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112A -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 Google Patents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112A
KR20110133112A KR1020100052666A KR20100052666A KR20110133112A KR 20110133112 A KR20110133112 A KR 20110133112A KR 1020100052666 A KR1020100052666 A KR 1020100052666A KR 20100052666 A KR20100052666 A KR 20100052666A KR 20110133112 A KR20110133112 A KR 2011013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anner
coupled
stand
low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0042B1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102010005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42B1/en
Publication of KR2011013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banner stand with a foldable joint is provided to easily accept a banner stand in a box by reducing the volume of a joint. CONSTITUTION: A banner stand comprises an upper joint, a lower joint(120), a balance pole(210), banner poles(220,230,240,250), and pole inserting holes(140,150).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 are composed to get folded in one direction or be separated one from the other. The balance pole and the banner pole are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ng hole to be separated or fixed. A banner loop is combin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banner pole.

Description

접히는 조인트를 갖는 배너 스탠드{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Banner stand with folding joints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본 발명은 배너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너 스탠드의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int of the banner stand.

대중에게 특정 정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광고판, 전광판, 현수막, 배너 스탠드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As a means to inform specific information to the public, billboards, billboards, banners, banner stands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광고판이나 전광판은 벽면이나 옥상에 고정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되고, 현수막은 벽면, 가로수, 전봇대의 사이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광고 수단들이 설치 장소나 시간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는 하지만, 배너 스탠드에는 미치지 못한다.Billboards or billboards are usually used for fixed installations on walls or rooftops and for long-term use. While these advertising means are somewhat free at the installation site or time, they fall short of the banner stand.

배너 스탠드는 주로 작은 크기의 광고에 이용되고 설치 장소나 시간의 선택이 자유로우며 설치 방법도 간단하여, 간이 광고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 banner stand is mainly used for small-sized advertisements, the choice of installation place or time is free, and the installation method is simple.

도1은 종래의 배너 스탠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너 스탠드는 조인트(100), 균형 폴대(210), 배너 폴대(220,230,240,250) 등으로 구성된다.1 shows a conventional banner stand. As shown in FIG. 1, the banner stand includes a joint 100, a balance pole 210, a banner pole 220, 230, 240, 250, and the like.

그런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너 스탠드의 조인트(100)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수납 등의 문제로 조인트의 부피를 크게 하는 데 한계가 있다. 즉, 조인트(100)의 부피가 크면 그 만큼 수납 박스의 부피도 커야 하고, 또한 휴대하기도 쉽지 않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joint 100 of the conventional banner stand is integrated, and there is a limit in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joint due to problems such as storage. That is, if the volume of the joint 100 is large, the volume of the storage box should be large, and it is not easy to carry.

특히, 폴대와 조인트를 분리할 수 없거나, 분리가 적절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일부러 분리하지 않고 구석진 곳에 세워 두고자 하는 경우, 조인트의 부피가 큰 종래의 배너 스탠드는 휴대나 사용에서 불편한 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pole and the joint cannot be separated, or when the separation is not appropriate, or if the user wants to stand in the corner without removing the bulk, the conventional banner stand with a large volume of the joint is inconvenient in carrying or using.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prior art,

첫째, 배너 스탠드의 조인트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배너 스탠드가 박스 등에 쉽게 수납되게 하고,First, it reduces the volume occupied by the joint of the banner stand so that the banner stand can be easily stored in a box,

둘째, 조인트와 폴대를 분리하지 않는 경우나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배너 스탠드의 부피를 줄여 배너 스탠드를 박스에 쉽게 넣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econdly, even if the joint and the pole is not separated or can not be remov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banner stand, the purpose is to easily put the banner stand in the box.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너 스탠드는, 조인트를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를 포갤 수 있게 구성한다.To achieve this object, the bann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a joint into an upper joint and a lower joint, and to separate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가 서로 포개질 수 있게 결합되는 조인트; 상부 조인트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가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상부 배너 지지대; 하부 조인트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가 결합되고, 그리고 각 단부는 지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하부 배너 지지대; 및 하부 조인트에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2개의 하부 배너 지지대와 함께 하부 조인트를 지지하여 배너 스탠드의 균형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is couple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to b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t least two upper banner support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joint from side to side, each end having a banner ring coupled thereto; At least two lower banner supports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joint from side to side, each end having a banner ring coupled, and each end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t least one balance support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joint and supporting the bottom joint together with the two bottom banner supports to maintain balance of the banner stand.

조인트는, 힌지 결합구와 힌지 결합구에 결합되는 힌지 회동부를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에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가 힌지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joint is provided with hinge hinges coupled to the hinge coupler and the hinge coupl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and the upper and lower joints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hinge form.

조인트는, 고정 결합홈과 고정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출부를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에 대응되게 구비하여, 조인트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joint has a fixed protrusion coupled to the fixed coupling groove and the fixed coupl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n unfolded state.

조인트는, 상부 조인트에 결합되는 상부 치합 기어와 하부 조인트에 결합되는 하부 치합 기어를 구비하여, 상부 치합 기어와 하부 치합 기어가 치합 회동하면서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를 포개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joint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upper engagement gear coupled to the upper joint and a lower engagement gear coupled to the lower joint, such that the upper engagement gear and the lower engagement gear superpose or unfold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while engaging rotation.

조인트는, 삽입홈과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 돌출부를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에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가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The joint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such that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serted and separated.

삽입 돌출부는 측면에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고, 탄성 돌출부는 삽입홈에 탄성 결합되어, 상부 조인트과 하부 조인트의 분리를 억제한다.The insertion protrusion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on the side, and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to suppress the separation of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너 스탠드는 조인트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 배너 스탠드를 박스 등에 수납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조인트와 폴대를 분리하지 않는 경우나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너 스탠드의 부피가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박스 등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거나 쉬워질 수 있다.The bann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duces the volume occupied by the joint, so that the banner stand can be easily stored in a box or the like, and the volume of the banner stand is halved when the joint and the pole are not separated or cannot be separated. Since it is reduced, it can be made easy to accommodate a box or the like.

도1은 종래의 배너 스탠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배너 스탠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2b는 폴대를 좌우로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기어 치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힌지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기어 치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분리 가능한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분리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1 shows a conventional banner stand.
Figure 2a shows a banner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hows a gear engagement structure in which the pole is rotated by an angle from side to side.
Figure 3 shows the hinge coupling structure of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show a gear engagement structure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detachable structure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structure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배너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2b는 폴대를 좌우로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기어 치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ner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shows a gear engagement structure for rotating the pole pole to the left and right at an angle.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너 스탠드는 상부 조인트(110), 하부 조인트(120), 균형 폴대(210), 배너 폴대(220,230,240,250), 폴대 삽입구(211,120,130,140,15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the bann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joint 110, a lower joint 120, a balance pole 210, banner poles 220, 230, 240, 250, pole inserts 211, 120, 130, 140, 150, and the like.

조인트는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로 분리되어 있다.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는 어느 하나가 한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구성되거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가 반으로 접혀지거나 분리되면, 조인트의 상하 길이는 반으로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조인트의 부피가 그만큼 줄어든다.The joint is separated into an upper joint 110 and a lower joint 120.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are configured such that either one can be folded in one direction or one can be separated from the other. When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are folded or separated in half, the vertical length of the joint is reduced in half, and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joint is reduced by that amount.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폴대 삽입구(140,150)가 구비되어 있으며, 폴대 삽입구(140,150)는 죄우로 회동 가능하게 상부 조인트(100)에 결합되어 있다. 폴대 삽입구(140,150)에는 배너 폴대(240,250)가 각각 삽입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B, the upper joint 110 is provided with pole inserts 140 and 150 protruding upward, and the pole inserts 140 and 15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joint 100. Banner poles 240 and 250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ole insertion slots 140 and 150, respectively.

하부 조인트(120)에도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폴대 삽입구(120,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폴대 삽입구(120,130)도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하부 조인트(120)에 결합되어 있다. 폴대 삽입구(120,130)에는 배너 폴대(220,230)가 각각 삽입 고정된다.The lower joint 120 is also provided with pole inserts 120 and 130 protru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pole inserts 120 and 130 are also coupled to the lower joint 120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Banner poles 220 and 230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ole insertion holes 120 and 130, respectively.

하부 조인트(120)에는 하부 방향을 돌출되는 폴대 삽입구(211)가 하나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폴대 삽입구(211)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하부 조인트(120)에 결합되어 있다. 이 폴대 삽입구(211)에는 균형 폴대(210)가 삽입 고정된다.The lower joint 1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le insert 211 which protrudes downward, and the pole insert 211 is coupled to the lower joint 120 so as to be rotated backwards by a predetermined angle. A balance pole 2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ole insertion hole 211.

균형 폴대(210)와 배너 폴대(220,230,240,250)는 폴대 삽입구(211,120,130, 140,15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거나, 폴대 삽입구(211, 120,130,140,150)에 고정 삽입될 수도 있다. 균형 폴대(210)와 배너 폴대(220,230,240,250)가 폴대 삽입구(211,120,130,140,150)에 고정 삽입되는 경우에도, 조인트가 포개져 반으로 줄어들면, 배너 스탠드의 전체 부피도 반으로 줄기 때문에, 박스 등에 수납되거나 구석진 곳에 세워 두기에 적당한 크기로 줄어들 수 있다.The balance pole 210 and the banner poles 220, 230, 240 and 250 may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s 211, 120, 130, 140 and 150, or may be fixedly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s 211, 120, 130, 140 and 150. Even when the balance pole 210 and the banner pole 220, 230, 240, 250 are fixedly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slots 211, 120, 130, 140, 150, if the joint is folded and reduced in half, the entire volume of the banner stand is also cut in half, so that it is stored in a box or the like It can be reduced in size to fit.

균형 폴대(210)와 배너 폴대(220,230,240,250)는 낚시대처럼 내부로 수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너 스탠드의 부피는 더 줄어들 수 있다.The balance pole 210 and the banner poles 220, 230, 240, and 250 may be configured to be housed inside like fishing rods. In this case, the volume of the banner stand can be further reduced.

균형 폴대(210)와 배너 폴대(220,230,240,25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다.
The balance pole 210 and the banner pole 220, 230, 240, 250 are made of plastic or metal.

균형 폴대(210)는 하부 조인트(120)의 하방에서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폴대 삽입구(211)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그에 따라 균형 폴대(210)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여 그 단부가 바닥면에 닿게 된다. 이 때, 배너 폴대(220,230)와 삼각대를 형성하면서, 조인트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도2a에서는 균형 폴대(21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균형 폴대(210)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하부 조인트(120)에는 균형 폴대용 폴대 삽입구가 더 구비된다.
The balance pole 210 is rotated back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joint 120, the pole pole insertion hole 211 is installed to be rotated backwards, accordingly, the balance pole 210 is rotated backwards by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nd is the bottom surface Will reach. At this time, the joints are supported from below while forming tripods with the banner poles 220 and 230. In FIG. 2A, only one balance pole 210 is shown, but two or more balance poles 210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lower joint 120 may further include a pole pole insertion hole for the balance poles.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에 구비되는 폴대 삽입구(140,150)은 치합되는 2개의 기어(141,151)를 포함하는 기어 치합 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기어(141,151)는 좌우 대칭적으로 회동한다. 상부 조인트(110)에는, 폴대 삽입구(140,15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걸림턱(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pole insertion slots 140 and 150 provided in the upper joint 110 may be coupled to a gear engagement structure including two gears 141 and 151 to be engaged. The two gears 141 and 151 rotate symmetrically. The upper joint 110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jaw (not shown) to prevent the pole insertion slots 140 and 150 from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하부 조인트(120)에도, 치합되는 2개의 기어(121,131)를 포함하는 기어 치합 구조가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기어(121,131)는 좌우 대칭적으로 회동하며, 하부 조인트(110)에도 폴대 삽입구(120,13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ear joint structure including two gears 121 and 131 to be engaged may also be coupled to the lower joint 120. The two gears 121 and 131 rotate symmetrically, and a locking jaw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lower joint 110 so that the pole insertion holes 120 and 130 do not rotate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배너 폴대(220,230,240,250)의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221,231,241,251)가 결합되어 있다. 배너 고리(221,231,241,251)는 배너(도1의 300)의 각 코너에 형성되어 있는 배너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며, 배너(도1의 300)를 탄성적으로 지지 고정한다. 배너 고리(221,231,241,251)는 돌출 형태 외에도 집게 형태, 테이프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Banner ends 221, 231, 241, and 251 are coupled to respective ends of the banner poles 220, 230, 240, and 250. Banner rings 221, 231, 241 and 251 are inserted into the banner coupling groove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banner (300 of FIG. 1), respectively, and elastically support and fix the banner (300 of FIG. 1). The banner rings 221, 231, 241 and 25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tongs and tapes.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힌지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는 힌지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Figure 3 shows the hinge coupling structure of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are coupled in a hinged form.

상부 조인트(110)의 일측에는 힌지 결합구(410)가 구비되어 있다. 힌지 결합구(410)는 상부 조인트(110)의 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에 홈 고리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힌지 결합구(410)는 홈 고리 외에 함몰 홈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upper joint 110 is provided with a hinge coupler (410). The hinge coupler 410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upper joint 110,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roove ring at the end thereof. The hinge coupler 41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recessed groove in addition to the groove ring.

하부 조인트(120)에는, 상부 조인트(110)의 힌지 결합구(410)에 삽입되는 힌지 회동부(420)가 하부 조인트(12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 힌지 회동부(420)는 원통 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상부 조인트(110)의 힌지 결합구(410)가 원통 바를 내장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만약 상부 조인트(110)의 힌지 결합구(410)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의 볼 홈의 형태를 가진다면, 하부 조인트(120)의 힌지 회동부(420)도 소정 간격 이격된 2개의 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lower joint 120, a hinge pivot 420 inserted into the hinge coupler 410 of the upper joint 110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lower joint 120. In FIG. 3, the hinge pivot 4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bar, but this is because the hinge coupler 410 of the upper joint 110 is configured to embed the cylindrical bar. If the hinge coupler 410 has a form of two ball groov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hinge pivot 420 of the lower joint 120 may also be formed in two ball spaces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에는 고정 결합홈(510a,510b)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joint 110 is formed with fixed coupling grooves (510a, 510b).

고정 결합홈(510a,510b)은 상부 조인트(110)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are formed in one or more grooves at the center of the upper joint 110.

하부 조인트(120)에는, 상부 조인트(110)의 고정 결합홈(510a,510b)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 돌출부(520a,520b)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돌출부(520a,520b)는 고정 결합홈(510a,510b)에 삽입되어, 고정 돌출부(520a,520b) 자체가 가지는 일정 크기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결합홈(510a,510b)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그 결과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를 접고자 할 경우, 고정 돌출부(520a,520b)에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하면서, 고정 돌출부(520a,520b)를 고정 결합홈(510a,510b)으로부터 이탈시킨다.The lower joint 120 is provided with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of the upper joint 110, respectively. The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are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from 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by the elastic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f the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itself. As a result,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may be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are to be folded, the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are fixed from 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while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force to the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Departure.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를 펼친 상태로 고정하는 방법은, 도3에 도시된 구성 외에, 상부 조인트(110) 또는 하부 조인트(120)의 일측 면에 홈 형태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고리 형태의 돌출부를 하부 조인트(120) 또는 상부 조인트(110)에 형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고리 형태의 돌출부는 일정 크기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of fixing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in an unfolded stat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forms a coupling groove having a groove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joint 110 or the lower joint 120. And, there may be a method of forming a ring-shaped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joint 120 or the upper joint 110. Here, the ring-shaped protrusions preferably have a certain size of elasticity.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기어 치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에는 상부 치합 기어(610)와 하부 치합 기어(62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4a and 4b show a gear engagement structure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a, 4b,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is provided with an upper engagement gear 610 and a lower engagement gear 620, respectively.

상부 치합 기어(610)는 상부 조인트(110)의 일측 면에서 하부 조인트(12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기어 고정부(611)에 결합되고, 하부 치합 기어(620)는 하부 조인트(120)의 일측 면에서 상부 조인트(11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기어 고정부(621)에 결합된다. 상부 기어 고정부(611)와 하부 기어 고정부(621)는 치합 연결부(630)로 연결되며, 치합 연결부(630)에 의해 상부 치합 기어(610)와 하부 치합 기어(620)가 치합 결합된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치합 기어(610)와 하부 치합 기어(620)는 대칭적으로 회동된다(도4b에서, 회동을 나타내는 화살표 참조).The upper engagement gear 610 is coupled to the upper gear fixing part 61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joint 120 at one side of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engagement gear 620 is connected to the lower joint 120. It is coupled to the lower gear fixing part 621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joint 110 on one side. The upper gear fixing part 611 and the lower gear fixing part 621 are connected by the coupling connector 630, and the upper coupling gear 610 and the lower coupling gear 620 are engaged by the coupling connector 630. As shown in Fig. 4B, the upper engagement gear 610 and the lower engagement gear 620 are rotated symmetrically (see the arrow indicating rotation in Fig. 4B).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에는,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3에 도시된 고정 수단과 같이, 하부 조인트(120)에는 상부 조인트(110)의 고정 결합홈(510a,510b)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 돌출부(520a,520b)가 구비된다. 고정 돌출부(520a,520b)는 고정 결합홈(510a,510b)에 삽입되어, 고정 돌출부(520a,520b)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 결합홈(510a,510b)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그 결과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는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 돌출부(520a,520b)에 일정 크기의 힘을 가하여, 고정 돌출부(520a,520b)를 고정 결합홈(510a,510b)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된다.Preferably,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includ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in an unfolded state. That is, like the fixing means shown in FIG. 3, the lower joint 120 is provided with fixing protrusions 520a and 520b inserted into the fixing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of the upper joint 110, respectively. The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are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from the fixed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xed protrusions 520a and 520b. 110 and the lower joint 120 may be fixed in an unfolded state. When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are to be folded,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fixing protrusions 520a and 520b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520a and 520b are removed from the fixing coupling grooves 510a and 510b. You can leave it.

한편, 도4a,4b에서, 상부 치합 기어(610)와 하부 치합 기어(620)를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에 홈을 형성시키고, 그 곳에 상부 치합 기어(610)와 하부 치합 기어(620)를 각각 내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4A and 4B, the upper engagement gear 610 and the lower engagement gear 620 are configur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respectively.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joint 120, and the upper coupling gear 610 and the lower coupling gear 620 may be respectively embedded therein.

또한, 도4a,4b에서는,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0)의 각 접촉면에 홈 형태와 돌출부 형태를 갖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였으나, 상부 치합 기어(610)와 하부 치합 기어(620)가 형성된 면의 반대 쪽에 홈과 고리의 대응 구조로 된 고정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리는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4A and 4B, although fixing means having groov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0, the upper engagement gear 610 and the lower engagement gear 620 are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fixing means of corresponding structures of grooves and rings on opposite sides of the formed face. In this case, the ring preferably has elasticity.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분리 가능한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에는 각형의 돌출 삽입부(710)가 형성되고, 하부 조인트(120)에는 각형의 돌출 삽입부(710)가 내장될 수 있는 삽입홈(7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 삽입부(710)와 삽입홈(720)을 각형으로 형성한 것은,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1)의 유동, 특히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함이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detachable structure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upper joint 110 has a rectangular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710 formed therein, and the lower joint 120 has an insertion groove 720 having a rectangular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710 embedded therein. Is formed. Here, the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710 and the insertion groove 72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1,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flow.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에는 걸림홈(711)이 형성되고, 하부 조인트(120)에는 걸림홈(7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73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731)은 하부 조인트(120)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는 커버(730)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 locking groove 711 is formed in the upper joint 110, and a locking jaw 731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 711 in the lower joint 120. The locking jaw 7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73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joint 120.

걸림턱(731)의 단부는 중앙부보다 더 부푼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축 가능한 재질, 예를들어 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걸림턱(731)은 전체가 수축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져, 걸림홈(711)에 탄성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nd of the catching jaw 731 is preferably formed in a bulging shape more than the center portion, it may be made of a shrinkable material, for example rubber. The locking jaw 731 is made of a shrinkable material as a whole and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711.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분리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의 예는, 상부 조인트(110)가 하부 조인트(120)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조인트(110)에는 사각형의 삽입부(810)가 형성되고, 하부 조인트(120)에는 삽입부(810)가 내장될 수 있는 결합홈(8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부(810)와 결합홈(820)을 각형으로 형성한 것은, 상부 조인트(110)와 하부 조인트(121)의 유동, 특히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함이다.Figure 6 show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structure of a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he upper joint 1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lower joint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upper joint 110 has a rectangular insertion portion 810, and the lower joint 120 has a coupling groove 820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810 can be built. . Here, the insertion portion 810 and the coupling groove 8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upper joint 110 and the lower joint 121, in particular the left and right flow.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810)의 측면에는 탄성 걸림부(811a,811b,811c,811d)가 구비되어 있고, 탄성 걸림부(811a,811b,811c,811d)는 내부의 스프링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며, 하부 조인트(120)의 결합홈(820)에 탄성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6, elastic locking portions 811a, 811b, 811c, and 811d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inserting portion 810, and the elastic locking portions 811a, 811b, 811c and 811d are provided with an internal spring. Consists of a protrusion projecting to the outside, i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820 of the lower joint (120).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러한 수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for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Fur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and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may be made. It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10: 상부 조인트 120: 하부 조인트
410: 힌지 결합구 420: 힌지 회동부
510a,510b: 고정 결합홈 520a,520b: 고정 돌출부
610: 상부 치합 기어 620: 하부 치합 기어
110: upper joint 120: lower joint
410: hinge coupler 420: hinge pivot
510a, 510b: fixed coupling groove 520a, 520b: fixed protrusion
610: upper engagement gear 620: lower engagement gear

Claims (7)

배너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로 분리되고,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는 서로 포개지게 결합되는 스탠드 조인트;
상기 상부 조인트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가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상부 배너 지지대;
상기 하부 조인트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가 결합되고, 그리고 각 단부는 지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하부 배너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조인트에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하부 배너 지지대와 함께 상기 하부 조인트의 지지하여 상기 배너 스탠드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In the banner stand,
A stand joint separated into an upper joint and a lower joint, wherein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are superposedly coupled to each other;
At least two upper banner support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joint from side to side, each end having a banner ring coupled thereto;
At least two lower banner supports rotatably coupled left and right to the lower joint, each end having a banner ring coupled thereto, each end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d at least one balance support pivotally coupled to the lower joint and supporting the lower joint together with the at least two lower banner supports to maintain balance of the bann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조인트는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에 힌지 결합구와 상기 힌지 결합구에 결합되는 힌지 회동부를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and joint
And a hinge pivot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so as to correspon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are hingedly coupl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조인트는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에 고정 결합홈과 상기 고정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출부를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기 스탠드 조인트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The stand joint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and joint
And a fix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to be fixed to the fixed coupling groove and the fixed coupling groove so as to fix the stand joint in an unfold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조인트는
상기 상부 조인트에 결합되는 상부 치합 기어와 상기 하부 조인트에 결합되는 하부 치합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치합 기어와 상기 하부 치합 기어가 치합 회동하면서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를 포개거나 펼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and joint
And an upper engagement gear coupled to the upper joint and a lower engagement gear coupled to the lower joint, wherein the upper engagement gear and the lower engagement gear are configured to overlap or unfold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while engaging rotation. Featuring banner stand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조인트는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에 고정 결합홈과 상기 고정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 돌출부를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기 스탠드 조인트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nd joint
And a fix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to be fixed to the fixed coupling groove and the fixed coupling groove so as to fix the stand joint in an unfolded state.
배너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 조인트와 하부 조인트로 분리되고,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에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 돌출부를 대응되게 구비하여, 상기 상부 조인트와 상기 하부 조인트가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조인트;
상기 상부 조인트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가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상부 배너 지지대;
상기 하부 조인트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 단부에는 배너 고리가 결합되고, 그리고 각 단부는 지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2개의 하부 배너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조인트에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하부 배너 지지대와 함께 상기 하부 조인트의 지지하여 상기 배너 스탠드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In the banner stand,
A stand which is divided into an upper joint and a lower joint, and has an insertion protrusion corresponding to an insertion groove and the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so that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are inserted and detachably coupled. Joints;
At least two upper banner support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joint from side to side, each end having a banner ring coupled thereto;
At least two lower banner supports rotatably coupled left and right to the lower joint, each end having a banner ring coupled thereto, each end be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d at least one balance support pivotally coupled to the lower joint and supporting the lower joint together with the at least two lower banner supports to maintain balance of the banner sta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출부는 측면에 탄성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상부 조인트과 상기 하부 조인트의 분리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너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ertion protrusion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on the side,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bann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ress the separation of the upper joint and the lower joint.
KR1020100052666A 2010-06-04 2010-06-04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KR101130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666A KR101130042B1 (en) 2010-06-04 2010-06-04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666A KR101130042B1 (en) 2010-06-04 2010-06-04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12A true KR20110133112A (en) 2011-12-12
KR101130042B1 KR101130042B1 (en) 2012-03-28

Family

ID=4550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666A KR101130042B1 (en) 2010-06-04 2010-06-04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185A (en) * 2016-02-16 2016-05-04 天津陇朊科技有限公司 Mechanical X-type exhibition display instrument
CN105570388A (en) * 2016-02-16 2016-05-11 天津陇朊科技有限公司 X-shaped display device connecting base capable of being unfolded and folded mechanically and automatical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443Y1 (en) * 1999-10-28 2000-04-15 씨씨엠광고주식회사 Layer for advertisting media
KR100671798B1 (en) * 2005-11-14 2007-01-19 박우홍 We are a hanging banner mount
KR20080086202A (en) * 2007-03-22 2008-09-25 류대성 If is advertisement, mou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185A (en) * 2016-02-16 2016-05-04 天津陇朊科技有限公司 Mechanical X-type exhibition display instrument
CN105570388A (en) * 2016-02-16 2016-05-11 天津陇朊科技有限公司 X-shaped display device connecting base capable of being unfolded and folded mechanically and automatically
CN105570388B (en) * 2016-02-16 2018-01-16 天津陇朊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achine automatization telescopic type X-type display device connecting seat
CN105534185B (en) * 2016-02-16 2021-04-27 天津陇朊科技有限公司 Mechanical X-shaped exhibition displa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042B1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898B1 (en) Hinge Structure for Mobile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installed
KR200278449Y1 (en) Automatic Rocking Release Device of Joint for Pole Portable Tent
KR100747826B1 (en) A stan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130042B1 (en) Banner stand with foldable joint
BR102016006995A2 (en)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with metal rings, and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for mounting in an opening on a work surface
CN105587189A (en) Combined display screen and locking device thereof
KR200471815Y1 (en) Reading board
KR102255800B1 (en) Triangular billboard using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CN203150051U (en) Advertisement flagpole wind resistant clamp
KR200467083Y1 (en) Folding type table
JP2010200744A (en) Fishing rod stand
CN210515955U (en) Portable support and prompting device with same
CN201682153U (en) Intermediate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cable with connecting box
KR20100001129U (en) Indoor advertising screen board having a weight body
CN207852219U (en) A kind of vertical boards of OLED
KR200301030Y1 (en) hammock
CN203811918U (en) Glasses frame and earpiece connection structure and glasses
CN204909229U (en) Folding basin
CN205040857U (en) Flexible stationery box
KR200177443Y1 (en) Layer for advertisting media
CN219645404U (en) Quick dismounting mosquito net
KR200394541Y1 (en) Device for supporting signboard
CN203788339U (en) University classroom cellphone management device supported by folding frame
CN103218959A (en) Wind fixing clamp for advertising flagpole
KR10087364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