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723A - Bill hand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ill handl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723A
KR20110137723A KR1020110048860A KR20110048860A KR20110137723A KR 20110137723 A KR20110137723 A KR 20110137723A KR 1020110048860 A KR1020110048860 A KR 1020110048860A KR 20110048860 A KR20110048860 A KR 20110048860A KR 20110137723 A KR20110137723 A KR 2011013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handling apparatus
banknotes
bi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3243B1 (en
Inventor
도모요 다카이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7Detecting defacement or contamination, e.g. dir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Abstract

PURPOSE: A paper money handling apparatus is provided to store one kind of paper money in a left or right cros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kind of paper money, thereby easily classifying various kinds of paper money. CONSTITUTION: A temporary storage part(13) temporary stores paper money. A paper money shift roller(504) rotated by a motor is installed in neighborhood of a paper money gateway(E). A return member returns the paper money. A paper money storage part stores the paper money returned by the return member. A paper money transfer member transfers the paper money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eturn direction of the paper money.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BILL HANDLING APPARATUS}Banknote handling device {BILL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handling apparatus for handling bills.

종래, 고객의 조작에 의거하여 현금 출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면 현금자동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가 공지되어 있다. 이 현금자동입출금기에는, 이용자에 의해 입출금되는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취급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현금자동입출금기를 「ATM」이라고 기재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for example,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s known a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ash withdrawal service based on a customer's operation. This automatic teller machine has a built-in bill handling apparatus for handling bills to be withdrawn and withdrawn by the user. In the following,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s described as "ATM".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를 수납 및/또는 방출하는 지폐 수납고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ATM에 내장되는 지폐 취급 장치에는, 용도별로 설치된 지폐 수납고로서, 일시 보관고와, 리사이클고와, 회수고가 구비되어 있다.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has a banknote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and / or discharges banknotes. For example, the bill handling apparatus built into an ATM is provided with a temporary storage, a recycling warehouse, and a collection warehouse as a banknote storage provided for every use.

상술한 일시 보관고에는, 입출금 처리 중의 지폐가 일시적으로 보관된다. 리사이클고에는, 입금 처리시에 재이용 가능한 진권(眞券)으로 감별된 입금 지폐가 수납된다. 또한, 이 리사이클고에 수납된 입금 지폐는, 출금 처리시에는 출금 지폐로서 당해 리사이클고로부터 방출된다. 회수고에는, 입금 처리시에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 혹은 오손(汚損)이나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나, 마찬가지로 입금 처리시에 위권(僞券)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 또한 이용자가 취출 망각한 출금 지폐 등이 수납된다. 한편, 상술한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이란, 예를 들면 시장으로부터 회수할 필요가 있는 구(舊)지폐 등이다.In the temporary storage mentioned above, banknotes during a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recycling bin, the transfer banknotes discriminated by reusable real ticket at the time of deposit processing are stored. In addition, the transfer banknote stored in this recycling store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aid recycling store as a withdrawal banknote at the time of withdrawal processing. The receivable shall include notes that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true or unusable real or impure or damaged real rights at the time of the deposit, or similarly identified as suspected or improper by the time of the deposit; Moreover, the withdrawal banknote etc. which the user forgot to take out are stored.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unusable true right is, for example, old banknotes that need to be recovered from the market.

여기에서, 각 지폐 수납고 내의 측벽간의 폭은, 지폐 취급 장치에서 취급 가능한 지폐의 치수에 맞춰 각각 설계되어 있다.Here, the width | variety between the side walls in each banknote storage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the banknote which can be handled by a banknote handling apparatus, respectively.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지폐 수납고 내, 일시 보관고나 회수고에는, 지폐 취급 장치에 입금된 모든 금종의 지폐가 수납된다. 이 때문에, 각 고(庫)의 측벽간의 폭은, 취급 대상 지폐의 최대 치수에 맞춰 설계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e above-mentioned banknote storage, the temporary storage and the collection | recovery storage, all the banknotes of the gold species deposited 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are accommodated. For this reason, the width | variety between each high side wall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largest dimension of the banknote to be handled.

이에 대하여, 리사이클고에는, 재이용 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이며, 또한 특정한 일금종(一金種)(예를 들면, 일천엔)의 지폐가 수납된다. 이 때문에, 지폐 취급 장치 내에는, 취급 대상 지폐의 금종의 수와 동일한 수의 리사이클고가 구비되어 있고, 각 리사이클고의 측벽간의 폭은, 미리 설정된 일금종의 지폐의 치수에 맞춰 설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ycling bin, banknotes that are discriminated by reusable true denominations are stored, and banknotes of a particular coin species (for example, one thousand yen) are stored. For this reason, 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the recycling height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gold species of a banknote to be handled is provided, and the width between the side walls of each recycling height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the banknote of the coin type set previously.

따라서, 예를 들면 대소(大小) 다양한 치수의 지폐가 유통하는 나라에서 사용되는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취급 대상 지폐의 최대 치수에 맞춰 설계된 일시 보관고의 측벽간 거리와, 취급 대상 지폐의 최소 치수에 맞춰 설계된 리사이클고의 측벽간 거리에, 큰 차이가 생길 경우가 있다.Thus, for example, in a bill handling apparatus used in a country where bills of various sizes vary in size, the distance between sidewalls of temporary storages designed to the maximum dimensions of bills to be handled and the minimum dimensions of bills to be handled are matched. There may be a big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designed recycling store.

이 경우, 일시 보관고로부터 방출된 지폐가,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중심으로부터 반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좌우 방향)으로 크게 어긋난(편위(偏位)된) 상태로 반송되면, 반송처의 리사이클고의 취입구에 걸리는 등 해서, 당해 리사이클고 내에 정상적으로 수납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anknote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is conveyed in the state shifted | deviated larg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onveyanc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conveyance path which conveys a banknote, it is recycled of a conveyance destination It may be caught by an intentional inlet, and may not be able to be stored normally in the said recycling | recycling warehouse.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특허문헌 1에는, 일시 보관고 등의 지폐 수납고 내에 있는 지폐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편위 조작 수단이 설치된 지폐 취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atent document 1 mentioned later discloses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bias operation means which can move the banknote in a banknote storage, such as temporary storage, to arbitrary positions.

일본국 특개2009-163721호 공보JP 2009-163721 A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폐 취급 장치에서는, 상술한 편위 조작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일시 보관고 내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폐의 편위를 수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시 보관고로부터 회수고로 반송된 지폐도, 어긋남(편위)이 없는 상태로 당해 회수고 내에 정상적으로 수납된다.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of the said patent document 1, the deviation of a banknote can be correct | amended by moving the banknote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to the left-right direction by the above-mentioned bias operation means, for example. For this reason, the banknotes convey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to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are also normally stored in the said collection | recovery state without the shift | deviation (deviatio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고에는,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 오손이나 손상이 심한 진권, 위권 또는 위권의 의심이 있는 권, 취출 망각권이라고 하는 다양한 종별의 지폐가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금융 기관의 계원 등이, 회수고 내의 지폐를 회수할 경우에, 당해 회수고 내의 지폐가 어긋남 없이 수용되어 있으면, 종별마다의 지폐의 분류 작업이 곤란해진다. 예를 들면, 회수고 내의 지폐로부터 위권의 의심이 있는 권을 추출하거나, 취출 망각권을 추출하거나 할 때에, 많은 수고와 시간을 요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bills contain various types of bills, such as unreusable true right, seriously badly damaged or damaged right handful, right or suspected right or wrong right, and take-out forgetting right.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a banker or the like of a financial institution collects banknotes in a collection, if the banknotes in the collection are accommodated without misalignment, it becomes difficult to sort the bills for each type. For example, a lot of trouble and time are required when extracting the suspected wrong ticket from the banknote in the collection, or extracting the right of forgetting.

또한, 종래, 지폐의 어긋남의 유무에 관계없이,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와, 이용자가 취출 망각한 진권의 출금 지폐가, 동일한 지폐 수납고 내에 혼재할 경우, 이것들을 육안관찰에 의해 판단해서 분류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In addition, when a banknote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being inferior in the past, regardless of the misalignment of a banknote, and the withdrawal banknote of the true ticket which the user forgot to take out are mixed in the same banknote storage, these are judged by visual observation. It was very difficult to sor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동일한 지폐 수납고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할 경우에, 특정한 종별의 지폐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지폐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 handl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classify bills of a specific type when bill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same bill storage.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취급 장치는,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당해 지폐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폐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서 수납되는 지폐 수납고에 수납해야할 지폐 중, 특정한 종별의 지폐를 지폐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시킨다.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banknote which moves a banknote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means which conveys a banknote, the banknote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the banknote conveyed by the said conveying means, and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aid banknote. The banknote of a specific kind is moved by the banknote movement means among the banknotes provided with the movement means and the banknotes to which the banknotes from which a kind differs are mixed are accommodated.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지폐 수납고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할 경우에, 특정한 종별의 지폐에 대해서는, 지폐 수납고 내에서의 횡방향의 수납 위치가 다른 지폐와는 상이하므로, 특정한 종별의 지폐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bill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same bill holder, the bills of a particular type are different from the bil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bill holder, so that bills of a particular type are easily made. Can be classified.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특정한 종별로서, 복수의 종별이 설정되어 있고, 지폐 이동 수단은 종별마다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지폐를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종별마다 지폐 수납고 내에서의 횡방향의 수납 위치가 상이하므로, 복수의 종별의 지폐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In the bill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ypes are set for each specific type, and the bill moving means may move the bills to a preset position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is, since the storing position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banknote storage differs for every kind, a banknote of several types can be sorted easily.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폐가 특정한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의 결정은, 예를 들면 감별 수단에 의한 지폐의 감별 결과에 의거해서 행할 수 있다.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 banknote is a banknote of a particular type can be performed based on, for example, the result of the banknote discrimination by the discriminating means.

이 경우, 특정한 종별의 지폐로서는, 예를 들면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오손 혹은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위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 등을 생각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banknote of a particular type, for example, a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unreusable true ticket, a banknote discriminated by a dirty or severely damaged ticket, a banknote discriminated by a false permission, or a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suspected false authority may be considered. .

이렇게 함으로써 육안관찰에 의해 판단해서 분류하는 것이 곤란한 지폐, 예를 들면 위권임이 의심되는 지폐여도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In this way, even a banknote which is difficult to classify and classified by visual observation, for example, a banknote suspected of a false authority, can be easily classifi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지폐의 감별 결과에 의하지 않고, 반송 수단에 의한 지폐의 반송 패턴에 의거하여, 지폐가 특정한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In addition, you may determine whether a banknote is a banknote of a specific kind, based on the conveyance pattern of the banknote by a conveying means, regardless of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a banknote as mentioned above.

이 경우, 특정한 종별의 지폐로서는, 예를 들면 반송 수단의 회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취출 망각 지폐 등을 생각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a banknote of a specific type, for example, the take-out forgetting banknote etc. which are collect | recovered by the collection | recovery operation of a conveying means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의 지폐 취급 장치에 있어서는, 지폐 이동 수단은, 지폐 수납고 중,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의 지폐 취입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knote moving means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anknote inlet of the temporary storage box that temporarily stores the banknote among the banknote storage.

이렇게 함으로써, 일시 보관고에 지폐를 일시 보관하는 단계에서, 미리 지폐의 위치를 어긋나게 해둘 수 있기 때문에, 지폐를 일시 보관고로부터 다른 지폐 수납고로, 위치가 어긋난 상태인 채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지폐 수납고에 지폐를 수납할 때에, 당해 수납고에 있어서, 지폐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납 동작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in the step of temporarily storing the bill in the temporary storage,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can be shifted in advance, so that the banknot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to another bill storage with the position shifted. Therefore, when storing a banknote in another banknot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process for shifting the position of a banknote in the said banknote, and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a storing operation quickly.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지폐 수납고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할 경우에도, 특정한 종별의 지폐에 대해서는, 지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의 수납 위치가 다른 지폐와는 상이하므로, 특정한 종별의 지폐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banknote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same banknote storage box, the banknotes of a particular type of bills are different from the banknotes in which the transverse direction is stor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bills. Can be easily classified.

도 1은 지폐 취급 장치를 구비한 ATM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ATM의 블록도.
도 3은 지폐 취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일시 보관고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일시 보관고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
도 7은 지폐 시프트 롤러의 사시도.
도 8은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 수납 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9는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 수납 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10은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 수납 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11은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 수납 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12는 일시 보관고 내의 지폐 수납 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13은 일시 보관고에 지폐를 수납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TM provided with a bill handling apparatus.
2 is a block diagram of an ATM.
3 is a sid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ill handling apparatus.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bill handling apparatus.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orage.
Figure 6 is a top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orag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knote shift roller.
8 is a top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oring bills in the temporary storage.
9 is a top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oring bills in the temporary storage.
10 is a top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oring bills in the temporary storage.
11 is a top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oring bills in the temporary storage.
12 is a top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oring bills in the temporary storage.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in the case of storing bills in a temporary storage.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후술하는 도 1 ~ 도 12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in FIGS. 1-12 mentioned later,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or corresponding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지폐 취급 장치(100)를 구비한 ATM(30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ATM 300 provided with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which i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M(300)은, 상술한 지폐 취급 장치(100)와, 본체 제어 장치(201)와, 경화(硬貨) 취급 장치(202)와, 카드 처리 장치(203)와, 통장 처리 장치(204)와, 명세표 발행 장치(205)와, 입력 표시 장치(20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ATM(300)은, 상술한 주된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것들의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1, the ATM 300 includes a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a main body control apparatus 201, a coin handling apparatus 202, a card processing apparatus 203, The passbook processing apparatus 204, the specification table issuing apparatus 205, and the input display apparatus 206 are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the ATM 300 is equipped with various apparatuses other than the main apparatus mentioned abov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of those are abbreviate | omitted.

도 1에 있어서, 지폐 취급 장치(100)는, 이용자의 입금 조작에 의거하여, 지폐 입출금구(11)에 투입(입금)된 지폐를 수납하고, 또한 이용자의 출금 조작에 의거하여, 지폐 입출금구(11)로부터 지폐를 방출(출금)한다.In FIG. 1,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accommodates the banknotes put into (banking) the banknote in / out bank 11 based on the user's deposit operation, and also the banknote in / out bank according to the user's withdrawal operation. (11) A banknote is discharged (withdrawn).

본체 제어 장치(201)는 ATM(3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경화 취급 장치(202)는, 이용자의 입금 조작에 의거하여, 경화 입출금구(202a)에 투입(입금)된 경화를 수납하고, 또한 이용자의 출금 조작에 의거하여, 경화 입출금구(202a)로부터 경화를 방출(출금)한다.The main body control device 20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TM 300. The coin handling device 202 stores the coin put into the coin deposit and exit 202a based on the user's deposit operation, and further cures from the coin deposit and exit 202a based on the user's withdrawal operation. Release (withdraw).

카드 처리 장치(203)는, 카드 삽입구(203a)에 삽입된 이용자의 카드에 대하여, 카드 정보를 판독하는 등의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한다. 통장 처리 장치(204)는, 통장 삽입구(204a)에 삽입된 이용자의 통장에 대하여, 거래 내용을 인자(印字)하는 등의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명세표 발행 장치(205)는, 이용자가 ATM(300)에서 행한 거래의 명세표를 작성하고, 발행구(205a)로부터 당해 거래 명세표를 배출한다.The card processing apparatus 203 perform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such as reading car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ard of the user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slot 203a. The bankbook processing apparatus 204 performs predetermined processing, such as printing the transaction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bankbook of the user inserted into the bankbook insertion port 204a. The statement list issuing device 205 creates a statement of a transaction performed by the user at the ATM 300, and discharges the transaction statement from the issuing port 205a.

입력 표시 장치(206)는, 각종 거래의 선택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입력 화면 등을 표시부(206a)에 표시함과 함께, 이용자가 표시부(206a)에 있어서 입력한 조작 내용을 접수한다.The input display device 206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206a, an input screen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 selection operations, and accepts the operation contents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206a.

도 2는 ATM(300)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지폐 취급 장치(100)와, 경화 취급 장치(202)와, 카드 처리 장치(203)와, 통장 처리 장치(204)와, 명세표 발행 장치(205)와, 입력 표시 장치(206)는, 버스(210)를 통해 본체 제어 장치(201)와 접속되어 있어, 본체 제어 장치(201)의 제어 하에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TM 300. The bill handling apparatus 100, the coin handling apparatus 202, the card processing apparatus 203, the bankbook processing apparatus 204, the specification list issuing apparatus 205, and the input display apparatus 206 shown in FIG.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control device 201 via the bus 210, and performs an operation necessary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control device 201.

본체 제어 장치(201)는, 상기한 것 외에, 기억 장치(207)와, 통신 장치(208)와, 전원 장치(209)와도 버스(210)로 접속되어 있어, 필요한 데이터의 주고받기 등을 행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에는 직접 관계가 없기 때문에,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main body control device 201 is also connected to the memory device 207, the communication device 208, and the power supply device 209 by the bus 210 so as not to exchange necessary data. However, since there is no direct relation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3은 지폐 취급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폐 취급 장치(100)는, 주로 지폐 입출금구(11),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지폐 감별부(12), 입금 처리중의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13), 지폐 감별부(12)에서 위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회수하는 회수고(14), 지폐 감별부(12)에서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오손이나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나, 마찬가지로 지폐 감별부(12)에서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 혹은 이용자가 지폐 입출금구(11)로부터 취출 망각한 지폐 등을 회수하는 회수고(15), 지폐 감별부(12)에서 재이용 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입금 지폐를 수납하고, 출금 처리시에는 수납한 지폐를 출금 지폐로서 방출하는 리사이클고(16 ~ 18), 및 상기의 각부(各部)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19)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로(19)는 도시 생략한 반송 벨트나 반송 롤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PM은 지폐를 나타내고 있다.3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ill handling apparatus 100.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mainly includes a banknote entry and exit 11, a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that discriminates banknotes, a temporary storage 13 temporarily storing a banknote during the deposit processing, and a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A collection (14) for recovering the banknotes discriminated from the top right, the banknotes discriminated with the real ticket which cannot be reused in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the banknotes discriminated with the serious damage or serious damage, or similarly in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Banknotes that have been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misconduct or banknotes for which the user collects forgotten notes taken out of the banknotes and withdrawals 11 and the like are stored, and the banknotes discriminated by the reusable true right at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are stored. At the time of withdrawal processing, recycling bins 16 to 18 for discharging the banknotes stored as withdrawal banknotes and a conveyance path 19 for conveying the banknotes in the respective sections are provided. The conveyance path 19 is comprised with the conveyance belt, conveyance roller, etc. which were not shown in figure. PM represents banknotes.

또한, 리사이클고(16 ~ 18)는, 지폐 취급 장치(100)에서 취급 가능한 지폐의 금종마다 설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리사이클고(16)에는, 금종이 일천엔인 지폐가 수납된다. 또한, 리사이클고(17)에는, 금종이 오천엔인 지폐가 수납된다. 또한, 리사이클고(18)에는, 금종이 일만엔인 지폐가 수납된다.In addition, the recycling bins 16-18 are provided for every kind of banknote which can be handled by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FIG. For this reason, banknotes of 1,000 yen are stored in the recycling bin 16, for example. In the recycling bin 17, banknotes of 5,000 yen in paper type are stored. In the recycling bin 18, banknotes of 10,000 yen in paper money are stored.

부호 2 및 3은, 각각 리사이클고(16 ~ 18)에 설치된 반송 롤러 및 시트 롤러, 부호 5는 지폐(PM)를 입위(立位) 상태로 유지하는 누름판이다. 부호 6은 지폐의 통과를 검지하는 통과 센서, 부호 7은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게이트, 부호 8은 지폐 입출금구(11) 내에 투입된 지폐를 수납하는 호퍼(hopper), 부호 9는 주로 리젝트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반환하기 위한 리젝트 스태커, 부호 10은 지폐 취급 장치(100)의 케이싱이다. 또한, 일시 보관고(13)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2 and 3 are the conveyance rollers and the sheet rollers provided in the recycling bins 16-18, respectively, and the code | symbol 5 is the press board which hold | maintains banknote PM in a standing state.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pass sensor for detecting the passage of the banknote, reference numeral 7 denotes a gate for switch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hopper for accommodating the banknotes inserted into the banknote 11, and the reference 9 mainly rejects. The reject stacker and code | symbol 10 for returning a used banknote to a user are casings of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detail of the temporary storage 13 is mentioned later.

여기에서, 상술한 일시 보관고(13), 회수고(14 및 15), 리사이클고(16 ~ 18)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폐 수납고의 일 실시형태이다. 반송로(1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송 수단의 일 실시형태이다. 또한, 지폐 감별부(12) 및 후술의 제어부(20)(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감별 수단의 일 실시형태이다.Here, the temporary storage 13, collection | recovery storage 14 and 15, and the recycling storage 16-18 which were mentioned above are one Embodiment of the banknote storage in this invention. The conveyance path 19 is one Embodiment of the conveyance means in this invention. In addition,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12 and the control part 20 (FIG. 4) mentioned later are one Embodiment of the discrimination means in this invention.

다음으로, 지폐 취급 장치(100)의 일반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입금 거래시에는, 지폐 입출금구(11)에 투입된 지폐를 한 매씩 분리하며, 지폐 감별부(12)에서 지폐의 금종, 진위 등을 감별하고, 일시 보관고(13)에 일단 수납한다. 이 때, 지폐 감별부(12)에서 감별할 수 없었던 지폐나, 반송 중의 기울어짐이나 반송 간격이 이상해진 지폐는, 직접 지폐 입출금구(11)의 리젝트 스태커(9)에 반송되어, 이용자에게 반환된다.Next,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bill handl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t the time of a deposit transaction, the banknotes put into the banknote entry / exit 11 are separated one by one, the bank discrimination part 12 discriminates the kind, authenticity, etc. of the banknotes, and is onc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At this time, the banknote which could not be discriminated by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12 and the banknote which became inclined and conveyance interval during conveyance are conveyed directly to the reject stacker 9 of the banknote entrance / exit 11, and conveyed to a user Is returned.

입금 거래의 성립 후는, 지폐를 일시 보관고(13)로부터 반출하고, 지폐 감별부(12)에서 지폐를 다시 감별한 후,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오손이나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 등은, 회수고(15)에 수납된다. 위권이라고 감별된 지폐는, 회수고(14)에 수납된다. 또한, 재이용 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당해 지폐의 금종에 대응하는 리사이클고(16 ~ 18)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한다. 출금시에는, 해당하는 리사이클고(16 ~ 18)로부터 출금 지폐를 소정의 매수만큼 속출하여, 지폐 입출금구(11)로 반송한다.After the deposit transaction is established, the banknotes are taken out from the temporary storage 13, the banknotes are discriminated again by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and the banknotes discriminated by the real ticket which cannot be reused, and the banknotes discriminated by the dirty or severely damaged real ticket. Banknotes and the like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misconduct are stored in the collection room 15. Banknotes discriminated as false powers are stored in collection 14. In addition,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real ticket which can be reused is stored in any one of recycling bins 16-18 corresponding to the paper type of the banknote. At the time of withdrawal, the withdrawal banknotes are drawn out by the predetermined number from the corresponding recycling store 16-18, and are conveyed to the banknote entry / exit opening 11.

도 4는 지폐 취급 장치(10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지폐 감별부(12)와 센서(6)에 더해, 반송 모터(30),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 및 솔레노이드(32)가 제어부(20)와 접속되어 있어, 각 블록은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반송 모터(30)는, 반송로(19)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이며,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솔레노이드(32)는 게이트(7)를 전환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나, 지폐 입출금구(11)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등을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bill handling apparatus 100. In addition to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12 and the sensor 6 shown in FIG. 3, the conveyance motor 30,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and the solenoid 32 are connected with the control part 20, and each block is The necessary opera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The conveyance motor 30 is a motor for driving the conveyance roller in the conveyance path 19, and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is a motor for moving a banknote laterally with respect to a conveyance direction, as mentioned later. to be. The solenoid 32 includes a solenoid for switching the gate 7, a soleno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anknote 11 and the like.

제어부(20)는 버스(210)(도 2)를 통해 본체 제어 장치(201)와 접속되어 있어, 본체 제어 장치(201)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취급 장치(100)의 상태 검출에 따라, 지폐 취급 장치(100)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지폐 취급 장치(100)의 상태를 필요에 따라 본체 제어 장치(201)에 보낸다.The control part 20 is connected with the main body control apparatus 201 via the bus 210 (FIG. 2), and handles a banknot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main body control apparatus 201, and the state detection of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FIG. Control of the device 100 is performed. Moreover, the control part 20 sends the state of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to the main body control apparatus 201 as needed.

도 5는 지폐 수납고의 하나인 일시 보관고(13)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일시 보관고(13)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orage 13 which is one of the bank notes, and FIG. 6 is a top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emporary storage 13.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이 일시 보관고(13)는 지폐(PM)를 입위 상태로 집적한다. 또한, 지폐의 취입 방출 기구는, 반송 롤러(501)와, 시트 롤러(502)와, 누름판(503)과, 지폐 시프트 롤러(504)와,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와, 반송 벨트(505)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부호 13a, 13b는 일시 보관고(13)의 측벽이다.In FIG. 5 and FIG. 6, this temporary storage 13 accumulates banknotes PM in a standing state. In addition, the blow-out mechanism of a banknote includes the conveyance roller 501, the sheet roller 502, the press plate 503,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and the conveyance belt 505. It consists of). In FIG. 6, reference numerals 13a and 13b denote side walls of the temporary storage 13.

반송 롤러(501)는 입금시는 도 5 중의 반시계 방향(RT)으로 회전함으로써 도면 중의 지폐(PM)를 수납 방향(B)으로 반송하여, 일시 보관고(13) 내에 취입한다.The conveyance roller 501 conveys banknote PM in drawing in the storage direction B by rotating in counterclockwise direction RT in FIG. 5 at the time of deposit, and blows into temporary storage 13.

시트 롤러(502)는 회전축 둘레에 시트 형상의 블레이드 부재(50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 롤러(502)는, 입금시는 도 5 중의 시계 방향(T)으로 회전함으로써, 블레이드 부재(502a)를 이용하여, 일시 보관고(13) 내에 들어온 지폐(PM)를 누름판(503)에 가압한다.The sheet roller 502 has a sheet-like blade member 502a around the rotation axis. In addition, the sheet roller 502 rotates to the clockwise direction T in FIG. 5 at the time of deposit, and uses the blade member 502a to press the banknote PM which entered the temporary storage 13 to the press board 503. FIG. Pressurize.

누름판(503)은 제어부(20)(도 4)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매수의 지폐(PM)가 가압된 것이 검출되면, 당해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에 의거하여 수납 방향(B)으로 후퇴한다. 이에 따라, 일시 보관고(13) 내에 지폐(PM)가 수납되어 간다.When the pressing plate 503 detects that the preset number of bills PM is pressed by the control unit 20 (FIG. 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the pressing plate 503 is driven based on the driving of a motor (not shown). Retreat in the storage direction B. Thereby, banknote PM i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 보관고(13) 내의 취입구(E)의 근방에 2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모터(31)의 축에 지폐 시프트 롤러(504)가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wo banknote position control motors 31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take opening E in the temporary storage 13, and a banknote shift roller 504 is attached to the axis | shaft of each motor 31. As shown in FIG. ) Is attached.

지폐 시프트 롤러(504)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홈(504a)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홈(504a)에 지폐(PM)의 하단이 끼워넣어진 상태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모터(31)와 연동해서 지폐 시프트 롤러(504)가 회전하여, 지폐(PM)가 도 6 중의 우측 방향(R) 또는 좌측 방향(L)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지폐(PM)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작한다. 여기에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 및 지폐 시프트 롤러(50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폐 이동 수단의 일 실시형태이다.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is formed in the drum shape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and has the groove 504a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n, when the banknote position control motor 31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banknote PM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04a,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cooperates with the motor 31. By rotating, the banknote PM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direction R or the left direction L in FIG. Thereby,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PM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operated. Here, the banknote position control motor 31 and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are one Embodiment of the banknote movement means in this invention.

반송 벨트(505)는 반송로(19)(도 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반송 벨트(505)는 수납 방향(B)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반송 벨트(505) 상에 있는 지폐(PM)를 반송한다.The conveyance belt 505 comprises a part of the conveyance path 19 (FIG. 3). The conveyance belt 505 conveys banknote PM on the conveyance belt 505 by moving in the storage direction B or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일시 보관고(13) 내에 수납한 지폐(PM)를 방출할 경우에는, 반송 롤러(501), 시트 롤러(502), 누름판(503)을 상술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시킨다.In addition, when discharging the banknote PM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the conveyance roller 501, the sheet roller 502, and the presser plate 503 are rotated or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mentioned dire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지폐 취급 장치(100)의 특징인 지폐의 위치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위치 조작이란, 특정한 종별의 지폐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특정한 종별의 지폐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오손 혹은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위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 등이 있다. 따라서, 지폐 감별부(12)의 감별 결과에 의거하여, 지폐가 특정한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Next, the position operation of the banknot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by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Position operation means moving the banknote of a specific kin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a conveyance direction. As a specific kind of banknote, as mentioned above,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unreusable true ticket,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dirty or severe damage,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upper right, or the banknote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being false, etc. are mentioned. Therefore,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12,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banknote is a banknote of a specific kind.

특정한 종별의 지폐에 대하여 위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ATM(300)(도 2)이 구비하는 기억 장치(207)에는, 일시 보관고(13) 내에 지폐를 수납할 때에, 지폐 감별부(12)에서의 감별 결과에 의거하여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회전시켜서, 지폐 시프트 롤러(504) 상에 놓여 있는 지폐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In order to execute the position operation on the specific type of banknote,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when storing the banknote in the temporary storage 13 is provided in the storage device 207 included in the ATM 300 (FIG. 2). The program for operating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lying on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by rotating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is previously memorized.

예를 들면,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를, 우측 방향(R)으로 이동시켜서 일시 보관고(13) 내에 수납할 경우는, 당해 지폐의 끝을 측벽(13a)(도 6)에 근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시간(회전량) 등에 관한 프로그램이, 기억 장치(207)에 기억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nknote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mishandling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R and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it is necessary to bring the tip of the banknote closer to the side wall 13a (Fig. 6). The program concern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time (rotation amount), etc. of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is memorize | stored in the memory | storage device 207. FIG.

제어부(20)(도 4)는 버스(210)(도 2)를 통해, 본체 제어 장치(201)의 기억 장치(207)로부터 상술한 프로그램을 취득한다.The control unit 20 (FIG. 4) acquires the above-mentioned program from the storage device 207 of the main body control device 201 via the bus 210 (FIG. 2).

지폐 취급 장치(100)(도 3)에서는, 입금 거래가 개시되면, 반송 모터(30)(도 4)를 구동시켜서, 지폐 입출금구(11) 내의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 그리고, 지폐 입출금구(11)에 투입(입금)된 지폐를 한 매씩 분리하고, 지폐 감별부(12)에서 지폐의 금종, 진위, 상태 등을 감별한다. 이 때, 제어부(20)는, 일시 보관고(13)로 반송되는 지폐에 대하여, 지폐 감별부(12)에서의 감별 결과에 의거하는 지폐의 위치 조작의 처리를 개시한다.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FIG. 3), when a deposit transaction starts, the conveyance motor 30 (FIG. 4) is driven and the conveyance of the banknote in the banknote entrance / exit 11 is started. Then, the banknotes inserted (input) into the banknote entry and exit 11 are separated one by one, and the differentiation, authenticity, and the like of the banknotes are discriminated by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At this time, the control part 20 starts processing of the position operation of the banknote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in the banknote discrimination part 12 with respect to the banknote conveyed to the temporary storage 13.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는, 일시 보관고(13)를 향하는 지폐가 지폐 감별부(12)를 통과할 때마다, 당해 지폐의 감별 결과를 지폐 감별부(1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감별된 지폐가 특정한 종별의 지폐일 경우에는, 상술한 프로그램에 따라,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구동한다.Specifically, whenever the banknote toward the temporary storage 13 passes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the control unit 20 obtains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banknote from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And when the discriminated banknote is a banknote of a specific kind,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is driven according to the program mentioned above.

여기에서는, 특정한 종별의 지폐로서,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이하 「의심 위권」이라고 함)를 예로 든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일시 보관고(13)의 취입구(E)로부터 취입된 의심 위권이 시트 롤러(502)에 의해 누름판(503)에 가압되기까지의 사이에, 2개의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도 6에 있어서의 수납 방향(B)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소정 시간만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지폐 시프트 롤러(504)도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 양 회전한다. 이 결과, 지폐 시프트 롤러(504) 상에 놓여 있는 의심 위권은, 반송 방향(수납 방향(B))에 대하여 우측 방향(R)으로 이동한다.Here, as a banknote of a specific kind, the banknote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being a false power (it is called "the doubtful right" hereafter) is taken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 operates the two banknote positions while the suspected authority issued from the inlet E of the temporary storage 13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plate 503 by the sheet roller 502. The motor 31 is rotated clockwise toward the storage direction B in FIG. 6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also rotates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sult, the suspected authority on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moves to the right direction R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storing direction B).

그 결과, 일시 보관고(13) 내의 지폐 수납 상태는,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된다. 도 8에 있어서, PM1은 의심 위권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일시 보관고(13)에 수납되는 지폐 중, 의심 위권(PM1)은 우측 방향(R)으로 시프트된 상태로 수납되고, 의심 위권(PM1) 이외의 지폐(진권을 포함함)(PM)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시프트하지 않는 상태로 수납된다.As a result, the banknote storage state in the temporary storage 13 becomes like FIG. 8, for example. In FIG. 8, PM1 has shown the suspected power. In this way, of the bill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the suspected power authority PM1 is stored in the state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R, and the banknotes (including true power) other than the suspect power authority PM1 are It is stored in the state which does not shift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상과 같이 해서 일시 보관고(13)에 수납된 지폐는, 다음으로 반송로(19)를 통해, 일시 보관고(13)로부터 회수고(14), 회수고(15), 리사이클고(16 ~ 18)에 옮겨가져, 각 고에 재수납된다. 이 경우, 일시 보관고(13) 내의 모든 지폐는, 당해 일시 보관고(13) 내에서의 수용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반송로(19)를 반송되어, 각 고내에 재수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ill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are then collect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13 through the transport path 19, the collection 14, the collection 15, and the recycling 16 to 18. It is moved to and is stored in each store. In this case, all the bank notes in the temporary storage 13 are conveyed in the conveyance path 19 in the state with the accommodation position in the said temporary storage 13 intact, and is re-stored in each warehouse.

따라서, 도 8 중의 의심 위권(PM1)은, 우측 방향(R)으로 시프트된 채의 상태로, 회수고(15)에 수납된다. 한편, 의심 위권(PM1) 이외의 지폐(PM)는, 시프트하지 않은 상태로, 각각의 감별 결과에 따라, 회수고(14), 회수고(15), 리사이클고(16 ~ 18)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다. 즉, 회수고(14)에는 위권이 수납되고, 리사이클고(16 ~ 18)에는 진권이 수납된다.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이나, 오손 혹은 손상이 심한 진권은 회수고(15)에 수납된다.Therefore, the suspected authority PM1 in FIG. 8 i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in the state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R. FIG. On the other hand, banknotes PMs other than the suspected false authority PM1 are not shifted, and any one of the collection bank 14, the collection bank 15, and the recycling bank 16 to 18 according to the respective discrimination results. Is housed in. That is, the power bank is stor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4, and the true power is stored in the recycling warehouses 16-18. The unwritable real hand, or the serious hand whose damage or damage is severe, is stored in the warehouse 15.

이 때문에, 회수고(15)에 수납된 지폐를 회수할 때에, 계원은,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해 있는 지폐가 의심 위권(PM1)인 것을 순시(瞬時)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고(15)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 있어도, 의심 위권(PM1)만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의심 위권일 경우에는, 지폐를 육안관찰한 것만으로는 의심 위권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의심 위권(PM1)을 다른 지폐와 구별해서,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or this reason, at the time of collecting the banknote stor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a cashier can instantly determine that the banknote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is the suspected authority (PM1). Therefore, even if banknote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only doubtful authority PM1 can be extracted easi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uspected authority,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it is a suspected authority only by visual observation of the banknote, bu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uspected authority (PM1) is distinguished from other banknotes, and it extracts quickly and reliably. It becomes possible.

이상의 설명에서는, 특정 종별의 지폐로서 의심 위권을 예로 들었지만,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나, 오손 혹은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등을 특정 종별의 지폐로 해도 된다. 또한, 특정 종별의 지폐의 이동 방향은 우측 방향(R)에 한하지 않고, 좌측 방향(L)이어도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suspected authority was taken as an example of a specific kind of banknote,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real ticket which cannot be reused, the banknote discriminated by the dirt or severe damage,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banknote of the specific class. In addi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of a specific type is not limited to the right direction R, but may be the left direction L. FIG.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특정 종별의 지폐로서 한 종류의 지폐(의심 위권)를 예로 들었지만, 특정 종별의 지폐로서, 두 종류 이상의 지폐를 설정해도 된다. 이하에 그 예를 든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one kind of banknote (when doubtful) was mentioned as a banknote of a specific kind, you may set two or more banknotes as a banknote of a specific kind. The example is given below.

예를 들면, 의심 위권과, 오손 혹은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이하 「오손·손상권」이라 함)의 두 종류의 지폐를, 다른 지폐와 구별해서 분류할 경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 보관고(13) 내에 있어서, 의심 위권(PM2)을 우측 방향(R)으로 이동시키고, 오손·손상권(PM3)을 좌측 방향(L)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의심 위권(PM2)에 대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의 회전 방향과, 오손·손상권(PM3)에 대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two types of banknotes classified as suspicious threats and serious or serious dama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uling and damage rights") are classified and distinguished from other banknotes, as shown in FIG. Similarly, in the temporary storage 13, the suspected false power PM2 is moved to the right direction R, and the fouling and damage right PM3 is moved to the left direction L.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with respect to suspected authority PM2,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with respect to the damage / damage right PM3 to be the opposite direction.

이렇게 함으로써, 의심 위권(PM2)은 우측 방향(R)으로 시프트된 채의 상태로, 또한 오손·손상권(PM3)은 좌측 방향(L)으로 시프트된 채의 상태로, 각각 회수고(15)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회수고(15)에 수납된 지폐를 회수할 때에, 계원은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해 있는 지폐가 의심 위권(PM2)이고, 좌측 방향으로 시프트해 있는 지폐가 오손·손상권(PM3)인 것을 순시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고(15)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 있어도, 의심 위권(PM2) 및 오손·손상권(PM3)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By doing so, the suspected false power PM2 is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R, and the dirty and damaged right PM3 is shifted to the left direction L, respectively. Is housed in. For this reason, when collecting the banknotes stor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room 15, the accountant is a banknote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suspected authority (PM2), and the banknote shifted to the leftward direction is a damage | damage / damage right (PM3). Can be immediately determined. Therefore, even if banknote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suspicion misleading power PM2 and damage | damage right damage PM3 can be extracted easily.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지폐의 시프트 방향에 의해 종별을 구분하지 않고, 지폐의 시프트 위치에 의해 종별을 구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심 위권(PM4)의 우측 방향(R)으로의 시프트량을, 오손·손상권(PM5)의 우측 방향(R)으로의 시프트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의심 위권(PM4)은 오손·손상권(PM5)에 비해 보다 측벽(13a)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는, 의심 위권(PM4)에 대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의 회전량을, 오손·손상권(PM5)에 대한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의 회전량보다 크게 하면 된다.In addition, you may classify by a shift position of a banknote, without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shift direction of a banknote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amount of shift in the right direction R of the suspected authority PM4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the shift in the right direction R of the damage / damage right PM5, it is suspected. The upper roll PM4 is moved to a position closer to the side wall 13a than the damage / damage wound PM5.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the rotation amount of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with respect to the suspected authority PM4 larger than the rotation amount of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with respect to the damage | damage / damage right PM5.

이렇게 함으로써, 의심 위권(PM4)과 오손·손상권(PM5)은, 도 10과 같은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회수고(15)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회수고(15)에 수납된 지폐를 회수할 때에, 계원은, 우측 방향으로 크게 시프트해 있는 지폐가 의심 위권(PM4)이고, 우측 방향으로 조금 시프트해 있는 지폐가 오손·손상권(PM5)인 것을 순시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고(15)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 있어도, 의심 위권(PM4) 및 오손·손상권(PM5)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By doing so, the suspected authority PM4 and the damage / damage right PM5 are stored in the collection room 15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s shown in FIG. 10. For this reason, when collecting the banknotes stor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bank 15, the accountant is the suspected authority (PM4) which the banknote which shifted greatly to the right direction is doubtful, and the banknote which shifted a little to the rightward direction is a damage / damage ticket ( PM5) can be immediately determined. Therefore, even if banknote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the suspected false power PM4 and the damage / damage right PM5 can be extracted easily.

또한, 다른 예로서, 지폐의 시프트 방향과 시프트 위치를 조합시키면, 보다 많은 종별의 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심 위권(PM6)과 오손·손상권(PM7)에 대해서는, 도 10과 마찬가지로, 우측 방향(R)으로 이동시키며, 의심 위권(PM6)의 시프트량을 오손·손상권(PM7)의 시프트량보다 크게 하고,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이하 「재이용 불가능 진권」이라고 함)(PM8)에 대해서는, 좌측 방향(L)으로 시프트시키도록 하면, 세 가지 종별의 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by combining the shift direction and the shift position of the bill, more types of bills can be sor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bout the suspected false power PM6 and the damage / damage right PM7, it shifts to the right direction R similarly to FIG. 10, and shifts the shift amount of the suspected false power PM6. If the shift amount is larger than the shift amount of the damage or damage right (PM7), and shifted to the left direction (L) for the bi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usable true right") (PM8) which has been discriminated by the non-recyclable true ticket, We can classify kind of banknote.

또한,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심 위권(PM9)과 오손·손상권(PM10)에 대해서는, 도 10과 마찬가지로, 우측 방향(R)으로 이동시키며, 의심 위권(PM9)의 시프트량을 오손·손상권(PM10)의 시프트량보다 크게 하고, 위권(PM11)과 재이용 불가능 진권(PM12)에 대해서는, 좌측 방향(L)으로 이동시키며, 위권(PM11)의 시프트량을 재이용 불가능 진권(PM12)의 시프트량보다 크게 하면, 네 가지 종별의 지폐를 분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위권(PM11)만을 수납하는 회수고(14)(도 3)가 불필요해진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about suspicion false power PM9 and the damage / damage right PM10, it shifts to the right direction R similarly to FIG. Is larger than the shift amount of the damage / damage right (PM10), and the shift amount of the top right (PM11) is shifted to the left direction (L), and the shift amount of the top right (PM11) cannot be reused. When larger than the shift amount of PM12), banknotes of four kinds can be sorted. In this case,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4 (FIG. 3) which accommodates only the upper winding PM11 becomes unnecessary.

도 13은, 일시 보관고(13)에 지폐를 수납할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1에서는, 이용자가 표시부(206a)(도 1)의 입력 화면을 조작함으로써, 입금 거래가 개시된다. 스텝 S2에서는, 본체 제어 장치(201)가 지폐 취급 장치(100)에 대하여,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를 지폐 입출금구(11)로부터 반송로(19)로 공급하도록 지시를 보내고, 지폐 입출금구(11)로부터 반송로(19)로 지폐가 한 매씩 속출된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in the case of storing bills in the temporary storage 13. In step S1, a deposit transaction is started by a user operating the input screen of the display part 206a (FIG. 1). In step S2, the main body control apparatus 201 sends an instruction to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to supply the banknote which the user deposits from the banknote entry and exit 11 to the conveyance path 19, and the banknote entry and exit 11 Banknotes are carried out one by one to the conveyance path 19.

스텝 S3에서는, 감별부(12)에 구비되는 각종의 센서에 의해, 지폐 정보의 판독이 행해진다. 스텝 S4에서는, 판독된 지폐 정보에 의거하여, 금종, 진위, 오손·손상권 등의 상태, 기번호(記番號) 등의 판별이 행해진다. 스텝 S5에서는, 판별 처리를 행한 지폐에 대하여, 반송 상태의 이상(스큐(skew)나 겹침 이송 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6에서는, 지폐 상태의 이상(금종 판별 불가능, 접힘 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 S6에서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에서 당해 지폐를 리젝트 스태커(9)로 반송하고,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스텝 S5, S6에서 이상이 없을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한다.In step S3, banknote information is read by the various sensors with which the discrimination part 12 is equipped. In step S4, on the basis of the read banknote information, discrimination is made such as the type of gold, authenticity, damage, damage right, and the like. In step S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nveyance state (skew, overlapping conveyance, etc.) with respect to the banknote which performed the discrimination proces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steps S5 and S6, the bill is returned to the reject stacker 9 in step S9 and returned to the user.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steps S5 and S6, the flow proceeds to step S7.

스텝 S7에서는, 스텝 S4에서 진짜라고 감별된 지폐, 위권의 의심이 있다고 감별된 지폐(의심 위권), 가짜라고 감별된 지폐(위권) 등을, 일시 보관고(13)에 수납한다. 스텝 S8에서는, 일시 보관고(13)에 수납되는 지폐 중, 특정 종별의 지폐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와 지폐 시프트 롤러(504)에 의한 위치 조작을 행하여, 지폐의 위치를 시프트시킨다. 그 후, 스텝 S10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구(11)의 호퍼(8) 내의 지폐가 없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지폐가 없어질 때까지, 스텝 S2 내지 스텝 S10의 처리를 반복한다.In step S7, the banknotes discriminated as genuine in step S4, the banknotes discriminated by the suspected misconduct, the banknotes discriminated by the fake, etc. are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In step S8, among the banknote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and the banknote shift roller 504 as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banknote of a specific type, and the banknote position is performed. Shift. Then, in step S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nknote in the hopper 8 of the banknote entry / exit 11 is missing, and the process of step S2 to step S10 is repeated until a banknote disappears.

이상 기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폐 감별부(12)에서의 감별 결과에 의거하여, 지폐가 특정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했지만, 이것 대신에, 지폐의 반송 패턴에 의거하여, 지폐가 특정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discrimination result in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nknote is a banknote of a specific type, but instead of this, the banknote is specified based on the conveyance pattern of the banknote. You may determine whether it is a kind banknote.

예를 들면, 지폐 입출금구(11) 내에 방치된 채의 취출 망각 지폐를 회수하는 동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당해 취출 망각 지폐를 특정한 종별의 지폐라고 결정하고,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우측 방향(R)으로 시프트시킨다. 이에 따라, 회수고(15)에 수납된 지폐를 회수할 때에, 계원은,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해 있는 지폐가 취출 망각 지폐인 것을 순시에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고(15)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 있어도, 취출 망각 지폐만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f collecting the take-out forgetting paper money left unattended in the pay-out and withdrawal opening 11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ake-out forgetting paper money is a banknote of a specific ty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Shift to (R). Thereby, at the time of collect | recovering the banknot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store 15, a cashier can instantly determine that the banknote shifted to the right direction is a take-out oblivion banknote. Therefore, even if the banknote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only the extraction oblivion banknote can be extracted easily.

또한, 취출 망각 지폐와, 다른 특정 종별의 지폐에 대해, 도 9 ~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지폐 위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특정 종별의 지폐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Moreover, a banknote position operation as shown in FIGS. 9-12 can be sorted easily with respect to a take-out forgetting banknote and another specific type of bankno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지폐 취급 장치(100)에서는, 회수고(15) 내에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 있어도, 특정 종별의 지폐가, 지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서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회수고(15) 내의 특정 종별의 지폐를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which i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even if banknotes of a different kind are mix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15, the banknote of a specific type is a right direction or a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banknote. Since it is shifted away and stored, the banknote of a specific type in the said collection | recovery 15 can be sorted easily.

또한,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의심 위권)에 관해서도, 위치 조작되어서 회수고(15)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육안관찰에 의해 판단해서 분류하는 것이 곤란한 이 종류의 지폐에 관해서도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lls (suspicious bills) discriminated as suspected of misconduct are also located in the collection room 15 after being manipulated, so that this kind of bills that are difficult to judge and classify by visual observation can be easily classified. have.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폐 취급 장치(100)에서는, 일시 보관고(13) 내의 취입구(E)의 근방에,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시 보관고(13) 내에 지폐를 일시 보관하는 단계에서, 미리 지폐의 위치를 어긋나게 해둘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를, 일시 보관고(13)로부터 회수고(15)로, 위치가 어긋난 상태인 채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회수고(15)에 지폐를 수납할 때에, 회수고(15)에 있어서 지폐의 위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납 동작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intake opening E in the temporary storage 13, a banknote is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13; In the step of temporarily storing,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can be shifted in advance. For this reason, a banknote can be conveyed from the temporary storage 13 to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with the position shifted. Therefore, when storing a banknote in the collection | recovery bin 15,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position operation of a banknote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5, and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a storage operation quickly.

본 발명에서는, 이상 기술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류해야할 특정 종별의 지폐가 복수 종류 있을 경우에, 모든 특정 종별의 지폐에 대응할 수 있는 위치 조작의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207)에 기억시켜 두고, 유저의 사양에 따라, 필요한 프로그램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can be adopted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re are plural kinds of bills of a specific type to be sorted, the storage operation program 207 stores the program of the position operation that can correspond to all the bills of the specific type, and according to the user's specifications, the necessary programs are stored. You may make it arbitrary selection.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수고(14)에 위권만을 수납했지만, 회수고(14)에 위권과 의심 위권을 수납해도 된다. 이 경우는, 위권과 의심 위권의 한 쪽에 대해, 수납 위치를 시프트시키면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only the false power wa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 recovery warehouse 14, you may store the false power and doubtful authority in the collection warehouse 14.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hift a storing position with respect to one of the false power and the suspected power.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시 보관고(13)의 취입구(E)의 근방에,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수고(15)의 취입구 근방에 지폐 위치 조작 모터를 설치하여, 수납하는 지폐에 대하여 위치 조작을 행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wa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take opening E of the temporary storage 13,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collection | recovery of the collection | recovery bin 15 is carried out. You may install a banknote position control motor in the vicinity of an entrance, and you may perform a posit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banknotes to receiv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지폐 위치 조작 모터(31)를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폐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범위 내이면, 몇 개 설치해도 상관없다. 이 때문에, 1개만 설치해도 되고, 3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wo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31 was provid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it is in the range which can operate the position of a banknote, you may install how many. For this reason, only one may be installed and three or more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TM(300)에 내장하는 지폐 취급 장치(100)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폐 취급 장치(100)를 현금자동지불기(Cash dispenser)에 내장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built in the ATM 300 was mentioned as an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incorporate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100 in a cash dispenser. .

11 지폐 입출금구
12 지폐 감별부
13 일시 보관고
14 회수고
15 회수고
16 ~ 18 리사이클고
19 반송로
20 제어부
31 지폐 위치 조작 모터
100 지폐 취급 장치
201 본체 제어 장치
207 기억 장치
300 현금자동입출금기
504 지폐 시프트 롤러
11 banknote
12 banknote discrimination department
13 temporary storage
14 times
15 times
16-18 recycle high
19 return path
20 control unit
31 banknote position operation motor
100 banknote handling device
201 main body control unit
207 memory
300 automated teller machines
504 banknote shift roller

Claims (7)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당해 지폐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폐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종별이 상이한 지폐가 혼재해서 수납되는 지폐 수납고에 수납해야할 지폐 중, 특정한 종별의 지폐를 상기 지폐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bills;
A bill compartment for storing bills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Banknote moving means which moves the said banknote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aid banknote,
A bill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moving a bill of a particular type by a bill transfer means, among bills to be stored in a bill compartment in which bills of different types are mixed and sto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종별로서, 복수의 종별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지폐 이동 수단은, 종별마다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상기 지폐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ypes are set for each of the specific types,
The said banknote movement means moves the said banknote to the position previously preset for every kind,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감별 수단에 의한 상기 지폐의 감별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지폐가 특정한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criminating means for discriminating the bills,
A bill handling apparatus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ill is a bill of a particular type, based on a result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bill by the discriminating mea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종별의 지폐는, 재이용 불가능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오손 혹은 손상이 심한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 위권으로 감별된 지폐, 또는 위권임이 의심된다고 감별된 지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rticular kind of banknote is a banknote discriminated by a real ticket that cannot be reused, a banknote discriminated by a dirty or severely damaged real ticket, a banknote discriminated by a false ticket, or a banknote discriminated by a suspected false autho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한 지폐의 반송 패턴에 의거하여, 상기 지폐가 특정한 종별의 지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ill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ill is a bill of a particular type, based on a conveyance pattern of the bill by the conveying mea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종별의 지폐는, 상기 반송 수단의 회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취출 망각 지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ill according to the specific type is a bill oblivion bill collected by the collection operation of the conveying mean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이동 수단은, 상기 지폐 수납고 중, 지폐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일시 보관고의 지폐 취입구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aid banknote movement means is provided in the banknote entrance of the temporary storage which temporarily stores a banknote among the said banknote storages, The banknote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110048860A 2010-06-17 2011-05-24 Bill handling apparatus KR1013632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7908A JP2012003519A (en) 2010-06-17 2010-06-17 Banknote handling device
JPJP-P-2010-137908 2010-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723A true KR20110137723A (en) 2011-12-23
KR101363243B1 KR101363243B1 (en) 2014-02-12

Family

ID=4533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860A KR101363243B1 (en) 2010-06-17 2011-05-24 Bill handl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003519A (en)
KR (1) KR101363243B1 (en)
CN (1) CN10228985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8557A (en) * 2013-03-19 2013-07-1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Paper currency recovery method and paper currency recovery device
CN105023346B (en) * 2015-08-03 2018-01-1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Bill handling device
JP2017102843A (en) * 2015-12-04 2017-06-08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Currency processing machine
CN107507327A (en) * 2017-08-22 2017-12-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A kind of forge or true or paper money distinguishes and process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423Y2 (en) * 1975-06-23 1985-02-19 株式会社東芝 banknote storage device
JPS605423A (en) * 1983-06-22 1985-01-12 Fujitsu Ltd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its production
JPH0233057A (en) * 1988-07-22 1990-02-02 Nec Corp Automatic handling device for paper money
JPH0673150B2 (en) * 1989-04-20 1994-09-14 株式会社沖情報システムズ Banknote deposit / withdrawal device
JP2007320682A (en) * 2006-05-30 2007-12-13 Toshiba Corp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batch card classifying method
JP5274999B2 (en) * 2007-12-12 2013-08-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Banknote handl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89858A (en) 2011-12-21
JP2012003519A (en) 2012-01-05
KR101363243B1 (en) 2014-02-12
CN102289858B (en)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028B2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banknote processing system, banknot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banknote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JP5096042B2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1468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paper sheet sort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sorting system
JP5322770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US6824047B2 (en) Bill handling machine
JP3878791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2003281603A (en) Bill handling device
CN108140273B (en) Media processing device and media processing method
US20090260948A1 (en) Money handling machine
KR101363243B1 (en) Bill handling apparatus
JP5760770B2 (en) Paper sheet loading device
CN106469484B (en) Currency processing device
JP6225715B2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banknote transaction apparatus
JP2021056554A (en) Cash processor
KR100805285B1 (en) Automated teller machime
KR101354514B1 (en) An apparatus for receving and dispensing banknotes/checks in AT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4147972A1 (en) Paper currency-processing device and paper currency-processing method
JP2014220001A (en) Paper money processing apparatus
KR20130138510A (en) An apparatus for receving and dispensing banknotes/checks in at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8097634A (en) Medium storag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KR102573029B1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EP3651125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WO2019159433A1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WO2018084049A1 (en) Money handling machine and money handling method
KR20090019537A (en) Atm having recycle box granted with paper money identific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