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133A -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133A
KR20110134133A KR1020100053949A KR20100053949A KR20110134133A KR 20110134133 A KR20110134133 A KR 20110134133A KR 1020100053949 A KR1020100053949 A KR 1020100053949A KR 20100053949 A KR20100053949 A KR 20100053949A KR 20110134133 A KR20110134133 A KR 20110134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connection
connection end
switchboard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연
김동해
김용한
석복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4133A/ko
Publication of KR2011013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2Layouts for duplicate bus-bar se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전반의 부스바 결합구조는, 길이방향 일단이 배전반에 연결되며, 가로방향 일단을 따라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부스바와, 상기 주 부스바와 이격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싱 커넥트 및, 상기 라운드면의 끝 선을 넘지 않도록 길이방향 일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주 부스바의 가로방향에 연결되며, 타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부싱 커넥트의 가장자리 끝 선을 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부스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Busbar geometry of 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스바의 연결부에 대한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배전반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주로 배전계통에 설치되어 전력기기들의 운전에 필요한 전력을 분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으로 발생된 전압 및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배전반은 전력분배를 위한 부스바를 비롯하여 중저압차단기와 같은 개폐장치, CT(Current Transformer), PT(Potential Transformer)와 같은 계전기 및 과전압 보호를 위한 SA(Surge Arrester) 등의 전장품 등으로 구성된다.
고압 배전반은, 정격전압 1kV 이상의 배전반을 말하며, 접지된 금속 격벽으로 분리된 격실들로 구성되는 MCSG(Metal Clad Switch-Gear)는 절연성능 향상과 크기 축소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때문에, 배전반의 주요 부품인 부스바의 설계개선을 통한 배전반의 절연성능 향상과 크기 축소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부스바의 라운드(Round) 가공, 절연피복 및 배리어를 사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부스바의 연결부위는 절연피복을 사용할 수 없으며, 도체의 모서리가 돌출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어 절연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주 부스바(main busbar)와 분기 부스바(branch busbar)가 연결되는 부분과 분기 부스바가 부싱 내부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부분은 절연성능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는 부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고압 배전반(10)은 그 주요 기능에 따라 부스바 격실(20), 차단기 격실, 케이블 격실 등과 같이 분리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부스바 격실(20)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부스바 결합부를 나타내며, 이 부분의 절연성능이 전체 부스바 격실의 절연 성능에 있어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상기한 부스바 결합부를 살펴보면, 주 부스바(21), 분기 부스바(22) 및 부싱 커넥트(23) 연결부는 결합부위의 도체 끝 부분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부스바 결합구조는,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도통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은 있으나, 부스바의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부에 라운드(Round) 가공이 제대로 되지 않아 모서리부에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절연성능을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 부스바와 부싱 커넥트(contact)에 각각 결합되는 분기 부스바의 단면부 에지(edge) 부위를 라운드로 가공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된 에지 부위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단이 배전반에 연결되며, 가로방향 일단을 따라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부스바와, 상기 주 부스바와 이격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싱 커넥트 및, 상기 라운드면의 끝 선을 넘지 않도록 길이방향 일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주 부스바의 가로방향에 연결되며, 타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부싱 커넥트의 가장자리 끝 선을 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부스바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제1, 2주 부스바로 구비되며, 상기 분기 부스바는, 상기 제1, 2주 부스바의 사이에 길이방향 일단의 제1연결단부가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제2연결단부가 상기 부싱 커넥트에 연결되는 제1분기 부스바 및, 상기 부싱 커넥트와 반대되는 상기 제1분기 부스바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2주 부스바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 일단의 제3연결단부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의 제4연결단부가 상기 제2연결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분기 부스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부와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제1, 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단부와 상기 제3연결단부는, 동일선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부는, 상기 제1, 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제1, 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단부와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제1, 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단부는, 상기 제3연결단보다 상기 제1, 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더 좁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라운드면과 동일 방향으로 라운드면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싱 커넥트는, 축 방향 일단이 상기 차단기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단부가 연결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단부는 상기 부싱커넥트의 축 방향 일단 가장자리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4연결단부는, 상기 제2연결단부의 상기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하여 계단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단부에는,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 커넥트는, 상기 제2연결단부가 연결되는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단부와 상기 제4연결단부는,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라운드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 커넥트는, 상기 제2연결단부가 연결되는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단부와 상기 제4연결단부는, 상기 부싱 커넥트의 가장자리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4연결단부는, 상기 제2연결단부의 상기 간격보다 동일 또는 더 넓은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단부는,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단부와 상기 제4연결단부는, 반대측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반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기 부스바의 단면부 에지(edge)의 돌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절연적으로 안정적인 주 부스바 및 부싱 커넥트와 같은 연결 도체가 쉴드 역할을 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시켜 안정적인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스바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제1연결단부와 제3연결단부가 제1, 2주 부스바의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고, 상기 제1연결단부와 제3연결단부가 동일선상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제1연결단부가 제1, 2주 부스바의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고, 제3연결단부가 제1, 2주 부스바의 라운드면 끝 선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제1연결단부와 제3연결단부가 제1, 2주 부스바의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고, 제1연결단부가 제3연결단부보다 제1, 2주 부스바의 라운드면 끝 선과 더 좁은 간격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제4연결단부가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으로 형성되고,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어 계단식 연결구조를 이루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제2연결단부와 제4연결단부에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고, 반대측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양측을 라운드지게 각각 형성되어 계단식 연결구조를 이루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제2연결단부와 제4연결단부가 반대측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반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주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결합구조(a, b, c)에 따른 절연성능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분기 부스바와 부싱 커넥트의 결합구조(a, b, c)에 따른 절연성능을 분석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결합구조는, 길이방향 일단이 배전반에 연결되며, 가로방향 일단을 따라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R)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부스바(100)와, 상기 주 부스바(100)와 이격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싱 커넥트(200) 및, 상기 라운드면(R)의 끝 선을 넘지 않도록 길이방향 일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주 부스바(100)의 가로방향에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부싱 커넥트(200)의 가장자리 끝 선을 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부스바(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분기 부스바(300)의 양단이 주 부스바(100)와 부싱 커넥트(2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분기 부스바(300)의 절단부 에지 부위를 라운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된 절단부나 에지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주 부스바(100)와 분기 부스바(3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주 부스바(100)는 다수로 적용할 경우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 부스바(300)는 상기 주 부스바(100)의 가로방향을 향하도록 길이방향 일단이 일정 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절곡된 길이방향 일단이 주 부스바(100)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이 부싱 커넥트(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주 부스바(100)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제1주 부스바(110)와 제2주 부스바(120)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분기 부스바(300)는 상기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사이에 길이방향 일단의 제1연결단부(311)가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제2연결단부(312)가 부싱 커넥트(200)에 연결되는 제1분기 부스바(3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 커넥트(200)와 반대되는 상기 제1분기 부스바(310)의 일면에 위치되어, 제1, 2주 부스바(110, 120)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 일단의 제3연결단부(321)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의 제4연결단부(322)가 제2연결단부(31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분기 부스바(32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부스바(100)와 분기 부스바(300)는 2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도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로 주 부스바(100)와 분기 부스바(3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1연결단부(311)와 제3연결단부(321)는,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면(R)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단부(311)와 제3연결단부(321)는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1연결단부(311)는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면(R)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며, 제3연결단부(321)는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라운드면(R) 끝 선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1연결단부(311)와 제3연결단부(321)는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면(R)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제1연결단부(311)는 제3연결단부보다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상기 라운드면(R) 끝 선과 더 좁은 간격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연결단부(321)에는 제1, 2주 부스바(110, 120)의 라운드면(R)과 동일 방향으로 라운드면(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싱 커넥트(200)는 축 방향 일단이 상기 차단기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단부(312)가 연결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로 분기 부스바(300)와 부싱 커넥트(200)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2연결단부(312)는 부싱 커넥트의 축 방향 일단 가장자리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4연결단부(322)는 제2연결단부(312)와 부싱 커넥트의 가장자리가 갖는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 하여 계단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연결단부(322)에는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R)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4연결단부(322)의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연결단부(322)의 중앙 부위와 경사지게 각각 형성된 양측 부위의 연결 부위는 곡선으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부싱 커넥트(200)는 제2연결단부(312)가 연결되는 축 방향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R)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단부(312)와 제4연결단부(322)는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R)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단부(312)와 제4연결단부(322)는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싱 커넥트(200)는 제2연결단부(312)가 연결되는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R)이 형성되고, 제2연결단부(312)와 상기 제4연결단부(322)는 부싱 커넥트(200)의 가장자리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4연결단부(322)는 제2연결단부(312)의 간격보다 동일 또는 더 넓은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제4연결단부는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R)이 형성되며, 제2연결단부(312)와 제4연결단부(322)는 반대측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반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단부(312)와 제4연결단부(322)의 양측이 경사, 라운드 및 반원으로 형성되는 것은, 원통 형태의 부싱 커넥트(200)에 사용할 경우에도 분기 부스바(300)의 단부가 부싱 커넥트(2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8과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적으로 안정적인 주 부스바(100) 및 부싱 커넥트(200)와 같은 연결 도체가 쉴드 역할을 하여 전계 집중을 완화시켜 안정적인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부스바 결합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주 부스바 110: 제1주 부스바
120: 제2주 부스바 200: 부싱 커넥트
300: 분기 부스바 310: 제1분기 부스바
311: 제1연결단부 312: 제2연결단부
320: 제2분기 부스바 321: 제3연결단부
322: 제4연결단부 R: 라운드면

Claims (12)

  1. 길이방향 일단이 배전반에 연결되며, 가로방향 일단을 따라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 부스바;
    상기 주 부스바와 이격 위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싱 커넥트; 및
    상기 라운드면의 끝 선을 넘지 않도록 길이방향 일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주 부스바의 가로방향에 연결되며, 타단의 연결단부가 상기 부싱 커넥트의 가장자리 끝 선을 넘지 않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부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부스바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는 각각의 제1주 부스바와 2주 부스바로 구비되며,
    상기 분기 부스바는,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의 사이에 길이방향 일단의 제1연결단부가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단의 제2연결단부가 상기 부싱 커넥트에 연결되는 제1분기 부스바; 및
    상기 부싱 커넥트와 반대되는 상기 제1분기 부스바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 일단의 제3연결단부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의 제4연결단부가 상기 제2연결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분기 부스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부와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단부와 상기 제3연결단부는, 동일선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부는,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부와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단부는, 상기 제3연결단보다 상기 제1주 부스바와 제2주 부스바의 상기 라운드면 끝 선과 더 좁은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단부는, 상기 라운드면과 동일 방향으로 라운드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커넥트는, 축 방향 일단이 상기 차단기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단부가 연결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단부는, 상기 부싱커넥트의 축 방향 일단 가장자리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4연결단부는, 상기 제2연결단부의 상기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갖도록하여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9.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연결단부에는,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을 경사지게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커넥트는, 상기 제2연결단부가 연결되는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단부와 상기 제4연결단부는,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을 라운드지게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11.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커넥트는, 상기 제2연결단부가 연결되는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단부와 상기 제4연결단부는, 상기 부싱 커넥트의 가장자리 끝 선과 간격을 갖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4연결단부는, 상기 제2연결단부의 상기 간격보다 동일 또는 더 넓은 간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단부는,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단부와 상기 제4연결단부는, 반대측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반원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KR1020100053949A 2010-06-08 2010-06-08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KR20110134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49A KR20110134133A (ko) 2010-06-08 2010-06-08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949A KR20110134133A (ko) 2010-06-08 2010-06-08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33A true KR20110134133A (ko) 2011-12-14

Family

ID=4550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949A KR20110134133A (ko) 2010-06-08 2010-06-08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41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501A (zh) * 2016-11-03 2017-03-15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电连接结构、封闭主母线及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KR102295956B1 (ko) * 2021-03-22 2021-09-01 주식회사 비엠티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501A (zh) * 2016-11-03 2017-03-15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电连接结构、封闭主母线及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KR102295956B1 (ko) * 2021-03-22 2021-09-01 주식회사 비엠티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82112A1 (en) Switchgear
EP3062403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EP2728686A1 (en) Structure of three-phase integrated bus in gas insulated switchgear
US3229066A (en) Center-fed fusible busway plug
KR101580088B1 (ko) 복합절연 배전반
JPH0374117A (ja) 配電盤
KR20110134133A (ko) 배전반의 부스바 연결부 결합구조
CN103944099B (zh) 预制舱式gis组合电器及预制舱式变电站
JP5324530B2 (ja) 高電圧開閉装置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US2960674A (en) Multiphas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JPH01303002A (ja) 受電用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476707B1 (ko) 격자구조형 부스바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20662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218498524U (zh) 汇流排及其相关的配电柜
JP7221473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216958866U (zh) 一种开关柜
KR101696289B1 (ko) 진공차단기
CN203859434U (zh) 预制舱式gis组合电器及预制舱式变电站
KR101161727B1 (ko) 절연 디스크 구조
KR20140050976A (ko) 연결부 결합구조를 갖는 배전반 부스바
US20220209485A1 (en) Compact Auxiliary Connector
CN107622928B (zh) 一种能够提高灭弧能力的高压直流断路器
US3360686A (en) Lightning protection assembly for overhead lines
JP2024035138A (ja) 分岐バス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