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498A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498A
KR20110137498A KR1020100057476A KR20100057476A KR20110137498A KR 20110137498 A KR20110137498 A KR 20110137498A KR 1020100057476 A KR1020100057476 A KR 1020100057476A KR 20100057476 A KR20100057476 A KR 20100057476A KR 20110137498 A KR20110137498 A KR 2011013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vowel
hangul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8141B1 (en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5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141B1/en
Publication of KR2011013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on a touch screen based 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re provided to remarkably reduce an input error which is generated in a narrow display environment by selectively converting the active area of input key according to a basic rule of Korean alphabet based on consonant and vowel. CONSTITUTION: A storage(B10) stores the consonant and vowel of Korean alphabet. A display unit(B20) displays a Korean alphabet keyboard including input keys of the vowel and consonant of the Korea alphabet. An input unit(B30) detects a touch input from consonant and vowel of the displayed Korean alphabet. If the inputted consonant is an initial sound consonant, a controller(B40) activates a vowel input key which can be combined to the initial sound consonant. The controller inactivates a consonant input key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vowel input key. If the collection input key is activated, the input area of the collection input key is expanded and the input area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reduced.

Description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음-모음 입력키 활성 상태를 한글의 기본 원칙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좁은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한글 입력오류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apparatus,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based on a Jamo transform, and more particularly, by changing a consonant-vowel input key activation state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s of Hangu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a device based on a Jamo transform,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최근 전자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한글입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한국인은 영어를 입력하는 경우보다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가 훨씬 많게 되므로,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제공된 축소형 문자 입력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Recently, as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 smaller, a new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effectively implement Hangul input is required. In particular, Koreans are much more likely to input Hangul than to input English, so it is urgent to develop a reduced-size character input device provided with a keypad to easily input Hangul.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제스쳐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방식은 모바일 기기의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Furthermore, a touch method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gesture is used as a general interface method of a mobile device.

터치 방식은 키보드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크게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판 위에 저항성분의 물질을 코팅하여 접촉 시 저항의 변화로 위치를 인식하는 압력식(Resistvie Overlay), 음파의 방해유무로 터치점을 인식하는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고주파 파형을 분석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마주보게 배치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으로 나뉜다. If you touch a character or a specific location on the screen (or screen) without touching the keyboard or the keypad, the touch method detects the location and inputs it directly on the screen so that specific 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the stored software. Describe how you can receive data. In general, the touch panel is coated with a resistive material on a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plate, and is a pressure type (Resistvie Overlay) that recognizes the position due to the change of resistance upon contact, and a surface ultrasonic method (Surface) that recognizes the touch point due to the interference of sound waves. Acoustic Wave), Capacitive Overlay that recognizes touch points by analyzing high frequency waveforms, and Infrared Beam that recognizes touch points by placing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s and light receiving elements facing each other.

이러한 터치 기술들은 모바일 환경에 적용되어 사용자들의 사용성(Usability)을 높이고 있지만, 단말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면서 입력 에러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작아지는 터치패널에 작은 크기의 다수의 한글입력키가 동시에 제공되는 상황은 복잡한 한글 입력을 정확하게 수행하기는 매우 어렵게 한다.These touch technologies are applied to a mobile environment to increase users' usability, but as the size of the terminal decreases, the possibility of input error increases. In particular, a situation in which multiple Hangul input keys of a small size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o a smaller touch panel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perform a complicated Hangul input.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음-모음-자음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터치스크린 상의 한글 입력키의 활성 영역을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방식의 한글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input device, a recording medium, and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active area of the Korean input key on the touch screen is variably changed based on the consonant-vowel-consonant connectivity.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방식의 한글 입력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method of the method that can significantly lower the user's input error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한글 자판 중 자음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초성 자음으로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가 터치스크린에서 활성화되는 단계; 및 (c) 상기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모음이 속하는 한글 음절의 종성 또는 이어지는 한글 음절의 초성의 자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the Jamo conversion, (a) any one of the consonant input keys of the Hangul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input to the consonant; (b) vowel input keys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are activated on a touch screen; And (c) after one of the vowel input keys is input, activating the final consonant of the Hangul syllable to which the vowel belongs or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next Hangul syllable is activated. Provide an input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글 자판은 자음입력키 및 모음입력키가 서로 교번하는 구조이며, 상기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됨에 따라 자음입력키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keyboard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sonant input key and a vowel input key alternate with each other, and a consonant input key may be deactivated as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됨에 따라 모음 입력키의 입력영역은 확대되고 자음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축소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the input area of the vowel input key is enlarged and the input area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reduced.

상기 한글자판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자음 입력키 및 모음 입력키가 서로 교번하며, 상기 초성 자음은 ㅇ, ㅊ, ㅋ, ㅌ, ㅍ, ㅎ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초성 자음이 ㄱ, ㄷ, ㅂ, ㅅ, ㅈ 인 경우, 상기 자음의 쌍자음 여부 결정 후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될 수 있다.In the Hangul keyboard, consonant input keys and vowel input keys alternate with each other in at least some areas, and the initial consonants are any one of?, ㅁ, ㅋ, ㅌ, ㅍ, ㅎ. 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s are a, c, ㅂ, ㅅ, ㅈ,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consonants are consonants, a vowel input key that may be coupled to the consonants may be activ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된 모음에 또 다른 모음이 결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모음에 결합되는 종성 또는 이어지는 한글 음절의 초성에 대응되는 자음 입력키가 활성화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other vowel cannot be combined with the inputted vowel, a consonant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of the final vowel or subsequent Hangul syllables coupled to the vowel is activ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above method.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입력키들을 포함하는 한글 자판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한글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자음이 초성 자음인 경우,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another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based on the Jamo conversion, the device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 display unit displaying a Hangul keyboard includi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 input keys; An input unit to detect a user touch input from the displayed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displayed Hangul; And a controller for activating a vowel input key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when the input consonant is a conson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입력키의 활성화에 따라 자음 입력키를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됨에 따라 모음 입력키의 입력영역은 확대되고 자음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축소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consonant input key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vowel input key, and as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the input area of the vowel input key is enlarged and the input area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reduced.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에서 자음 및 모음의 입력키들은 서로 교번하여 표시되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한글 자판의 자음 및 모음입력키는 자판의 일부 영역에서 교번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keys of consonants and vowels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onsonants and vowel input keys of the Hangul keyboar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alternated in some areas of the keyboard.

또한, 상기 표시부에서 활성화된 모음과 비활성화된 자음 입력키들은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wel activated and the deactivated consonant input keys may be visually distinguishable from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활성화된 모음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모음으로 입력된 후, 상기 모음에 결합하는 종성 또는 그 다음 한글 음절의 초성에 대응되는 자음의 입력키를 활성화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모음에 또 다른 모음이 결합할 수 있는 경우, 모음 입력 후 상기 결합가능한 또 다른 모음의 입력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ny one of the activated vowel input keys is input as a vowel, the control unit activates an input key of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Korean syllable that is coupled to the vowel. If another vowel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ted vowel, the controller may activate an input key of another vowelable vowel after inputting the vowel.

스크린 상에 자음-모음(자모) 입력키가 동일하게 활성화되는 종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은 한글의 기본 원칙에 따라 입력키의 활성 영역을 자음-모음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며, 이로써 좁은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발생하는 입력오류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더 나아가, 자음-모음 및 모음의 순서를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최적화시킬 수 있으므로, 입력 오류 감소와 함께 입력 속도를 높여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 입력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onsonant-vowel (key) input keys are equally activated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converts the active area of the input key based on the consonant-vowel according to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characters, thereby narrowing the display environment.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put errors that occur at. Furthermore, since the order of consonants-vowels and vowels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the input speed can be reduced and the input speed can be increas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Hangul input efficiency on the touch screen.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 전체 및 초기 상태의 자판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모음입력키 영역과 자음입력키 영역이 전체가 아닌 소정 영역(교번 영역)에서만 교번, 교차하는 자판의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1 and 2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a Hangul inpu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entire Hangul input keyboard and the initial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ep diagram of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the vowel input key area and the consonant input key area alternate and cross only in a predetermined area (alternative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llustrate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illustrate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part', '.. group', '.. module', '..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은 자모 입력키를 동일하게 활성화시키거나, 별도의 자모 변환키를 통하여 자음-모음을 동시에 표시하지 않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자음-모음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모두 표시하되, 자음-모음의 활성은 입력되는 한글의 성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of activating the same consonant input key or displaying consonant vowels simultaneously through separate consonant conversion keys, the consonant vowels are displayed on one display, but the consonant vowels are activated. Is optionally convert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Hangul input.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글은 초성인 자음, 중성인 모음, 또 종성인 자음(또는 또 다른 한글 음절의 초성인 자음)의 순서로 입력된다. 즉, 초성 자음이 입력되면, 그 다음으로 모음이 중성으로 선택되어야 하며, 모음 입력 후에는 필연적으로 그 음절에 속하는 종성 자음 또는 이어지는 그 다음 한글 음절의 초성 자음이 입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법칙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Hangul is input in the order of consonant consonant, vowels neutral, and consonant consonant (or consonant consonant of another Hangul syllable). That is, if a consonant is input, the vowel must be selected as a neutral next, and after the vowel input, a consonant consonant belonging to the syllable or a subsequent consonant of the next Korean syllable must be input. This la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초성 자음-중성 모음-종성 자음 (1) primary consonant-neutral vowel-final consonant

예) 안 : "ㅇ" → "ㅏ" → "ㄴ" Ex) Inside: "ㅇ" → "ㅏ" → "ㄴ"

(2) 초성 자음-중성 모음-그 다음 음절의 종성 자음(2) primary consonants-neutral vowels-final syllables of the next syllable

예) 우리 " "ㅇ" → "ㅜ" → "ㄹ"Ex) We "" ㅇ "→" ㅜ "→" ㄹ "

위에서 보듯이 한글입력은 초성 자음 - 중성 모음 - 종성 자음 또는 그 다음 음절의 초성 자음이 입력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성 자음이 입력되어야 하는 순서에서 자음 입력키를 활성화시키고, 반대로 모음이 입력되어야 하는 순서에서는 모음 입력키를 활성화시키는 방식이다. 특히, 본 발명자는 단순히 자음-모음의 활성 순서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음 입력키와 모음 입력키를 인접시키고, 자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는 순서에는 인접한 모음 입력키 영역이 자음 입력키 사이의 경계 영역이 되므로, 인접한 자음 입력키에 의한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As shown above, Hangul input is 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 consonant-neutral vowel-final consonant or consonant of the next syllab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consonant input keys i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consonants should be input, and vice versa in the order in which the vowels should be inpu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or does not simply change the order of active consonants and vowels, but contiguous consonant input keys and vowel input keys. In the order in which the consonant input keys are activated, the adjacent vowel input key areas have a boundary area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Therefore, the input error by the adjacent consonant input keys can be reduced.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키의 부분 확대도이다.1 and 2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a Hangul inpu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자음입력키인 "ㅂ"과 "ㅈ" 사이에 모음인 "ㅠ"가 배치된다. 초성인 자음이 입력되는 순서에서는 "ㅂ"과 "ㅈ" 만이 활성화되는데, 도 1에서는 편의상 활성화된 부분은 회색으로 처리하였다. 이때 자음입력키의 활성화에 따라 그 사이의 모음입력키는 비활성화되는데, 이로써 활성화된 두 자음입력키(ㅂ, ㅈ)는 소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화된 자음입력키는 그 입력 영역(이것은 해당 영역에 대한 터치로써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될 수 있는 유효 면적을 의미한다)이 넓어진 상태이며, 이로써 해당 자음입력키의 근사 지점을 터치하여도 근사 위치의 자음입력키가 터치, 입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vowel “” is disposed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 and “”. Only "ㅂ" and "ㅈ" are activated in the order of input of the consonant of the first consonant. In FIG. 1, the activated part is grayed out.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consonant input keys, the vowel input keys therebetween are deactivated, thereby keeping the activated two consonant input keys (ㅂ, ㅈ)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ated consonant input key is in a state in which its input area (this means an effective area into which consonants or vowels can be input by touching a corresponding area) is widened, thereby Even when the approximate point is touched,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approximate position may be touched and input.

도 2와 같이 활성화된 자음 입력키인 "ㅂ"와 "ㅈ" 중 "ㅂ"을 터치함에 따라 "ㅂ"이 초성자음으로 표시되고, 이후 자음입력키의 비활성화와 함께 모음입력키가 교차하여 활성화된다. 이때 상기 모음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자음 입력키 영역까지 확대되는데, 도 2에서는 모음 "ㅠ"의 입력 영역(A)이 인접한 "ㅂ"와 "ㅈ" 영역까지 확대되며, 자음 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축소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해당 종류의 입력키의 입력 영역의 확대와 축소를 통하여 교번하는 자음-모음 입력키를 이용한 효과적인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2, "ㅂ" is displayed as an initial consonant by touching "ㅂ" among the activated consonant input keys "ㅂ" and "ㅈ", and then the vowel input keys are activated by crossing the deactivated consonant input keys. do. At this time, the input area of the vowel input key is expanded to the consonant input key area. In FIG. 2, the input area A of the vowel “ㅠ” is extended to the adjacent “ㅂ” and “ㅈ” areas, and the input area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shown. Is reduced. Tha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ive Hangul input method using alternating consonant-vowel input keys by enlarging and reducing the input area of a corresponding type of input ke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의 전체도이다. 3 is an overall view of a Hangul input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은 자음입력키 사이에는 모음입력키가, 모음입력키 사이에는 자음입력키가 배치된 구성으로, 자-모-자-모의 순서의 입력키 구성을 갖는다. 이로써, 자음이 입력되는 순서가 되면, 자음만이 활성화되므로, 실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는 도 4에서와 같이 모음입력키 너비만큼 이격된 자음입력키가 된다. 반대로, 모음이 입력되어야 하는 순서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자음입력키 크기만큼 이격된 모음입력키만이 활성화되며, 이로써 인접한 모음입력키를 실수로 터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입력 오류를 피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된 종류의 입력키의 입력 영역을 활성화되지 않은 타 입력키의 범위까지 확대시킴으로써 실제 유효 면적을 확대시켰다. 이는 마치 렌즈를 통하여 자판을 확대시킨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Hangul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wel input key is arranged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and a consonant input key is arranged between the vowel input keys. Has As a result, when the consonants are inputted, only consonants are activated, and thus the input keys that can be input by the actual user become consonant input keys spaced apart by the vowel input key width as shown in FIG. 4. On the contrary, in the order in which the vowels are input, only vowel input keys spaced by the size of the consonant input keys are activated as shown in FIG. 5, thereby avoiding an input error caused by accidentally touching an adjacent vowel input key.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enlarges the actual effective area by expanding the input area of the input key of the activated type to the range of other non-activated input keys as described above. This produces the same effect as enlarging the keyboard through the lens.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의 단계도이다.5 is a step diagram of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은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한글 자판에서 자음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초성 자음으로 입력되는 단계(S110);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가 터치스크린에서 활성화되는 단계(S120); 및 상기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모음이 속하는 한글 음절의 종성 또는 이어지는 한글 음절의 초성의 자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한글 자판은 자음입력키와 모음입력키는 서로 교번(alternating)하도록 배치되며, 이로써 자음입력키 사이에 모음입력키가, 모음입력키 사이에 자음입력키가 배치된다. 이러한 자판 배치를 통하여 자음입력키만이 활성화됨에 따라 인접한 자음을 사용자가 착오로 터치하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모음입력키만이 활성화됨에 따라 인접한 모음을 사용자가 착오로 터치, 입력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a consonant conversion. The method includes inputting one of consonant input keys as an initial consonant in a Hangul keyboard displayed on a touch screen (S110). ); Vowel input keys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are activated on the touch screen (S120); And after inputting any one of the vowel input keys, the end of the Hangul syllable to which the vowel belongs or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next Hangul syllable is activated (S130). In the Hangul keyboard, a consonant input key and a vowel input key are arranged to alternate with each other. Thus, a vowel input key is arranged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and a consonant input key is arranged between the vowel input keys. Through the layout of the keyboard, an error in which a user touches an adjacent consonant by mistake as the consonant input key is activated can be reduced, and an error in which the user touches and inputs an adjacent vowel by mistake as only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전체 자음과 모음 입력키가 전체적으로 교번하는 대신 자음입력키 영역(자음영역)과 모음입력키 영역(모음 영역)이 소정 영역(교번영역)에서 교번하는 구성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sonant input key region (consonant region) and the vowel input key region (collection region) alternate in a predetermined region (alternative region) instead of the entire consonant and the vowel input key alternately. do.

도 6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모음입력키 영역과 자음입력키 영역이 전체가 아닌 소정 영역(교번 영역)에서만 교번, 교차하는 자판의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keyboard in which the vowel input key area and the consonant input key area alternate and cross only in a predetermined area (alternative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자판의 자음입력키는 모음영역의 입력키와 소정 영역에서만 교번하며, 좌측과 우측의 일부는 각각 자음과 모음입력키만이 배치된다. 이로써 자음-모음의 경계효과와 함께, 두 엄지손가락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 발생하는 엄지의 꼬임을 일정 수준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왼쪽에 자음, 우측에 모음이 배열된 QWERTY 구성에 익숙한 사용자가 기존의 입력 패턴을 그대로 기억할 수 있으므로, 학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자음과 모음의 입력키가 번갈아 가며 위치하므로 자모음 순서규칙을 이용하여 오류 감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sonant input keys of the keyboard alternate only with the input key of the vowel area and only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only the consonant and the vowel input keys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boundary effect of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prevented to a certain level. In this case, the user who is familiar with the QWERTY configuration with consonants on the left and vowels on the right can remember the existing input pattern as it is, and it does not require much time and effort for learning. The error reduction effect can be maximized by using the consonant ordering rule.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초기 상태는 초성 자음이 입력되어야 하는 상태이므로, 자음 입력키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활성화된다. Referring to FIG. 7, since an initial consonant is to be input, consonant input keys are activ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음 중 "ㅇ"을 사용자가 터치, 입력한 경우, "ㅇ"이 입력되며, 이와 동시에 자음 "ㅇ"에 결합할 수 있는 모음입력키들이 활성화된다. 활성화에 따라 모음입력키들의 입력 영역(유효 면적)은 인접한 자음입력키 영역까지 확대되며, 인접한 자음 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축소된다. 이 경우, 자음 입력키는 여전히 활성 상태를 유지하나, 다만 그 입력 영역만이 축소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 user touches and inputs "o" among consonants, "o" is input, and at the same time, vowel input key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sonant "o" are activated. Upon activation, the input area (effective area) of the vowel input keys is expanded to the adjacent consonant input key area, and the input area of the adjacent consonant input key is reduced. In this case, the consonant input key remains active, but only its input area may be reduced, which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음 입력키들은 자음 입력키 사이에 모두 또는 일부가 배치되며, 모음입력키의 활성화에 따라 자음입력키는 비활성화된다.As described above, all or part of the vowel input keys are disposed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and the consonant input keys are deactivated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vowel input keys.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7의 자음 입력 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활성화된 모음입력키를 터치하여, 모음을 입력한다. 이로써 "아"라는 한글 음절이 완성된다. 이후 상기 모음에 결합가능한 종성 자음 또는 별도 음절의 초성 자음의 자음입력키가 활성화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user inputs a vowel by touching a vowel input key activ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fter inputting the consonant of FIG. 7. This completes the Hangul syllable "Ah". After that, the consonant input keys of the final consonants or the separate consonants which can be combined with the vowels are activated.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별도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쌍자음 입력키(410)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쌍자음이 가능한 ㄱ, ㄷ, ㅂ, ㅅ, ㅈ은 각각 쌍자음 형태로 바뀐 후 활성화된다. Referring to FIG. 10, when a user inputs a pair of consonant input keys 410 displayed on a touch screen separately, a, c, ㅂ, ㅅ, 가능한, which are available for twin consonants, are activated after being changed into twin consonants.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된 쌍자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입력함에 따라 다시 자음입력키 사이에 전부 또는 일부 배치된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며, 이중 어느 하나(ㅏ)를 터치입력함에 따라 "까"라는 한글 음절이 완성,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11, when a user inputs any one of the displayed double consonant input keys, all or part of the vowel input keys arranged between the consonant input keys are activated again, The Hangul syllable "Ka" is completed and displayed.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초성자음 입력 후 입력된 모음의 경우에도, 입력되는 중성 모음의 성질에 따라 그 다음 자음(종성 자음 또는 그 다음 음절의 초성 자음)입력키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vowel input after inputting a consonant consonant, whether the next consonant (the final consonant or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syllable) input key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vowel.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and 13 illustrate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자판에는 초기 ㅏ, ㅑ, ㅓ, ㅕ, ㅐ, ㅔ, ㅛ, ㅠ, ㅣ 등의 모음입력키들이 표시된다. 상기 모음에는 별도 모음이 결합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모음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입력되면, 종성 자음 또는 그 다음 한글음절의 초성 자음이 바로 활성화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vowel input keys such as initial ㅏ, ㅑ, ㅓ, ㅕ, ㅐ, ㅔ, ㅛ, ㅠ, ㅣ are displayed on the Korean input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wels do not need to be combined with the vowels, when any one of the vowels is selected and input, the final consonants or the first consonants of the next Korean syllable are immediately activated.

하지만, 상기 입력된 모음이 ㅗ, ㅜ, ㅡ 등인 경우는 다소 복잡해지는데, 왜냐하면, "ㅗ"로부터 "ㅘ" "ㅚ" "ㅙ" 등의 복합모음이 가능하며, 모음 "ㅜ "로부터 "ㅝ" "ㅟ" "ㅞ" 등의 복합모음이, 모음 "ㅡ" 로부터 "ㅢ" 등의 복합모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input vowel is ㅗ, TT, ㅡ, etc., it is somewhat complicated, because complex vowels such as "ㅗ" to "ㅘ" "ㅚ" "ㅙ" are possible, and the vowel "TT" to "ㅜ" This is because a compound collection such as "ㅟ" and "ㅞ" can be a compound collection such as "ㅢ" from the vowel "-".

따라서, 예를 들면 "ㅗ" 모음 입력 후에는 그 다음으로 입력될 수 있는 모음과 자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자음 모두, 모음 중 ㅏ, ㅣ, ㅐ), 또는 별도의 입력키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입력키 중 활성화된 입력키는 시각적인 방식으로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비활성화된 입력키의 오브젝트를 반투명하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활성화된 입력키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us, for example, after entering the "ㅗ" vowel, the next vowel and consonant that can be input are selectively activated (both consonants, 중, ,, ㅐ), or no separate input key activation is performed. Can be. Among the input keys, the activated input keys may b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in a visual manner. For example, a method of making the object of the deactivated input keys translucent may be possible.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keys activated in various ways may be displayed separately.

도 13을 참조하면, 모음 "ㅡ"가 입력된 후 "ㅡ" 모음에 결합가능한 모음은 "ㅣ"이므로, "ㅣ" 모음 입력키가 자음 입력키와 함께 활성화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보다 용이한 자음 입력과 함께 복합 모음 입력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after the vowel “ㅡ” is input, the vowel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ㅡ” vowel are “ㅣ”, so that the “ㅣ”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together with the consonant input key,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consonant. Compound vowel input is possible with the inpu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음-모음-자음의 입력이 반복된다는 규칙과, 자음, 모음의 종류에 따라 그 다음으로 오는 자음-모음을 예측가능하다는 규칙의 한글 원리를 그대로 모바일 기기의 한글 입력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한글 입력 오류를 낮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Principle of the rule that the input of the consonant-vowel-consonant is repeated and the rule that the next consonant-vowel can be predi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can be applied to the Hangul input of the mobile device as it is. By applying it, the Hangul input error of the user is lower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14 is a block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저장하는 저장부(B10); 상기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표시하는 표시부(B20); 상기 표시된 한글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의 사용자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부(B30); 및 상기 입력된 자음이 초성 자음인 경우,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B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활성화란 사용자가 표시된 입력키를 터치함에 따라 터치된 입력키의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며, 비활성화라함은 비록 표시된 입력키를 터치하여도 터치된 입력키의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 표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14,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B10) for stor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 display unit (B20) display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An input unit (B30) for detecting a user touch input from the displayed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nd a controller B40 for activating a vowel input key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when the input consonant is a consonant. Here, activation means that the consonant or vowel of the touched input key is input and displayed as the user touches the displayed input key, and deactivation means that the consonant or vowel of the touched input key is touched even if the displayed input key is touched. Input means not displayed.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B20)에 표시된 한글 자판은 자음 및 모음입력키가 서로 교번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자판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에서 자음-모음이 교번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번이란 자음-모음-자음이 서로 교차하여 반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keyboar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20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 input keys alternate with each other, and consonants-vowels may be alternated in the whole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board. In this case, the alteration means that the consonants-vowels-consonants cross each other and repeat.

상기 제어부는 초기 입력 상태에서 자음입력키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모음 입력키 활성화 후 상기 모음 입력키에 결합가능한 또 다른 모음의 입력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활성화된 모음과 활성화되지 않은 모음의 입력키를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하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비활성화된 입력키를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activate only a consonant input key in an initial input state, and activate another vowel input key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vowel input key after activation of the vowel input key.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isplay an input key of an activated vowel and an inactive vowel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input keys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deactivated input key semi-transparently.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제어부가 가지는 기능과 역할은 상술한 바와 같다.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ontroller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한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며,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임의의 모든 전자 장치를 다 포함하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 넷북, mp3 플레이어,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이 전자 기기의 예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angul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y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nd capable of interfacing with a user.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netbook, an mp3 player,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are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 및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ul input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optical disk,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한글 자판 중 자음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초성 자음으로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가 터치스크린에서 활성화되는 단계; 및
(c) 상기 모음 입력키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입력된 후, 상기 모음이 속하는 한글 음절의 종성 또는 이어지는 한글 음절의 초성의 자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In the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the Jamo conversion,
(a) inputting any one of consonant input keys among Korean character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an initial consonant;
(b) vowel input keys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are activated on a touch screen; And
(c) after the vowel input of any one of the vowel input keys is input, the touch screen Hangul input comprising the step of activating the final consonant of the Hangul syllable to which the vowel belongs or the consonant input key of the next Hangul syllable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판은 자음입력키 및 모음입력키가 서로 교번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gul keyboard has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itution of the consonant input key and the vowel input ke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됨에 따라 자음입력키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nsonant input key is deactivated as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됨에 따라 모음 입력키의 입력영역은 확대되고 자음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input method of the vowel input key is enlarged and the input area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reduced as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자판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자음 입력키 및 모음 입력키가 서로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angul keyboard is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input key and the vowel input key alternate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자음은 ㅇ, ㅊ, ㅋ, ㅌ, ㅍ, ㅎ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itial consonant is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o, k, k, k, p, h.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자음이 ㄱ, ㄷ, ㅂ, ㅅ, ㅈ 인 경우, 상기 자음의 쌍자음 여부 결정 후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consonant is a, c, ㅂ, ㅅ, ㅈ,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consonant of the consonant consonants, the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input key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is activ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모음에 또 다른 모음이 결합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모음에 결합되는 종성 또는 이어지는 한글 음절의 초성에 대응되는 자음 입력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another vowel cannot be combined with the input vowel, the consonant input ke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sonant or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Korean syllable coupled to the vowel is activated.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touch screen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입력키들을 포함하는 한글 자판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한글의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자음이 초성 자음인 경우, 상기 초성 자음에 결합될 수 있는 모음 입력키를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
A Hangul input based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the device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A display unit displaying a Hangul keyboard includi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 input keys;
An input unit to detect a user touch input from the displayed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displayed Hangul; And
And a controller for activating a vowel input key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sonant when the input consonant is a consonan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음 입력키의 활성화에 따라 자음 입력키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control unit deactivates the consonant input key according to activation of the vowel input key.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입력키가 활성화됨에 따라 모음 입력키의 입력영역은 확대되고 자음입력키의 입력 영역은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put screen of the vowel input key is enlarged as the vowel input key is activated, and the input area of the consonant input key is reduc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자음 및 모음의 입력키들은 서로 교번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put scree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n th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lternately displayed.
제 13항에 이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한글 자판의 자음 및 모음입력키는 자판의 일부 영역에서 교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
Following the claim 13
The consonant and vowel input keys of the Hangul keyboar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lternate in some areas of the keyboar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활성화된 모음과 비활성화된 자음 입력키들은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vowel activated and a deactivated consonant input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o as to be visually distinguishabl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활성화된 모음입력키 중 어느 하나가 모음으로 입력된 후, 상기 모음에 결합하는 종성 또는 그 다음 한글 음절의 초성에 대응되는 자음의 입력키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inputs one of the activated vowel input keys as a vowel, and then activates an input key of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 last consonant of the next Korean syllable to be coupled to the vowel.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모음에 또 다른 모음이 결합할 수 있는 경우, 모음 입력 후 상기 결합가능한 또 다른 모음의 입력키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control unit activates an input key of another combineable vowel after inputting the vowel when another vowel can be combined with the inputted vowel.
제 10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The recording medium of claim 10, wherein program instructions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7 are recorded.
제 10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7.
KR1020100057476A 2010-06-17 2010-06-17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68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76A KR101268141B1 (en) 2010-06-17 2010-06-17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76A KR101268141B1 (en) 2010-06-17 2010-06-17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98A true KR20110137498A (en) 2011-12-23
KR101268141B1 KR101268141B1 (en) 2013-05-27

Family

ID=4550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476A KR101268141B1 (en) 2010-06-17 2010-06-17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14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141B1 (en)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0974B1 (en)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8359543B2 (en) Multiple touchpoints for efficient text input
KR101376286B1 (en) touchscreen text input
KR1017045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for inpputing character
KR1010856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US20110320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gesture recognition overlay
KR101718881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ultistage menu selection
JP2009064437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KR20110014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20140015785A1 (en) Electronic device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10005753A (en) Method of selection of a por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2713797B (en) Use the method for touch-screen inputting korean characters
JP2009122890A (e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KR2016005354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a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0852401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JP2006350409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10082956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US8949731B1 (en) Input from a soft keyboard on a touchscreen display
US10095403B2 (e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KR20120081422A (e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according to touch event thereof
US10152172B2 (en)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control method
KR101268141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070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fisheye effec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80841A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touch and dr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