널에서 랜덤호출을 하게 되면, 여러 장치의 응답이 중복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의 슬롯마다 각 냉동장비의 응답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도난방지장치(100)별 고유의 응답정보를 구별할 수 있다.
인증 단말기(3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단말기(300)는 GPS 또는 GIS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 근처에 설치된 냉동장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증 단말기(300) 주위의 냉동장비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냉동장비의 식별정보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난방지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냉동장치(200)에 장착될 수 있다. 냉동장치(200)는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과 같이 빙과류를 보관할 수 있는 냉동고, 음료수를 보관할 수 있는 스탠드형 냉장고, 캔 음료수를 제공하는 자판기일 수 있다. 도난방지장치(100)는 냉동장치(200)의 전원을 관리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단말기(300)의 도난방지장치(100) 인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인증 단말기(300)는 주변의 냉동장치(200)용 도난방지장치(100)에 대해 식별정보 호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를 받은 도난방지장치(100)는 이에 응답하여 해당 장치의 식별번호를 먼저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가 해당 도난방지장치(100)와의 연결을 시도하면, 인증 단말기(300)와 도난방지장치(100) 간에 인증이 이루어져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단말기(300)가 도난방지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인증 단말기(300)와 도난방지장치(100) 간에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도난방지장치(100)는 냉동장치의 암호화된 식별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인증 단말기(300)의 인증부(350)는 이를 복호화하여 인증 단말기(300)의 표시부에 출력한다.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냉동장비의 설치 위치, 임대인 정보, 작동상태, 최근 접속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단말기(300)가 도난방지장치(100)의 설치위치가 변경됨을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난방지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의 위치정보가 현재 도난방지장치(100)의 위치와 다른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인증 단말기(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PS, GIS를 포함하는 경우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장비 관리자는 해당 냉동장치(200)가 일정한 지역범위를 벗어난 것을 확인하고, 이를 도난당한 냉동장치(200)로 취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도난방지장치
110 : 무선 통신부
130 : 메모리
150 : 정보 응답부
170 : 전원 차단부
190 : 인증부
200 : 냉동장치
210 : 냉동장치 전원공급부
220 : 보조 전원부
300 : 인증 단말기
310 : (인증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
330 : 호출부
350 : (인증 단말기의) 인증부
370 : (인증 단말기의) 메모리

Claims (5)

  1.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는,
    인증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냉동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인증 단말기의 정보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정보 응답부; 및
    일정 기간 동안 정보요구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를 포함하는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장치는,
    외부 무선 단말기의 정보요구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냉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원 재공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단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냉동장치의 전원 차단을 해제하는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냉동장치의 제품정보, 설치정보, 임대인정보, 정보응답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
  5. 냉동장치의 도난방지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도난방지장치를 호출하는 호출부;
    상기 호출부에 의해 호출된 도난방지장치의 응답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도난방지장치와 인증을 처리하되, 냉동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냉동장치의 전원 재공급을 지시하는 인증부;
    를 포함하는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의 인증 단말기.
KR1020100060784A 2010-06-25 2010-06-25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KR10113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84A KR101132844B1 (ko) 2010-06-25 2010-06-25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84A KR101132844B1 (ko) 2010-06-25 2010-06-25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28A true KR20120000428A (ko) 2012-01-02
KR101132844B1 KR101132844B1 (ko) 2012-04-04

Family

ID=4560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84A KR101132844B1 (ko) 2010-06-25 2010-06-25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4091A (zh) * 2017-07-28 2017-09-26 安永 一种工程机械电瓶自身保护系统
KR20200009742A (ko) * 2018-07-20 2020-01-30 최원근 냉동,냉장고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516A (ko) * 2007-06-14 2009-01-12 최옥재 임대장치 관리 시스템
KR20100035456A (ko) * 2008-09-26 2010-04-05 제주한라대학 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하여 진품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4091A (zh) * 2017-07-28 2017-09-26 安永 一种工程机械电瓶自身保护系统
KR20200009742A (ko) * 2018-07-20 2020-01-30 최원근 냉동,냉장고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844B1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5275B2 (en) Gateway-based anti-theft security system and method
TWI491790B (zh) 智慧鎖具及其操作方法
US20170174178A1 (en) Key module
CN102197663B (zh) 移动标签跟踪系统
KR101764650B1 (ko)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방지 장치
US8427314B2 (en) Silent anti-theft protection system for goods presented to the public
JP5250455B2 (ja) 端末装置監視システム
US20150171928A1 (en) Usb memory device connected with smart phone
US20160234016A1 (en) Power line based theft protection of electronic devices
US11161231B2 (en) Out-of-band point of sale activation for electronic power tool devices
CN105376711A (zh) 可穿戴设备的位置提示方法、装置及可穿戴设备
JP2013257835A (ja) 盗難防止対応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KR101132844B1 (ko) 냉동장치용 도난방지장치 및 그 인증 단말기
US10026299B2 (en) Mobile supported disarming
CA2989255C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pplying an intermediate
CN112460907A (zh) 智能冷藏箱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US10937292B2 (en) Device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8692649B2 (en) Asset management infrastructure
US9734366B2 (en) Tamper credential
WO2016041160A1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和移动终端
JP2020022144A (ja) 冷凍機の管理システム、冷凍機の管理方法、主端末ユニット用のプログラム、及び副端末ユニット用のプログラム
CN103618764B (zh) 可组网广域定位通信模块管理系统
US20230195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hardware token reader
JP7157313B2 (ja) 冷凍機の管理システム、冷凍機の管理方法、及び端末ユニット用のプログラム
CN114978642A (zh) 小程序登录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