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679A -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 Google Patents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679A
KR20110133679A KR1020100053191A KR20100053191A KR20110133679A KR 20110133679 A KR20110133679 A KR 20110133679A KR 1020100053191 A KR1020100053191 A KR 1020100053191A KR 20100053191 A KR20100053191 A KR 20100053191A KR 20110133679 A KR20110133679 A KR 2011013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mposite fiber
flange tube
shielding plate
side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희
Original Assignee
강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희 filed Critical 강태희
Priority to KR102010005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679A/ko
Publication of KR2011013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80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관의 끝단면과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차폐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섬유판재에 별도의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그 통기공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의 통기공을 차단하는 별도의 통기성 방수원단을 접착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라 플랜지관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을 통해 내부 공기의 배출 및 외부 공기의 유입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랜지관 내,외부에 대한 압력 평형 상태가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차폐판에 작용하는 압력이 극히 미약하므로 플랜지관과의 접착부에 대한 변형이나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플랜지관의 끝단면과 차폐판과의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쇼트볼 등이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플랜지관 내부로 유입된 쇼트볼에 의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Shielding plate for protecting flange having function of ventilation and waterproofing}
본 발명은 플랜지관의 끝단면과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차폐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등의 건조(建造) 과정에서 다양한 목적의 유체에 대한 이송 경로를 담당하는 플랜지관에 있어, 플랜지관의 양끝단면에 접착 고정된 차폐판에 통기 및 방수 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플랜지관의 내부 압력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플랜지관의 내부로 쇼트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을 건조하는 경우 다양한 목적을 갖는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관체가 무수히 많이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유체관의 경우 체결 및 결합의 용이함을 갖는 플랜지관이 주로 사용된다.
즉, 상기와 같은 플랜지관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원형 관체의 양끝단에 관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된 플랜지판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판에는 사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플랜지관을 선박 등의 건조 과정에서 조립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랜지관 자체의 1차 제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부 및 외부에 대한 세척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인산염 등을 피막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플랜지관 양끝단에는 별도의 차폐판을 접착 고정하여 그 플랜지관의 내부가 밀폐되게 하면서도 플랜지관의 양끝단면이 완전히 은폐되게 작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관의 외면에 대한 방청 목적으로 페인트를 도장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도장과정에서의 페인트 미립자는 상기의 차폐판에 의해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양끝단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부 도장이 완성된 상태의 플랜지관은 유닛업체에서의 1차 조립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의 유닛업체는 플랜지관을 이용하여 된 각종 장치 및 설치물에 대한 분할품목을 블럭 형태로 구분 제작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의 플랜지관은 일측단이 블럭화된 분할개체에 체결되거나 양측 모두가 체결되는 것이고, 타측단은 서로 다른 분할개체와 분할개체를 연결시켜야 하기 위해 여전히 차폐판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유닛업체에서의 블럭화된 분할개체가 모두 완성되면 상기의 분할개체는 블럭 간의 용접 및 체결 작업을 수행하여 최종 연결작업이 마무리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선박 내부 공사가 모두 종료되면 진수를 위한 시험 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분할개체 간의 연결 과정에서 서로 연결되고자 하는 상호 플랜지관의 끝단 및 분할개체의 연결부에는 용접 작업과 방청 및 도장을 위한 페인트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별도의 대형 작업실 내에서 분할개체의 연결부에 대한 쇼트볼 연마 작업을 선행하게 되는 것이고, 쇼트볼 연마 작업이 종료된 상호 분할개체에 대한 체결 및 용접과 그 체결부에 대한 외부 도장 작업을 수행하여 최종 마무리하는 작업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할개체에 대한 상호 조립이 모두 이루어지면 선박 등의 진수 전 시험 운전을 수행하여 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시험 운전 과정에서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쇼트볼은 관체 내부를 흐르는 각종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의 디스크를 직접 타격하면서 디스크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밸브의 디스크에 대한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유체의 제어가 원활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쇼트볼에 의한 밸브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체 장비와 장치를 모두 분해하여 해당의 파손 밸브를 교체 조립하여야 하는 것이고, 관로 내부를 따라 유체와 함께 이동하는 쇼트볼을 찾아 제거시켜야 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극히 작은 크기의 쇼트볼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선박 등의 납기 일정이 임박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쇼트볼에 의한 밸브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두 분해하고 재조립하기 위한 시간이 매우 길어져 납기 지연으로 인한 배상액과 이자액이 막대하게 지출되므로 플랜지관의 내부로 이물질 특히 쇼트볼에 대한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차폐판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플랜지의 끝단면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복합섬유판재(100)를 구비한 상태에서 그 복합섬유판재의 일측면에 대하여 이형지(111)를 갖는 양면테이프(110)를 접착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이형지를 분리 제거한 상태에서 노출되는 양면테이프(110)를 플랜지관 끝단면에 밀착시켜 접착 고정되게 함에 따라 플랜지관의 내부 밀폐와 동시에 플랜지관의 끝단면에 대한 은폐 및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폐판을 플랜지관의 끝단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야적된 플랜지관의 내부에는 온도 차이에 따라 작용하는 압력 변화로 인한 공기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차폐판과의 접착부가 벌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고, 벌어진 접착부를 통해 쇼트볼 등이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전기한 바와 같은 심각한 사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플랜지관의 양끝단에 대하여 차폐판을 부착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 플랜지관을 야적장에 비치하거나 실내 창고 등에 보관하게 되면, 주간과 야간시의 급격한 기온 변화에 따라 플랜지관 내부의 공기에 대한 팽창과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플랜지관(120)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는 경우에는 (a)와 같이 복합섬유판재(100)가 불룩하게 외측으로 변형 돌출되는 것이고, 반대로 온도의 저하로 인해 플랜지관(120) 내부의 공기가 수축되는 경우에는 (b)와 같이 복합섬유판재(10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변형 함몰되는 것으로서, 주간 및 야간에 의한 온도 차 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0)로 된 차폐판에는 돌출과 함몰 변형이 반복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관(120)의 내부 압력 변화로 인해 복합섬유판재에 대한 변형이 반복되어 일어남에 따라 상기 플랜지관(120)의 끝단면과 복합섬유판재(100)를 접착시키는 양면테이프(110)는 점진적으로 접착력을 상실함에 따라 플랜지관(120)의 끝단면과 양면테이프(110)의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틈새로 인해 쇼트볼 작업 과정에서 비산되는 쇼트볼이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틈새로 끼어 들어가 상기 차폐판의 분리 작업시 이들 틈새에 위치하고 있던 쇼트볼이 플랜지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0)에 접착되는 양면테이프(110)는 복합섬유판재(100) 쪽으로는 접착력이 강력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플랜지관(120)을 향하는 면에는 점착력을 갖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복합섬유판재(100)를 플랜지관(120)의 끝단면에 임시로 부착해둔 상태에서 플랜지관의 체결 사용을 위해 복합섬유판재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양면테이프는 접착부와 점착부의 이중구조로 인해 복합섬유판재(100)의 표면에는 접착부가 영향을 끼쳐 양면테이프 전체가 복합섬유판재(100) 측에 밀착되어 분리되는 동시에 점착부에 의해 플랜지관의 끝단면에 부착되어 있던 양면테이프는 플랜지관의 끝단면에 전혀 잔류하지 않고 깔끔하게 분리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랜지관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복합섬유판재를 플랜지관에 접착시키고 있는 점착부에 대한 압력이 반복하여 작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는 점착부가 플랜지관으로부터 떨어지면서 틈새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고, 이들 틈새는 쇼트볼 연마 과정에서 비산되는 쇼트볼의 유입공간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쇼트볼이 틈새에 들어간 상태에서 차폐판을 분리 제거하게 되면 무의식 중에 쇼트볼이 플랜지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쇼트볼은 양면테이프의 점착 성분이 일부 묻어 있는 상태여서 플랜지관의 내부에 접착되어 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쉽게 분리와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선박의 시험 운전 상태이거나 완공 상태에서도 상기의 쇼트볼에 의한 밸브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매우 치명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복합섬유판재에 별도의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그 통기공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의 통기공을 차단하는 별도의 통기성 방수원단을 접착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을 갖는 차폐판을 플랜지관의 끝단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플랜지관의 내부 압력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에 의해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므로 플랜지관 내,외부에 대한 압력 평형 상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외부로부터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플랜지관 내부에 대한 부식의 우려가 없도록 한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복합섬유판재의 일측에 이형지를 갖는 양면테이프가 접착되어진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판재에는 별도의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통기공에는 그 통기공 보다 큰 크기의 통기성 방수원단을 밀착 형성하며,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은 양면테이프에 의해 접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라 플랜지관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을 통해 내부 공기의 배출 및 외부 공기의 유입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플랜지관 내,외부에 대한 압력 평형 상태가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차폐판에 작용하는 압력이 극히 미약하므로 플랜지관과의 접착부에 대한 변형이나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플랜지관의 끝단면과 차폐판과의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쇼트볼 등이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플랜지관 내부로 유입된 쇼트볼에 의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폐판이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폐판에 대한 문제점을 보인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의 분리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판이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판의 작업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의 분리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판이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은, 일반적인 차폐판과 마찬가지로 플랜지관의 끝단면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원형의 복합섬유판재(10)로 구성되고 그 복합섬유판재(10)의 일측면에는 이형지(21)를 갖는 양면테이프(2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에는 플랜지관의 볼트 결합공에 해당하는 위치에서의 관통공(11)(11')이 사방으로 추가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플랜지관은 체결 형태에 따라 볼트 체결 또는 용접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그와 대응하여 플랜지관의 끝단에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므로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에는 필요에 따라 관통공(11)(11')이 형성될 것이다.
또한, 플랜지관에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볼트 결합공에 대한 후처리가 불필요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관통공(11)(11')을 갖지 않은 원반 형태의 복합섬유판재(1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는 폐원단을 잘게 절단하여 합성수지를 바인더로 하여 견고하게 경화 고착한 상태의 판재를 이르는 것으로, 가볍고 저렴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는 플랜지관의 끝단 형상과 같이 원형의 판재로 만들어지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일측으로 손잡이부(13)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플랜지관으로부터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를 분리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부(13)에 의해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복합섬유판재(10)에 별도의 통기공(12)을 관통 형성한 것이고, 그 통기공(12)에는 별도의 통기성 방수원단(30)을 부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통기공(12)은 통기성 방수원단(30)에 의해 가로 막힌 상태가 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통기성 방수원단(30)은 공기의 소통은 이루어지면서도 물기는 차단되게 하는 조밀 구조의 원단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데 고어텍스(상품명임)의 경우 공기의 입자보다는 크고 수분의 입자보다는 작은 크기의 원단 공극을 갖도록 조밀 직조함에 따라 통기성을 갖는 반면 발수 및 방수는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성 원단으로서 널리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통기성 방수원단(30)을 양면테이프(20)를 이용하여 상기의 통기공(12)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복합섬유판재(10)는 넓은 형태의 원재료판에 이형지(21)를 갖는 양면테이프(20)를 넓게 부착한 상태에서 별도의 프레스 절단 금형에 의해 플랜지관의 치수에 알맞는 크기로 원형 절단함과 동시에 사방으로의 관통공(11)(11')과 통기공(12)을 동시에 절단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수작업을 통해 도 7의 도시와 같이 이형지(21)를 일시적으로 소정의 폭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통기공(12)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양면테이프(20)가 노출되면 그 양면테이프(20)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기성 방수원단(30)을 통기공(12)에 접착 고정한 상태에서 제거된 이형지(21)를 다시 양면테이프(20)에 접착시켜 제품을 완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완성된 상태의 차폐판을 이용하여 플랜지관(40)의 끝단면을 마감하면 되는 것인데, 이때에는 이형지(21)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노출 상태의 양면테이프(20)를 플랜지관(40)의 끝단면에 가압 밀착하여 상호 틈새 없이 완전한 밀착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폐판이 접착된 상태의 플랜지관(40)은 내부에서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30)을 통해 플랜지관(4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플랜지관(4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플랜지관(40) 내,외부에 대한 압력 평형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압력 조절 작용으로 인해 복합섬유판재(10)에는 팽창력이나 수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양면테이프(20)에도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상기 플랜지관(40)의 끝단면과 복합섬유판재(10)의 사이에는 양면테이프(20)의 분리로 인한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쇼트볼에 의한 연마 과정에서 비산되는 쇼트볼이 이들 틈새로 끼여 들어가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플랜지관의 내부로 쇼트볼이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유입된 쇼트볼에 의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지 않아도 되어 매우 합리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통기공(12)이 쇼트볼의 외경보다 큰 경우에는 강력한 비산력을 갖고 있는 쇼트볼이 통기공(12)을 통해 통기성 방수원단(30)을 타격하거나 손상시킬 우려도 있을 것이므로, 이때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통기공(12)에 대한 내경을 0.2~0.5mm로 한정하여 이와 같은 크기의 통기공(12)을 반복 배열 형성함에 따라 통기성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쇼트볼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쇼트볼은 통상적으로 0.5~0.7mm의 외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통기공(12)을 그 쇼트볼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배열 형성함에 따라 통기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쇼트볼에 의한 통기성 방수원단(30)의 직접적인 타격은 예방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많은 수의 통기공(12)을 배열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 통기공(12) 모두가 통기성 방수원단(30)의 크기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통기성 방수원단(30)의 경우 통기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 형태의 습기가 플랜지관(40)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나, 상기 플랜지관(40)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소통하는 공기의 전체 량은 플랜지관(40)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극히 적은 수치일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압력 조정을 위해 미량으로 유입되는 습기로 인해 플랜지관(40)의 내부에 대하여 부식이 발생하지는 못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통기성 방수원단(30)은 플랜지관(40)의 내,외부에 대한 공기의 순환 및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플랜지관(40) 내부에서 발생하던 결로현상을 억제시 킬 수 있는 것인데, 플랜지관(40) 내부의 습기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결로로 인해 녹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통기성 방수원단(30)은 공기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여 플랜지관(4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데에도 일조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은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야적된 상태의 플랜지관 내부로부터의 압력 변화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팽창과 수축의 압력 변화로 인해 차폐판에 대한 플랜지관과의 접착력이 상실되거나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호 간의 접착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복합섬유판재 11,11' : 관통공
12 : 통기공 13 : 손잡이부
20 : 양면테이프 21 : 이형지
30 : 통기성 방수원단
40 : 플랜지관

Claims (4)

  1. 복합섬유판재(10)의 일측에 이형지(21)를 갖는 양면테이프(20)가 접착되어진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판재(10)에는 별도의 통기공(12)을 관통 형성하고, 그 통기공(12)에는 통기공(12) 보다 큰 크기의 통기성 방수원단(30)을 밀착 형성하며, 상기 통기성 방수원단(30)은 상기의 양면테이프(20)에 의해 접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2. 제 1항에 있어서,
    복합섬유판재(10)에는 플랜지관의 볼트 체결공과 대응하는 관통공(11)(11')이 방사상으로 더 배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3. 제 1항에 있어서,
    복합섬유판재(10)는 일측에 손잡이부(13)를 돌출 형성하여, 그 손잡이부(13)에 의해 복합섬유판재(10)를 플랜지관(4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4. 제 1항에 있어서,
    통기공(12)은 0.2~0.5mm의 내경을 갖도록 하고, 그 통기공(12)은 통기성 방수원단(30)의 크기 범위 내에서 사방으로 배열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KR1020100053191A 2010-06-07 2010-06-07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KR20110133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191A KR20110133679A (ko) 2010-06-07 2010-06-07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191A KR20110133679A (ko) 2010-06-07 2010-06-07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679A true KR20110133679A (ko) 2011-12-14

Family

ID=4550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191A KR20110133679A (ko) 2010-06-07 2010-06-07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6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574B (zh) * 2015-05-22 2019-09-10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用于保护电子系统不受干扰辐射危害的装置
KR20210137272A (ko) * 2020-05-07 2021-11-17 대명테크 주식회사 통기 및 방청 구조를 갖는 양면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574B (zh) * 2015-05-22 2019-09-10 大陆-特韦斯贸易合伙股份公司及两合公司 用于保护电子系统不受干扰辐射危害的装置
KR20210137272A (ko) * 2020-05-07 2021-11-17 대명테크 주식회사 통기 및 방청 구조를 갖는 양면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158B2 (en) Joint sealing system
KR20110133679A (ko) 통기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플랜지관 보호용 차폐판
GB2418659A (en) Robotic hand/arm control arrangement
WO2019128852A1 (zh) 一种仿啄木鸟头部的抗冲击结构及其制作方法
CA26701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mped acoustic panels
WO2011082983A3 (de) Akustisch optimierte klimaanlagenkomponenten
US8360355B2 (en) Wing-to-body fairing with spray-on foam and noise reduction method
CA30417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al sealing of electrical enclosures
ES2185073T3 (es) Revestimiento de friccion para un sistema de friccion en sec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y disco de embrague provisto de este revestimiento.
WO2009122238A3 (en) COMPOSITE VALVE ASSEMBLY FOR AIR CONDITIONING AIRCRAFT SYSTEMS
CN110090765A (zh) 一种防污染电机喷漆系统
WO2022142502A1 (zh) 一种防碰撞自闭阀
ITMI20110162A1 (it) Metodo per la formazione di una porzione terminale di una guaina di rivestimento interno per tubazioni
CN109323077B (zh) 一种可在轨快速维修的密封降噪结构
KR20120000295U (ko) 통기성 방수시트가 구비되는 플랜지 보호커버
KR20110011971U (ko) 플랜지 보호커버
KR101741480B1 (ko) 자기 보수형 필름
CN217844915U (zh) 一种磁吸式模块化快速伪装系统
CN208565113U (zh) 一种机床新型气动结构
CN204746690U (zh) 空气过滤器自动喷涂设备
CN205199193U (zh) 一种卸灰逸尘装置
KR200369157Y1 (ko) 유류(油類) 배관 연결부 비산 방지용 덮개
CN210890351U (zh) 一种能防尘的电磁阀消音器
CN110821912B (zh) 一种单作用拉力缸换气系统
CN206315383U (zh) 一种具有灭火功能的发动机仓前梁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