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335A -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335A
KR20110139335A KR1020100059350A KR20100059350A KR20110139335A KR 20110139335 A KR20110139335 A KR 20110139335A KR 1020100059350 A KR1020100059350 A KR 1020100059350A KR 20100059350 A KR20100059350 A KR 20100059350A KR 20110139335 A KR20110139335 A KR 2011013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groove
container
bed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이
Original Assignee
조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이 filed Critical 조은이
Priority to KR1020100059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335A/ko
Publication of KR2011013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이송의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바퀴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되, 내부에는 다수로 분기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외부와 열전달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단열프레임;과, 상기 단열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이 수용되는 제1뜸질기구;와, 상기 단열프레임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이 수용되어 사용자의 둔부(臀部) 부근에 뜸을 수행하는 제2뜸질기구;와, 상기 단열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는 좌측판부와, 우측판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좌측판부와 우측판부가 합치되면, 그 내부에 상기 제1뜸질기구의 상단 외면을 감싸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뜸질기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판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치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금속망과, 상기 금속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망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위치하는 지지봉 다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다수의 상기 지지봉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거치되는 받침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뜸질기구를 하부에 위치시키고, 그 뜸질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를 형성함으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운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매우 편안하게 뜸질을 수행하여 뜸질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워서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뜸질기구가 올려지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의 상반신, 눈, 목, 둔부 부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시 다발적으로 뜸질을 수행할 수 있어 뜸질의 효과를 증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A moxa cautery bed which has the convenience of the utility}
본 발명은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뜸질기구를 하부에 위치시키고, 그 뜸질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를 형성함으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운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매우 편안하게 뜸질을 수행하여 뜸질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 숯, 연엽 등의 각종 생약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경혈 또는 환부에 뜸을 들이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으며, 이는 생약재를 환자의 경혈(환부)에 올려놓은 다음 불을 붙여 뜸질을 하는 방법과 별도의 뜸질기구를 사용하여 경혈에 뜸질을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뜸질기구는 뜸을 들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환자들로 하여금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다소 높은 무게를 갖는 뜸질기구를 사용자의 신체에 올려놓게 되면, 뜸질기구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가 답답해 하는 등의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뜸질기구를 하부에 위치시키고, 그 뜸질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를 형성함으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운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매우 편안하게 뜸질을 수행하여 뜸질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워서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뜸질기구가 올려지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신체의 상반신, 눈, 목, 둔부 부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시 다발적으로 뜸질을 수행할 수 있어 뜸질의 효과를 증감시킬 수 있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이송의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바퀴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되, 내부에는 다수로 분기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외부와 열전달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단열프레임;과, 상기 단열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수용공간 각각에 수용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이 수용되는 제1뜸질기구;와, 상기 단열프레임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이 수용되어 사용자의 둔부(臀部) 부근에 뜸을 수행하는 제2뜸질기구;와, 상기 단열프레임의 상면에 위치되는 좌측판부와, 우측판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좌측판부와 우측판부가 합치되면, 그 내부에 상기 제1뜸질기구의 상단 외면을 감싸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뜸질기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판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안치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상면에 안치되는 금속망과, 상기 금속망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망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위치하는 지지봉 다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다수의 상기 지지봉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에 거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뜸질기구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쑥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공간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수용홈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에 형성된 제1수용홈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쑥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름망과, 상기 제1용기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홈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 부근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1덮개와, 상기 제1용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간홈의 개폐를 결정하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제1용기 및 제1덮개를 감싸서 상기 제1용기에 수용된 쑥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름망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뜸질기구는 상기 단열프레임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상면에는 제1안치홈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제1안치홈에 안치되며, 타단에는 쑥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용홈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2용기와, 상기 제2용기에 형성된 제2수용홈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2수용홈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쑥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름망과, 상기 제2용기에 형성된 제2수용홈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2덮개와, 내부 중심은 관통되되, 타단은 상기 제2용기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며, 일단은 오목한 굴곡이 형성되는 제1전송부와, 상기 제2용기와 제2덮개 및 제1전송부를 감싸서 상기 제2용기에 수용된 쑥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름망토와, 양단이 상기 받침대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용기의 상부에 둘러져 상기 제2용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상기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봉이 용이하게 안치되도록 하는 다수의 제2안치홈이 형성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평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와, 상기 평판의 일단 중심 상면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구멍과, 사용자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2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간편히 탈착되는 목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의 삽입구멍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 이송봉을 결합 고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송봉을 전후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몸체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구멍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안내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양단에는 미관상 수려하게 커튼부재를 더 형성하되, 상기 커튼부재는 상기 평판에 형성된 삽입구멍의 양측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커튼레일과, 양측이 상기 커튼레일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튼레일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커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튼의 양끝단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평판의 내면에 각각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하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에는 거치고리가 형성되는 거치대와,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이 수용되어 사용자의 눈 부위와 목 부위에 뜸을 수행하는 제3뜸질기구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거치대의 거치고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뜸질기구에 결합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뜸질기구는 상부에는 쑥이 수용되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수용홈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3용기와, 상기 제3용기에 형성된 제3수용홈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3수용홈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쑥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걸름망과, 상기 제3용기에 형성된 제3수용홈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 부근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3덮개와, 내부 중심은 관통되되, 타단은 상기 제3용기의 제2삽입홈에 삽입되며, 일단은 오목한 굴곡이 형성되어 소정의 굴곡을 갖는 눈 부근이나 목 부근을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2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의하면, 뜸질기구를 하부에 위치시키고, 그 뜸질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를 형성함으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운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매우 편안하게 뜸질을 수행하여 뜸질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받침부에 누워서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뜸질기구가 올려지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의 상반신, 눈, 목, 둔부 부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시 다발적으로 뜸질을 수행할 수 있어 뜸질의 효과를 증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제1뜸질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제2뜸질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평판 및 목침이 추가된 모습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평판 및 목침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송봉이 추가된 모습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이송봉을 이용하여 몸체가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3뜸질기구가 추가된 모습의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제3뜸질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제1뜸질기구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제2뜸질기구의 분리 사시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평판 및 목침이 추가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평판 및 목침의 분리 사시도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송봉이 추가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이송봉을 이용하여 몸체가 이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3뜸질기구가 추가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제3뜸질기구의 분리 사시도를,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100)는 몸체(10)와, 단열프레임(20)과, 제1뜸질기구(30)와, 제2뜸질기구(40)와, 고정판부(50)와, 받침부(6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이송의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바퀴(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프레임(20)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되, 내부에는 다수로 분기된 수용공간(21)을 가지며, 외부와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100)의 상기 단열프레임은 내부에 3개의 수용공간(21)이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뜸질기구(30)는 상기 단열프레임(20)에 형성된 다수의 수용공간(21) 각각에 수용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1)이 수용되는 것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쑥(1)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31a)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공간홈(31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수용홈(31a)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31c)이 형성되는 제1용기(31)와, 상기 제1용기(31)에 형성된 제1수용홈(31a)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31a)에 형성된 관통구멍(31c)으로 쑥(1)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름망(32)과, 상기 제1용기(31)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홈(31a)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 부근에 다수의 관통구멍(33a)이 형성되는 제1덮개(33)와, 상기 제1용기(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간홈(32b)의 개폐를 결정하는 하부받침대(34)와, 상기 제1용기(31)와, 제1덮개(33) 및 하부받침대(34)를 감싸서 상기 제1용기(31)에 수용된 쑥(1)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름망토(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용기(31)의 제1수용홈(31a)에 쑥(1)을 수용하여 연소하면, 쑥(1) 연기가 상기 제1덮개(33)의 관통구멍(33a)을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2)에게 제공되는데, 너무 많은 쑥(1) 연기가 공급되면 사용자(2)가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걸름망토(35)를 통해서 적합한 쑥(1) 연기가 사용자(2)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1뜸질기구(30)는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용되어 사용자(2)의 상체부분에 용이한 뜸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뜸질기구(40)는 상기 단열프레임(20)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1)이 수용되어 사용자의 둔부(臀部) 부근에 뜸을 수행하는것으로,
상기 단열프레임(20)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상면에는 제1안치홈(41a)이 형성되는 받침대(41)와, 상기 받침대(41)의 제1안치홈(41a)에 안치되며, 타단에는 쑥(1)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42a)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제1삽입홈(42b)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용홈(42a)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42c)이 형성되는 제2용기(42)와, 상기 제2용기(42)에 형성된 제2수용홈(42a)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2수용홈(42a)에 형성된 관통구멍(42c)으로 쑥(1)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름망(43)과, 상기 제2용기(42)에 형성된 제2수용홈(42a)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에는 관통구멍(44a)이 형성되는 제2덮개(44)와, 내부 중심은 관통되되, 타단은 상기 제2용기(42)의 제1삽입홈(42b)에 삽입되며, 일단은 오목한 굴곡(45a)이 형성되는 제1전송부(45)와, 상기 제2용기(42)와 제2덮개(44) 및 제1전송부(45)를 감싸서 상기 제2용기(42)에 수용된 쑥(1)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름망토(46)와, 양단이 상기 받침대(4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용기(42)의 상부에 둘러져 상기 제2용기(42)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용기(42)의 제2수용홈(42a)에 쑥(1)을 수용하여 연소하면, 쑥(1) 연기가 상기 제2수용홈(42a)에 형성된 관통구멍(42c)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연기는 상기 제1전송부(45)를 통해서 사용자(2)에게 제공되는데, 너무 많은 쑥(1) 연기가 공급되면 사용자(2)가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2걸름망토(46)를 통해서 적합한 쑥(1) 연기가 사용자(2)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쑥(1) 뜸질을 수행시에는 쑥이 수용되는 용기를 60 내지 70℃ 정도로 데우게 되는데, 상기 제2용기(42)가 60 내지 70℃ 정도로 데워지면, 상기 제2용기(42)의 위치상 사용자(1)의 다리부분과 접촉이 용이하여 화상이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제2용기(42)의 일단에 상기 제1전송부(45)를 삽입 위치시켜 사용자(2)가 상기 제2용기(42)에 접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전송부(45)는 20℃ 정도로 데워 안정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제2뜸질기구(40)는 사용자(2)의 둔부 부근에 용이한 뜸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50)는 상기 단열프레임(20)의 상면에 위치되는 좌측판부(51)와, 우측판부(5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좌측판부(51)와 우측판부(52)가 합치되면, 그 내부에 상기 제1뜸질기구(30)의 상단 외면을 감싸는 고정공(53)이 형성되어 상기 제1뜸질기구(3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6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안치되어 사용자(2)가 안정적으로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안치되는 금속망(61)과, 상기 금속망(6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망(61)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위치하는 지지봉(62) 다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다수의 상기 지지봉(62)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100)는 사용자(2)가 상기 받침부(60)에 누운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매우 편안하게 뜸질을 수행할 수 있어 뜸질효과뿐만 아니라 사용자(2)의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2)는 상기 받침부(60)에 누워서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2)의 신체에 뜸질기구가 올려지지 않아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몸체(1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1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11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봉(62)이 용이하게 안치되도록 하는 다수의 제2안치홈(112)이 형성되는 평판(110)과, 상기 평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평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120)와, 상기 평판(110)의 일단 중심 상면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구멍(130)과, 사용자(2)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결합구멍(130)과 대응되는 2개의 결합돌기(141)가 형성되어 간편히 탈착되는 목침(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평판(110)을 통해서 사용자(2)에게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하여 매우 편안하게 자세를 유지하거나 안정적으로 신체를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탈착이 용이한 상기 목침(140)을 제공하여 사용자(2)가 필요시에 사용하도록 하여 더욱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110)의 삽입구멍(111)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몸체(10)의 타단에 이송봉(150)을 결합 고정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가 상기 이송봉(150)을 전후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몸체(1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구멍(111)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10)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안내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뜸질기구(30,40)가 수용되는 상기 몸체(10)의 위치를 사용자(2)가 적합하게 제어하여 사용자(2)가 원하는 신체부분에 뜸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 뜸질의 효율성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110)에 형성된 삽입구멍(111)의 양단에는 미관상 수려하게 커튼부재(160)를 더 형성하되,
상기 커튼부재(160)는 상기 평판(110)에 형성된 삽입구멍(111)의 양측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커튼레일(161)과, 양측이 상기 커튼레일(111)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튼레일(111)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커튼(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튼(112)의 양끝단은 상기 몸체(10)의 외측면과 상기 평판(110)의 내면에 각각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70)과, 하부는 상기 결합홈(170)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에는 거치고리(181)가 형성되는 거치대(180)와,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1)이 수용되어 사용자(2)의 눈 부위와 목 부위에 뜸을 수행하는 제3뜸질기구(190)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거치대(180)의 거치고리(18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뜸질기구(190)에 결합되는 연결밴드(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뜸질기구(190)는 상부에는 쑥(1)이 수용되는 제3수용홈(191a)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삽입홈(191b)이 형성되되, 상기 제3수용홈(191a)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191d)이 형성되는 제3용기(191)와, 상기 제3용기(191)에 형성된 제3수용홈(191a)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3수용홈(191a)에 형성된 관통구멍(191d)으로 쑥(1)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걸름망(192)과, 상기 제3용기(191)에 형성된 제3수용홈(191a)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 부근에는 관통구멍(193a)이 형성되는 제3덮개(193)와, 내부 중심은 관통되되, 타단은 상기 제3용기(191)의 제2삽입홈(191b)에 삽입되며, 일단은 오목한 굴곡(194a)이 형성되어 소정의 굴곡을 갖는 눈 부근이나 목 부근을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2전송부(1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3뜸질기구(190)는 상기 제3용기(191)의 제3수용홈(191a)에 쑥(1)을 수용하여 연소시켜 사용자(2)의 눈, 목 부근에 용이한 뜸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2)가 눈과 목 부근에 뜸질을 원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상기 연결밴드(210)와 연결된 상기 제3뜸질기구(190)를 파지하여 당겨서 뜸질을 수행하고, 뜸질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밴드(210)의 탄성에 의해서 다시 원상태로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1,2,3뜸질기구(30,40,190)를 이용하여 사용자(2)는 신체의 상반신, 눈, 목, 둔부 부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시 다발적으로 뜸질을 수행할 수 있어 뜸질의 효과를 증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제1,2,3뜸질기구(30,40,190) 내부에 수용된 쑥(1)을 연소시켜, 쑥(1) 뜸질을 준비한다.
그런 후, 상기 제1뜸질기구(30)는 단열프레임(20)의 수용공간(21)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뜸질기구(40)는 받침대(41)에 안치시키고, 상기 제3뜸질기구(190)는 연결밴드(210)에 연결하여 거치대(180)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는 받침부(60)에 편안하게 누워 상기 제1뜸질기구(30)를 통해서 신체의 상반신 뜸질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2뜸질기구(40)를 통해서 둔부 부근의 뜸질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2)는 이송봉(150)을 전후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제1,2뜸질기구(30,40)가 수용 안치된 몸체(10)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켜 사용자(2)가 원하는 신체 부위에 용이하게 뜸질이 되도록 적합한 위치를 잡도록 한다.
그런 후, 사용자(2)가 신체의 눈 또는 목 부근에 뜸질을 원하면, 상기 제3뜸질기구(190)를 당겨서 간편히 눈 또는 목 부근의 뜸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쑥 2. 사용자
10. 몸체 11. 바퀴
20. 단열프레임 21. 수용공간
30. 제1뜸질기구 31. 제1용기
31a. 제1수용홈 31b. 공간홈
31c, 33a, 42c, 44a, 191d, 193a. 관통구멍
32. 제1걸름망 33. 제1덮개
34. 하부받침대 35. 제1걸름망토
40. 제2뜸질기구 41. 받침대
41a. 제1안치홈 42. 제2용기
42a. 제2수용홈 42b. 제1삽입홈
43. 제2걸름망 44. 제2덮개
45. 제1전송부 46. 제2걸름망토
47. 고정밴드 50. 고정판부
51. 좌측판부 52. 우측판부
53. 고정공 60. 받침부
61. 금속망 62. 지지봉
100.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110. 평판 111. 삽입구멍
120. 지지다리 130. 결합구멍
140. 목침 141. 결합돌기
150. 이송봉 160. 커튼부재
161. 커튼레일 162. 커튼
170. 결합홈 180. 거치대
181. 거치고리 190. 제3뜸질기구
191. 제3용기 191a. 제3수용홈
191b. 제2삽입홈 192. 제3걸름망
193. 제3덮개 194. 제2전송부
194a, 45a. 오목한 굴곡 210. 연결밴드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갖으며, 하부에는 이송의 편의를 위해서 다수의 바퀴(11)가 형성되는 몸체(10);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되, 내부에는 다수로 분기된 수용공간(21)을 가지며, 외부와 열전달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단열프레임(20);
    상기 단열프레임(20)에 형성된 다수의 수용공간(21) 각각에 수용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1)이 수용되는 제1뜸질기구(30);
    상기 단열프레임(20)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1)이 수용되어 사용자의 둔부(臀部) 부근에 뜸을 수행하는 제2뜸질기구(40);
    상기 단열프레임(20)의 상면에 위치되는 좌측판부(51)와, 우측판부(5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좌측판부(51)와 우측판부(52)가 합치되면, 그 내부에 상기 제1뜸질기구(30)의 상단 외면을 감싸는 고정공(53)이 형성되어 상기 제1뜸질기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판부(50); 및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안치되어 사용자(2)가 안정적으로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안치되는 금속망(61)과, 상기 금속망(6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망(61)을 지지하며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위치하는 지지봉(62) 다수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다수의 상기 지지봉(62)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거치되는 받침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뜸질기구(30)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쑥(1)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31a)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공간홈(31b)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수용홈(31a)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31c)이 형성되는 제1용기(31)와,
    상기 제1용기(31)에 형성된 제1수용홈(31a)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홈(31a)에 형성된 관통구멍(31c)으로 쑥(1)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름망(32)과,
    상기 제1용기(31)에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수용홈(31a)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 부근에 다수의 관통구멍(33a)이 형성되는 제1덮개(33)와,
    상기 제1용기(3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간홈(32b)의 개폐를 결정하는 하부받침대(34)와,
    상기 제1용기(31)와, 제1덮개(33) 및 하부받침대(34)를 감싸서 상기 제1용기(31)에 수용된 쑥(1)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름망토(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뜸질기구(40)는,
    상기 단열프레임(20)의 끝단 상면에 안치되며, 상면에는 제1안치홈(41a)이 형성되는 받침대(41)와,
    상기 받침대(41)의 제1안치홈(41a)에 안치되며, 타단에는 쑥(1)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42a)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제1삽입홈(42b)이 형성되되, 상기 제2수용홈(42a)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42c)이 형성되는 제2용기(42)와,
    상기 제2용기(42)에 형성된 제2수용홈(42a)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2수용홈(42a)에 형성된 관통구멍(42c)으로 쑥(1)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름망(43)과,
    상기 제2용기(42)에 형성된 제2수용홈(42a)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에는 관통구멍(44a)이 형성되는 제2덮개(44)와,
    내부 중심은 관통되되, 타단은 상기 제2용기(42)의 제1삽입홈(42b)에 삽입되며, 일단은 오목한 굴곡(45a)이 형성되는 제1전송부(45)와,
    상기 제2용기(42)와 제2덮개(44) 및 제1전송부(45)를 감싸서 상기 제2용기(42)에 수용된 쑥(1)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름망토(46)와,
    양단이 상기 받침대(4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2용기(42)의 상부에 둘러져 상기 제2용기(42)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몸체(10)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1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멍(11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봉(62)이 용이하게 안치되도록 하는 다수의 제2안치홈(112)이 형성되는 평판(110)과,
    상기 평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평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다리(120)와,
    상기 평판(110)의 일단 중심 상면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구멍(130)과,
    사용자(2)의 머리가 안정적으로 안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결합구멍(130)과 대응되는 2개의 결합돌기(141)가 형성되어 간편히 탈착되는 목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110)의 삽입구멍(111)을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몸체(10)의 타단에 이송봉(150)을 결합 고정하여, 사용자(2)가 상기 이송봉(150)을 전후방향으로 밀게되면 상기 몸체(1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구멍(111)의 내측면은 상기 몸체(10)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안내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110)에 형성된 삽입구멍(111)의 양단에는 미관상 수려하게 커튼부재(160)를 더 형성하되, 상기 커튼부재(160)는,
    상기 평판(110)에 형성된 삽입구멍(111)의 양측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커튼레일(161)과,
    양측이 상기 커튼레일(111)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튼레일(111)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커튼(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튼(112)의 양끝단은 상기 몸체(10)의 외측면과 상기 평판(110)의 내면에 각각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70)과,
    하부는 상기 결합홈(170)에 삽입 고정되며, 상부에는 거치고리(181)가 형성되는 거치대(180)와,
    뜸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에 쑥(1)이 수용되어 사용자(2)의 눈 부위와 목 부위에 뜸을 수행하는 제3뜸질기구(190)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거치대(180)의 거치고리(18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3뜸질기구(190)에 결합되는 연결밴드(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8. 상기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뜸질기구(190)는,
    상부에는 쑥(1)이 수용되는 제3수용홈(191a)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2삽입홈(191b)이 형성되되, 상기 제3수용홈(191a)의 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191d)이 형성되는 제3용기(191)와,
    상기 제3용기(191)에 형성된 제3수용홈(191a)의 저면에 밀착 형성되어 상기 제3수용홈(191a)에 형성된 관통구멍(191d)으로 쑥(1)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걸름망(192)과,
    상기 제3용기(191)에 형성된 제3수용홈(191a)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으로, 중심 부근에는 관통구멍(193a)이 형성되는 제3덮개(193)와,
    내부 중심은 관통되되, 타단은 상기 제3용기(191)의 제2삽입홈(191b)에 삽입되며, 일단은 오목한 굴곡(194a)이 형성되어 소정의 굴곡을 갖는 눈 부근이나 목 부근을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2전송부(1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KR1020100059350A 2010-06-23 2010-06-23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KR20110139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350A KR20110139335A (ko) 2010-06-23 2010-06-23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350A KR20110139335A (ko) 2010-06-23 2010-06-23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335A true KR20110139335A (ko) 2011-12-29

Family

ID=4550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350A KR20110139335A (ko) 2010-06-23 2010-06-23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33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769A (zh) * 2016-01-07 2016-04-20 韩介忠 一种炜熿灸疗新型疚疗床及疚疗药物配方
CN106691829A (zh) * 2016-06-30 2017-05-24 温州市久章艾灸研究所 一种多功能艾灸盒
CN108013979A (zh) * 2016-10-31 2018-05-11 天津市穗侨保安电子有限公司 一种约束床
KR101875032B1 (ko) * 2018-02-13 2018-07-05 고봉구 황토 뜸기구
CN110812206A (zh) * 2019-11-19 2020-02-21 李养允 一种内分泌临床的可调节式艾熏装置
CN111358695A (zh) * 2019-01-11 2020-07-03 刘慧敏 一种智能艾灸床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769A (zh) * 2016-01-07 2016-04-20 韩介忠 一种炜熿灸疗新型疚疗床及疚疗药物配方
CN106691829A (zh) * 2016-06-30 2017-05-24 温州市久章艾灸研究所 一种多功能艾灸盒
CN108013979A (zh) * 2016-10-31 2018-05-11 天津市穗侨保安电子有限公司 一种约束床
KR101875032B1 (ko) * 2018-02-13 2018-07-05 고봉구 황토 뜸기구
CN111358695A (zh) * 2019-01-11 2020-07-03 刘慧敏 一种智能艾灸床
CN110812206A (zh) * 2019-11-19 2020-02-21 李养允 一种内分泌临床的可调节式艾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335A (ko) 사용의 편의성을 갖는 쑥뜸용 침대
CN102335090B (zh) 熏蒸治疗床
CN105996548B (zh) 趴式支撑椅以及包含该支撑椅的办公套件
CN210872981U (zh) 双持式艾灸装置
CN210020313U (zh) 一种颈椎艾灸枕
CN212662248U (zh) 一种医疗用儿童防烫装置
CN104644422A (zh) 一种带有挂衣架和滑槽的艾灸床
KR20140000094U (ko) 의자 좌판구조
KR200466096Y1 (ko) 머리받침기능을 구비한 샴푸 보조장치
CN206454000U (zh) 艾灸盒
CN205832280U (zh) 一种多功能折叠输液椅
CN210844247U (zh) 一种立式多功能家用艾灸架
CN215460170U (zh) 一种组合式艾灸仓
KR200393471Y1 (ko) 기름 비산 방지망
CN214596495U (zh) 一种便于清理的人体接触式艾灸盒
CN203329197U (zh) 烤灯灯罩架
CN213312374U (zh) 一种儿科用固定效果好的输液板
CN213696340U (zh) 一种负离子理疗床垫
CN208228740U (zh) 一种新型药枕
CN217245555U (zh) 一种可调节防烫伤的温针灸辅具
JP7384591B2 (ja) 健康装置及び健康装置の使用方法
CN213219107U (zh) 便携式艾灸装备
CN215779849U (zh) 一种多功能针灸熏蒸按摩器
CN218979985U (zh) 一种两用式儿科输液架
CN217908270U (zh) 一种医疗保健用艾灸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