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085A -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3085A KR20110133085A KR1020100052620A KR20100052620A KR20110133085A KR 20110133085 A KR20110133085 A KR 20110133085A KR 1020100052620 A KR1020100052620 A KR 1020100052620A KR 20100052620 A KR20100052620 A KR 20100052620A KR 20110133085 A KR20110133085 A KR 20110133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picture
- electronic device
- input
- diagnos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8—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e.g. using a graphics tab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는 진단대상자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스크린; 스크린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림 오브젝트를 스크린상에 표시시키거나, 삭제할 수 있는 제어부(120); 및 상기 표시된 오브젝트의 입력 순서를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 등은 진단대상자가 종이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대신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사람이 직접 입력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에 기반한다. 따라서, 그림을 그리는 순서가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으므로, 진단자는 그림 그리는 순서 등을 언제라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진단 방법에 따르면, 진단 시 고려되는 특징 오브젝트들(예를 들면, 머리, 눈, 코, 팔, 다리)등을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서 선택하고, 이를 원하는 위치와 크기로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그림을 그린다. 따라서, 그리는 순서뿐만 아니라, 각 특징 요소의 위치, 크기 등도 자동으로 추출, 연산되어, 진단자로 하여금 정확한 심리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전자 기기 스크린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입력함으로써 빠르고, 효과적인 심리 진단이 가능한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개인은 자기가 그리는 인물화 속에 자기 인격의 중요한 측면들을 나타낸다고 한다. 개인이 그린 인물화는 개인의 인격의 반영이고 개인에 관한 중요한 측면들의 반영이자 투사인 것이다. 인물화를 그리는 것은 자기 신체를 반영하는 것이고, 이러한 신체상은 자아개념 또는 자아상과 관계가 있으므로 인물화는 개인의 자아상, 자아개념, 이상적 자아상의 반영은 물론이고 그밖에 개인의 습관적 태도 등과 같은 개인의 전반적인 것들도 반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인물화는 사람들이 가장 친숙하게 그리는 그림으로, 사물 묘사의 의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그림에 나타낸다. 개인은 자신이 그리는 인물화에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정신적 가치세계를 표현하며, 자신의 신체상과 욕구 및 갈등을 표현한다. 그리고 아동은 인물화를 그릴 때 자신과 주위 사람에 대한 모든 이미지를 참고하게 되며, 특히 신체는 가장 친근한 참조의 근거가 되어 신체기관과 연합된 정서나 지각이 인물화에 투사됨으로써 자신과 주변 환경에 대한 많은 것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아동의 인물화는 그들을 이해할 수 있는 보다 중요한 사실을 제공해주는 매우 유용한 심리 진단적 도구인 것이다.
이와 관련이 되어 있는 특허로서 한국등록특허(제10-0750871호)에는 그림에 이용된 주제색 및/또는 균형 여부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그림을 그린 진단대상자의 심리증상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그림의 크기 및 배치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 그림의 색을 분석하여 진단대상자의 심리증상을 판단하는 것이고, 입력방식은 그림을 스캔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그림의 테두리 및 색상을 인식하게 하여 입력받아 컴퓨터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몸에서 미리의 비율이 얼마나 차지하는가, 손, 발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가 등을 기계적으로 판단하여 진단을 내려주거나, 단순히 주제색에 따라 진단을 내려주는 것에 불과하다. 즉, 그림진단에서는 그림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진단대상자의 여러 가지 행동을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종이에 진단대상자가 그림을 그리는 순서를 진단 요소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진단자가 직접 관찰하거나, 또는 별도의 비디오 카메라 촬영 등의 번잡스러운 과정이 필요하였다. 즉, 종이에 그려진 그림만으로 사람의 심리를 진단하는 종래 기술은 모두 진단에서 필요한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의 고려사항들을 반영하지 않고 그림자체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을 뿐이므로, 진단대상자의 심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심리 진단이 가능한,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심리 진단이 가능한,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심리 진단이 가능한, 심리 진단 장치 및 방법 용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진단대상자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스크린; 스크린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림 오브젝트를 스크린상에 표시시키거나, 삭제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된 오브젝트의 입력 순서를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그림 오브젝트의 특징 요소를 구분, 추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징 요소는 그림 오브젝트의 종류, 형태, 크기 및 비례관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에는 그림 오브젝트가 속하는 카테고리가 미리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진단대상자에 의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의 그림 오브젝트들을 스크린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은 소정 크기의 그리드로 분할되며, 상기 그림 오브젝트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스크린에 옮겨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되며,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를 이용한 심리 진단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구비된 스크린에 그림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그림의 각 부분 요소들의 위치와 크기, 입력 순서가 추출되어, 기록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부분 요소들의 위치, 크기 및 입력 순서에 기반하여 심리 진단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을 소정 크기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그리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림 입력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된 그림 오브젝트를 상기 스크린의 소정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방법은 상기 그림 오브젝트를 드래그 하기 이전, 상기 그림 오브젝트가 속하는 카테고리가 먼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드래그된 그림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그림 오브젝트에 색을 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심리 진단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 등은 진단대상자가 종이에 직접 그림을 그리는 대신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사람이 직접 입력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에 기반한다. 따라서, 그림을 그리는 순서가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으므로, 진단자는 그림 그리는 순서 등을 언제라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진단 방법에 따르면, 진단 시 고려되는 특징 오브젝트들(예를 들면, 머리, 눈, 코, 팔, 다리)등을 사용자가 스크린 상에서 선택하고, 이를 원하는 위치와 크기로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그림을 그린다. 따라서, 그리는 순서뿐만 아니라, 각 특징 요소의 위치, 크기 등도 자동으로 추출, 연산되어, 진단자로 하여금 정확한 심리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진단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진단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전문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직접 입력이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직접 진단대상자가 그림을 그리게 하는 방식을 취한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는 모바일 기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스크린을 구비한 임의의 모든 전자 기기를 다 통칭하며,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진단 장치(100)는 진단대상자가 입력가능한 스크린(110); 스크린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원하는 그림 오브젝트를 스크린상에 표시시키거나, 삭제시키는 제어부(120); 및 상기 표시된 그림 오브젝트의 입력 순서를 기록, 저장하는 메모리부(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린(110)은 사용자 입력 수단의 직접, 또는 근접 접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 손가락과 같은 신체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 마우스 등과 같은 임의의 모든 수단을 다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스크린(110)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림을 스크린(110)에 표시하거나, 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그림 오브젝트를 스크린에 표시/삭제할 뿐만 아니라, 진단시 고려되는 특징적 요소를 구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얼굴의 눈, 코, 입 등의 그림 오브젝트를 진단대상자가 그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진단대상자가 그리는 오브젝트의 종류를 진단 방법의 관점에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20)로 하여금 그림의 특징 요소(즉, 그림의 특징으로 심리 진단에 유효한 특징)들을 보다 명확히 구분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해당 요소에 대한 그림 오브젝트들을 미리 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징 요소는 그림 오브젝트의 종류, 형태, 크기 및 비례관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심리 진단의 예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그림 오브젝트의 예를 들면, DAP(Draw A Person) 검사에서 사람의 눈을 그리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눈이 미리 스크린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들 중 원하는 형태의 눈을 선택하고, 이를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위치시켜, 입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 오브젝트들을 미리 카테고리화하고, 진단대상자로 하여금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해당 그림 오브젝트 후보들을 스크린 상에 표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눈에 색깔을 칠하거나, 또는 그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현 단계에서 그리는 그림 요소가 눈이며, 그 크기와 형태, 색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 진단 장치(100)는 사용자가 그림 그리는 순서 등을 기록, 저장하는 메모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그림 그리는 순서 등이 기록되며, 진단자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그림 그리는 순서 등을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 진단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단대상자에 의하여 전자 기기에 구비된 스크린에 그림(즉, 그림 오브젝트)이 입력되는데, 이때 그림의 입력 순서는 모두 기록될 수 있다. 그림이 완성된 후, 상기 그림의 위치와 크기 등의 특징 요소들이 추출되어, 기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그림의 전체 또는 부분 요소의 위치나 크기, 비례 관계 등이 특징 요소로 추출되며, 이러한 특징 요소의 효과적 추출을 위하여, 그림이 입력되는 상기 스크린은 소정 크기의 그리드 형태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는데, 그림의 외곽선과 접촉하는 그리드를 검출함으로써, 그림의 부분 요소들의 크기와 위치, 형태 등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록된 그림 완성 순서 및 요소 특징에 따른 심리 진단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인물화(DAP) 검사인 경우, 스크린에서 검출된 인물화의 크기로 진단 대상자의 자존감을 측정할 수 있는데,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인물화 크기가 자존감이 높은 사람보다 더 작다. 종래에는 이러한 측정이 진단지에 그려진 그림을 진단자가 주관적으로 관찰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실제 그려진 인물화의 크기를 객관적으로 계량화하므로, 보다 효과적인 심리 진단이 가능하다.
아래 표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에 그려진 인물화로부터 추출가능한 주요 특징(특징 요소) 및 이에 기반한 진단 척도표이다.
인물의 위치 | 종이를 15등분하여 그림을 그린 넓이만큼 표시 |
인물의 크기 | 화면 내에서의 인물 크기, 그리는 순서, 남녀의 크기 비율, 얼굴과 몸통의 비례, 얼굴-몸-몸통-팔-다리 비례, 팔다리 대비 손발 크기, 얼굴에서 눈/코/입의 비례 |
인물의 모습 | 생략되는 부위, 행동여부, 행동이 보이는 면, 정지행동 구분, 움직이는 행동구분, 팔 행동 구분, 다리행동 구분 |
그리는 과정 | 그리는 순서, 그릴 때의 행동, 선의 굵기와 방법 |
얼굴 표정 | 표정 구분, 인물의 연령대, 특이사항 |
의복 | 의복의 종류, 의복의 계절 구분, 의복의 형태 |
항목 | 세부항목표시 | 진단사항 |
인물의 크기 | 그림 속 인물의 위치 | 자기애의 정도 측정 |
화면 내에서 인물의 크기 | 인물의 크기와 자기애의 정도가 비례함 | |
인물을 그리는 순서 | 내면의 남성성/여성성 성향정도 | |
남/녀의 크기 비율 | 내면의 남성성/여성성 성향정도, 성에 대한 내면 콤플렉스 | |
얼굴/몸통 비례 | 신체에 대한 콤플렉스 정도 | |
손/발의 크기 : 팔/다리 대비 | 신체에 대한 콤플렉스 정도, 신체에 대한 자기 인식과 긍정적/부정적 경험 | |
얼굴에서 눈, 코, 입의 비례 | 자신의 현실인식 정도 | |
인물의 모습 | 생략되는 신체부위 | 신체결함 및 콤플렉스에 대한 의식 |
그림에서 인물의 행동 여부 | 활동성, 현실에 대한 적극성 | |
인물의 모습이 보이는 면 | 현실에 대한 시각 | |
정지상태의 인물의 행동 | ||
움직이는 상태의 인물의 행동 | ||
인물의 팔 행동 | ||
인물의 다리 행동 | ||
인물 그림을 그릴 때 보이는 양상 | 그림을 그리는 순서 | 자신감의 정도 |
그림을 그릴 때 행동 | 집중력 정도 측정 | |
선의 굵기 | 자신감 정도 | |
선의 연속성 | ||
얼굴표정 | 그림 속 인물의 표정 | 내면의 표현 |
그림 속 인물의 연령대 | 현실에 대한 순응 혹은 도피심리 | |
특이사항 | 자아도취와 콤플렉스 | |
그림 속 인물의 의복상태 | 의복의 종류 | 자기투영, 원하는 자아상 |
의복의 계절 구분 | ||
의복의 형태 |
따라서 위의 진단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림에 대한 입력 항목이 위의 척도에 맞게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세부 입력 항목은 표 3과 같은 분석 과정을 통해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목 | 세부항목표시 | 진단사항 |
인물의 위치 | 그림 속 인물의 위치 | 중앙에 위치함 |
인물의 크기 | 화면 내에서 인물의 크기 | 중간정도의 크기 |
인물을 그리는 순서 | 남자를 먼저 그리고 여자를 그린다. | |
남/녀의 크기 비율 | 남녀의 크기 비율이 비슷하다. | |
얼굴/몸통 비례 | 얼굴과 몸통이 신체비율이 맞게 그려져 있다. | |
손/발의 크기 : 팔/다리 대비 | 손, 발 모두 정상적인 비율을 유지 | |
얼굴에서 눈, 코, 입의 비례 | 눈, 코, 입 어느 하나 비정상적인 크기가 아님 |
특히 표 3의 세부항목은 스크린에서 그려지는 인물화로부터 자동으로 추출가능하며, 모두 계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형태의 스크린(310)에는 그림이 그려지는 유효 영역(311) 및 그림, 즉, 인물화의 부분 요소들에 대한 카테고리(320)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효 영역이라 함은 진단 대상자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스크린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카테고리는 진단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인물화 진단인 경우 인물의 몸통, 얼굴, 팔, 다리 등의 카테고리가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진단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카테고리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숲과 같은 배경이나, 가족 등도 카테고리로 표시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테고리 중 얼굴을 선택하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얼굴이 그림 오브젝트로 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그리고자 하는 얼굴과 가장 근접한 얼굴 형태를 선택하고, 이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의 소정 영역인 유효 영역(111)에 옮겨지게 된다. 이로써 상기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는 유효 영역(111)에 그려진 부분 요소가 얼굴임을 구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효 영역(111)에 그려진 얼굴의 형태나 선 등이 진단 대상자에 의하여 변형된다. 이와 달리 특정 색이 유효 영역(111)에 그려진 얼굴에 칠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5)
-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진단대상자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스크린;
스크린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림 오브젝트를 스크린상에 표시시키거나, 삭제할 수 있는 제어부; 및
상기 표시된 오브젝트의 입력 순서를 기록,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그림 오브젝트의 특징 요소를 구분, 추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요소는 그림 오브젝트의 종류, 형태, 크기 및 비례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그림 오브젝트가 속하는 카테고리가 미리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진단대상자에 의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의 그림 오브젝트들을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소정 크기의 그리드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오브젝트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스크린에 옮겨지는 방식으로 스크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장치를 이용한 심리 진단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기기에 구비된 스크린에 그림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그림의 각 부분 요소들의 위치와 크기, 입력 순서가 추출되어, 기록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부분 요소들의 위치, 크기 및 입력 순서에 기반하여 심리 진단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을 소정 크기로 분할하는 복수개의 그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입력은 상기 스크린에 표시된 그림 오브젝트를 상기 스크린의 소정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오브젝트를 드래그 하기 이전, 상기 그림 오브젝트가 속하는 카테고리가 먼저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드래그된 그림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그림 오브젝트에 색을 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기반 심리 진단 방법.
-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심리 진단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620A KR20110133085A (ko) | 2010-06-04 | 2010-06-04 |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620A KR20110133085A (ko) | 2010-06-04 | 2010-06-04 |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3085A true KR20110133085A (ko) | 2011-12-12 |
Family
ID=4550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2620A KR20110133085A (ko) | 2010-06-04 | 2010-06-04 |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308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9101A (ko) * | 2015-03-10 | 2016-09-21 | 김성재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진단 시스템 |
CN108230427A (zh) * | 2018-01-19 | 2018-06-2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作画设备、图画分析系统及图画处理方法 |
-
2010
- 2010-06-04 KR KR1020100052620A patent/KR2011013308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9101A (ko) * | 2015-03-10 | 2016-09-21 | 김성재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진단 시스템 |
CN108230427A (zh) * | 2018-01-19 | 2018-06-2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作画设备、图画分析系统及图画处理方法 |
CN108230427B (zh) * | 2018-01-19 | 2021-12-2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作画设备、图画分析系统及图画处理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049353A1 (en) | Ai-based physical function assessment system | |
CN109983505B (zh) | 人物动向记录装置、人物动向记录方法及存储介质 | |
US20180177446A1 (en) | Image interpretatio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
WO2011158965A1 (ja) | 感性評価システム、感性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9760993B2 (en) |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a user in a diagnosis process | |
CN108292194A (zh) | 用于显示数据的装置 | |
Jongerius et al. | Eye-tracking glasses in face-to-face interactions: Manual versus automated assessment of areas-of-interest | |
Marinoiu et al. | Pictorial human spaces: How well do humans perceive a 3d articulated pose? | |
JP5698293B2 (ja) | 携帯型医用画像表示端末及びその作動方法 | |
KR20110133085A (ko) | 전자 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JP2020081323A (ja) | 肌分析装置、肌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US20230027320A1 (en) | Movement Disorder Diagnostics from Video Data Using Body Landmark Tracking | |
KR20190045884A (ko) | 의료 영상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
Salvador et al. | Towards a Feasible H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as Sterile Non-contact Interface in the Operating Room with 3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
CN111324274A (zh) | 虚拟试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Lara-Garduno et al. | 3D-Trail-Making Test: A Touch-Tablet Cognitive Test to Support Intelligent Behavioral Recognition. | |
KR20120035525A (ko) | 전자기기 기반의 심리 진단 장치 | |
JP7469966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Vitorino et al. | Applications of infrared thermography to evaluate the ergonomics and usability of products with a gestural interface | |
Höffner | Gaze tracking using common webcams | |
KR20210144208A (ko) | 증강현실 기반 인지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
Aoyama Lawrence et al. | Being in-sync: A multimodal framework on the emotional and cognitive synchronization of collaborative learners | |
Babicsné Horváth et al. | Comparison of digital human model-based ergonomic software using eye-tracking methodology–presenting pilot usability tests | |
JP2020030695A (ja) | 教師データ生成装置及び機械学習システム | |
Vaca-Cardenas et al. | Enhancing user experience through an HCI research tool. Case study: Cognitive Urban Planning platform (PU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